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과 면의 해석적 조형미를 활용한 현대금속공예 연구

        고승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

        This study was started to study the artistic aesthetic value of the antique artwork which is gradually declining in the field of metal crafts. The aesthetic interpretation of the lines and faces that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previous researches has been defined as a vitality and repetitive beauty. The researchers here have tried to express the formative works which can be repeated and chan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object of inquiry which can express the aesthetic beauty felt in the simple change of the line and the face is possible without the advanced technique of the difficult technique or the molding method through the natural and gradual change of the line and the face rather than the regular repeti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future lines and surfaces could be utilized as a variety of aesthetic expression methods as molding elements 금속공예 분야에서 점차 쇠퇴되는 대공작품의 예술적 미적 가치를 연구하기 위해 시작된 본 연구는 디자인 요소인 점, 선, 면, 형을 중심으로 한 조형 표현방법으로 선과 면을 선정하고 이를 금속조형으로 시각화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본 선과 면의 미적 해석은 생명력 있는 반복적 아름다움으로 정의 되었는데 연구자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반복적이면서도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조형 작품을 나타내고자 했다. 그 결과 선과 면이 규칙적 반복이 아닌 자연스럽게 점진되는 변화를 통해 어려운 기법이나 고도 기술의 제작 방법 없이도 선과 면의 단순한 변화 속에서 느껴지는 미적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탐구의 대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쇠퇴해가는 금속조형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성장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향후 선과 면의 활용이 조형요소로서 매우 다양한 미적표현 방법으로 응용 될 수 있는 연구가 계속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남성 장신구 선호도 비교 분석 (넥타이핀과 커프스 버튼을 중심으로)

        고승근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남성 장신구 선호도에 관한 연구로서 점점 커지고 있는 현대의 남성장신구 시장의 변화와 발전을 위해 시작되었다. 한국의 남성장신구는 여성 장신구의 일부로서 소규모 시장으로 발전하다가 2006년 이후부터 남성장신구로서 따로 분류되어 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매우 일부의 브랜드에서만 취급하고 있고 디자인의 다양성이 취약하여 혁신을 필요로 하는 시점이다. 중국의 남성 장신구 시장은 젊은 신흥부자들의 영향으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 또한 남성 장신구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남성 장신구에 대한 선호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남성 장신구 중 대표적인 넥타이핀과 커프스 버튼의 선호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한 결과 양국 모두 현재 판매되고 있는 디자인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한국은 넥타이핀과 커프스 버튼의 대중화가 어느정도 이루어져 소비자의 맞춤형 혁신적 발전이 요구되고 중국은 넥타이핀과 커프스 버튼의 대중화를 통해 남성 주얼리 시장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This is the study on the preference of men's jewelry in Korea and China. It started to change and develop the market of modern men's jewelry, which is increasingly growing. The men's jewelry market, in Korea, has developed as small market as part of women's, and since 2006, it has started to grow as men's jewelry. However, it is still treated only by some brands. It is a time when innovation is needed because design diversity is weak. The men's jewelry market in China is rapidly developing under the influence of young emerging rich people. However, as in Korea, a research on the design of men's jewelry is insufficient, so it is urgent to study the preference for men's jewelry. Each survey was conducted on a the tie-pin and cufflinks as the most representative men's jewelry in Korea and China. As a result, both countrie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designs currently being sold. In Korea, the popularity of the tie-pin and the cufflinks is made to some extent, and customizing to consumer and innovative development are required. And, in China, the popularity of the tie-pin and the cufflinks made it possible to expect the growth of the men's jewelry market

