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정도론』의 12연기 이해와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의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08 No.1

        12연기를 오온의 시간적, 계기적 인과로서 이해하는 입장과 그것을 무시간적 존재연관으로 이해하는 입장 중에서, 본 논문은 전자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12연기는 인생고(人生苦)의 발생양상과 인생고의 소멸계기를 잘 드러낸다고 판단된다.『청정도론』은 무명, 행, 식, 명색, 육입,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로 이어지는 12연기를 오온의 시간적, 계기적 인과로서 이해한다. 12연기에서 세 번째 고리인 식을 재생연결식으로 이해하고 있고, 열 번째 고리인 생을 다음 생으로의 태어남이라고 본다. 세 번째 고리 이전인, 무명과 행을 과거에 해당한다고 보면, 다음 생을 받기 이전인 식(재생연결식)부터 유(업의 생성)까지는 현재에 해당하고, 다음 생으로 태어남인 생부터 노사는 미래에 해당한다. 과거가 원인이 되어 현재를 낳고(1중), 현재가 원인이 되어 미래를 낳는(이중) 구조를 갖게 되어 과거, 현재, 미래에 걸친 삼세양중인과의 구조를 가진다. 현재에 해당하는 것들 즉 식에서 유까지는 오온을 가진 우리들의 현실 삶의 연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식, 명색, 육입, 촉, 수까지가 현실 삶의 원인이 되어 현실 삶의 결과로서의 애, 취, 유를 낳는다. 즉, 우리의 여섯 가지의 감각기관과 그에 해당하는 감각대상을 원인으로 여섯 가지의 의식이 일어나면, 그에 따른 느낌이 일어나고, 그 느낌은 갈애로 이어지게 된다. 갈애는 그 대상에 대한 강한 집착을 낳으며, 그 집착은 바로 그것을 얻기 위한 행동(업)을 낳기 마련이다. 현실 삶에서 느낌에 따라 좋아하고, 집착하고, 행동하는 것, 이것이 죽을 때까지 한 순간도 쉼 없이 계속 일어나는 것이 우리 삶의 전부라는 것이다. 즉 현실 삶은 느낌->갈애->집착->업의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 괴로운 현실이 다음 생에까지 지속되지 않으려면, 그리고 바로 현실의 삶 속에서 괴로움을 겪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 핵심은 바로 지금 이 순간에 오온의 흐름을 주시하는 것이다. 모곡 사야도에 의하면 특히 느낌을 주시하여 느낌이 갈애로 넘어가지 않도록 해야 연기의 고리가 중간에서 끊어진다. 고, 집, 멸, 도의 사성제의 구조를 갖추고 있는 12연기가 도덕교육에 던지는 메시지는 분명하고도 엄중하다: 괴로운 삶의 현실을 직시하게 하자. 괴로운 삶의 현실을 즐거운 삶의 현실로 만들어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자. This study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s understood as time-sequential causation in Five Aggregates. 『The Way of Purification』shows us that the third link, ``consciousness``, is the rebirth-linking consciousness and the tenth link, ``birth``, is ``being born``. Ignorance and formations correspond to the past, the links from consciousness to becoming correspond to the present, birth and aging and death correspond to the future. The past conditions the present, and the present condions the future. Therefore,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take the structure of ``double causality through three periods``. The present from the consciousness to becoming shows the feature of our real life which rounds. Consciousness, mentality-materiality, sixfold base, contact and feeling conditions craving, clinging, becoming. In other words, the contact between the sixfold senses and objects causes six consciousness followed by the feeling which causes craving. Craving causes the strong clinging to the object which produces the action(kamma) in order to get it. We have to watch the flow of the five aggregates here and now in order not to succeed the painful life to the next period after the death and in order not to suffer from the pains in the present life. Mogok Sayadaw teaches us that the link of dependent origination is cut if the feeling is not succeeded to craving by watching the feeling.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which take the structure of the Four Noble Truths casts the messages clearly and rigorously: we have to try to have the students to face the reality of the painful life squarely and to cultivate students` capacity to transform the painful life into happy life.

