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수와 해산물로부터 Listeria 속의 분리와 세균학적 조사

        강치희,이만효,황용일 한국생명과학회 2003 생명과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해수와 해산물에서 Listeria 속을 분리하여 증균배양방법에 따른 균의 분리율, 선택배지에 따른 균의 분리율, 검체에 따른 균종 별 분리율, 생화학 시험과 분리된 L. monocytogenes에 대하여는 혈청형 시험을 실시하였다. 총 100건의 검체에서 증균배양에 따른 Listeria 속의 분리율은 1일 증균배양에서 L. monocytogenes가 4% (4건), L. innocua가 35%(35건), L. ivanovii가 4%(4건), L. welshimeri가 1%(1건)였고, 7일간 증균배양에서는 L. monocytogenes가 1%(7건), L. innocua가 38%(38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로 동정되어 1일 증균배양 보다 7일간의 증균배양이 Listeria속의 분리에 휠씬 효과적이었다. 이와 함께 Oxford 선택배지나 LPM 선택 배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증균배양과 비교하여 검출율이 조금 낮았다. 검체에 따른 Listeria 속의 분리율은 새우와 가재에서 80%(16/20)로 분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바지락에서 50% (10/20), 해수에서 25%(5/20), 홍합에서 20%(4/20)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isteria 속의 균종 별 분리율은 L. irnnocua가 38%(38건), L. monocytogenes가 7%(7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순으로 분리되었다. 각 검체에서 Listeria 속의 균종 별 분리율은 새우에서 L. innocua가 65%(13건), L. monocytogenes가 15%(3건), 가재에서 L. innocua가 70%(14건), L. monocytogenes가 10%(2건), 바지락에서 L. innocua가 45%(9건), L. monocytogenes가 5%(1건), 홍합에서 L. innocua가 10%(2건), L. monocytogenes가 5%(1건), L. welshimeri가 5%(1건), 해수에서 L. ivanovii가 25%(5건)분리되었다. L. monocytogenes로 분리 동정된 7주에 대한 혈청형 분류는 type I이 2주, type IV가 5주로 나타났다. Four species of the genus of Listeria were isolated from seawater and sea food in Kyu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se isolated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Listeria sp. from different samples by appropriate cultivation conditions and biochemical tests including serological test. In a day enrichment cultivation, the following strains were found out of 100 samples: L. innocua (35%), L. ivanovii (4%), L. monocytogenes (4%), and L. welshimeri (1%). For seven days enrichment culture, L. innocua (38%), L. ivanoii (5%), L. monocytogenes (7%), and L. welshimeri (1%) were isolated. From these results, Listeria species were more efficiently isolated in seven day enrichment broth than in one day enrichment. However, these isolated Listeria species were less grown in the selective medium than in the enrichment medium. Isolation rates of Listeria species showed differency for each sample and Listeria species were more abundantly isolated in shrimps (80%) and crayfishes (80%) than little neck clams (50%), seawater (25%) and mussels (20%). From the results of serological classes for the seven L. monocytogenes, two strains were defined as type I and the other five strains as type IV.

      • KCI등재후보

        국내산 및 중국산 참기름과 변조 참기름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강치희(Chi-Hee Kang),박재갑(Jae-Kap Park),박정웅(Jung-Ung Park),전상수(Sang-Soo Chun),이승철(Seung-Cheol Lee),하정욱(Jung-Uk Ha),황용일(Yong-Il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1

