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 경부 상피내 종양 III의 치료에 있어서 고위험군 HPV 감염 및 LEEP에서의 절제면 병변 양성의 임상적 의의

        고준성(Joon Sung Ko),남주현(Joo Hyun Na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자궁 경부 상피내 종양은 LEEP에 의한 진단 후 치료방침을 결정할 때 일반적으로 조직 소견, HPV 감염 여부, LEEP 절제면 병변 양성 여부 등을 고려한다. 그러나 아직 이런 인자들의 유무에 따른 보존적 치료 또는 자궁적출술 후 재발에 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치료후 대부분 질세포진 검사결과에만 의존해서 부가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환자를 관리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질세포진 검사와 더불어 치료전 혹은 치료후 재발을 예견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 세포진 검사 결과로 진단적 또는 치료적 LEEP을 시행한 CIN III 환자를 대상으로 추적 관찰만을 시행한 군과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두 군에서 HPV 감염 여부와 원추 절제면 병변 양성 여부에 따른 추적 세포진 검사결과를 비교하여 이러한 인자가 치료방침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95년 12월부터 1998년12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 자궁암 검진을 위해 내원한 환자 중 세포진 검사를 시행하여 비정상 소견을 보인 환자로서 진단 및 치료목적으로 LEEP을 시행한 506예의 환자중 LEEP 소견상 CIN III 병변으로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경우는 68예였으며,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는 164예 였다. LEEP 시행직전 hybrid capture assay를 이용하여 HPV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치료후 최소한 6개월 동안 3개월 간격의 추적 세포진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군 232예의 치료전 질세포진 검사 결과는 ASCUS 10예(4.3%), LSIL 19예(8.2%), HSIL 199예(85.8%), invasive cancer 4예(1.7%)로 나타났다. 치료후 추적 세포진 검사상 ASCUS 4예, LSIL 0예, HSIL 6예로 ASCUS를 제외하면 6예(2.6%)에서 이상 결과를 보였다. 대상군 232예중 HPV 양성이 164예(70.7%)였고, 음성이 68예(29.3%)였다. HPV 양성 164예중 41예에서 추적관찰만을 시행하고 123예에서는 자궁적출술을 시행하였는데 각각 1예, 2예가 추적 세포진 검사상 HSIL 소견을 보여 재발율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41). HPV 음성 68예중 27예에서 추적관찰만을, 41예에서 자궁적출술을 시행해 각각 2예, 1예에서 이상세포진 결과를 보였다(P=0.32). LEEP 절제면 병변 양성이었던 경우가 167예(72.0%)였고, 음성이었던 경우가 65예(28.0%)였다. LEEP 절제면 병변 음성이었던 65예중 29예에서는 추적관찰만을, 36예에서는 자궁적출술을 시행해 각각 0예, 1예에서 이상세포진 결과를 보였다(P=0.36). LEEP 절제면 병변 양성이었던 167예중 추적관찰만을 시행한 39예중 3예에서,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128예중 2예에서 이상세포진 결과를 보여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군에서 보존적인 치료를 한 군보다 유의하게 재발율이 낮았다(P=0.04). 결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HPV 감염 여부가 치료방침 결정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LEEP 절제면 병변 음성인 경우에는 치료방법의 차이가 재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LEEP 절제면 병변 양성인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 시행한 군에서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군보다 추적 관찰시 이상세포진 결과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이러한 경우는 자궁적출술이 타당하다고 사료되며 추적관찰만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보다 철저한 관리가 요망된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high risk human papilloma virus (HPV) infection and involvement of the resection margins of cervical cone biopsy specimens removed by loop electrosurgical excision procedure (LEEP) in the management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III). Methods: Records of 506 LEEP procedures performed due to abnormal Pap result between December 1995 and December 1998 were reviewed. Among them, 232 cases with histologically proven as CIN III in LEEP and follow-up Pap smear more than 6 months was available were assessed. All patients were assigned according to HPV infection and resection margin involvement in LEEP, and recurrence rate in the follow-up was compared with reference to post-LEEP treatment regimen, observation or hysterectomy in each group. Results: Of 232 cases reviewed, 10 cases(4.3%) were ASCUS, 19 cases(8.2%) were LSIL, 199 cases(85.8%) were HSIL, and 4 cases(1.7%) were invasive cancer in initial Pap smear. Abnormal Pap result in the follow-up was as follows: 4 cases of ASCUS, no case of LSIL, and 6 cases of HSIL. Excluding ASCUS, the overall recurrence rate in the follow-up was 2.6%(6/232). HPV positive was 164(70.7%) and HPV negative was 68(29.3%) in the LEEP specimen. Of 164 HPV positive, 41 were followed up without further treatment and 123 with hysterec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urrence rate between the two groups(P=0.41). Of 68 HPV negative, 27 were only followed up and in 41, hysterectomy was done. And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32). Of 232 cases, resection margin was positive in 167(72.0%) and negative in 65(28.0%). Of 65 margin negative, 29 were followed up without further treatment and 36 with hysterec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urrence rate between the two groups(P=0.36). Among 167 margin positive, 39 were only followed up and in 128 hysterectomy was done. Recurrenc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ollowed up only group(P=0.04). Conclusion: HPV infection in LEEP specimen was not helpful in deciding post LEEP treatment modality in CIN III patient. But, when resection margin was positive, hysterectomy should be performed because by doing so, recurrence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when only follow up was done.

      • KCI등재

        전이성 악성 난소 흑색종 1 예

        김영규(Young Kue Kim),윤규욱(Kue Wook Yoon),손원경(Won Kyeung Sohn),윤준(Jun Yoon),고준성(Joon Sung Ko),전대준(Dae Jun Jeon),안병건(Byoung Kuen An),서재희(Jae Hee Se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3

        A case of metastatic malignant melanoma of ovary with malignant melanoma of skin is rare. The tumor was discovered 17months following excisional biopsy of left hand for malignant melanoma of the skin. Primary ovarian malignant melanomas are extremely rare and are thought to originate in teratomas. Ovarian melanoma without evidence of residual teratoma must be considered metastatic even in the absence of a previously identifiable cutaneous or mucocutaneous lesion. We had experienced a case of metastatic malignant melanoma of ovary and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SCIESCOPUSKCI등재

        부인과 항암제 처방을 위한 전산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연구

        고준성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9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0 No.4

        As a part of plan to construct a multifunction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e planned to develop a chemotherapy order system. First, a software developing team was established which is composed of gynecologic oncology staffs, special pharmacists and programmer who are responsible for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We set up and outline of this system after collecting various kinds of sources such as foreign examples, gathered protocol that are used for chemotherapy, and organized these protocol in programming the chemotherapy order system. This project is expected to provide accurate prescription, to shorten the time to prepare prescription, to standardize the protocol of chemotherapy within the medical center, to manage an effective dispensing schedule and to be used as a source for education an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