      • KCI등재

        공리주의기반 도덕교육의 가능성

        고대만 ( Ko Dae Ma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6

        공리주의는 1층에 규칙들이 위치하고 2층에서는 공리의 원리가 작동하는 중층구조로 이해될 때 설득력이 있다. 그 규칙들을 대략규칙(rules of thumb)으로 이해할 때 대략규칙기반 행위공리주의, 그것들을 직관들로 이해할 때 직관기반 행위공리주의라 명명할 수 있다. 전자에 비해서 후자가 더 도덕교육에 적실성이 있다. 후자는 어린 시기의 아동들에게 직관들로 이해된 규칙들을 가르치고, 보편적 사유가 가능하게 되는 나이든 아동들과 성인들에게는 공리원리를 가르칠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어린 시기에 습득한 직관들은 나이가 들어서도 여전히 직관들로서 유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데 직관기반 공리주의의 한 특징이 있다. 직관은 이미 마음속에 심어진 성품이 되어서 공리의 원리의 세례를 받더라도 여전히 견지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직관이 공리의 원리와 공존할 수 있음을 레비는 논증하고 있는데, 그에 의하면 직관이 취미로 이해될 때 그것도 해야만 하는 것에 대한 취미로 이해될 때, 직관은 행위공리주의의 틀 속에 통합되어 공리의 원리와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 때, 어린 시기에 직관들을 가르치고 좀 더 나이가 든 이후에 공리의 원리를 가르치고, 또 그렇더라도 직관들은 직관들로서 유지되어야 한다는 직관기반 공리주의는 도덕교육이론으로서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Intuition-based act-utilitarianism is adequate in moral education, comparing rules of thumb-based act-utilitarianism. Intuition- based act-utilitarianism teaches young children the intuitions as commitment without teaching them universal thought. It tea ches the older children and adults the principle of utility. Still, they hold the intuitions which they were taught in younger children. The functions of the principle of utility are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intuitions and to change the intuitions over time. Williams` criticism is that intuition-based act-utilitarianism is inherently unstable and is certain to undermine itself. Levy overcomes the Williams` criticism, using the analogy between tastes and intuitions. In so far as intuitions are tastes for what one ought to have, intuitions are consonant with the principle of utility.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teach younger children the intuitions and to teach older children and adults the principle of utility.

      • KCI등재

        2009년 개정도덕과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도덕과 교사용지도서 내용 중 “도덕적 감정,정서”관련 기술에 대한 분석 및 비판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50

        초등학교 도덕과교사용지도서 상의 도덕적 감정·정서와 도덕적 열정·의지에 대한 개념구분은 그들 간의 과도한 중첩성 때문에 그 구분의 의의를 상실하는 것으로 보인다. 교사용지도서에서는 ‘바람직한 가치규범을 존중하는 마음, 그 명령에 따르려는 마음, 그것을 좋아하고 즐겨 추구하는 마음’을 도덕적 감정·정서라고 개념규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교사용지도서 상의 도덕적 감정·정서의 개념규정은 다른 학자들의 개념규정과 다를 뿐만 아니라 죄책감, 수치심, 당황, 자긍심, 비난, 분노, 혐오, 공감, 동정, 감사, 존경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도덕적 정서라고 여겨지는 것들을 포함시키지 못하는 불충분한 면이 있다. ‘바람직한 가치규범을 존중하는 마음, 그 명령에 따르려는 마음, 그것을 좋아하고 즐겨 추구하는 마음’을 도덕적 정서라고 규정할 것 아니라 차라리 그 마음을 ‘도덕적 심정’이라고 재개념규정하고, 도덕적 정서의 개념에 대해서는 도덕적 준거(도덕 규범 및 친사회적 행동)와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정서라고 정의하고 있는, 일반 학자들의 개념규정을 따를 것을 제안한다. 그렇게 재개념규정된 도덕적 심정과 도덕적 정서 간에는, 도덕적 심정은 원인이고 도덕적 정서는 결과라는 관계와, 죄책감, 수치심, 당황, 자긍심, 비난, 분노, 혐오, 감사, 존경 등과 같은 도덕적 정서는 도덕적이고자 하는 도덕적 심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The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moral emotion and moral passion which are defined in Teachers` Guidebook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Subject seems to lose the meaning of the distinction , for the two terms defined in the Guidebook are excessively overlapped. The Guidebook defines the moral emotion as ``the disposition to respect desirable values and norms, to observe the direction from them, and to love and pursue them willingly``. The moral emotion defined as above is not in consonance with other scholarly definitions. The definition of moral emotion in the Guidebook is too insufficient to encompass the moral emotions like guilt, shame, embarrassment, pride, contempt, rage, disgust, empathy, sympathy, gratitude and respect, etc. I suggest that we define ``the disposition to respect desirable values and norms, to observe the direction from them, and to love and pursue them willingly`` as ``moral disposition`` and ``emotions related to moral standards`` as ``moral emotion``, as defined by other scholars. Between the redefined ``moral disposition`` and ``moral emotion``, there are two relations. The one relation is that moral disposition is the cause and the moral emotion is the result. The other relation is that moral emotions like guilt, shame, embarrassment, pride, contempt, rage, disgust, empathy, sympathy, gratitude and respect, etc. influence the moral disposition.

