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강상 ( Sang K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적 맥락이 있는 풍속화를 선정하여,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과학활동을 전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 S유치원 만 5세 2학급을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과학활동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를 통한 풍속화 활동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work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childhood science education genre pictures in Sandler`s picture-reading process affects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s. To do that, this researcher chose the genre pictures that have the scientific context, conducted scientific activities according to Sandler`s picture-reading procedures, and examined its effects. As study subjects, two classes with young children`s aged five years in S kindergarten in the city of I were chose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use of SPSS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education using genre pictures in Sandler`s picture-reading proces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secondly, the science education using genre pictures in Sandler`s picture-reading proces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ies. The results showed the applicability of genre pictures using picturereading procedures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scientific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향토문화재 현장학습을 활용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강상(Kang Sang),윤덕순(Yun Duk-S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향토문화재 현장학습을 활용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유치원의 5세 유아 2학급의 총 31명이었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고 사전검사, 교사교육, 8주간의 향토문화재 현장학습 프로그램,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유아의 역사적 사고력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로는 김혜진(2005)의 검사를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향토문화재 현장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역사적 사고력이 향상되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istory education of fieldwork using regional cultural assets on the historical think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s. The 31 subjects in this study, all 5-year-old children, were even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o measur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he researcher modified Kim Hye Jin's(2005) test. The research sequence was as follows: pretest, application of history education of experience program using local resource for 8 weeks followed by a post-test.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produce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two groups. Als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with SPSS Win 12.0. In the results, the history education of fieldwork using regional cultural assets had as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historical thinking abilities.

      • KCI등재

        방위산업의 재료비관련 위험도 측정에 관한 연구

        선아(Sun-A Kang),조상민(Sang-Min Cho),이재진(Jae-Jin Lee),손상균(Sang-Kyun Son)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경영경제연구 Vol.43 No.3

        본 논문은 방산원가를 구성하는 재료비 중에서 방산도급재료와 관급재료를 중심으로 방위산업체가 부담하는 위험도의 차이를 실증 분석한다. 최근 감사원은 방위산업체가 부담하는 위험수준과 이윤보상을 서로 비례하도록 시행세칙을 개정하도록 요구한 바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방산도급재료와 관급재료의 위험도 차이를 계량화하여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산물자의 재료비에 대해 5가지로 구분한 뒤, 델파이(Delphi) 기법을 통해 방위산업 전문가들로부터 방산물자의 재료비에 대한 9가지 위험요인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계층적 의사결정기법(AHP)을 활용하여 5가지 재료비별로각각의 도출된 위험요인에 대한 수준을 측정한다. 실증분석결과, 위험요인별 가중치를 고려한 이후 방산도급재료의 위험도수준은 29.08%, 관급재료는 5.50%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방산도급재료에 대한 체감 위험수준이 관급재료에 비해 5배 이상 높은 것을 의미하며, 방산도급재료에 대한 이윤보상수준이 관급재료의 경우보다 높아야 함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방산도급재료와 관급재료의 위험도를 계량화하여 비교함으로써, 재료비 분류별 이윤보상에 대한 정책결정에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ifference of risk level between contract material and government suppling material. Recently,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pointed out that the margin of defense industry product should be proportioned to risk level taken. So, this study tries to measure the risk level of contract material and government suppling material. The research methodology is as follows. First, we use Delphi method. We deduced risk factors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in defense industry. Second, We measured risk level of contract material and government suppling material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fter consideration of risk factor weight, the risk of contract material is 29.08% whereas the risk of government suppling material is only 5.50%. The risk level of contract material is over 5 times of government suppling material. It means that the margin for contract material should be more than government suppling material. This study tries to measure the risk level of contract material and government suppling material and presents logical ground for margin policy decision about material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상(Kang, Sang),유수정(Yu, Soo Jeong)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 신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학대관련 지식, 신고태도, 신고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신고의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명확한 관계를 탐색하여 신고의무자로서 유아교사의 신고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충남지역의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90명에게 지식, 신고태도, 신고효능감, 신고의도 및 행동을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학대관련 지식, 신고태도, 신고효능감이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신고태도, 신고효능감, 신고의도가 신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학대 유아의 조기 발견을 위해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에 관한 교육 및 철저한 훈련을 통해 아동학대 신 고에 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고, 또 교사를 위한 전문적인 지원인력을 배치하는 등의 국가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abuse-related knowledge, report attitude, report efficacy which influence child abuse report behavior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port intention and behavior, and exploring the clear relation between them, in order to prepare basic material to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 report behavior as the persons who have a duty to notif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research questioned 29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Daejeon, Chungnam area regarding knowledge, report attitude, report efficacy, report intention and behavior.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abuse-related knowledge, report attitude and report efficacy appeared to influence report intention, also, report attitude, report efficacy, and report intention appeared to influence report behavior. Therefore, national support, e.g. enhanc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on child abuse notification through the education and radical training in respect of child abuse recognition and notification in order for the early detection of battered child, also, arrangement of professional supporting manpower for the teachers, etc. are required.