        경남 도내에서 유통 중인 국내산 참기름과 중국산 참기름 각각 30건과 콩기름 및 옥수수기름 등의 식용유지를 첨가하여 변조한 참기름 12건에 대한 지방산 함량을 GC에 의한 정량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내산 참기름의 주요 지방산 평균 함량은 palmitic acid 8.26±0.04%, stearic acid 4.57±0.05%, oleic acid 39.25±0.05%, linoleic acid 46.82±0.07%, linolenic acid 0.52±0.02%, arachidic acid 0.58±0.03% 등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산 참기름은 palmitic acid 9.24±0.03%, stearic acid 5.11±0.04%, oleic acid 38.65±0.04%, linoleic acid 46.02±0.06%, linolenic acid 0.42±0.04%, arachidic acid 0.56±0.04%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국내산 참기름은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중국산 참기름보다 적게 함유되어 있었고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nic acid는 반대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국내산 참기름에 콩기름을 0%, 3%, 9%씩 첨가했을 때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가 각각 0.52±0.02%, 0.73±0.05%, 1.25±0.04%로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옥수수기름을 0%, 5%, 9%씩 첨가했을 때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각각 46.82 ±0.07%, 50.22±0.06%, 51.14±0.05%로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참기름의 산지별 확인과 식용유지를 첨가한 변조참기름에 대해서는 각각의 지방산 함량에서 특이성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지역에서 구입한 국내산과 중국산 참기름에서 유사한 결과치를 보여 앞으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참깨나 참기름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from the samples such as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and adulterated sesame oils with commercial edible oils including soybean and corn oils collected in Gyeongnam area.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same oils extracted from commercial Korean and Chinese sesame showed similar pattern except the result that Korean sesame oils contained lower levels of palmitic acid, stearic acid and higher level of linolenic acid than Chinese sesame oils. In adulterated sesame oils with commercial soybean oil, the composition of linolenic acid was increased 0.73±0.05%, 1.25±0.04% by adding of commercial soybean oil, 3%, 9%, respectively. And that of the linoleic acid was 50.22±0.06%, 51.14±0.05% by 5%, 9% addition of commercial corn oil,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sesame oils and adulterated sesame oils with commercial edible oils will be verified by the composition analysis of fatty acids.

      • 해수와 해산물로부터 Listeria 속의 분리와 세균학적 조사

        강치희,이승철,황용일 慶南大學校 附設 基礎科學硏究所 2000 硏究論文集 Vol.14 No.-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해수와 해산물에서 Listeria sp.를 분리하여 증균배양방법에 따른 균의 분리율, 선택배지에 따른 균의 분리율, 검체에 따른 균종별 분리율, 생화학 시험과 분리된 L. monocytogenes에 대하여는 혈청형 시험을 실시하였다. 총 100건의 검체에서 증균배양에 따른 Listeria sp.의 분리율은 1일 증균배양에서 L. monocytogenes가 4%(4건), L. innocua가 35%(35건), L. ivanovii가 4%(4건), L. welshimeri가 1%(1건)였고, 7일간 증균배양에서는 L. monocytogenes가 7%(7건), L. innocua가 38%(38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로 동정되어 1일 증균배양시키는 것보다 7일간 증균배양시키는것이 Listeria sp.의 분리에 훨씬 효과적이었다. 2가지 선택배지, Oxford 선택배지, LPM 선택배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증균배양과 비교하여 분리율이 조금 낮았다. 검체에 따른 Listeria sp.의 분리율은 새우에서 80%(16/20)와 가시발새우에서 80%(16/20)로 분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바지락에서 50%(10/20), 해수에서 25%(5/20), 홍합에서 20%(4/20)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isteria sp.의 균종별 분리율은 L. innocua가 38%(38건), L. monocytogenes가 7%(7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순으로 분리되었다. 각 검체에서 Listeria sp.의 균종별 분리율은 새우에서 L. innocua가 65%(13건), L. monocytogenes가 15%(3건), 가시발새우에서 L. innocua가 70%(14건), L. monocytogenes가 10%(2건), 바지락에서 L. innocua가 45%(9건), L. monocytogenes가 5%(1건), 홍합에서 L. innocua가 10%(2건), L. monocytogenes가 5%(1건), L. welshimeri가 5%(1건), 해수에서 L. ivanovii가 25%(5건) 분리되었다. 새우와 가시발새우에서 L. monocytogenes와 L. innocua가 다소 많이 분리되었다. L. monocytogenes로 분리 동정된 7주에 대한 혈청형 분류는 type 1이 2주, type 4가 5주로 나타났다. Four species of the genus of Listeria were isolated from seawater and sea food in Kyungnam area. These strains were systematically counted for different samples using appropriate media and biochemical tests including serological test. In one-day enrichment, the following strains were found out of 100 samples : L. innocua (35%), L. ivanovii (4%), L. monocytogenes (4%), and L. welshimeri (1%), In seven-day enrichment. L. innocua (38%), L. ivanoii (5%), L. monocytogenes (7%), and L. welshimeri (1%) were isolated. Thus, listeria species were more easily isolated in the seven-day enrichment than in the one-day enrichment. However, listerias were less grown in the selective medium than in the enrichment medium. Listeria species were most abundantly isolated in shrimps (80%) and metapenaeus shrimps (80%). Little neck clams (50%), seawater (25%) and hard-shelled mussels (20%) followed. The isolated listerias consisted of L. innocua (38%), L. monocytogenes (7%), L. ivanoii (5%), and L. welshimeri (1%). In the shrimps, L. innocua (65%) was most abundant followed by L. monocytogenes (5%). In the metapenaeus shrimps, 70% of the isolates were for L. innocua and 10% for L. monocytogenes. In the little neck clams, 45% was for L. innocua and 5% for L. monocytogenes. In the hard shelled mussels, 10% was for L. innocua, 5% for L. monocytogenes and 5% for L. welshimeri. In the seawater, 25% was for L. ivanovii. Therefore, L. monocytogenes and L. innocua were more frequently isolated in the shrimps and the metapenaeus shrimps. The serological classes for the seven L. monocytogenes were two strains for type I and five strains for type IV.

