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방 무인·로봇 핵심 기술동향 및 획득전략

        계중읍,Kye, J.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9 No.3

        전문 서비스로봇인 국방 무인 로봇은 무기체계 개발 시, 소요군의 운용개념 미확정, 국내 로봇 기술수준(TRL) 및 기술성숙도 미흡 등으로 무인체계의 소요기획 및 전력화 소요 반영이 되지 않고 장기적인 획득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미국의 미래 전투체계(Future Combat System)에서 보듯이 네트워크 중심전(NCW)으로의 전장 환경변화 등 무인전투체계의 통신 및 소프트웨어(복합체계 공통운용환경(SOSCOE: System of Systems Common Operating Environment))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국가적으로는 국방 무인 로봇을 시장확산분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동안 해외 도입 위주의 국방 무인 로봇 시장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어, 우리나라 창조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로 무인체계 시장의 선점 및 새로운 고용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고를 통하여 무인체계에 대한 체계개발 활성화 방안에 기여하기 위한 선제적인 방법으로 연구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기술개발 방향 및 획득 우선순위 등 개발전략을 수립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IT 융합기술 기반 국방정보 기술동향 및 발전전략

        계중읍,이재홍,임동선,Kye, J.E.,Lee, J.H.,Lim, D.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8 No.2

        국방과학기술은 중장기 기획문서체계에 의해 체계적인 기술기획이 수립되고 있다. 또한 합동참모본부의 전략문서와 연계하여 국방과학기술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한다. 무기체계는 지휘통제, 감시정찰 및 정밀타격체계로 구성되고, 핵심기술은 정보통신, 센서, 플랫폼 등 8대 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국방정보 기술은 국방에 관한 정보를 생산, 유통 또는 활용하여 국방 분야의 제반 활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미래 전장운용 개념 구현 및 국방경영 효율화를 지원하여 국방비전 및 국방개혁을 달성하는 핵심 기능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방정보 기술 개발의 목적은 한반도 전 구역에서 실시간 및 근실시간으로 요구 수준 및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장가시화, 네트워크화된 지휘통제, 효과 중심 정밀타격, 전쟁지속을 위한 인사, 군수, 동원 등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하여 미래전 양상과 국방정보화의 특성을 고려한 실시간 정보공유 및 관리 가능한 정보화 환경을 구축하는 데 있다. 본고는 국방정보 기술 체계 및 요소기술에 대한 특성과 적용기술 및 발전 방향을 살펴본다.

      • 측면주사음탐기 센서 기술 동향 및 응용

        계중읍,조재일,유원필,최성록,박재현,Kye, J.E.,Cho, J.I.,Yoo, W.P.,Choi, S.L.,Park, J.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8 No.6

        측면주사음탐기(side scan sonar) 센서는 해저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탐색하는 장비로서 해양탐사 및 지질조사, 해저통신 및 어초조사, 기뢰 및 잠수정 탐색 등 해양탐사와 관련한 대표적 장비라고 할 수 있다. 센서는 해저와 목표물을 표시하기 위해 소나 플랫폼의 움직임을 사용하며, 동작주파수 범위는 20kHz~500kHz이다. 이 주파수는 요구되는 깊이와 목표물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센서는 수직으로 $45^{\circ}$, 수평으로 $2^{\circ}$ 정도의 신호전파 방사각도 폭을 가진다. 최근에는 해양탐사와 개발을 위해 빠른 스캔속도와 정확한 정보,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기 위해 해저면에 대한 다중빔 영상센서의 핵심기술로 활용되면서 그 활용성과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측면주사소나 센서의 기본 원리 및 종류, 디중빔측면주사소나 기술동향, 응용분야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국내 기반기술 및 상용화 개발이 취약한 측면주사 음탐기 센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사이버물리시스템(CPS)과 사물인터넷(loT) 기술의 군사적 활용방안 및 추진전략

        계중읍,박판준,김원태,임채덕,Kye, J.E.,Park, P.J.,Kim, W.T.,Lim, C.D.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5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0 No.4