      • KCI등재

        불교윤리학의 성격 논쟁 -덕윤리학과 성품결과주의를 중심으로-

        고대만 ( Ko Dae Ma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5

        이 논문은 불교윤리학에 대한 덕윤리학적 해석과 결과주의적 해석 간의 논쟁을 다루되, 불교윤리에 대한 굿맨의 성품결과주의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취급하는 과정에서 불교윤리학의 덕윤리학적 성격을 노정하고 있다. 핑크는 굿맨이 덕윤리학을 행위자중심적이고(agent-cntered), 이기주의적이며, 행위자관련적인 (agent-relative) 것으로 편협하게 해석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덕윤리학은 행 위중심적(act-centered), 행위자중립적(agent-neutral)으로 적절하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렇게 행위중심적으로 이해된 덕윤리학이야말로 불교윤리를 이해하는 가장 적합한 틀이라고 본다. 결과주의, 그 중에서도 성품결과주의는 덕윤리학과 마찬가지로 덕의 함양을 중시한다. 성품 결과주의는, 전통적인 결과주의와는 다르게, 바람직한 객관적인 가치목록 속에 덕목들을 포함시킨 다. 그리하여 덕목들을 포함한 객관적 목록들, 즉 그 가치들이 최대한으로 실현될 때 그 행위는 옳은 것이라고 본다. 즉 어떤 행위가 옳은 것은 그것이 덕성의 함양에 도움이 되는 수단으로서 기능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행위중심적 덕윤리학으로 이해되는 불교윤리도 목적론적으로 이해 되나 결과주의적 사고방식과는 다르다. 불교는 해탈, 열반, 깨달음, 성불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이상적 목표를 상정한다. 그리고 그 이상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덕성의 함양 즉 공덕의 축적 이 필요하다. 그런데 결과주의와는 다르게, 불교윤리에 있어서 공덕 짓는 행위, 혹은 유덕한 행위, 선한 행위, 혹은 옳은 행위는 이상적 목표 성취를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선하거나 옳은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선하고 옳은 것이며, 다시 그 행위가 그 자체로 선하고 옳기 때문에 목표 성취에 도 움이 된다. 옳은 것은 그 자체로 옳은 것이지 그 무엇에 대한 수단으로서 구실을 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행위중심 덕윤리학과 마찬가지로, 불교윤리는 옳은 행위를 선한 동기와 선한 의도 그리고 지혜를 동시에 갖춘 그런 행위라고 규정한다. 성품결과주의는 특히 대승불교가 보살의 자기희생을 마다하지 않는 공리주의적 수지균형을 추구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하나, 불교윤리를 덕윤리로 이해하는 입장에서는 그런 ‘자기희생’도 표면적으로는 그렇게 보일지 모르나, 실상은 그 자기희생이 자기희생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기정신의 진보로 귀결된다고 비판한 다. 이른바 공덕회향 자체가 공덕을 짓는 일이라는 것이다. 또한 결과주의는 그 자체의 아킬레스 건인 동기와 의도의 문제를 성품의 형성과 관련지어 다각도의 방법을 강구하면서 이를테면 주관적 공리주의를 도입하든지 그것의 새로운 버전을 도입하든지 하여 해소하려 하나 덕윤리의 입장에서 는 결과주의의 입장은 여전히 동기와 의도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그렇다고 하여 결과주의가 폐기처분되는 것은 아니다. 도덕이론(옳은 행위의 분석, 즉 어떤 행위가 옳은지를 규명 하는 일)과 도덕실천(옳은 행위의 실천, 즉 옳은 행위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 그 지침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은 각기 다른 영역에 해당한다는 점, 그래서 옳은 행위가 결과주의적으로 분석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도덕적 결정 절차로서의 결과주의는 실제로 그 유용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This article tackles arguments which virtue ethicists and consequentialists have about the nature of Buddhist Ethics. It discloses the nature of Buddhist Ethics, criticizing the character consequentialist interpretation of Buddhist Ethics which is carried out by Charles Goodman. Charles K. Fink criticizes him on the grounds that Goodman interprets Buddhist Ethics as agent-centered, egoistic and agent-relative. Fink argues that Virtue Ethics can be interpreted properly as act-centered, altruistic and agent-neutral. He maintains that act-centered virtue ethics would be a appropriate framework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Ethics. Character consequentialism lays stress on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in common with virtue ethics. It includes, unlike traditional consequetialism, virtues in objective list which is regarded as intrinsically good. In character consequentialism, the right thing to do is to bring about the maximum accomplishment of the desirable values in the objective