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1930년대 대전의 도시개발과 재조일본인사회

        고윤수(Ko, Yunsoo) 도시사학회 2021 도시연구 Vol.- No.28

        20세기 초 경부선철도의 부설과 일본인들의 이주로 만들어진 대전은 일종의 개척도시로서 일찍부터 정주여건을 갖추기 위한 각종 도시정비사업을 필요로 했다. 특히 초기 일본인들의 정착지가 대전천변에 조성됨으로써, 다른 근대도시들과 달리 하천정비에 많은 인력과 자원이 투입되어야 했다. 이로 인해 대전의 재조 일본인들은 그 어느 도시보다 강한 조직력과 결속력을 갖게 되었다. 그들은 조선총독부의 거류민회의 폐지 조치 이후에도 대전의 도시정비사업을 보조 혹은 직접 주도해 나가며, 계속 자신들의 지위와 역할을 유지해 나갔다. 이러한 대전 재조일본인사회의 지속과 도시환경은 시간이 흐르며 지역 내 강력한 토건세력을 키워냈고, 이들과 유착된 일본인 유지들이 하나의 카르텔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들 대전의 토건 카르텔은 1930년대 충남도청사의 대전 이전과 총독부의 도시계획 입안과정에 개입,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 결과 대전은 1930년대 중반 명실상부한 식민지조선의 근대도시로 성장했다. 한편 이 과정에서 대전의 토건 카르텔은 큰 이익을 챙겼는데, 그 가운데서도 주요 토지들을 독점함으로써 막대한 부동산 수익을 얻었다. 그런데 그들 몇몇 유지들의 과도한 토지독점은 이후 대전의 도시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지역 문제가 되었고, 도시빈민층의 형성과 주거환경문제 등 여러 가지 도시문제들을 야기했다. Daejeon is a kind of planting city creat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bu Line(京釜線鐵道) and the migration of the Japanes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fore, in Daejeon, various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were needed to prepare settlement conditions. In particular, as the settlement of the early Japanese was built along the Daejeon River, a lot of manpower and resources had to be put into river maintenance, unlike other modern cities. As a result, the Japanese residents in Daejeon had a stronger organizational strength and solidarity than any other city. And even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ok measures to abolish the Resident’s Association, they continued to maintain their position and role by subsidizing or directly leading the urban renewal project in Daejeon. The continuation of the Japanese resident society in Daejeon and the urban environment nurtured strong construction powers(土建勢力), and the Japanese local elites attached to them formed a cartel. In the 1930s, these Daejeon construction cartels were very active in relocating the Chungcheongnam-do government building to Daejeon and establishing urban planning for Daejeon. As a result, Daejeon grew into a modern city in colonial Joseon in the mid-1930s. Daejeon"s construction cartel made a huge profit in this process, of which the biggest profit was the huge real estate income obtained by monopolizing the mainland. However, since then, excessive land monopoly by a small number of landowners has become a serious regional problem that has hindered the urban development of Daejeon and created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the formation of the urban poor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일제하 유성온천의 개발과 대전 지역사회의 변화