      • 해수와 해산물에서 분리된 Listeria 속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시험과 Inactivation 시험

        강치희,이승철,황용일 慶南大學校 附設 基礎科學硏究所 2000 硏究論文集 Vol.14 No.-

        주요 식중독균으로 주목받고 있는 Listeria sp.를 경남지역의 해수와 해산물에서 분리하여 항균제 감수성시험, 온도에 대한 균의 감수성 시험, 시험균주의 증식곡선, 내염성 시험과 pH에 대한 균의 증식관계를 조사하였다. 해수와 해산물에서 분리동정된 18주의 Listeria sp.에 대하여 디스크 확산방법으로 항균제 감수성 시험을 실시하여 ampicillin에 55.6%, cephalothin에 100%, chloramphenicol에 100%, clindamycin에 100%, erythromycin에 100%, gentamicin에 100%, kanamycin에 77.8%, methicillin에 83.3%, streptomycin에 50%, tetracycline에 83.3%, vancomycin에 100%의 감수성을 각각 보였다. 온도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는 55℃에서 30분간 처리에서는 영향이 없으나 60℃에서는 L.monocytogenes Type 1과 L.monocytogenes Type 4, L. ivanovii, L. welshimeri는 20분 처리로 사멸하였으며 L.monocytogenes ATCC 19111과 L. monocytogenes Scott A, L. innocua는 25분 처리로 사멸하였다. 65℃처리에서는 L. monocytogenes Type 4와 L. innocua, L. ivanovii는 15분에서 사멸하였으며 L. monocytogenes ATCC 19111과 L. monocytogenes Scott A, L. monocytogenes Type 1, L. welshimeri는 20분간 처리로 사멸하였다. 분리된 Listeria sp.의 내염성은 8% 이상에서는 지연된 유도기가 관찰되었으며 6% 염을 첨가한 0.6% TSA-YE배지에서는 정지기에서 흡광도(590nm)가 0.67에서 0.87의 범위에 있었으며, 8% 염에서는 정지기의 흡광도가 0.44에서 0.73이었고, 10% 염에서는 흡광도가 0.18에서 0.63이었으며, 12% 염에서는 OD 값이 0.03에서 0.2로 측정되어 염의 함량이 높을수록 저해 정도도 높았다. pH에 대한 증식영향은 pH 5.0에서보다 pH10에서의 증식이 빠른 것으로 보아 Listeria sp.는 비교적 높은 pH에서 생육가능 함을 보였다. Eighteen of Listeria species, a potent food poisioner, were isolated from sea food and seawater in Kyungnam area. These strains were tested for the sensitivities of antibiotics and temperature as well as for the resistances to high salt concentrations and the cell growth in different pHs and media compositions. The average sensitivities (%) of the eighteen listerias in disc diffusion method were following : ampicillin 55.6, cephalothin 100. chloamphenicol 100, clindamycin 100, erythromycin 100. gentamycin 100, kanamycin 77.8 methicillin 83.3, streptomycin 50, tetracyclin 83.3 and vancomycin 100. The viability of Listeria species was not so affected by heat treatment at 55℃ for 30 min. However, L. monocytogenes Type I and IV, L. ivanovii and L. welshimeri ceased to grow at 60℃ in 20 min. In contrast, the growth of L. monocytogenes ATCC19111, L. monocytogenes Scott A and L. innocua was affected in 25 min. L. monocytogenes type IV, L. innocua and L. ivanovii stopped growing at 65℃ in 15 min. L. monocytogenes ATTCC19111, L. monocytogenes Scott A, L. monocytogenes Type I, and L. welshimeri did not sustain at 65℃ for 20 min. The growth of the listerias were lagged in the presence of over 8% NaCl. In TSA-YE medium containing 6% NaCl, the optical density (OD) at 590mm of the cell culture reached stationary phase from 0.67 to 0.87. At 8% NaCl, the stationary phase OD of the culture was from 0.44 to 0.73. At 10% NaCl, the stationary phase OD of the culture was from 0.18 to 0.63. At 12% NaCl, the OD of the culture from 0.03 to 0.2. Therefore, higher salt concentrations created greater inhibition for the cell growth, Finally, the growth rates of the listereas were higher at pH 10 than at pH 5, which implies that the growth of the listerias was favorable in the alkaline pH.

