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구고령화를 고려한 공공의료비의 장래추계

        강성미 ( Seong Mi Kang ),정형선 ( Hyoung Sun Jeong ),송양민 ( Yang Min Song ),이규식 ( Kyu Sik Le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09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5 No.2

        의료비 장래추계와 관련하여 빈번히 이용되고 있는 변수 중 하나로 고령인구의 증가가 있다. 그러나 고령 인구의 증가는 전부 의료비의 증가로 연결되지 않는다.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고령 인구의 증가 자체보다 노인의 건강상태나 죽음에 이르는 시간이 더 직접적으로 의료비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2050년 공공의료비를 추계함에 있어서 OECD 국가의 연령그룹별 공공의료비 데이터를 사용했고 `건강한 고령화`와 `사망관련비용` 이론을 적용했다. 의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구요인과 비인구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2050년 GDP 대비 공공의료비는 4.9%로 4.1%인 폴란드에 이어 OECD 국가 중에서 두 번째로 낮은 수순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계한 본 연구를 통해 OECD(2006)가 우리나라의 장래 공공의료비를 너무 과대추정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OECD 전체 국가에서 건강한 고령화로 인한 공공의료비의 절감효과가 평균적으로 GDP의 0.8%에 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증가하는 노인 숫자에 현재의 연령별 1인당 의료비를 곱하여 노인의료비를 산출하는 것은 의료비를 과대 추정하게 됨을 시사한다. It would be the increase of the aged people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the forecast of health expenditure. The increase in the share of whole population by the elderly,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all lead to the increase of health expenditure. Existing studies have shown that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or time to death have a more direct impact on the health expenditure. In forecasting the `public health expenditure` in 2050, the paper uses as a basic data per capita public health expenditures by age group of the OECD countries, and applies the hypothesis of `healthy ageing` and the theory of `death related costs`. Population and non-population factors are delineated among impact factors upon the health expenditure. Public health expenditure in the share of GDP is projected to be 4.9% in 2050, maintaining the second lowest among OECD countries following Poland of 4.1%. This result based on the actual data of Korea confirms that OECD(2006) over-estimated the increase of public health expenditures in Korea. The paper also shows that the reduction of public health expenditures due to healthy aging amounts to 0.8% of GDP in OECD countries on average, suggesting that simple forecast of the elderly health expenditure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the elderly in the future by per capita health expenditure by age at present would over-estimate the increase.

      • KCI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단계별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김재희(Kim, Jae-Hee),이유정(Lee, Yu-Jeong),강성미(Kang, Seong-Mi),오유미(Oh, Yu-M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정규교과과정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사회인지학습이론 기반 흡연예방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 하고자 수행되었다. 프로그램 적용대상은 D 광역시 소재 4개 초등학교의 1학년, 3학년, 5학년 학생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이 1학년은 54명과 50명, 3학년은 57명과 54명, 5학년은 101명과 99명이었다. 프로그램 실시는 1학년은 2시수, 3학년은 4시수, 5학년은 6시수가 2013년 11월 1일부터 12월 19일까지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효과측정을 위해 흡연 지식 및 태도, 자아개념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자료의 분석에는 Chi-square test와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후 흡연지식 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흡연태도와 자아개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초등학생 대항 흡연 예방 프로그램은 정규교과과정에 연계되어 단계별로 적용되어야 하며 단기 효과보다는 장기 효과를 목표로 하여야 할 것이다.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5 children in the first to third grade selected from 4 primary schools. Among them, 212 children belong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3 children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provided respectively to first, third and fifth grade children for 2, 4 and 6 teaching-hours from 2013.1.1 to 2013.12.19.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n/toward smoking, self-concept were used as the research tools. Before and after program-implement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smoking, but no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self-concept.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primary school children should be applied step-by-step in conjunction with the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the program should aim for long-term effects rather than short-term effects.

      • 시공감리 체크리스트 분석을 통한 디지털 기술 도입 시 생산성 향상 평가

        김다희 ( Kim Da-hee ),박찬혁 ( Park Chan-hyuk ),유위성 ( Yoo Wi-sung ),정왕영 ( Jung Wang-young ),강성미 ( Kang Seong-mi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2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for supervision work can be explained as an important key to improv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this study, effective digital technologies at construction supervision work is analyzed in terms of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through questionnaires, effective technology introduction strategies is dev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