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강정찬 ( Jeong Chan Ka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o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apply Development Research(DR) as a design methodologies, research design. The major research three processes were suggested as follow for attaining this purpose of study : first, to extract authentic research three tasks through literature survey involving research topic and filed contextual investigation; seconds, to develop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o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for adv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to implement developed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o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effect test the effects of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validity of program. The result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the study skills training o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had effect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ween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group employing in the training program had better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fore,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o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had positive effects for advanc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study skills training o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were offered students, so study skills training program was diversified. Finally study skills training need to be implemented as an official curriculum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lso to diversify and standardize.

      • KCI등재

        대학 수업사례로 본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전략 비교 연구

        강정찬(Kang Jung Chan),이은화(Lee Eun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의 여러 수업사례들을 통해서 언어적·비언어적 의사 소통 실태를 비교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38개의 대학 수업사례를 대상 으로 언어적, 비언어적 전략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교차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 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의사소통전략 분석 결과, 첫째, 질문전략의 활용에 서는 기억인출 유형의 질문이 많았으며, 불특정 학생의 전체 답변을 요구하는 전체 지명방식을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교수자가 답변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 다. 둘째, 발언 유형에 있어서 정보 전달이 50% 정도로 가장 높았고, 질문답변, 안 내, 피드백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전략 분석 결과, 몸짓, 눈 맞춤, 표정 등 신체언어 전략과 어조, 속도, 사투리 등 유사언어 전략의 활용은 대체로 긍 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습자와의 물리적 거리 조절 전략이나 교실 공간 활 용 전략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수업 에서 효과적인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위한 수업전략 설계 시 지침 및 주의 사항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rategies of university classes in Korea. For this purpos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rategies analysis on 38 classes which have received instructional consulting were used. The results of analysis on nonverbal communication strategies were as follows. Firstly, in the utilization of question strategy, most classes were used memorizing question, questions to expect an answer to whole class, and professor s answer for professor s questions. Secondly, in the utilization of verbal type, the highest frequency of verbal type was providing information, and then there were question and answer, guide and instruction, and feedback in order. The results of analysis on nonverbal communication strategies were as follows. Firstly, most classes were positive in the body language strategies and pseudo language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physical distance control strategies and space strategies were utilized relatively less. On this results, researchers offer insights to whom would like to improv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rategies in university class.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도구 개발과 적용

        강정찬(Kang Jung 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에 관한 인식 및 요구도 분석을 위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데 있다. 이에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교수역량 및 요소를 도출하고, 도출된 교수역량 체계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전문가 검토를 거쳐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조사 도구는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대학 교원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교수역량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실시 후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도구로 완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교수역량을 기본역량 과 수업역량 으로 구분하여 도출하고,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원역량 을 추가하고 3개 영역 및 52개 요소로 교수역량 체계를 구성하여 조사 도구를 개발, 적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조사 도구 개발 및 적용의 체계적인 과정 및 절차를 제시하여 대학의 교수역량 인식이나 요구도 조사 도구 개발 및 활용의 안내 자료 및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결과의 타당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IPA에 Borich 요구도 분석과 LfFM 분석을 단계적으로 추가 실시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nd apply research tools for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nd needs regarding teaching competencies to university faculty members. In response, the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through expert review through Delphi survey on the teaching competencies and the model of teaching competencies derived through consideration of prior research. Research tools were conduc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the final tools were completed after the recognition and needs analysis of teaching competencies by applying them to university faculty members. If this research result is presented, firstly, through consideration of prior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s, the required teaching capacity was derived by dividing into basic competencies and instructor competencies . In addition to support competenc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the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by forming the model of teaching competencies of three areas and sub-components. Second, by presenting systematic processes and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search tools in this study, universities will be provided guidance needed to develop and utilize research tools for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nd needs regarding teaching competencies. Third, the recognition and needs for teaching competencies were also gradually added Borich s Needs Assessment Model and LfFM(The Locus for Focus Model) to the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 KCI등재