      • KCI등재

        압축기법의 우연적 곡선을 활용한 금속조형 연구

        고승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2

        본 논문은 기존의 디자인 과정을 통한 결과물 도출이 아닌, 다양한 기법적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을 조형물로 완 성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우연적 곡선을 시각적으로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우연적 곡선이 얻어질 수 있는 금속공예기법인 틀에 대고 때리기, 레이징, 프레스기법을 활용하여 우연적 곡선을 유도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장 좋은 효과가 나타난 프레스를 활용한 다양한 압축방법을 통해 우연적 곡선을 적동과 황동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이를 촛대로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형태의 의미에 집중한 디자인방법이 아닌, 기법 중심의 조형방법론을 통해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금속공예기법을 실험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complet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various technical experiments in sculptures, not to derive the results through the existing design process. To this end, for the purpose of visually completing the accidental cur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duce accidental curves using hitting on a metal craft, raising, and press techniques in which accidental curves can be obtained. As a result, the accidental curve was visually represented using red copper and brass through various compression methods using the press, which showed the best effect, and was completed with a candlestick.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obtain results through a technique-oriented modeling methodology rather than a design method that focuses on the meaning of form. I hope that the metal craft techniques will continue to be experimented with and that various researches using them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금속재료를 활용한 조형물의 비유적 이미지 시각화 방법 연구 - 주거 단지 전시를 목적으로

        고승근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

        현대의 주거단지는 공원을 비롯해 호수, 산책로 등 가족과 이웃의 다양한 만남과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는데, 더불어 주거 공간에 조형물을 전시하는 것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조성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시대요구에 맞춰 주거 공간에 전시하는 조형물의 디자인 전개 방법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작가의 생각과 메시지를 조형물 에 넣음과 함께 관람하는 사람들도 공감할 수 있는 조형물디자인 하기 위해 디자인과정에 비유법을 활용한 은유, 유추방 법과 작가의 생각이 공유될 수 있도록 동물형상과 단순화된 디자인을 전개하고, 금속과 돌을 사용하여 조형물의 형태로 완성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조형연구를 통해 거주공간이라는 특수한 장소에 작가의 생각과 관람자 모두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조형물을 완성할 수 있었으며, 조형물이 하나의 예술분야로서 특수한 장소에 다양한 시각적 요인인 비유적 시각 화 방법을 통해 형태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로서, 다양한 비유의 시각적 조형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As the quality of our life has improved, residential complexes have become more diverse now. Modern residential complexes function as a place for meet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and neighbors, including parks, lakes, and promenades, and exhibiting sculptures in residential spaces has become an important componen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design development method for the sculptures displayed in the residential space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and demands of the era. Through the process of visualizing the figurative arts with metal and stone used as materials, the artist's thoughts and messages were put in the sculpture and the arts were completed as the shape of the sculpture that viewers could sympathize with. This design and formative research shows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visual elements for sympathy with the creator's thoughts can be formed in a place with the specificity of living space by using a figurative visualization method. Therefore, further researches on figurative art of sculptures are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편익 소구 유형과 자아해석 및 불공정성 인식이 공익 광고 태도 및 친사회적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승근,문준연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6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ich of self-benefit appeal or other-benefit appeal is more persuasive in public environmental campaign ads. The study argues that we must examine the interactions among benefit appeal types, self-construal and injustice perception to answer for the research question. In the study benefit appeal types contain self-benefit appeal and other-benefit appeal, self-construal consists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justice perception is injustice from the self's benefit perspective and injustice from the other's benefit perspective. The study employs experiment as a research method. ‘Participating Carbon Point Program’ is employed as experimental materials, because public awareness is low although it has recently been publicized by Korean government. As an experimental design 2(benefit appeal types: self-benefit appeal versus other-benefit appeal) × 2(self-construal: independent versus interdependent) × 2(injustice perception: injustice from the self's benefit perspective versus injustice from the other's benefit perspective) between-subject design is employed. Sample in the study consists of employees, aged from 20‘s to 50’s, of companie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In total 360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331 responses, excluding those from 29 respondents with some non-response items, were analyzed. There are two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three way interaction among benefit appeal types, self-construal and injustice perception. Second, self-benefit appeal produced a negative effect when combined with the injustice from the self's benefit perspective. We can conclude that in persuading individuals’ participation in public service activities one benefit appeal type is not alway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and the effect of benefit appeal type vari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s’ tendencies and injustice perceptions. 본 연구는 환경 공익 홍보에서 개인 편익 소구와 타인 편익 소구 중 어느 쪽이 더 설득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홍보 주체의 편익 소구 유형과 참여자의 자아해석 및 불공정성 인식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 편익 소구 유형은 개인 편익 소구와 타인 편익 소구로 나누고, 자아해석은 독립적 자아해석과 상호의존적 자아해석으로, 불공정성 인식은 개인 측면과 타인 측면으로 구분한다. 연구 방법은 실험이며, 실험 소재는 현재 정부에서 홍보하고 있지만 인지도가 비교적 높지 않은 ‘탄소포인트제 가입하기’이다. 실험 설계는 2(편익 소구 유형: 개인 편익과 타인 편익) × 2(자아해석: 독립적과 상호의존적) × 2(불공정성 인식: 개인 측면과 타인 측면) 집단 간 설계(between-subject design) 방식이다. 실험 표본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소재 기업체에 근무하는 20~50대 성인으로, 총 360 명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결측치가 있는 29명을 제외한 331 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홍보 주체의 편익 소구 유형과 참여자의 자아해석 및 불공정성 인식 간의 3원 상호작용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편익 소구는 개인 측면 불공정성 인식과 결합될 때 부정적 효과를 초래한다. 종합해 보면 환경 공익 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데 있어서 특정 편익 소구 유형이 항상 유리하다고 할 수 없으며, 편익 소구 유형의 효과는 참여자의 성향과 불공정성 인식의 조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굿디자인을 활용한 금속환경조형물 연구

