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인 글쓰기를 유도하는 협동글쓰기 수업 모듈- <마음사전> 만들기 사례연구: 낱말의 비교와 용례의 활용을 통한 협동글쓰기

        고명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writing are different. Although, there are some part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y need different abilities. In this context, writing is a productive activity that finds an suitable balance between personality and sociality, or between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Writing is carried out by seeking a suitable balance between unique personal thoughts and converging the idea logically. So we asked like this. Is there any effective way to encourage these two competencies at the same time in the university's writing process? This study is made with this intent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making Mind Dictionary. This module takes a short term of one to two weeks. We have tried this module of classes to improve both students' creativity and writing skills at the same time. The reason for applying the concept of modules in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s short-term efficiency and completeness in time. The <Mind Dictionary> is a writing module that compares, contrasts, and analyzes synonyms and similar words, reveals differences in meanings that were not previously thought, and logically converges and explains them. In this process,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proper selection and use of the language, and freely emit novel ideas. They collaborated to make the prose. They were able to enhan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because they used the dictionary as an examples. Above all, it is a great advantage to be able to expand both creativity and writing ability. In the future, we are committed to investigate the disadvantages of the module to create better modules in the future.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것과 창의적인 글을 쓰는 것은 다르다. 양자는 상통하는 부분도 있지만, 서로 다른 역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글쓰기는 개인성과 사회성, 혹은 개별성과 보편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내는 생산적 행위이다. 그렇다면 대학의 글쓰기 과정에서 이 두 가지 역량을 동시에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있을까.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창의성’과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신장시킬 수 있는 수업 모듈을 구상하여 직접 시도해본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는 ‘<마음사전> 만들기’라는 1~2주가량의 짧은 수업 모듈(Module)을 만들어 학생들과 함께 새로운 글쓰기 수업을 수행해본 결과물이다. 본 연구에서 모듈이라는 개념을 적용한 것은 단기적인 시간 내의 효율성과 완결성을 고려한 결과였다. ‘<마음사전> 만들기’는 유의어나 비슷한 낱말을 서로 비교 · 대조 · 분석하여, 기존에는 생각해보지 않았던 의미의 차이를 드러내고 이를 논리적으로 수렴 · 설명하는 글쓰기 모듈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언어의 적확한 선택과 운용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매우 참신한 생각을 자유롭게 발산할 수 있었다. 협동을 통해 글의 내용을 정치하게 만들고, 용례와 사전을 활용하여 글의 논거로 활용해보는 정보 처리 능력도 기를 수 있었다. 무엇보다 창의성과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신장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었다. 이 외에도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모듈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차후에 더 훌륭한 모듈을 만드는 것을 기약하고 있다.

      • KCI등재

        현대시의 은유적 형식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 모듈-비동일성에 주목하여 살아있는 은유를 활성화하기

        고명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2

        This study, as a class study to enhance creative writing ability among students, tried to use the operation method of ‘living metaphor’. In this process, this study presented a class module and applied it in the classroom to review it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The problem with existing studies that usually connect ‘metaphor’ with ‘writing education’ is that they accept too lightly the universal concept of metaphor and apply it to classes. This study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concept of ‘living metaphor’ that highlights ‘difference and non-identity’, rather than the ‘concept of metaphor’ that has been connected to ‘similarity’ without any review. This is because the metaphor entails a structure of thinking that can trigger novelty and creativity. In this proces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cepts of metaphor and diaphor, which were noted in the theory of poetry and the theory of poetry creation. In addition, Korean modern poetry, which is being created as of late, was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and as a module for the clas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confirmed that creative expression and logical commentary are possible by using the corresponding class module.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uch a class module can lead to self-concept and identity exploration beyond simply creating creative expressions. 본 연구는 창의적인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수업 연구로, ‘살아있는 은유’의 작동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특정한 수업 모듈을 제시하고 이를 수업 현장에서적용시켜 그 성과와 한계를 검토하고자 했다. 통상적으로 ‘은유’와 ‘글쓰기 교육’을 연계시킨 기존 연구의 문제점은, 은유의 보편적인 개념을 피상적으로 수용하여, 수업에 적용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아무런 검토 없이 ‘유사성’을중심으로 답습되어온 ‘은유의 개념’이 아니라, 차이성과 비동일성을 부각시키는 ‘살아있는 은유’의 개념에 주목하고자 했다. 이러한 은유야 말로 새로움과 창의성을 촉발시킬 수 있는 사유의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시론과 시 창작론에서 주목해온 은유 및 병치은유의 개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근래에 창작되고 있는 한국의 현대시를 수업의 자료와 모듈로써 활용하였다. 이를통해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해당 수업 모듈을 활용함으로써, 창의적인 표현과 논리적인 해설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당 수업 모듈은 단순히 창의적인 표현을 만드는 것을 넘어서서 자아의 개념과 정체성의 탐색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확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윤동주 시의 ‘부끄러움’과 ‘보편지향성’ -제도적 형식 앞에서의 시적(詩的) 윤리