      • KCI등재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강상(Kang, sang),류경희(Ryu, Kyung-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변화와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와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88명이다.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 및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수준은 중간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사회에 대비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먼저 의사결정능력 중 가장 필요한 능력으로는 ‘정서활용능력’, 교육활동으로는 ‘상황에 따른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활용해 볼 수 있는 활동’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의 방안으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라고 요구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아 의사결정능력 함양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교사연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상황에 적절한 여러 가지 대안을 모으고 최적의 선택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활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연수를 통해 의사결정능력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교재교구 및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I-city and J-city areas.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depending on questions were produce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to find ou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was shown to be positive by and large.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about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was shown to be upper-middling. Lastly, when it came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promot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for the future society,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emotional literacy’ and ‘ability to use situational proper communication techniques’ were most needed. The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necessary to develop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lead to the following facts. First, a program development and a related teacher training are needed to improve the early childhood’s decision-making ability. Second, in the process of gathering some situational alternatives and selecting optimal conditions,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o give chances to regulate and control themselves need to be provided. Third, through teacher training, concrete information related to decision-making ability and various teaching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반복적 동화 들려주기 활동과 동화구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및 이야기 구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상 ( Sang Kang ),신지혜 ( Ji Hae Shi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동화제시 교수학습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최근 강조되고 있는 반복적 동화 들려주기 활동과 동화구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북에 위치한 J유치원 만 5세 유아 50명(학급당 25명)을 대상으로 각각 반복적 동화 들려주기 집단과 동화구연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은 반복적 동화 들려주기 집단이 동화구연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야기 구조화 능력에서는 동화구연집단이 반복적 동화 들려주기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 언어능력의 변인에 따라 동화 제시방법이 다르게 적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purpose is tested effect of child linguistic ability through verity now emphasis repetitive reading to nursery tale and story telling to offer foundation data for nursery tale teaching method at field of children education. This study processed experiment which is both repetitive reading group and storytelling group through 50 of 5 old children(25 old each class) at J kindergarten in 전북. According to result of research, Repetitive reading to nursery tale group is higher than story telling group. But Storytelling group is higher than repetitive reading to nursery tale group in narrative structure ability. That is, Result could be known to be applied is applied differently.

