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증진성 관점에서 본 LEED 그린빌딩의 친환경성에 관한 연구

        강연주 ( Yeonjoo K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그린 빌딩(green building)은 친환경적인 특성들을 통하여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가장 효율적이며 자연친화적인 건축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요소에는 자원, 에너지 및 수자원의 절약 또는 재활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자원 및 에너지 사용의 비용을 줄이고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그린 빌딩은 궁극적으로 건강성(healthy)과 편의성(comfortable)을 제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그린 빌딩은 건축물의 외부 및 내부의 구성과 마감재 등에서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LEED 그린 빌딩들이 에너지 효율성, 재활용성, 생태성, 친사회성 및 건강증진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의 목적은 LEED 그린 빌딩들이 미래에 인류를 위해 가장 적합한 건축물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외 친환경인증인 LEED의 플래티넘(Platinum)과 골드(Gold) 등급을 획득한 건축물 중에서 LEED 그린 빌딩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건축물들로서 포스코 파워 미래관, 삼성 글로벌 엔지니어링 사옥, 그랑서울, SK 네트웍스 대치동 신사옥, 서울파이낸스 센터와 SKChemical Center 사옥 등 6개로 하였으며, 이들 건축물에 대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2015년 7월부터 2016년 7월까지 각 건축물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현장 조사한 내용으로는 이들 건축물들이 에너지효율성, 생태성, 재활용성, 친사회성 및 건강증진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들 건축물의 사례 분석에서 분석틀을 기반으로 하여 친환경 건축 디자인의 상관성 `낮음 O`, `보통 ◐`,` 높음 ●`으로 현장답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하여 건축물을 분석하고 평가한 후 작성하였다. 이 논문은 LEED 플래티넘과 골드 등급을 획득한 건축물들을 대상으로 LEED 그린 빌딩에 대하여 분석한 것인데, 이와 같이 연구범위를 정하게 된 것은 LEED가 대표적인 국외 친환경인증으로 글로벌 시대에 해외 인증 추진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 이 논문에서 분석된 건축물들은 각각 모두 국외 인증인 LEED플래티넘과 골드 등급인 친환경 건축물로서 우수하지만 일부 건축물은 LEED 그린 빌딩으로서 건강증진성 측면과 친사회성 측면에서 다소 보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LEED 그린 빌딩들은 친환경 건축과 관련된 인증시스템과 병행하여 혹은 고령화사회에 더욱 중요한 요소로서 부각되어질 것이다. 향후 친사회성과 관련하여서는 고령인구와 장애인들을 배려하는 편리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그리고 건축물에 대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를 중요시해 나갈 것이다. (결론) 건강증진성과 관련하여서도 단순히 체력시설 완비와 실내공기 품질의 향상 등에서만 머물러 있지 않고 업무 몰입도와 생산성 향상과 연결되고 있는 지와 관련된 구체적인 성과까지 중요시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Green building contributes to health promotion through eco - friendly characteristics and is positioned as the most efficient and nature - friendly building. These natural-friendly factors include saving or recycling resources, energy and water resources. Thereby resources are efficiently used to reduce the cost of resource and energy use and minimize pollutant emissions. These green buildings ultimately promote health and comfort. Moreover, their unique features are shown from the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and finishing materials. The study will analyze how LEED green buildings are related to energy efficiency, recyclability, ecology, pro-sociality and health pro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LEED green building is suitable to be developed for our future generations who we predict to be living in the highly polluted Earth. (Method) This study is about analyzing the cases of LEED Green Buildings; POSCO Power Future Building, Samsung Global Engineering Building, Grand Seoul, SK Networks New Daechi Building, Seoul Finance Center and SK Chemical Center building, which are certified a `platinum` and `gold` rating by official pro-environmental organizations. For this analysis,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015 to July 2016 to find out how these buildings are related to energy efficiency, ecology, recyclability, pro-sociality and health promotion. The case analyses are made based on the field visits and experts opinions following the analysis frame. The buildings are evaluated and graded into three levels; low O, normal ◐, and high ●, for each of the five assessment criteria. This study is based on analyzing the LEED green buildings which have acquired the `LEED Platinum` or `LEED Gold` certificate. The rationale for the such research range is because`LEED` is becoming one of the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s and increasing number of examples of overseas certification. (Results) Even though the analyzed buildings in this study are officially approved as the excellent eco-friendly buildings, certified with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like LEED Platinum or Gold , some of them still have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health promotion and pro-sociality. LEED green buildings will be further highlight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world facing aging population as with regard to future sociality, the convenienc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disabled is undermined, and the importance of contribution to the local community will be emphasized. (Conclusions) Installation of physical training equipments of good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should not be the final destination of this run. These operations should be leading to higher productivity level of the workers in the building.

      • KCI등재

        보걸의 『내가 운전을 배운 방법』에 나타난 네거티브 감정이입과 젠더 이슈

        강연주 ( Kang Yeonjoo ) 현대영미어문학회 2023 현대영미어문학 Vol.41 No.2

        This paper examines Paula Vogel’s How I Learned to Drive and its nuanced treatment of vexed social and gender issues such as child molestation and young female sexuality. Vogel incorporates historical and cultural references, drawing on a car fetish in the post-war American culture, the Lolita myth and pedophilic 60s music, which is part of the culture in which the characters inhabit. The intention behind Vogel’s dramaturgy is to evoke a sense of negative empathy. Negative empathy is an aesthetic response where there is resistance to empathy but that resistance is overcome due in part to contexts given to protagonists. This way, a character like Peck whose incestuous relationship with his young niece is condemned can be empathized with. Additionally, Vogel demonstrates the complex way young female sexuality is formed by portraying Li’l Bit’s breasts as both a site of sacredness and shame. Applying Vogel’s use of negative empathy to a critical analysis of the play, this paper shows negative empathy is key to understanding the playwright’s work.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미사일 근거리 방어 체계의 초음속 표적 격추 시뮬레이션

        강연주 ( Kang¸ Yeonjoo ),장재국 ( Jang¸ Jaeguk ),지광습 ( Zi¸ Goangseup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지반굴착 흙막이공사 특성상 해석변수인 지형, 조사시기와 방법 등이 현장여건 변화에 따른 토질정수, 적용 토압방법, 구조모델링 등이 불확실함에 따라, 시공 중에 구조적 거동파악과 현장 주변 영향을 감시하는 계측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계측관리시스템은 현장여건 변화에 따른 설계 관리치와 계측치와의 차이를 토압 및 구조거동 예측이 불가능하여, 시공 중 측정된 계측자료를 경험적 판단으로 정성적 구조거동을 분석하여 현장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는 등 정성적으로 평가함으로서, 설계 절대기준치 관리 및 현상파악 정도의 시공관리 목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