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26예의 임상적 고찰

        강혁재 ( Hyuk Jae Kang ),정민형 ( Min Hyung Jung ),김종준 ( Jong June Kim ),김대연 ( Dae Yeon Kim ),김종혁 ( Jong Hyeok Kim ),서대식 ( Dai Shik Seo ),김용만 ( Yong Man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목정은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2

        목적: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환자들의 특징, 생존율, 예후인자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관찰한 26예의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특징과 병리결과, 병기, 치료, 예후인자와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중앙 연령은 59세였으며, 대부분의 환자 (76.9%)는 폐경 후 상태이었고, 가장 흔한 증상은 질 출혈 (65.4%)이었다. 환자들은 I기가 17명 (65.4%)이고, II기가 3명 (11.6%)이고, III기가 4명 (15.4%)이고, IV기가 2명 (7.6%)이었다. 병리학 적으로 동종형의 종양이 4개 (15.4%)이고 이종형의 종양이 22개 (84.6%)이었다. 모든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60%이며 병기에 따라 비교하면 진행된 기수 (III, IV)의 환자들이 조기 (I, II)의 환자들에 비해 훨씬 나쁜 예후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Overall)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수술 후 병기였다 (P=0.001). 그리고 자궁근층을 침범한 깊이도 역시 환자의 생존율에 의미있게 영향을 준다 (P<0.001). 결론: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은 매우 악성의 종양이며 중요한 예후인자는 FIGO 병기와 자궁근층을 침범한 깊이이다. Objective: To review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patients with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MMMT) of the uterus. Method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done on 26 patients diagnosed with the MMMT of the uterus at our hospital from Janurary, 1994 to December, 2004. Demographic data, pathologic findings, stages, treatment, prognosis and survival time were reviewed. Result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59 years. Most of the patients (76.9%) were in the postmenopausal state. The most common symptom was vaginal bleeding (65.4%). There were 17 patients (65.4%) with stage I, 3 patients (11.6%) with stage II, 4 patients (15.4%) with stage III, 2 patients (7.6%) with stage IV disease in this study. Of the hysterectomy specimens, 4 (15.4%) of them were heterologous tumors, 22 (84.6%) of them were homologous tumors.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of all stages was 60% and the patients with advanced stages (III, IV) showed poorer prognosis than the patients with early stages (I, II) (P=0.001). Myometrial invasion depth was als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P<0.001). Conclusion: The MMMT of the uterus is a highly malignant tumor and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s the FIGO stage and myometrial invasion depth.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 및 이소성 자궁내막에서의 EGF의 전령리보핵산 및 단백질의 발현

        강혁재 ( Hyuk Jae Kang ),김정훈 ( Chung Hoon Kim ),이영진 ( Young Jin Lee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목적: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조직과 이소성 자궁내막조직, 자궁내막증 소견을 보이지 않는 양성 부인과 질환환자의 자궁내막조직에서 상피세포성장인자 전령리보핵산 (epidermal growth factor messenger ribonucleic acid, EGF mRNA)과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수술받고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에서 최근 6개월간 자궁내막증에 대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는 환자들 34명을 연구군으로 하고,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들 중에서 같은 기간 동안에 자궁내막증 이외의 다른 양성 부인과 질환으로 수술받은 환자들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군에서 자궁내막종 낭종 내피 일부를 절제하여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을 얻었고, 연구군과 대조군의 정상위치의 자궁내막조직은 수술중 생검을 통해 얻었다. 각 자궁내막조직 내의 EGF mRNA의 발현정도는 실시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고 단백질 발현정도는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증 환자군의 정상위치 (P<0.01) 및 이소성 (P<0.01) 자궁내막조직 내에서의 EGF mRNA 발현량은 증식기 및 분비기 모두에서 대조군의 자궁내막조직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또한 EGF 단백질 발현 정도도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 대조군에 비해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궁내막증의 발생과 자궁내막조직 내에서 EGF의 저발현은 관련이 있으며, 정상위치 자궁내막 자체에서 특정 인자의 변화 또는 결함이 자궁내막증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EGF mRNA and protein in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th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in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the patients without endometriosis. Methods: Study group was composed of 34 women with endometriosis taking surgical treatment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from October 2004 to December 2005. Control group consisted of 14 women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for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or benign gynecologic conditions other than endometriosis during the same period.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both groups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study group were collected during the operations.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quantify EGF mRNA of these tissues.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expression of EGF protein. Results: The expressions of EGF mRN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eutopic (P<0.01) and ectopic (P<0.01) endometrial tissues of the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control group. The expressions of EGF protein were shown to be lower in both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the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control group. Conclusion: We found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lower expression of EGF in endometrial tissues and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In addition, the change or defect of some factors in the eutopic endometrium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 KCI등재

        Effectiveness of Soft Stimulation Protocol, Compared with Conventional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in Patients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with Intrauterine Insemination

        김정훈,강혁,김소라,전균호,이향아,김성훈,채희동,강병문,Kim, Chung-Hoon,Kang, Hyuk-Jae,Kim, So-Ra,Jeon, Gyun-Ho,Lee, Hyang-Ah,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2