        고명재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6

        The 'shame' and 'universalism-orientation' shown in the poems by Yoon, Dong-Ju are the concrete crystal of poetic ethics that he sought for in the direct relation with the reality. Especially, the shame shown in his poems cannot be fully understood in the flat structure of 'shame-introspection' that used to be repetitively used. The shame shown in his poems is the emotion felt by victims when seeing the victims of the same age. As the shame that should be felt by assailants is confessed by victims, it would be necessary to approach the shame in the poems by Yoon, Dong-Ju that used to be understood conventionally, in the different perspective. Under this contex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eriod when the shame was fully shown in his poems accurately accords with the period(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of system reform to the war basis. The shame shown in the poems by Yoon, Dong-Ju was the reactive emotion of life(living) which was forcibly destroyed by the state power. Exceeding the concept of personal introspection simply facing one's own flaws, it was the ontological emotion felt by victims in front of the destroyed life. Through this emotion of shame, he aimed to reveal that our 'living-life' was thoroughly segmentalized and destroyed by the linguistic/formative system. Furthermore, he aimed to eliminate the order of capital system and national form. The linguistic action is the universalism- orientation shown in his poems. By continuously treating life poetically, Yoon, Dong-Ju aimed to secure the meanings of life that could not be segmentalized or dismantled by system or language. In other words, when the state 'standardized' the life through the linguistic system such as language/rationality/ measurement/symbol/law, he responded to the order of system with the 'universalization' of life that could eliminate the order and value. In this process, his poems actively use the ability of irrational area such as emotion, and the universal love for life is shown. Under this context, the 'shame' and 'ontological universalism(life)-orientation' shown in the poems by Yoon, Dong-Ju were the linguistic/ethical action that could be performed by a subject in front of strong national violence.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과 ‘보편지향성’은 그가 현실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모색했던 시적 윤리의 구체적 결정(結晶)이다. 특히 그의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은 기존에 반복적으로 활용되어온 ‘부끄러움–성찰’이라는 평면적인 구조로는 온전히 파악될 수 없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은 피해자가 동시대의 피해자들을 보며 느끼게 되는 감정이다. 가해자가 느껴야 할 부끄러움을 오히려 피해자가 고백하는 형국이기에 우리는 관습적으로 이해해온 윤동주 시의 부끄러움을 또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의 시에서 부끄러움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시기가 정확히 전시체제로의 체제 개편이 이루어진 시기(1937년 중일전쟁 이후)와 일치한다는 점은 주목된다.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은 국가 권력에 의해 폭압적으로 파괴되는 생명(삶)의 반응적 감정이었다. 이는 단순히 스스로의 결점을 마주하는 개인적 성찰의 개념을 넘어, 파괴되는 생(生) 앞에서 피해자가 느끼는 존재론적 감정이었다. 그는 이러한 감정인 부끄러움을 통해 우리의 ‘삶-생명’이 언어적·형식적 제도에 의해 철저하게 분절되고 파괴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그는 대문자 제도의 질서와 국가적 형식을 무화시키고자 했다. 바로 그 언어적 대응이 그의 시에 나타나는 보편지향성이다. 윤동주는 끊임없이 생명을 시화(詩化)함으로써, 제도나 언어가 분절하고 해체할 수 없는 생명의 의미를 확보하려 했다. 즉 국가가 언어·합리·측량·기호·법 등의 언어적 제도를 통해 생명을 ‘표준화’ 할 때, 그는 질서와 가치를 무화시키는 생명의 ‘보편화’ 작업으로 체제의 질서에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그의 시에는 감정이라는 비합리적인 영역의 능력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생명을 향한 보편적 사랑이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과 ‘존재적 보편(생명)을 향한 지향성’은 강력한 국가적 폭력 앞에서 주체가 행할 수 있는 언어적·윤리적 대응이었다.

