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관계적 정체성 교육 : 리꾀르의 관계적 자아이해와 룻기의 성경적 통찰을 중심으로

        강미랑(Kang, Mi Rang)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0 평화통일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평화통일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이론형성과 성경의 통찰을 찾고자 시작되었다. 먼저 기독교교육이 통일을 이야기하는 것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인간교육에 있어서 교육의 장인 가정, 학교, 교회, 사회가 분단으로 인해 여러 면에서 왜곡되어 있고, 그것들이 극복되어야 전인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평화로운 통일을 위해 정치적인 접근만이 아니라 70년 이상의 분단으로 형성된 간극들을 함께 풀어갈 수 있는 삶의 역량들을 교육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고는 두 분단된 한반도의 양쪽 국민들이 함께 살아갈 준비단계로서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함께 살아가기 위한 관계적 정체성을 교육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육의 기초이론으로 리꾀르의 자아정체성 이해와 내러티브 정체성 개념, 그리고 정체성 형성을 위한 내러티브 해석학을 다루고, 기독교교육의 원천적 이야기인 성경의 해석을 통해 성경과의 관계에서 재구성되는 관계적 정체성을 제시한다. 특히 룻기의 해석을 통해 아름답고 평화로운 공동체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성경적 통찰을 발견하였다. 룻기에 등장하는 룻, 나오미, 보아스를 비롯하여 잠시 등장하는 밭의 일꾼들, 성문의 장로들, 베들레헴 여인들 모두가 자신의 유익만을 구하지 않고, 자발적인 섬김으로 타인의 안위를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 모든 차이들을 극복하며 사랑으로 희생을 아끼지 않는 이 공동체 위에 하나님께서는 생명을 주시고, 평화의 공동체가 되게 하신다. 남북의 통일도 이렇게 평화의 공동체를 이루는 개개 사람들의 관계적 정체성 형성으로 준비되고 모두가 협력하여 아름답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article is a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to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hristian education, especially with the perspectives of the reformed theology, purposes to restore God’s image in every aspect of the human development. However, our educational context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e experience the painful traces of the division in each circumstance concerning the family, the school, the church and the societies. Korean educational situation is not so suitable for the formation of the sound human self-identity in relation with their environm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human self-identity formation in order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peacefully. First of all, when we think about the reunification of Korea, we have to prepare for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namely the North Koreans, who have the different thoughts, cultures, attitude, and lifestyles due to a time difference of more than 70 year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article is P. Ricoeur’s understanding of self-identity and the narrative hermeneutics. Following this narrative identity theory, we try to interpret the story of Ruth in the Bible. Ruth is a beautiful and peaceful story of the people with the relational identity. The story of Ruth has various characters with differences. The Bible story of Ruth suggests a concept of the peaceful community in which each member does their best to respond to the close other’s needs. This community is led by the grace of the Lord. Hesed is the key word in the book of Ruth. Ruth, Naomi and Boaz, furthermore ten elders and the women in Bethlehem except the first kinsman-redeemer who was just called as “friend” or “such a one” without mention of his name, they made a cooperation to build their peace community. An autonomous participation for the help of the relatives in crisis makes the peace community. In this peace community God gave a birth of a life. The biblical book of Ruth shows the way of peace and life. The Bible invites us to follow that story in our own situation.

      • KCI등재

        정보화시대 속에서 기독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해석적 성경교육법

        강미랑(Mi-Rang Ka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3 기독교교육정보 Vol.39 No.-

        본 논문은 정보화시대 속에서 기독인의 정체성 형성을 목적하는 성경공부 방법을 연구한 실천신학적 연구이다. 정보화 시대에 대한 교육학자들의 분석, 성경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등을 간략히 살핀 후, 성경교수학의 이론적 토대로 역사 속에서 기독교인의 정체성에 대해 물으며 삶으로의 적용을 위한 성경해석을 시도한 프랑스 개신교 철학자 리꾀르의 내러티브 정체성 이론과 증거의 성경해석이론을 다루었다. 그리고 교수학적 실천이론으로는 네덜란드 실천신학자용꺼의 성경 교수학적 기초이론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틀을 활용하여 한국의 지역교회 상황에서 소그룹성경공부를 진행하여 이론을 활용, 검증하였고, 그 결과 얻게 된 교수학적 통찰들을 정리하였다. 정보화시대의 특징들 속에서 성경교육은 기독인이 해석의 공동체 속에서 성경과, 매일의 삶과의 해석적 작업을 통해 참된 증거를 발견하고, 기도하며 삶으로 그 증거를 입증하는 실천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한다. This study, as a practical theological study, examines how we educate the Bible for Christians" identity formation in the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 survey the views of some Christian educational scholars on this Information Age. Further, I briefly observe preceding studies on the Bible education. In the second part, Ricoeur"s narrative identity and the biblical hermeneutic theories are used in order to apply Biblical insights to Christian"s lives. It is fundamental theories of this Bible study. Finally, I deal with some practical theories for the Bible study from Dutch practical theologian, Evert Jonker. I try to develop my own bible didactical theory from those theories, based on my practice which was done several times in a small group Bible study setting of a Korean local church. This study purposes to suggest the Bible didactical frameworks drawn from above theories and practices in order to form the Christians" identity in relation with the Bible through the hermeneutical process with other Christians in a small group situation.