        반성적 성찰기법 활용을 통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능력 향상 전략 탐색

        강정찬(Kang, Jung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를 위한 반성적 성찰기법을 활용한 수업설계 능력 향상 전략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실천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과정 및 절차에서 발생하는 실제적 어려움과 문제점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밝혀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수업설계능력 향상 전략, 반성적 성찰 기법 및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 도출된 반성적 성찰기법 활용을 통한 수업설계 능력 향상 전략은 첫째, 수업설계 준비, 실행, 평가의 세 단계로 나누어 수업설계 과정 및 절차, 각 과정별 핵심내용, 그리고 활용 가능한 반성적 성찰기법 및 도구를 통합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수업설계의 세 단계에 따라 세부 수업설계 과정 별로 반성적 성찰도구를 활용한 수업설계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셋째, 예비교사의 수업과 수업설계에서 발생하는 이론과 실천의 괴리, 통 합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 이해와 실제적 실천 간의 연계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수업설계 능력 향상 전략은 예비교사를 지도하게 될 교수자(지도교사)에게 예비 교사들이 실제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때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어떠한 고려 및 주의사항을 지원하고 안내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제적 지침이나 정보를 제공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비교사 양성 교육과정이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개발하고자 할 때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f the pre-teacher through using self-reflexive reflection techniques. Theses strategie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were developed with action research that based on literature reviews, reflective journal, and depth interviews. This study produced several results. First, the strategies have three steps (preparation, implementation, evalu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that include the processes and procedures needed for instructional design, the core content of each process, a self-reflexive reflection techniques and tool. Second, the specific practice strategies of three steps are suggested to improve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f Pre-teacher through using self-reflexive reflection techniques. Third, these strategies include that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linkages between the strategy practice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integrating and distance of theory and practice does in the lesson and instructional design of pre-teacher. These strategies for improving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f pre-teachers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provide guidelines and information for teachers or professor, what pre-teachers need in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 Also, these strategies give useful information and resources, when people design and develop curriculum and program for pre-teacher.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강정찬(Jung-Chan KANG),정주영(Joo-Young JUNG)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2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on the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y of departments that opera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was confirmed by the paired sample T-test.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core competencies between operated departments and non-operate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by gender, major, and grade. In the case of departments that developed and opera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K-University, in 2021 compared to 2020,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hown in both core competencies and sub-variables of K-University. Significant results were also obtained in comparisons by gender, major, and grade level. As of 2021, female students had the lowest average valu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le students had the lowest average values of global leadership. They were mor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grade level, the effect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going from 2nd to 3rd year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local transformation ability. After setting core competencies reflecting the university’s special educational vision, ideology, and talent, develop and operate a major competency major curriculum, liberal arts curriculum, extracurricular curriculum linked to core competencies, and then use the self-developed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can be used as a verified example.

      • KCI등재

        대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교과목 CQI 시스템 개발 및 적용

        강정찬(Kang Jung Chan),이은화(Lee Eun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교과목 수준의 교육 질 개선을 목표로 체계적인 과정 및 절차, 평가방법 및 도구, 실행원리 및 지침 등이 포함된 교과목 CQI 시스템을 개발, 적용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형성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단계의 교과목 CQI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1, 2차 형성평가를 통한 전문가 검토, 현장적용을 통해 최종 교과목 CQI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발된 교과목 CQI 시스템은 첫째, 지속적인 교육 질 관리 체제로 (1)수업계획 질 관리, (2)수업실행 질 관리, (3)수업성과 질 관리의 3단계가 이루어지면서 단계별로 ‘평가결과 성찰 및 피드백’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둘째, 각 단계별 과정 및 절차에 따라 활용 가능한 대표적인 평가방법 및 도구(예시)를 제시하여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고, 더욱 신뢰성 있고 타당한 평가를 위해서 평가방법 및 도구의 적정화, 다양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셋째, 교과목 CQI 시스템 적용 대상자를 위한 CQI 시스템의 활용 목적(목표)과 관련된 실행원리 및 전략, CQI 과정 및 절차별 평가방법 및 도구를 활용하는 데 필요한 실행원리 및 전략으로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의 실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의 교과교육 및 교육과정 질개선을 위해 CQI를 적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체계적인 과정 및 절차, 평가방법 및 도구 등에 실제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course CQI system which includes systematic processes and procedures,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execution principles and guidelines, enabling continuous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through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adopted formative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view, this first and second formative evaluation, and verification through field applications in order to develop course CQI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course CQI system are as follows: first, as ongoing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system (1)The quality management of lesson plans, (2)The quality management of lesson execution, and (3)The quality management of lesson result, made a three-step lessons and quality control were to occur this evaluation reflection and feedback.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possibilities by providing separated by runs needed to take advantage of running on the utilization purpose (goal) of the course CQI system principles and strategies, CQI process and procedure-specific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for course CQI system applied subjects principles and strategies the increase can. The course CQI system will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such systematic processes and procedures,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that you need when you want to apply the CQI for curriculum and training cour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대학 수업계획서의 설계 실태 및개선방안 탐색