        미래 전장은 정보 지식 기반의 첨단 전력체계를 확충하기 위해 향후 전력구조를 통합, 지휘통제통신(C4I) 체계와 생존성과 통합성이 향상된 전장의 네트워크중심전(NCW)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사이버물리시스템(Cyber-Physical Systems: CPS)은 함정전투체계에 적용되고 있는 DDS를 포함하여 국방 M&S의 근간인 Live, Virture, Constructive(L-V-C) 체계의 큰 축을 형성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은 센서네트워크, 통신,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Ubiquitous Sensor Network(USN), Machine to Machine(M2M), D2D 기술 및 상황인지, 지능서비스를 위한 정보수집/가공/융합/분석/예측기술을 포괄적으로 포함한 기술로서 미래산업을 이끌어 갈 차세대 선도 기술이며, 특히 군사적으로도 감시정찰 센서네트워크(USN), 견마형로봇, 경전투로봇과 무인기 기술 및 전술정보통신망체계(TICN) 등 첨단 통신네트워크 기술의 전력화 추세는 IoT 기술의 적용영역을 넓혀주고 있다. 감시정찰체계(Sensor)에서는 감시정찰 분야 영상정보 처리, 표적탐지 등과 관련된 IoT 기술 소요와 지휘통제통신(C4I) 체계의 상호운용성, 데이터링크, 지능형 통신체계 등 C4I 관련 IoT 기술 소요 및 타격체계(Shooter)의 내장형 SW 등 유 무인 무기체계 관련 IoT 기술의 소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는 CPS 및 IoT 기술의 군사적 활용방안 및 획득전략에 대한 적용기술 및 발전방향을 살펴본다.

      • Risk-Return 모델을 이용한 우선순위 평가 구현

        계중읍(Kye, Joongeup),최완식(Choi, Wansik),조해성(Haesung Jung),정종(Jung, Jong),이범구(Lee, Bumkoo)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7

        국방기술기획은 기술수요조사와 제안된 과제의 평가를 정량적 데이터에 의해 컴퓨터로 관리하면서, 각종 의사결정 지원 모델에 의해 분석정보를 산출하므로 종전의 직관적 기술기획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새로운 기획방법으로 주목을 받는다. 그러나, 새로운 국방기술기획에 필요한 프로세스, 데이터베이스 구조설계, 통계 및 분석 자료의 형태, 의사결정지원 모델 등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국내외 국가연구개발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기술예측, 기술수요조사, 기술수준조사의 현황을 파악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국방기술수요조사와 국방기술기획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또한, 국방핵심기술과 국방기술수요조사 시 제안된 과제의 우선순위를 평가하기 위한 ‘Risk-Return 모델’을 제안하여 구현성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s to provide validity of database structure for identifying core technology areas and assessing R&D projects in defense S&T. Technology planning based on computer database leads to more objective projects assessment and effective decision-making by using computerized statistical data and analytical information. The study tries to link defense core technology database and long-term defense technology acquisition database by setting up an interconnected system. In consequence of the system, technology planning process advances, which enables R&D managers and assessors to avoid biased judgement from their prior experience and knowledge. The system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tool for defense decision-makers by further studying priority setting model for weapons system and introducing various graphic tools.

      • 무인자율주행 로봇셔틀 서비스 구현

        계중읍(Joong Eup Kye),채희성(Hee Sung Chae),유원필(Won Pil Yu),김진우(Jin Woo Kim),이범구(Bum Koo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3 No.11

        Most of the outdoor localization is based on unmanned autonomous for the mobile robot. In this paper a new DGPS+IMU simulation approach based on the robot shuttle is introduced for the efficient evaluation to estimate the area covered by GPS. This proposed simulation algorithm can provide the possibility to estimate the area to get position prior to using mobile robot platform.

      • 다중빔 측면주사음탐기의 고해상도 영상 분석 및 성능평가

        계중읍(Joongeup Kye),박재현(Jaehyun Park),최성록(Sungrok Choi),최완식(Wansik Choi),김아영(Ah-young K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4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각 지부별 자료집 Vol.2014 No.11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present the implementation result of high-resolution sonar using multi-beam array processing. Single-beam side scan sonar is widely used to survey the seabed and generate precise underwater images. A multi-beam side scan sonar system is proposed to increase the along-track resolution in spite of a high towing speed. To process massive amounts of signal data of multi-beam side scan sonar, an effective signal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the quadrature method was developed that can minimize the complicated calculations by selecting the optimum sampling interval. Through a sea trial,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multi-beam processing algorithm i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ea trial show that the efficiency of the survey is at least twice faster than single beam side scan sonar without a decrease in the along-track resolution.

      • 미래전 양상 전망과 무기체계 발전방향

        정종(Jung, Jong),계중읍(Joongeup Ky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7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들어 과학기술의 발전과 안보환경을 고려한 미래전 양상을 전망해 보고 미래전을 수행하기 위한 합동전장 운영개념에 대해 개관한 후, NCOE하 합동전장 운영개념을 구현하기 위한 장기 및 장기 이후 무기체계별 발전방향을 감시.정찰, 지휘통제 및 통신, 기동, 함정, 항공우주, 화력, 방호 및 기타 무기체계로 구분하여 대표적으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능력 또는 무기체계의 발전방향을 개략적으로 제시하고, 주요 무기체계 개발을 위해 필요한 소요 핵심기술을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