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모종의 수분함량 추정

        강정균 ( Jeong-gyune Kang ),유찬석 ( Chan-seok Ryu ),김성헌 ( Seong-heon Kim ),강예성 ( Ye-seong Kang ),타파스쿠마 ( Tapash Kumar Sarkar ),강동 ( Dong-hyeon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는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오이, 토마토, 고추, 수박 모종의 수분함량을 비파괴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단계적으로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오이(n=45), 토마토(n=45), 고추(n=45), 수박(n=45) 모종을 초분광 영상시스템으로 촬영하여 모종 영역의 반사율을 추출하였고, 매 촬영 후 모종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을 계산하였다. 모종의 반사율과 계측된 수분함량을 변수로 하여 PLSR분석을 이용하여 수분 추정모델을 구축하였다. 각 모종의 수분 추정모델을 작성한 결과 토마토의 경우 정확도(R²)가 0.74, 정밀도(RMSE 및 RE)가 각각 2.77%, 3.09%로 나타났고, 고추의 경우 수분추정모델의 정확도가 0.68, 정밀도가 각각 1.43%, 1.61%으로 나타났으며, 오이의 경우 정확도가 0.73, 정밀도가 각각 1.45%, 1.58%, 수박의 수분 추정모델의 정확도가 0.66, 정밀도가 각각 1.06%, 1.14%로 나타났다. 위 모종을 박과(오이, 수박) 및 가지과(고추, 토마토)로 구분하여 추정모델을 작성할 경우, 박과 수분 추정모델의 정확도가 0.64, 정밀도가 각각 1.49%, 1.16%로 나타났으며, 가지과의 경우 정확도가 0.67, 정밀도가 각각 2.53%, 2.84%로 나타났다. 생물 분류체계에 관계없이 모든 모종을 이용하여 수분 추정모델을 작성할 경우 모델의 정확도가 0.56, 정밀도가 각각 2.54%, 2.81%로 나타났다. 각 모종의 수분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추, 수박, 오이 모종의 트레이(50공) 셀보다 토마토 모종의 트레이(60공) 셀크기가 작아 수분 스트레스를 더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Jang et al., 2014). 각 모종의 수분함량 추정모델의 결과, 각 모종별로 작성한 수분 추정모델들보다 가지과, 박과, 모든 모종으로 작성한 수분 추정모델들이 정확도는 감소하였지만 정밀도는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모종별, 과별, 모든 모종의 수분함량 추정가능성을 시사하였고,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샘플 수 및 개채별 수분함량의 변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중소IT기업 S/W 개발인력의 직무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강정현(Kang, Juong-Hyun),정대율(Jeong, Dae-Y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8

        본 논문의 목적은 중소 IT기업 S/W 개발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어떤 요소들이 직무몰입에 긍정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자의 직무능력을 중요한 선행변수로 보고 있다. 그리 고 역할갈등과 태도가 직무몰입을 가져오는 중요한 매개 작용을 한다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실증자료를 통한 경로 분석 결과, 직무능력 변수들이 매개변수인 역할갈등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들이 직무몰입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요한 발견은 업무지식이 높을수록 역할갈등은 낮게 나타났으며, 업무기술력이 높 은 인력일수록 역할갈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중소 IT기업의 경우 조직 내에서 직무기술력이 우수할수록 많은 기대와 일을 시키는 것에서 기인되었다고 보아진다. 결국, IT 개발자의 업무지식을 높이고 직무에 대하여 좋은 태도 를 형성하여야 직무몰입을 높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 job involvement of S/W developer in the small and medium IT companies. We suggested structural model with two mediating variables, role conflicts and attitude of workers. The model considered job competency(job knowledge, technological competences, and communication skill) as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ffect on the mediating variables directly and final dependent variable indirectly. The hypotheses tests showed that the job knowledge affected negatively on the role conflicts as the hypothesis assumed, but technological competences affected positively(reserve direction) on the role conflicts. This finding means that the more he / she has good job skill and technologies, the more does he required to do many things in the organization.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attitude of workers mediated between the role conflicts and job involvement significantly. We concluded that although the workers are suffered from the role conflicts, it could be mitigated by their job knowledge and the favorite attitude toward their job, and finally they could more involve in their job.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강정현(Kang, Jung-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공교육의 흐름 속에서 공예교육의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교과교육 중심으로 진행된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공예교육은 별도의 교과가 아니라 주로 미술교과에 포함되어 교육되어져 왔다. 처음에는 미술의 영역이 아니라 직업교육의 성격을 가진 ‘수공’이라는 별도의 교과로 출발하였으며, 이후 미술 영역에 진입하였으나 내용면에서 기계·기구의 조정과 분해 및 수리를 지향하는 등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공작’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었다. 국가와 교육부의 주도로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1, 2차 교육과정에서의 공예교육은 조형적인 입체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만들기’로, 3~6차 교육과정에서는 장르로서의 ‘공예’로, 그리고 7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탈장르와 통합교육 위한 역할’로 변화되어 왔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더 중요해지고 있는 현 시점 1) 에, 시기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준 공예교육의 발자취를 쫒는 것은 향후 공예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raft education in the current of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practiced focusing on subjects, Korean craft education has been taught mainly as a part of art subject, not a independent subject. It started as a different subject from art, ‘hand-craft’, which overlapped in many ways with vocational education. Though craft education entered to art area late, it was called ‘handiwork’ with an identity crisis e.g. to pursue adjusting and mending of machines and devices. After government and the Educational Department had a lead of the implementing of educational courses, craft education has acted in different as from the comprehensive ‘making’ encompassing various formative 3-dimensional activities in the 1st and 2nd educational courses, to the specialized area of ‘craft’ in 3-6th educational courses, to the mean of post-genre and comprehensive education since 7th educational course. In times when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have been enforced, to track down the steps of craft education reveal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era can be fundamentals to decide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raft education.