list, including moral virtues. In other words, the reason why an action is right is because it serves as a means helping the cultivation of virtues. Buddhist Ethics similar to act-centered virtue ethics has teleological nature, but differs from consequentialism. Buddhism has an ideal goal which are expressed as liberation, nirvana, enlightenment,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In order to reach an ideal goal, the cultivation of virtues, in other words, the accumulation of merits is needed. Unlike consequentialism, what makes an action right in Buddhist Ethics is that it is in itself an right act which is meritorious, good, or right. Like act-centered virtue ethics, Buddhist Ethics designates a right action as a well-motivated, well-intentioned and wise act. Character consequentialism strongly argues that Mahayana boddhisattvas search for the utilitarian balancing at the risk of self-sacrificing. But act-centered virtue ethics, namely, Buddhist Ethics criticizes that self-sacrifice is only superficial and it leads to self-progress. As it were, ``merit transfer`` accrues merit. Consequentialism tries to solve the problem of motives and intentions by introducing subjective utilitarianism by Goodman which relies on the intended result andSinnot-Armstrong``s new version of it which is focused on the predicted consequences, but virtue ethicists insists that consequentialism has not solved the problem of motive and intention yet. But consequentialism is not abandoned. Because it has the usefulness in determining and choosing an action as needed. Consequentialism can serve as procedure for moral decision making.

      • KCI등재

        삼취정계의 특징과 그 도덕교육적 의의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윤리학회 2012 倫理硏究 Vol.8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ink over the purports of ``three-facet clean sila``(三聚淨戒) in the moral education aspect. ``The three-facet clean sila`` includes morality as temperance or restraint, morality as pursuit of the good, and morality as altruism or supererogation. Morality as temperance commands us to stop evil deeds. Morality as pursuit of the good demands us to accumulate, preserve, and increase good qualities which are beneficent to great awakening. Morality as altruism recommends us to help actively those who are in need of material and spiritual resources. This ``three-facet clean sila`` has ``four grave wrong-doing`` and ``43 trivial wrong-doing`` The characteristics of ``three-facet clean sila`` are as follows: its primary characteristic is that it is all-encompassing about morality; It emphasizes altruism; It is also conscious of ultimate goal, namely awakening; It recommends the use of skilful means; and it is flexible, for it permits extenuation and discretion by considering the actor`s intention and circumstances and context where he is placed. Its inclusiveness stimulates us to widen the scope of moral education. Its altruism reinforces the stance of the present moral education in Korea. Its self-interestedness(i.e. awakening) proposes to pursue continuously the perfection of character as our task. Its flexibility in it application demands us to cast off the uniformity and simplicity in the praxis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불교의 무아·연기 사상에 비추어 본 다문화주의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9 No.1