      • SCOPUSKCI등재

        참치가공 부산물의 부위별 성분 분석

        강치희(Chi-Hee Kang),정혜영(Hye-Young Jung),이대(Dae-Hee Lee),박재갑(Jae-Kap Park),하정욱(Jung-Uk Ha),이승철(Seung-Cheol Lee),황용일(Yong-Il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6

        수산물 제조를 위한 가공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 양은 전체 원료의 30~35% 정도를 차지하나 일부만이 식품원료로 재이용되고 대부분이 사료로 이용되거나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부산물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기능성 향상 및 제품화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먼저, 참치 가공 부산물을 어피살, 어피, 꼬리, 혈합육, 복육으로 분류하여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에서 조단백질은 26.31%로 어피에서 비교적 많았으며 나머지 부위에서는 21%내외였다. 조지방도 어피에서 15.58%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나 혈합육에서는 0.75%로 낮게 함유되어 있었다. 특수성분 중 vitamin C의 경우에 복육(176.56 mg/kg)에서, vitamin B1, B2의 경우는 혈합육(4.26 mg/ kg, 3.09 mg/kg)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불포화 지방산은 어피살과 꼬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DHA(C22 : 6 ω-3)와 EPA(C20 : 5 ω-3)는 어피살과 어피에 많았다. 이들 유용 성분에 대하여 참치의 일반적인 가공 처리 공정인 자숙 후 지방산 함량 변화는 어피살과 혈합육의 15-methylhexadecanoic acid(i-17 : 0)가 증가되었으며 어피에서는 3-hydroxytetradecanoic acid (3-OH 14 : 0), heptadecanoic acid(17 : 0), 2-hydroxyhexadecanoic acid (2-OH 16 : 0), nonadecanoic acid(19 : 0) 등이 새로이 검출되었고 혈합육은 DHA와 EPA가 변화가 적었고 어피에서는 DHA의 변화가 적었으나 EPA가 검출되지 않았고, 꼬리에서는 DHA와 EPA가 검출되지 않았다. In the process of tuna for food, the unprocessed parts of the whole fish range from 30 to 35%, which are mostly used as animal feed stuff, and wasted. Thus, preliminary study on the recycling of the by- product was done to ultimately produce highly valuable products. The study was performed on skin, skin flesh, tail flesh, dark flesh and abdominal flesh of the tuna. First, crude protein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skin at 26.31%. About 21% of the crude protein were found in the other samples. Second, crude fat was greatly obtained in the skin at 15.58%. Interestingly, only 0.75% of crude fat was found in the dark flesh. Third, vitamin C and vitamin B group were highly measured in the abdominal flesh and the dark flesh, respectively. Importantly, docosahexaenoic acid (DHA, C22 : 6 ω-3) and eicosa- pentaenoic acid (EPA, C20 : 5 ω-3) which are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abundant in the skin and skin flesh. To determine the effect of high temperature to the unprocessed parts, the samples were exposed to steam for 30 min. After this processing, 15-methylhexadecanoic acid (i-17 : 0) were in- creased in the skin flesh and the dark flesh. Furthermore, 3-hydroxytetradecanoic acid (3-OH 14 : 0), heptadecanoic acid (17 : 0), 2-hydroxyhexadecanoic acid (2-OH 16 : 0) and nonadecanoic acid (19 : 0) that were not found before with steam were detected. The DHA and EPA in the dark flesh and the DHA in the skin were stable, respectively, even after th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