        강정찬(Kang Jung Chan),박한숙(Park Han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대학의 수업계획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수업설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좋은 수업을 설계, 실행하기 위한 수업계획서 개선방안을 탐색 제안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 대학을 중심으로 5년간 이루어진 수업계획서 작성 사례와 함께 수업계획서 컨설팅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교차사례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근거로 현장 기반의 활용 가능한 수업계획서 작성의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설계의 7가지 구성요소 중에서 수업방법, 수업매체, 평가방법 요소에서 적합성이 다소 부족한 수업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해당 요소에 대한 수업설계 지원 및 교수자 역량 강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 학습 환경, 수업매체, 평가방법의 세부요소에 대한 체계적 설계가 이루어지고, 설계 결과를 기술할 수 있는 부분이 수업계획서 양식으로 추가되어 수업계획 및 준비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업설계의 7가지 구성 요소별 수업계획서의 개선방안 및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 및 실천 전략은 현재 대학에서 작성되고 있는 수업계획서 작성에서 발생하고 있는 수업설계의 오류나 문제점, 어려움 등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state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e university s syllabus, and to explore and propose ways to improve syllabus to design and execute good instruction based on this. To this end, a cross-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syllabus consulting along with the case of planning a syllabus for five years centering on University A, and based on this, a practical strategy for planning a syllabus that can be utilized based on the field was proposed. As a result, first, it can be confirmed that among the seven elements of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ional design, which is somewhat insufficient in suitability in instructional method, instructional medium, and evaluation method element, is being made. Accordingly, it was necessary to support instructional design and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for the relevant elements. Second, systematic design of detailed elements of learner,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medium, and evaluation method should be made, and a part that can describe the design result should be added in the form of a lesson plan so that lesson plans and preparations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Third, the improvement plan and practical strategy of syllabus for each of the 7 componen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were proposed. These improvement plans and strategies can be used as an improvement strategy that can solve the errors,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that occur in the preparation of instructional plan currently being prepared in universities.

      • KCI등재

        창의·융합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강정찬(Kang, Jungcha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통합된 정의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창의·융합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활동, 절차 및 과정, 설계지침 등이 포함된 수업설계원리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형성연구를 적용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 전문가검토와 현장 적용을 통한 형성적 순환을 거쳐 현장에 필요한 실천적인 수업설계원리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결과 개발된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는 첫째, 창의·융합교육의 개념 및 의미, 구성요소와 부합되면서 수업설계의 대표적인 방향 및 특징인 체계적, 체제적인 수업설계원리를 기본원리로 삼고 있다. 둘째, 교육프로그램이나 단원 수준의 수업설계를 위한 거시적 수업설계원리를 융합의 원리, 목적성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 문제해결의 원리, 체험의 원리의 다섯 가지로 정리하고 세부 설계지침을 제시하였다. 셋째, 차시 수준의 수업설계를 위한 미시적 수업설계원리로 평가를 중심으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이 역동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수업설계모형과 세부 설계지침을 유목화하여 제시하고, 각각의 세부 설계지침별로 고려 및 주의사항에 대한 안내와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수업설계원리 및 전략들은 현장 교수자들로 하여금 실제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때 무엇이 준비되고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설계 실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적 지침, 절차 및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업내용, 학습자, 학습 환경 등에 대한보다 체제적인 분석과 체계적인 수업설계의 과정 및 절차를 거쳐서 창의·융합 수업이 설계, 실행될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education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to design teaching that includes processes,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This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with formative research that based on literature reviews, expert interviews, and a pilot study. This study produced several results. First, th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include the processes and principles needed for systemic and systematic design principles which translates into creativity convergence instruction. Second, this macro-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use the principle of convergence, finality, diversity, solving problem, and experience which are executed through unit teaching. Third, this micro-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use the processes, guidelines, considerations, and precautions of five design stages which are executed through lesson class. Th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give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to the teachers, and then they suggest various interventions that to help improve creative convergence instruction. Th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creative convergence instruction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guidelines for teachers and learner, which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problem-solving, collaboration, and discussion competences

      • KCI등재

        대학 PBL(Project-Based Learning)의 설계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