        고윤수(ko, yunsoo)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3

        유성온천의 개발은 일제시대 대전의 재조일본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온천수 용출에 성공한 대전의 일본인 유지들은 1914년 공동출자를 통해 ‘대전온천(주)’라는 회사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지속적인 설비투자 요구 등 커져가는 시장의 수요를 뒤따라가지 못해 1920년대 초 결국 회사의 소유권과 경영권을 공주의 유지들에게로 넘기게 된다. 이 시기 유성온천에는 공주 외에도 대구와 남만주철도회사 등 외부의 자본들이 유입되어 새로운 개발붐이 인다. 이 같은 유성온천의 발전은 온천시설의 개수는 물론 도로와 철도 같은 도시 인프라의 확충, 여관과 터미널, 상점의 입점 등 주변 지역의 개발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유성온천 내부는 자본의 크기에 따라 위계화된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유성온천의 배후 도시 대전은 점차 그 세를 확장하여 충남의 오랜 수위 도시인 공주와의 경쟁에서 승리하였고, 그 결과 1930년대에 이르면 유성온천은 자연스레 다시 대전의 인적, 물적 토대 안으로 환원되게 된다. 하지만 이때 대전 지역사회 내에서 유성온천이 갖는 의미는 단순히 지역의 대표적 관광지를 넘어 대전의 지속가능한 발전, 혹은 大大田건설을 위한 중요한 전략적 자원으로 격상되었다. 1920년대에 도입된 도시계획론과 1930년대의 근대도시담론 속에서 유성온천의 가치가 재맥락화 되었던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the ‘Yuseong Hot Springs(儒城溫泉)’ was made by Japanese in Daejeon(大田)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established a corporation ‘Daejeon Hot Springs’ in 1914 and opened Yuseong Hot Springs. But they failed to meet growing market demands such as continued facility investment and eventually handed over ownership and management of the company to the local elites of Gongju(公州) in the early 1920s. At this time, in addition to Gongju, external capitals flowed from Daegu(大邱) and the south manchuria(滿洲) railway company, creating a new development boom in Yuseong Hot Springs. The development of the Yuseong hot spring meant not only expansion of hot spring facilities, but also expansion of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and railways, and development around the Yuseong hot springs such as the entrance of inn, terminal and stores. And in this process, the inside of the Yuseong hot springs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depending on the size of capital. Meanwhile, Daejeon, the city behind the Yuseong hot spring, gradually expanded its power to win the race against Gongju, the long-time leading city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as a result, the Yuseong hot spring were naturally returned to the human and material foundations of Daejeon in the 1930s.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e Yuseong hot spring within the local community in Daejeon was elevated beyond just tourism resources for the local economy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Daejeon, or strategic resourc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Daejeon (大大田). In other words, the value of the Yuseong hot springs was recontextualized within the urban planning and discourse introdu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식민도시 대전의 기원과 도시 공간의 형성

        고윤수(ko, yunsoo) 도시사학회 2021 도시연구 Vol.- No.27

        이 글은 한국의 6개 광역시 중 하나이자 충청도의 수위도시인 대전시의 탄생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1905년 경부선철도의 부설을 계기로 발전한 근대도시라는 일반적인 인식 외, 지금까지 대전의 도시형성사에 대한 논의는 그다지 활발하게, 그리고 치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 결과 시계열적 고려 없이 현재의 대전광역시 경계 안에 들어와 있는 전통시대 ‘공주(公州)’와 ‘회덕(懷德)’, ‘진잠(鎭岑)’ 지역을 모두 뭉뚱그려 단일한 대전의 역사를 구성하거나, 회덕이 대전의 뿌리라는 잘못된 인식이 하나의 상식처럼 통용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대전 지역사를 전통시대로부터 이어지는 지속이 아닌 ‘단절’의 시각에서, 20세기 초 일본 식민권력에 의해 대전이라는 공간이 재발견되는 과정과 그것의 결정적인 계기가 ‘대전역의 설치’를 하나의 사건으로 보고, 그 역사적 맥락을 재구성해 보았다. 그리고 대전역의 설치와 함께 대전으로 이주한 일본인들의 현황, 즉 이민자들로서 그들이 마주했던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들, 더불어 그것에 의해 조건 지어진 그들의 정착지를 중심으로 당시 대전이라는 신도시의 내부가 어떻게 디자인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렇게 탄생한 대전은 대내외적으로 여러 가지 특이한 모습을 띠게 되었는데, 그러한 이유로 당시 대전에 거주했던 한 언론인은 대전을 “기형도시”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대전은 서울이나 대구와 같은 내륙 도시로 철도와 함께 성장했지만, 앞의 두 도시와 달리 일종의 개척도시로서 비슷하면서도 다른 발전 경로를 거쳐 근대도시의 모습을 갖춰나갔다. 즉 대전은 주변 지역과의 관계에서 처음부터 높은 위계성을 확보함으로써, ‘원주민’인 한국인들과 경쟁하며 그들의 공간을 침탈해 들어가는 방식 대신, 주변 지역이 자연스레 대전 안으로 흡수되어 들어오게 만드는 방식으로 근대도시로서의 위상을 갖춰나갔다. 그 결과 도시 내 일본인들의 헤게모니와 중심성이 줄곧 유지되었고, 그들 스스로가 대전을 조선의 ‘작은 일본’으로 인식하게 될 만큼 독특한 도시문화 혹은 식민성을 그 내부에 깊이 새겨 넣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birth process of Daejeon (大田), one of six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and the Primary City in Chungcheong-do. Daejeon is well known as a modern city that has develop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bu line railway in 1905. However, actual research on the history of city formation in Daejeon has not been done actively or in detail. As a result, the history of Daejeon was formed by bundling up traditional “Gongju(公州)”, “Hoedeok(懷德)”, and “Jinjam(鎭岑)” areas within boundaries of the current Daejeon Metropolitan City without considering time series. The misconception that Hoedeok is the root of Daejeon was spread as a common sense. This article attempted to deal with the local history of Daejeon from the perspective of ‘discontinuations’ rather than ‘continuations’ that had continued from the traditional era. In that position, I reconstructed the meaning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process of rediscovering the space of Daejeon by Japanese colonial power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ts decisive moment, the installation of Daejeon Station. Then I explained how the inside of the new city of Daejeon was designed, centering on the situation of the Japanese who moved to Daejeon. In other words, early urban spaces of Daejeon were deeply related to settlements related to various problems they faced. Daejeon, which was born in this way, took on a number of unique features both inside and outside. For that reason, a journalist who lived in Daejeon at the time described Daejeon as a "deformed city." Daejeon, like Seoul or Daegu(大邱), is an inland city that has grown along with railroads. However, as a planted city, Daejeon took on a similar but different path to become a modern city. For example, Daejeon has secured a high level of hierarchy from the beginning in relation to surrounding regions. Therefore, Daejeon gained its status as a modern city through the process of naturally absorbing spaces of native Koreans rather than invading them. For that reason, the hegemony and centrality of the Japanese were consistently maintained and the unique urban culture or coloniality was deeply engraved inside Daejeon so that they themselves recognized Daejeon as the "small Japan" of colonial Joseon.

