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무신도의 신화적 접근

        강연심 ( Kang Younsim ) 한국기호학회 2018 기호학연구 Vol.55 No.-

        우리나라는 문화시대를 맞아 미디어 중심으로 글로벌 한류문화가 형성은 되었어도 한국을 방문한 이들에게 기억할만한 차별화된 콘텐츠들은 아직도 부족하다. 웹툰(webtoon)에서 영화로 개봉된 ‘신과 함께-죄와 벌’을 통해 우리나라 신화소재로 차별화된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신화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문화콘텐츠의 글로벌화에 있어서 차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그 차별화는 뿌리깊이 작용하고 있는 민족성에서 찾아야 한다. 문화콘텐츠화의 문제점으로 대두된 모티브의 부재와 우리나라 신화 이미지 관련 콘텐츠의 부재, 특히 신화가 무속인을 통해 전승되어 저급성에 대한 이미지 탈피 등 우선적 과제 해결을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중요민속자료 24호로 지정된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에 표현된 이미지들에 대한 연구이다.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의 경우 그 표현에 있어서 육지부의 무신도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표현 내용에 있어서는 연구자들마다 독특하고 기이하다는 표현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연구 우시우스 웡(Wuciwus Wang)의 디자인 형태론 분석에서 재현된 요소들이 신화와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의 이미지 표현에 대한 연구는 도상학적 측면에서 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되어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의 도상학적 해석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의 도상학적 해석은 도상학 인식단계에서 우시우스 웡의 디자인형태분석에서 재현적 요소를 활용하였고, 도상학 분석부분에서 관련된 문헌들을 찾아 최종적으로 해석했다. 파노프스키 도상학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많은 부분 우리 역사속의 신화의 맥락과 일치하였고, 우리민족의 내재적 상징을 확인하였다. Although Korea has formed a global Korean wave culture centering on media in the wake of the cultural era,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differentiated contents to remember those who visited Korea. We confirmed that we can present differentiated image to mythical material of my county through ‘With the God - Sin and Punishment’ which was released as a film in Webtoon. As we concentrate on myth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differentia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the globa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the differentiation should be regarded as ethnicity that is deeply rooted. The lack of motifs and the lack of content related to mythical images in Korea, especially the myths of Korea, are handed down through the shamanists, and studies for resolving the priority issues such as the image abandonment of lowness should be continued.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images expressed in "Jeju Naewotdang Musindo Folk 10 God paintings" designated as Important Folklore Data No. 24. In the case of "Jeju Naewotdang Musindo Folk 10 God paintings",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expressions of the land territory in terms of expressions, and the researchers are expressing their unique and odd in expressions. Preceding Research Wuciwus Wong suggested that the elements reproduced in design form analysis can be linked to myths, but it is unfortunate that it is studied in the absence of the land by only the material of Musindo.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value of the image representation is different in color, drawing and icons. The ico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Jeju Naewotdang Musindo Folk 10 God paintings" in Jeju was based on Wuciwus Wang’s reappearance factor in iconoclasm, and finally the related literature in the iconological analysis se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anovsky’s iconography, many of them were in line with the context of myths in our history and confirmed the inherent symbol of our nation.

