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민 유입의 영향과 이주민 지원 및 사회참여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분석

        강수향(Kang, Sue-Hyang),유계숙(Yoo, Gye-Sook)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2

        세계화가 진전됨에 따라 국내에 유입되는 이주민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부처들은 다민족?다문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법 및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주민 유입의 영향과 이주민 지원 및 사회참여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이주민 지원 및 사회참여 관련 정책 형성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40대 한국인 성인 남녀 333명(남 162명, 여 17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이주민 지원과 이주민의 사회참여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40대는 20대에 비해 이주민 유입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셋째, 남성보다는 여성이, 40대보다는 20대 및 30대가, 가구소득이 501만원 이상인 경우 이주민 지원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졌으며, 40대보다는 20대 및 30대가, 대졸 이상일 경우 이주민의 사회참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주민 유입으로 인해 한국인이 피해를 입는다고 지각할수록 이주민 지원 및 사회참여에 부정적인 태도를, 문화적 다양성?개방성이 증진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이주민 지원 및 사회참여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졌다. 또한 문화적 갈등이 발생한다고 생각할수록 사회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With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the number of immigrants is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is preparing policies to cope with the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provides the preliminary data for the formulation of policies for immigrant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immigrants by examining Koreans' attitudes toward effects of immigration as well as toward policies for and social participation of immigrants. The sample came from 333 Koreans(162 males and 171 females) in their 20s to 40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the policies for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immigrants are positive. The respondents in their 40s perceive the effects of immigration as more negative than those in their 20s. The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30s rather than 40s, female rather than male, and those with family income of more than 5,010,000 won, report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olicies for immigrants. Also,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30s rather than 40s, and those with higher education,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about the immigrants' social participation. Finall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re the respondents perceive immigrants as damaging the Koreans, the more negative they are toward the policies for and social participation of immigrants and as enhancing cultural diversity and openness, the more positive they are. Meanwhile, the more the respondents think that immigrants causes cultural conflict, the more positive they are towar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immigrants.

      • KCI등재

        대학생의 성별 및 성경험에 따른 성지식 수준에 관한 연구

        유계숙 ( Gye Sook Yoo ),강수향 ( Sue Hyang K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성지식 수준과 성지식의 내용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성별 및 성경험에 따른 성지식 수준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성교육의 수정 및 보완과 대학의 성교육 강좌 마련에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430명(남 264명, 여 166명)이고, Derogatis의 `Sexual Functioning Inventory`를 사용하여 성지식을 측정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및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의 성지식 수준은 26점 만점에 15.27점으로 성지식이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성지식의 내용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은 `성에 대한 잘못된 통념에 관한 지식`, `성적 자극·반응 및 피임에 관한 지식`, `고정관념으로 인한 기피적 성행동에 관한 지식`, `오르가즘에 관한 고정관념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반응·폐경 및 임신에 대한 지식`, `성반응 및 성욕의 남녀차에 대한 지식`, `남녀의 성생리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욕 및 성적 흥분에 대한 지식`으로 구분되었다.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전반적인 성지식 수준과 `성에 대한 잘못된 통념에 관한 지식`, `오르가즘에 관한 고정관념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반응·폐경 및 임신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욕 및 성적흥분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의 성생리에 대한 지식`수준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또한 성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성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서 전반적인 성지식 수준과 `성적 자극·반응 및 피임에 관한 지식`, `고정관념으로 인한 기피적 성행동에 관한 지식`, `오르가즘에 관한 고정관념에 대한 지식`, `여성의 성욕 및 성적흥분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d college students` general sexual knowledge and elements of sexual knowledge. It also examined differences of sexual knowledge according to sex and sexual intercourse in order to provide data for sex education. The sample came from 430 never married students(264 male and 166 female), and Derogatis`s Sexual Functioning Inventory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factor analysis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sexual knowledge was 15.27 out of 26, representing a very low level of sexual knowledge. The elements of sexual knowledge were yielded as follows: `Knowledge of myths about sexuality`, `Knowledge of sexual arousal, response and contraception`, `Knowledge of stereotyped avoidance sexual behavior`, `Knowledge of myths about orgasm`, `Knowledge of female sexual arousal, menopause and pregnancy`, `Knowledge of sex differences of sexual arousal and desire`, `Knowledge of sexual physiology`, and `Knowledge of female sexual desire and excitement`. Fe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General sexual knowledge`, `Knowledge of myths about sexuality`, `Knowledge of myths about orgasm`, `Knowledge of female sexual arousal, menopause and pregnancy` and `Knowledge of female sexual desire and excitement` than male students did. In contrast, the level of `Knowledge of sexual physiology`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lso,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exual intercourse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General sexual knowledge`, `Knowledge of sexual arousal, response and contraception`, `Knowledge of stereotyped avoidance sexual behavior`, `Knowledge of myths about orgasm`, and `Knowledge of female sexual desire and excit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