      • KCI등재

        오규원 후기시의 윤리적 가능성 - 시적 방법으로서의 잠재태와 경계 영역을 중심으로

        고명재(Ko, Myeong-Jae)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7

        본 연구는 오규원의 후기시에 나타나는 윤리적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는 시론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오규원의 후기시를 좀 더 확장적으로 읽기 위함이다. 오규원의 후기시에 나타나는 자연물과 대상은 단순히 미학적인 대상이나 자연적 풍경이 아니라 존재의 역량을 표출하고 있는 능동적인 대상이다. 시인은 이들의 존재성에 가해지는 언어적 · 개념적 폭력성을 최소화하고 이들의 역량을 최대치로 발현할 수 있는 시적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다양한 ‘형식적 방법’과 ‘시 작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첫째, 오규원은 ‘비식별역’과도 같은 규정되지 않는 존재 및 대상들을 적극적으로 형상화했다. 이를 통해 그의 시는 ‘정(定)하지 않는’ 존재의 자유로운 양태를 보여주었다. 그는 특정한 기준이나 개념에 따라 세계를 재편하는 과정이 허구적이고 임의적이라는 것을 ‘경계의 시 쓰기’를 통해 보여주었다. 이 과정에서 열거, 비교, 반복, 대조 등의 다양한 시작법이 활용되었으며 더 나아가 각각의 시-텍스트를 분리하고 결합시키는 ‘집합과 개체화의 시 형식’을 활용하기도 했다. 둘째, 여기서 더 나아가 오규원은 더욱 적극적인 방법으로 ‘잠재태와 비잠재태’를 형상화하는 시적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는 ‘~하지 않는’과 같은 부정형의 진술을 통해 존재의 다양한 역량과 가능성을 확보하는 시적 방법이다. 이를 통해 오규원은 ‘전(全)적으로 있는’는 세계를 형상화하고 다양한 존재의 의미와 역량을 보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그의 후기시 작업은 매우 윤리적인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미학적 정치성의 한 가능성으로도 확장시킬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thical potential of Oh Gyu-won’s later poetry. This was to further expand Oh Gyu-won’s later poetry, which has been studied mainly on poetic theories. Natural objects and objects appearing in Oh Gyu-won’s later poems are not merely aesthetic objects or natural landscapes, but active objects expressing the power of existence. He sought a poetic way to minimize the logical and conceptual violence on their existence and to maximize their capabilities. This study inspects at this through various ‘formal methods’ and ‘how to write poetry’. In this regard, first, Gyu-won Oh actively embodied undefined beings and objects such as ‘zones of indistinction’. Through this, his poetry showed the free mode of being ‘undefined’. He showed that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world according to specific standard or concepts is fictional and arbitrary through ‘Writing Poetry of Boundary’. In this process, various how to write poetry such as enumeration, comparison, repetition, and contrast were used. And The ‘poetry form of aggregation and individuation’ was used to separate and combine each poem-text. Second, going further than this, Oh Gyu-won sought a poetic method that embodies ‘potential and non-potential’ in a more positive way. This is a poetic method of taking various capacities and possibilities of existence through negative statements such as ‘don’t~ / doesn’t’. Through this, Kyu-Won Oh was able to shape ‘the world that exists intact’ and preserve the meaning and capabilities of various beings. His late poetry works contain very ethical possibilities, and can further expand into one possibility of aesthetic polit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