        When the uniqueness of a specific culture is insisted on and it is assumed as ``invariant substance``, it is possible that the assertion is necessarily reduced into the separationism which apes multi-culturalism. This assertion is not right, judging from the idea of Buddhist non-self. Temporarily, ``Invariant substance`` might look firm and invariant. But it is not existent, bearing a very long time in mind. Nevertheless, believing in the existence of invariant substance and clinging to it is attributed to the fabrication of our thought. Therefore, such an assimilation or multi-culturalism which assumes the invariant substance is wrong. Different kinds of cultures exist interdependently with each other, for cultures or identities are not extant as substances. Non-substance(non-self) means interdependence. Conversely, interdependence means non-substance(non-self). Cultures do not exist independently, isolatedly. They affect each other and transform their images. Cultures are multi-cultural in nature. Co-existence of many other cultures is right in view of ontological and axiological spheres. Individuals live in their cultures and create their cultures. The fundamental idea of multi-culturalism is the recognition and respect about those cultures. But such cultures that give rise to the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must not be respected. The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of the members of those cultures must not be accepted under the good name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for each individual is a non-self, interdependent and at the same time dignified existence holding Buddha-nature.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판단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2차교육과정에서부터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도덕과 교육과정 기술에 있어서 도덕적 사고 내지는 사고력, 도덕적 판단 내지는 판단력의 개념 사용 상 드러나고 있는 심각한 문제점은 교육과정 변천 시기별로 볼 때 교육과정 간 영역(이를테면, 목표)을 언급한 부분에서 일관성이 결여된다는 점, 동일한 교육과정 시기 아래에서 학교급별 교육과정 간에 통일성이 결여된다는 점, 그리고 학교급이 동일한 교육과정 내에서도 영역별로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덕교육연구자들도 도덕적 사고력의 개념과 도덕적 판단력의 개념에 대해 분명한 이해를 하고 있지 않는 것 같으며, 따라서 도덕적 사고력과 도덕적 판단력의 관계에 대해서도 혼란스러워 하는 것 같다. 도덕적 사고력을 상위 개념으로, 도덕적 판단력을 하위 개념으로 자의적으로 상정함으로써 연구자들 스스로 혼선을 빚고 있는 것이다. 도덕적 사고의 과정이 곧 도덕적 판단의 과정이라는 여러 철학자들의 견해에 귀를 기울여, 도덕적 사고력을 상위 개념으로 보고 도덕적 판단력을 다른 것들과 더불어 하위 개념으로 설정하는 더 이상 실익이 없는 일에 매달리지 않기를 바란다. There is a criticism in the conceptual use of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in the field of Korean moral education from the 2nd National Curriculum in 1963 to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1. The criticism is that the conceptual use of them is wanting in consistency through the periods from 2nd to 2011 National Curriculum, and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under the same period, and between object,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under the same curriculum. It seems that moral education researchers don``t have the distinct understanding on the concepts of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They are confused about the relation between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The reason they are in confusion is because they take moral thinking the upper concept than moral judgment. It is necessary for us to notice the idea that the process of moral thinking means the process of moral judgment in accordance with some philosophers. Accordingly, I hope not to cling to fruitless work any more by taking moral thinking the upper concept than moral judgment.