      • KCI등재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와 유아의 인지능력관계에서 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분석

        강상 ( Sang Kang ),신지혜 ( Ji Hey Si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유아의 인지능력과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 유아의 자아개념, 정서지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가 유아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전라북도 익산지역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212쌍을 대상으로 어머니 애정적 태도, 유아의 자아개념, 정서지능, 인지능력을 조사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는 인지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은 인지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는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또 정서지능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 인지능력 발달을 위한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reveale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cognitive ability and mother`s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and the self-concep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lf-concep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in the process of how mother`s affectionate child-rearing affect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based on theoretical bases about related variables which have influence on children`s cognitive ability. We took 212 5 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ttending kindergartens in Northern Jeolla Province as the subjects, and studied the mothers`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self-concep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children, and analyzed its structural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ability. However, self-concept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direct impact on cognitive ability. But mother`s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s had an indirect impact on the self-concep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atter of medi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esented sugges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re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cognitive ability, as well as for a follow-up stud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강상(대전대학교

        강상(Kang, Sang),이정민(Lee, Jung-Mi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에 있어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자아탄력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는 교사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에서도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 주요 요인임이 확인되었고,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기반 확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ing and job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To achieve the study goals, a survey was carried out for 221 early childhood teacher working at nursery facilities with in jeonlabuk-do Province. The analysis of data use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Baron & Kenny(1986) s mediating analysis, and Sobel test. The study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ing, while ego-resilience plays a partially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s positiv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ing, while ego-resilience plays a partially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ing is an important factor for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회계정보의 질과 경쟁강도가 노동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선아(Sun-A Kang),조상민(Sang-Min Cho) 한국경영학회 2017 Korea Business Review Vol.21 No.1

        본 논문은 기업의 내부와 외부에서 지배구조의 역할을 담당하는 회계정보의 질과 경쟁강도가 노동투자(Labor Investment)의 효율성을 개선하는지 분석한다. 노동투자는 결정 후 번복이 어렵고 향후 지속적인 현금유출을 수반하며 기업구조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하지만,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 및 경영자와 외부투자자의 정보비대칭으로 인하여 비효율적인 투자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계정보의 질이 노동투자의 비효율성을 완화한다는 해외 선행연구 결과를 확장하여 국내노동시장을 대상으로 회계정보의 질과 경쟁강도가 노동투자 효율성을 개별적으로 개선하는지 분석하고 회계정보가 노동투자 효율성을 개선하는 정도가 경쟁강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다. 노동투자 비효율성은 노동투자의 기대수준과 실제 노동투자의 차이(절대값)으로 정의하고 노동투자 기대수준은 Pinnuck and Lillis(2007)의 모형을 사용한다. 분석결과, 회계정보의 질과 경쟁강도는 각각 노동투자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정보와 경쟁강도 모두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의사결정 유인을 억제하고 경영자와 외부투자자의 정보비대칭을 완화함으로써 노동투자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전체표본을 과잉투자와 과소투자 표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회계정보는 과소투자 표본에서, 경쟁강도는 과잉투자 표본에서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투명한 회계정보는 노동투자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경쟁강도는 과잉투자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노동투자를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회계정보와 경쟁강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쟁강도가 낮은 상황에서 회계정보가 노동투자 효율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과소투자표본에서 유의하게 발견되었다. 최근 해운업과 조선업에서 구조조정이 이슈가 되는 상황에서, 회계정보와 경쟁강도가 각각 그리고 상호보완적으로 노동투자 효율성을 개선하며 회계정보는 노동투자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경쟁강도는 과잉 노동투자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노동투자의 효율성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또한, 과소노동투자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회계정보와 경쟁강도가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도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wo corporate governance factors, accounting quality and competition intensity, improve labor investment efficiency in Korea.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and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 and investors cause labor investment inefficiency. Labor investment inefficiency is defined as the gap between expected and real labor investment and the expected labor investment is measured with Pinnuck and Lillis(2007).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Q and competition separately improve labor investment efficiency as expected. They decrease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and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 and investors. We document AQ increases labor investment in underinvestment sample whereas competition decreases it in over sample. Second, AQ improve labor investment efficiency much more in lower competitive situation, which is significant in under sample. It suggests both AQ and competition hav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in improving labor investment efficiency.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whether AQ and competition improve labor investment efficiency in Korea. Second, it reports AQ has complimentary role of competition in improving labor investment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