        고승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논문은 외부 설치 금속조형물의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디자인의 범위와 의미가 커지면서 외부 설치 조형물에도 디자인의 개념이 사용되고, 조형물에 주변환경에 어울리면서 설치환경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조형물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념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환경조형물이라고 정의되 고 있다. 환경조형물의 개념은 아직은 대중적이지 않고 학문적 연구 또한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연구자는 외부 설 치 조형물을 환경조형물로 정의하기 위해 굿디자인의 개념과 조건과 환경조형물의 개념과 역할을 이론적 배경으로 알아보고 굿디자인의 개념과 조건, 환경조형물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분류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굿디자인 의 조건과 환경조형물의 역할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디자인 전개 요소를 통해 금속환경조형물로 완성하고 연구작품 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금속환경조형물의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게 되었고 다양한 환경조형물 디자인 연구가 지속되어 융합적 환경조형물의 다양한 패러다임이 연구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design methodology for externally installed metal sculptures. As the scope and meaning of design grows, the concept of design is also used for externally installed sculptures, and there is a demand for a sculpture design that contains the story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while being suitable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concept is defined as an environmental sculpture only among formative artist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s not fully known and academic research is also insufficiently performed. Therefore, in order to define externally installed sculptures as environmental sculptures, this study elaborated the concept and conditions of good design and the concept and rol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classified the concepts and conditions of good design and the concepts and rol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Based on the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by utilizing the conditions of good design and the rol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this study suggested that design development elements were completed as metal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research works were presented. In conclusion, the design methodology for metal environmental sculptures has been presented, and various environmental sculpture design studies will continue and various paradigms of convergence environmental sculptures will be studied.

      • KCI등재

        한국 근대 시문학 리텔링 요소를 응용한 금속 조형 연구

        고승근(Ko, Seung Ge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본 연구는 예부터 전해오는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이야기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무형문화재의 아름다움을 시각화하기 위해 선행 연구된 이론들을 바탕으로 미적요소를 찾아내고 이를 디자인요소와 원리를 함께 접목하여 시각화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리텔링이라 정의하였다. 리텔링을 위해 무형문화재 중에 대중적이면서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는 시문학 중에서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선택했다. 진달래꽃의 리텔링을 위해 선행연구를 통한 감상방법과 해석을 이해하고 미적요소로서 음악성, 형상성, 함축성으로 정리하고, 정리된 세 가지 요소를 화자의 감성과 함께 디자인요소와 원리에 의해 금속조형물로 나타내었다. 금속조형물을 통해 진달래꽃은 리텔링 되었으며 본 연구를 계기로 다양한 무형문화재 리텔링의 가능성에 대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at searching for the method to promote our nation"s beautiful story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throughout the world. In order to visualize the beauty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researcher discovered esthetic factors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theories, also, defined this as retelling, as the method of visualizing by engrafting design elements in the principle. To conduct retelling, the researcher selected Kim Sowol"s Azalea among the poetry, which is popular among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the meaning thereof can be easily known. For retelling of Azalea, the researcher understood appreciation manner and interpretation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 and arranged musicality, formative property, and implication as the esthetic elements. And expressed three arranged elements into metallic sculpture by the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 along with narrator"s sensitivity. Through metallic sculpture, Azalea was retold, also, this research becam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retelling of various intangible cultural ass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