      • KCI등재

        롤랑 바르트 의미작용을 통한 우리나라 신화 상징체계 연구 -고대 신라신화와 제주신화의 이미지 관계성 중심으로

        강연심(Younsim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이미지는 유구한 역사적 흐름에서 파생되는 신화와 사회적 관습, 정신적인 심상(心象), 의미가 그림으로 기호화하고, 그림은 기호화를 통해 문자와 언어의 상징으로 이어지고, 기호화의 반복을 통해 민족의 상징체계가 형성되었다. 우리나라 민족은 수 천 년 동안 정신적인 단합·단결이 강한 민족이었음을 역사를 통해 알고 있다. 우리 민족의 단합된 정신적 상징체계는 어떻게 활용하고 이루어졌는지 신화 이미지를 통해 연구하고자 했다. 우리 민족은 샤머니즘을 통해 오랫동안 신화 이미지가 유지되어 왔고 아직도 제주신화 이야기는 제의식과 함께 치러지고 있으며, 신화 이야기는 구비문학이라는 학문적인 측면과 이야기 전개 측면을 영화에서만 연구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 민족은 하얀 옷과 연결되어 백의민족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해가 지지 않는 동방의 나라 등 수식어가 태양과 연결된다. 우리 민족은 고조선 신화의 상징성에 하늘의 아들, 홍익인간, 박달나무와 신라의 계림 등 시대에 따라 이어져 왔으며, 언제부터 태양을 사랑한 나라가 되었고, 밝음이 상징이 되었는지 알지 못한다. 우리 민족의 정신적 상징체계와 관련하여 샤머니즘 사상에 내포되어 있는 제주 무신도의 신화적 이미지인 닭과 유사하게 표현된 이미지를 역사적으로 활용된 사례들과 문헌들을 제시하였고, 내표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롤랑 바르트의 의미작용을 통해 신화를 재해석 하였다. 그 결과 날개 손과 몸이 깃털인 반인반수의 표현, 닭이 봉황으로 이어져 밝은 빛과 연결되고 샤머니즘의 빛의 ‘신라’와 연결되어 신의 명칭을 국가명칭으로 가져왔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밝은 빛을 사랑한 우리 민족의 정신적 상징체계 연구에 근거를 마련하였다. Imag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ymbolic system as they are connected with imagination through the association of language. Through history, we know that Korean people have been a people of strong spiritual unity and unity for thousands of years. I tried to study how the Korean peoples unified mental symbol system was utilized and accomplished through mythological images. Our people are recognized as a people of white clothes because they are connected with white clothes, and modifiers such as the country of the east where the sun does not go down are connected with the sun. The Korean people have been handed down according to the times, such as the son of the sky, the Hongik man, the birch tree and the Gyerim of Silla, as a symbol of the myth of Gojoseon, and do not know when it became a country that loved the sun and whether brightness became a symbol. In relation to the spiritual symbolic system of our nation, the mythical image of Jeju musindo embedded in the shamanist ideology was reinterpreted through the meaning of Roland Bart to provide a basis for the study of the spiritual symbolic system of our nation.

      • KCI등재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神位) 디자인 형태 분석

        강연심(Younsim Kang),박영원(Youngw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최근 문화 창조산업에 있어서 문화 콘텐츠 개발은 중요한 실천적 과정이다. 제주도의 설화와 신화 연구는 지역기반 문화 콘텐츠 개발의 근간이 될 수 있다. 제주 내왓당 신화의 대상인 무신도(巫神圖) 10신위는 전해오는 제주 무신도 중에 채색화로는 유일하며, 제주도 민속자료 제7호와 국가 중요민속자료 제2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앨리아데는 “신화의 상징적 사고의 이미지들은 언어와 추론적 이성에 선행하고, 인간존재와 공존하며 아무렇게나 만든 창조물이 아니라 어떤 필요성과 기능에 응하고 있다”고 하였다.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 역시 타지방과는 달리 우리나라 초기 인류의 사고(감정)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는 이미지와 상징들의 원형과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미지와 그 상징적 의미에 접근하기 위해 우시우스 웡(Wucius Wong)의 디자인이론을 중심으로 시각적 요소, 상관적 요소, 실재적 요소로 구분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신위들의 재현들을 통해 무신도 기능적인 측면들을 표현해주고 있으며 고대 우리나라 복식과 인류사상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주신화연구중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적 연구를 진행하여 제주신화의 근원적 연구와 문화콘텐츠 개발를 위한 조형논리를 제공한다.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in cultural creativity industry is very practical process recently. Research about Jeju’s legend and myth should be the basic theory for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based on local cultures. Jeju Naewotdang Musindo 10 gods paintings are unique colored pictures, appointed as Jeju folklore material No.7 and national important folklore material No. 240. Jeju-Do is remained the springhead of absorbed into unique culture for a long time because of Jejus geographical environment condition. Jeju Musindo could be related with the symbol of Jeju‘s myth images and the springhead of emotions of our typical country people. It would be analysed by Wucius Wong‘s design style theory for approaching visual image and symbolic meaning. This research about Jeju Naewotdang Musindo 10 gods paintings could provide design analysis methodology for further theoretical studies about Jeju’s legend and myth for Jeju’s unique cultural content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