        강정찬(Kang, Jung-c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PBL을 위한 수업계획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PBL를 적용한 수업설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PBL의 효과적 수업설계 및 실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PBL을 적용한 S대학교의 수업계획서 20개 사례를 대상으로 교차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설계 사례분석 도구를 개발, 적용하였으며, 수업설계의 공통되는 문제점이나 어려움 등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전략, 세부 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 결과 첫째, PBL 수업설계의 요소 중에서 가장 적합성이 높게 설계되고 있는 영역은 요구분석 영역이었고, 가장 적합성이 낮게 설계되고 있는 영역은 평가 방법 설계였다. 둘째, PBL의 수업설계 요소 중 수업매체가 효과적으로 선정 또는 설계되지 못하고 있어 적합성이 떨어졌다. 셋째, PBL의 수업과정 및 절차인 과제도입, 과제활동계획, 과제연구, 결과물 표현 등의 세부 수업전략이 주차별 수업계획에 제대로 학습내용과 통합되어 설계되지 못하여 적합성이 낮았다. 넷째, PBL 수업설계의 과제분석을 통해 비구조성, 맥락성, 통합성, 명확성을 갖춘 과제를 선정하거나 설계하여 제시해야 하는데, 과제의 비구조성, 통합성 측면에서 적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PBL의 평가는 학습자가 직접 평가에 참여하는 자기평가, 동료평가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자기 및 타인 성찰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해야 한다. 둘째, 수업계획서 양식의 주차별 학습계획에 학습(수업)목표와 수업방법에 따른 적합한 수업매체를 설계하여 기술할 수 있는 부분을 명확하게 마련해 주어 필요한 자료 및 자원, 인지적 도구를 안내해 주어야 한다. 셋째, PBL의 과정 및 절차, 세부 수업전략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관련된 학습내용과 적절하게 통합되어 주차별 학습계획에 설계되어야 한다. 넷째, PBL은 프로젝트 기반 교육과정을 간학문적, 탈학문적 통합을 통해서 편성하고 한 학기이나 몇 주간 이상 다소 장기간 프로젝트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상의 수업설계 개선전략 및 세부실천전략은 대학에서 교수자가 PBL 수업설계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줄여주고, 수업계획의 수월성을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ase analysis of syllabus for PBL of university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structional design applied with PBL and to explore improvement measure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BL. Methods The actual status of instructional design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cross-case analysis method to 20 cases of the instructional plan applied with PBL. Results First, among the elements of PBL instructional design, the area that was designed with the highest suitability was the demand analysis area, and the area that was designed with the lowest suitability was the area with the lowest suitability was the evaluation method design. Second, among the elements of PBL s instructional design, the suitability was poor as the instructional medium was not effectively selected or designed. Conclusions First, the evaluation of PBL should be designed so that learner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and self- and other reflections are made. Second, in the weekly learning plan of the class plan form, the necessary materials, resources, and cognitive tools should be clearly prepared to design and describe appropriate class media according to learning (class) goals and teaching methods. The above instructional design improvement strategies and detailed implementation strategies will reduce problems that often occur when instructors design PBL instruction in university and increase the ease of instructional planning.

      • KCI등재

        비계설정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설계 모형 개발 -설계 기반 연구를 적용하여

        강정찬 ( Jung Chan Kang ),이상수 ( Sang Soo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계설정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수업의 설계과정에서 체계적, 체제적으로 비계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블렌디드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계기반연구(Design-Based Research: DBR)를 사용하였다. DBR은 교육현장에서 연구자와 현장 전문가가 협력하여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처방적 설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평가함으로써 실천적 교육적 이론이나 모형을 완성해가는 연구방법이다. 본 연구는 DBR을 적용하여 문헌연구와 현장 상황 검토를 통해서 연구 과제를 도출하였고, 현장 전문가(교사)와 협력을 바탕으로 연구 방법 및 절차를 설계하고, 반복적인 형성적 순환을 통해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여 이론과 실제가 통합된 실천적 수업설계 모형을 완성하였다. 첫째, 개발 된 모형은 블렌디드 환경에 맞게 설계되었다. 비계설정은 교사가 학습자를 역동적으로 평가하고 학습자의 상황에 따라 적응적인 지원을 제공해 주어야 하며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장점만을 통합한 블렌디드 환경은 테크놀로지의 도움을 통해 교사의 부하를 줄이고 학습자에게 시기적절한 비계설정을 해 줄 수 있다. 둘째, 본 모형은 일반 수업설계모형과는 달리 일반적인 학습과정 설계와 비계설정 설계 두 과정으로 나누어 개발되었다. 특히 비계설정 설계에서는 비계설정 제공주체, 비계설정 제공수준, 비계설정 전략, 비계설정을 위한 블렌디드 환경, 비계설정을 위한 역동적 평가 전략 설계 등이 중심이 되는 요소로 선정이 되었으며 이들 각 영역들에 대한 설계 지침들이 제공되었다. 전체적으로 본 모형은 비계설정을 위한 수업설계 절차 및 요소, 구체적인 실행사항, 고려 및 주의사항, 실행전략으로 실천적 안내지침을 포함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blend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caffolding, and to apply Design-Based Research(DBR) as a design methodologies, research design and design framework. To apply DBR in process of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 would be overca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 of learning and instruction situation, a process of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e major research three process were suggested as follows for attaining this purpose of study: first, to extract authentic research tasks through literature survey involving research topic and field contextual investigation; second, to design authentic research method(procedure) was based on authentic research tasks, and develop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rom repetitively formative cycles; third, to develop pragmatically instructional design model is grounded in both theory and the real-word context. To implement from practice principle and repetitively formative research procedure of DBR, to integrate a variety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refore, the result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field contextual investigation to generate authentic research tasks. Second, this study was designed authentic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developed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rough repetitively formative cycles. Third, this study was developed pragmatic blend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caffolding integrated both theory an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