      • KCI등재

        한국전통주머니에 나타난 감성이미지

        강정현(Jung Hyun Kang),권영숙(Young Suk Kwon) 한국복식학회 2003 服飾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nsibility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Chumoni. The detailed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elections of stimuli to analyse the sensibility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Chumoni were made up of 15 stimuli. The survey has been done for the 15 slide stimuli with semantic differential bi-polar scales which are consist of 23 couples of sensibility words. The subjects were 150 female students majoring in other department in the twenties between 2001. 3. 30 and 2001. 4. 4.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The major finds were as follows. 1. To explain the hierarchy of the sensibility of Korean Traditional Chumoni, two image groups were classified, one is noble and characteristic image the other is splendid and intensive image. Finally it represented noble and splendid image. 2. As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3 factors which are Attraction, Decorativeness, Gravity were found to be constructing factors for the sensibility images of Korean Traditional Chumoni. 3. By cluster analysis, 4 cluster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Korean Traditional Chumoni. Cluster 1 is splendid, multi-colored and realistic in patteren. Cluster 2 is consisted of `true chumonis` and one-colored. Cluster 3 is modal in pattern. Cluster 4 is simple without any decorations. As to the difference of image of Korean Traditional Chumon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ang 3 factors by cluster. Cluster 1 was found most attractive and grave. Cluster 2 was found most decorative. 4. As to the difference of image of Korean Traditional Chumon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ang 3 factors by decoration. Gold foil was found most attractive and grave. Embroidery was found most decorative. 5. As to the difference of image of Korean traditional chumoni, there were differences in Decorativeness and Gravity by sex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Attraction by major.

      • 풍속계를 이용한 온실내 순환팬 풍속구배 분석

        강정균 ( Jeong Gyun Kang ),박효제 ( Hyo Je Park ),김동억 ( Dong Eok Kim ),홍순중 ( Soon Joong Hong ),강태환,강동 ( Dong Hyeon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본 연구는 스마트온실의 내부순환팬 성능 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순환팬 작동에 따른 풍속 도달거리를 측정 및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기순환팬의 풍속 도달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풍속센서(HD103T.0)를 수직, 수평으로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풍속측정을 위해 프로파일로 센서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고, 풍속센서의 수직방향 측정은 Yu. 등(2007)의 온풍 시험과 같이 지면에서부터 0.6m 간격으로 설치하여 총 5개를 설치하였다. 수평방향 측정은 수직으로 설치한 중앙센서를 기준으로 좌우 2개씩 1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풍속센서의 데이터는 데이터로거(GP10)를 통해 측정 및 기록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순환팬은 직경 250mm(LD-SF250), 270mm(SN-14-2), 300mm(SW-SF300), 340mm(SN-14-1), 350mm(LD-SF350) 팬을 사용하였고, 전동리프트에 고정시켰으며, 리프트는 순환팬이 수직, 수평방향의 중앙센서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상하좌우를 맞추었다. 시험방법은 순환팬이 안정화되도록 30분동안 작동시킨 후 시험을 시작하였다. 최초 측정은 중앙센서에서 1m 거리부터 측정하였으며 이후 1m 간격으로 리프트를 이동시키며 최대 17m까지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데이터로거를 통해 각 위치마다 2분 동안 5초 간격으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순환팬 230mm, 250, 300, 340, 350, 팬의 최초풍속은 2.71m/s, 3.27, 4.35, 5.31, 5.50으로 조사되었다. Kim(1997)의 연구에 따르면 작물의 생육을 위한 적정 기류속도는 0.3 ~ 0.5m/s이라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팬의 풍속 도달거리로는 230mm가 6 ~ 15m, 250mm가 9 ~ 16m 구간으로 나타났다. 직경 300 ~ 350mm 팬은 최대 측정거리까지 0.2m/s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으며, 각각 11m, 12, 14 부터 풍속 0.5m/s 미만으로 떨어졌다. 본 시험결과를 통해 순환팬의 풍속 도달거리 시험 및 순환팬 설치 기준에 대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시험에서는 17m 이상 거리에서 풍속을 측정하여 각 팬의 풍속 0.2m/s 미만 도달거리까지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정상인에서 5가지 체간 안정화 운동자세가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복부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강정현 ( Jung Hyun Kang ),심재훈 ( Jae Hyun Shim ),천승철 ( Seung Chul Ch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12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19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easurements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y imaging (USI) to those using a special transducer head device, during five different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ultimately to determine which exercise led to the greatest muscle thickness. Thirty eight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The five types of trunk stabilization-i.e., a sit-up on the supine, an upper and lower extremity raise with quadruped on the prone, a leg raise in sitting on the ball, trunk rolling on the ball, and balance using sling on the prone position-were each performed with an abdominal draw. The thickness of the abdominal muscle-including the transverse abdominal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was measured by USI with a special transducer head device, at rest and then at contraction in each posi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repeated ANOVA with the level of significance set at α=.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rA thick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whereas the IO and EO thicknesses were not (p>.05); 2) among the five types of trunk stabilization, TrA thick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balance using a sling in the prone position, (p<.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for the four types of trunk stabilization (p>.05); 3) reliability data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degree of consistency among the measurements taken using the special transducer head device (ICC=.92). In conclusion, the balance using a sling in the prone position was more effective than any of the four other types of trunk stabilization in increasing TrA thickness in healthy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