      • KCI등재

        12연기에 대한 틱냣한의 해석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3 No.1

        이 글은 불교 교리의 가장 근본이라 할 수 있는 12연기론을 바르게 이해하고자하는 것이다. 특히 선수행을 하는 현대의 선사들의 12연기관을 비교함으로써 12연기에 대한 이해의 미흡함을 채워보려는 시도이다. 아함경전에도 12연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기술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 만큼, 초기부터도 12연기에 대한 해석은 다양했지만, 삼세양중인과설은 12연기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이해였다. 더우기 현대의 선 수행자 중에서 청화선사는 삼세양중인과설을 12연기 이해의 표준으로 삼고 있기도 하다.그러나 숭산선사, 성철선사, 틱냣한선사는 12연기를 삼세양중인과설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숭산선사는 12연기의 각 고리가 미묘한 정신활동의 연쇄로 이해한다. 성철선사는 12연기의 각 고리가 시간적 선후관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 상호의존적 관계를 이룬다고 한다. 틱냣한선사는 상즉(inter-being)의 개념으로써 12연기의 각 고리는 나머지 11개 고리와 상호의존적인 공동발생, 즉 상즉의 관계를 이룬다고 본다. 연기의 핵심적 의미로서 삿이성의 관념을 보다 분명하게 구체적으로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미혹한 마음에 의해 전개되는 고통의 세계의 창조와 아울러 진실한 마음에 의해 전개되는 자유의 세계의 창조를 또한 제시함으로써 12연기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측면을 제시한 점은 Thich Nhat Hanh 선사의 연기론의 특색이라 하겠다.12연기의 유전문(流轉門)이 무엇인가 대상에 집착하는 노예의 삶의 유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라면, 환멸문(還滅門)은 대상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자유의 삶을 창조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무명은 이 세계가 무상하다는 것을 알지 못함으로써, 그것이 실재적이라고 잘못 믿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무명이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사고에, 우리의 욕망에, 그리고 우리 신체의 감각적 생활에 집착하게하기 때문에, 무명을 명(明)으로 바꾼다면, 다시 말하면 하는 모든 존재의 무상성(無常性)을 정견(正見)한다면, 속박의 삶에서 벗어나 해탈의 삶, 자유의 삶, 얽매이지 않는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for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Twelve Links of nterdependent Co-Arising`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in the Buddhist doctrine. Especially I compare Zen masters" diverse understandings of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in order to level up my unsatisfactory understanding of it. From the incipient period of Buddhism on, interpretations of it have been diverse. For Agama includes different speeches of it which lead to different views of it. Nevertheless, The Three Times and Two levels of Cause and Effect has been prevalent. Futhermore, One of Korean prominent Zen masters, Chungwha, regards "The Three Times and Two levels of Cause and Effect" as the standard interpretation of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But the most popular Zen masters Seung Sahn and Sungchul and Vietnamese Zen master Thich Nhat Hanh oppose to Chungwha`s interpretation of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For Zen master Seung Sahn, the Links are chains of subtle mental activities. Zen master Sungchul proposes that the Links be not chains of sequential arising but horizontal interdependent relations. Thich Nhat Hanh insists that each link interdependently co-arise together with the other 11 links, namely they inter-are.The life conditioned by deluded mind(流轉門) represents the flowing of the slave life which clings to something. On the other hand, The life conditioned by true mind(還滅門) reveals the creation of the liberated life. Ignorance means our false belief that this world is real, for this world is not real in view of the enlightened eye. Nonetheless, we believe falsely that this world is permanent.This ignorance makes us to cling to our thought, desire and the bodily sensuous life. If ignorance be transformed into true knowledge, in other words we know right the impermanence of all conditioned things, we will lead a liberated life.

      • SSD Cache 시스템의 성능 분석

        하만정(Man-Jeong Ha),고대식(Dae-Sik Ko) ICT플랫폼학회 2013 ICT플랫폼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 No.1

        ?;?;Currently, SSD is in the spotlight as storage device that can replace HDD in industry. Because SSD have a characteristic as high speed, low power, portability, durability. But, SSD of high price is very difficult to actively apply to the IT environment. Therefore, we have comparative analysis IOPS performance of system using an SSD of small quantity as a cache in this paper. For this work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system running linux using the SSD as a cache.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d IOPS that had generated in the real system using the SuperAcel of GAYA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