      • KCI등재

        일제하 大田의 한국인 有志들의 등장과 변화 - 1920~1935년 대전의 주요 한국인 ‘公職者’들과 지역사회 -

        고윤수(Ko, Yunsoo)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1

        大田은 1905년 경부선 철도부설과 일본인들의 이주로 만들어진 근대 식민도시 중 하나이다. 훗날 大田邑을 거쳐 大田府로 승격하게 되는 ‘大田面’은 1917년의 ‘指定面’ 지정에서도 알 수 있듯, 일본인들이 인구의 상당수를 점하고 있었다. 당연히 ‘有志’라 불리는 지역의 유력인사들 또한 거의 절대 다수가 일본인들이었다. 그러나 1920년에 도입된 道評議會와 府協議會, 面協議會라는 제한적 자치기구들에 선거를 통해 한국인들이 진출하게 되고, 그들은 자연스레 지역의 유지로 성장하게 된다. 1920년대 초 대전군 전체에서 이들 기구의 공직자로 선출된 인물들은 전통시대의 일반적인 유지층인 지역의 유력사족이나 전직 관료들이었다. 그러나 그 자리는 비교적 빠르게 새로운 계층의 엘리트들로 교체되었다. 특히 대전면의 경우 전통시대 유지들과는 결이 다른 신흥 엘리트들이 공직에 진출했다. 그들은 주로 상업과 금융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일부는 의사나 司法代書와 같은 근대사회에 등장한 전문직들이었다. 또한 지역출신이 아닌 외지에서 유입된 이주자들이 많았다. 이 같은 한국인 유지들의 등장과 그 성장은 대전이라는 도시의 성격과 성장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처음부터 대전이라는 도시는 전통적 질서가 아닌, 새로운 식민지 근대의 질서와 개발논리에 의해 움직였고, 부유한 상업도시로의 발전이 일찍부터 지역공동체의 비전으로 자리 잡았다. 결국 그러한 지역적 환경과 구성원들의 의지가 새로운 유지집단을 만들어낸 것이다. Daejeon was one of the modern colonial cities, built in 1905 by the Kyungbu(京釜) Line railroad and Japanese immigration.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of Daejeon-myeon(大田面) was Japanese. Naturally, Most of the local elite groups(有志層) that had big influence on the region were Japanese. However, when various local assemblies with limited authority were created in 1920, Koreans advanced through elections, and they also became local elites. In the early 1920s, Those who were elected as assemblyman of the Daejeon-gun(大田郡) were the ruling class of the traditional era, such as former bureaucrats or influential ‘jejisajok’(在地士族, the nobleman in local). However, the place was replaced by a new classes relatively quickly. Especially in the case of Daejeon-myeon, New leaders who were different in character from those of the traditional era appeared early. They were based on commerce and finance. And some of them were professional jobs, such as doctors and judicial scriveners. And most of them were people who migrated from outside, not from the locals. These distinct features also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Daejeon. From the beginning Daejeon was not a traditional order, but a new colonial modern order and development logic. The development of a wealthy commercial city was the vision of the local community. As a result, the environment and will of the local community created new local elite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