        목 적: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시술을 받는 불임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성자극요법의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 평가하고자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불임 환자 80명을 연성자극요법군 (n=40)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군 (n=40)으로 무작위로 1:1로 배정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질식초음파상 평균 직경이 18 mm에 도달한 난포가 1개, 또는 17 mm에 도달한 난포가 2개 이상 관찰될 때, 재조합 사람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 250 ${\mu}g$을 1회 투여했으며, 이 후 36~40시간째에 자궁강내 인공수정이 시행되었다. 결 과: 과배란유도를 위해 사용된 재조합 사람난포자극호르몬의 총용량과 투여일수는 연성자극요법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p<0.001, p<0.001). 두 군 모두에서 조기 황체화호르몬 급상승은 관찰되지 않았다. 시술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 자연유산율, 다태임신율,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의 발생빈도는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연성자극요법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에 비하여 재조합 사람난포자극호르몬을 적은 용량, 짧은 기간 사용하면서도 유사한 임신율을 나타내므로,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 받는 환자를 위한 환자 친화적이고 효과적인 과배란유도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oft stimulation protocol using GnRH antagonist/clomiphene citrate (CC)/recombinant FSH (rFSH) in patients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with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ompared with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MDP) using GnRH antagonist/rFSH. Methods: Eighty infertile women were randomized to soft stimulation protocol group (n=40) or GnRH antagonist MDP group (n=40). In both groups, IUI was performed 36~40 hours after hCG injec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udent's t-test, $\chi^2$ test or Fisher's exact test as appropriate. Results: Total dose and days of rFSH required for COS were significantly fewer in soft stimulation protocol group (p<0.001, p<0.001). A premature LH surge did not occur in any patients of both groups. Clinical pregnancy rate per cycle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oft stimulation protocol provides comparable pregnancy rates to GnRH antagonist MDP despite fewer total dose and days of rFSH, and so can become one of the patient-friendly, cost-effective alternatives for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COS with IUI.

      • KCI등재

        현장관측용 분광 광도계의 상대 검교정 시스템 개발

        오은송 ( Eun Song Oh ),안기범 ( Ki Beomahn ),강혁모 ( Hyuk Mo Kang ),조성익 ( Seong Ick Cho ),박영제 ( Young Je Park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0 No.4

        천리안해양관측위성(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이 2010년 6월에 발사된 이후, 영상 자료의 보정과 검증을 위한 여러 차례의 현장 관측이 한반도 주변에서 수행되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Korea Ocean Satellite Center, KOSC)에서는 Analytical Spectral Devices (ASD)사의 분광 광도계 FieldSpec3나 TriOS사의 분광 광도계 RAMSES와 같은 현장관측장비의 특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국국립표준기술원(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의 표준화 절차를 거친 광원과 표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각각의 현장 관측 마다 기기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위성센터에 구축된 광학 실험실과 현장관측 분광 광도계의 상대적 복사 검교정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광학 실험실은 98% 이상의 광원 균질성을 지니는 20인치 적분구(USS-2000S, LabSphere)와 360 nm부터 1100 nm 까지 1.6 nm 파장 간격으로 측정이 가능한 표준 분광 광도계(MCPD9800, Photal), 그리고 ± 0.1 mm의 편평도를 가지는 광학테이블(3600×1500×800 mm3)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실 내부는 정확한 검교정 실험을 위하여 일정한 온습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동일한 광원에 동일한 위치에서 표준과 현장관측용 분광 광도계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한다. 해양위성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ASD를 측정한 결과, 현장관측용 분광광도계의 결과가 푸른 가시광 영역에서 미세한 차이가 측정 시 마다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더불어 1년간의 상대 검교정 실험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4.41% 정도의 파장별 광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측정 정확도를 유지하고, GOCI 자료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검교정 실험을 수행해야 하는 이유를 보여주고 있다. After launching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on June 2010, field campaigns were performed routinely around Korean peninsula to collect in-situ data for calibration and validation. Key measurements in the campaigns are radiometric ones with field radiometers such as Analytical Spectral Devices FieldSpec3 or TriOS RAMSES. The field radiometers must be regularly calibrated. We, in the paper, introduce the optical laboratory built in KOSC and the relative calibration method for in-situ measurement spectroradiometer. The laboratory is equipped with a 20-inch integrating sphere (USS-2000S, LabSphere) in 98% uniformity, a reference spectrometer (MCPD9800, Photal) covering wavelengths from 360 nm to 1100 nm with 1.6 nm spectral resolution, and an optical table (3600 × 1500 × 800 mm3) having a flatness of ± 0.1 mm.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maintainance in the room, the reference spectrometer and the in-situ measurement instrument are checked with the same light source in the same distance. From the test of FieldSpec3, we figured out a slight difference among in-situ instruments in blue band range, and also confirmed the sensor spectral performance was changed about 4.41% during 1 yea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regular calibrations are needed to maintain the field measurement accuracy and thus GOCI data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