      • KCI등재후보

        개혁교회 신앙전수를 위한 교리교수법 연구

        강미랑(Kang, Mi Rang) 개혁신학회 2019 개혁논총 Vol.48 No.-

        그리스도인은 무엇을 통해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설명할 수 있는가? 특히 개혁교회 에 속한 교회는 성도들을 개혁교회의 신앙고백으로 양육하여 그들의 정체성이 그 신앙위에 세워지도록 해야하지 않는가? 본 논문은 개혁주의 전통에 있다고 스스로를 정의하는 교회들이 성도들에게 개혁주의 신앙이무엇인지 가르치는 교육커리큘럼을 가지고 있는지 물으며 종교개혁가들이 되찾은 교리교육의 자리를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나타난 신앙교육의 내용과 방법들을 약술하며 세례교육의 중요성을 발견하였고, 평생에 걸친 신앙의 삶을 훈련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개혁교회의 사상적 체계를 세운 칼빈의 교회론에서 교육의 의미를 정리함으로 개혁교회 성도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리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칼빈의 하나님의 교육(pedagogia Dei)이론에서 인간교사의 역할과 성령의 역할, 말씀의 가르침과 성례, 삶의 훈련으로서의 권징의 의미를 통해 교리교육의 내용과 목적을 찾을 수 있다. 종교개혁 직후 작성되기 시작한 개혁교회의 신앙교육서들을 가지고 세례를 중심으로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교리교육을 제안했다. 특히 청소년들이 세례 및 입교 전 교육을 통하여 개혁주의 신앙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리교육서로 철저히 교육하고, 교회의 회중 앞에서 자신들의 신앙을 공적으로 고백하게 함으로 한 명 한명 개혁신앙의 담지자들로 세워간다. 이러한 교리교육을 위해 먼저 목회자들과 교사들이 성경과 개혁주의 신앙교육서들을 잘 공부하여 성령충만한 신앙교사로 세워지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하나님은 인간교사를 통하여 자기백성들을 교육하기 원하신다. With what can the Christians form their identity as Christians? Especially, it is strongly necessary for the Christians who belong to the Reformed Churche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on the faith, by educating the congregation members through the Confessions of the Reformed Churches. This articles aims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the Catechesis which was re-discovered by the Reformers of the sixteenth centuries, while asking the meaning of the Reformed Theology to the congregation members who are defining themselves as on the Reformed tradition. At first, this article portrayed the contents and methodologies of the education of the faith which were discovered through the Bible and the Church History. Further, while uncovering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for the Baptism, this paper was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the training of the life with the faith throughout the whole lives.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Catechesis for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the congregation members in the Churches with the Reformed tradition, while summarizing the definition of the education, with the ecclesiology of John Calvin who established the systematic thoughts of the Reformed Churches. From the theory of “pedagogia Dei” of Calvin,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contents and goals of the Catechesis through the meaning of the tasks of the human educators and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the teaching the Word of God, the Sacraments, and the disciplines as the training of the life. This article proposed the Catechesis which promoted the change of the life with the Baptism and the catechism of the Reformed Churches which began to be written just after the Reform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Reformed identity of the faith of the youth, it is fervently essential to give a thorough education with the catechism through the Baptism and the education before the confirmation. Furthermore, to confess their own faith in public helps to set up the responsible Christians with the Reformed perspectives. For this Catechesis, most of all, it must take precedence for the pastors and teachers of the Churches to study the Bible and the catechism of the Reformed faith. As a conclusion, it ought to be recognized that God wants to educate His people through the human teachers and educators.

      • KCI등재후보

        하이델베르크요리문답교육을 통한 개혁주의 종말신앙 형성

        강미랑 ( Mi Rang Kang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0 No.-

        본고는 한국교회 성도들이 어떠한 이단들의 미혹에도 흔들리지 않고 참된 믿음을 지켜갈 수 있도록 성경적 종말신앙을 교육함을 목적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451년의 전통을 지닌 개혁교회의 유산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를 그중요한 교육적 도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먼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작성 당시의 교육의도와 전 유럽에 가장 활발하게 영향을 미쳤던 시대의 교육상황을 집중 조명하여 봄으로써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신앙 교육적 의미를 살피고 오늘에 적용할 교육적 통찰을 끌어내었다. 계속해서 그 구조가 가지고 있는 유용성과 그리스도 중심의 하나님 나라 사상을 연구함으로써 오늘날 성도들의 종말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종말신앙의 토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교육의 본래적 목적은 지정의의 통합된 교육이었고, 가정, 교회, 학교의 교육의 장의 연합을 통한 삶의 전 영역에 걸친 신앙의 삶의 교육이었고, 출생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성도 전 생애에 걸친 평생교육이었다. 즉 믿음이 지식으로 만이 아니라 의지로, 삶의 행동으로, 그의 깊은 고백으로 통합되어 그들이 만나는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그 믿음의 내용을 붙잡고그리스도인답게 이겨나갈 수 있는 힘이 되도록 교육하였고, 그 궁극적 힘은 부활과 영생을 믿는 종말론적 신앙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실천신학적 논문으로서 본고는 한국교회 상황에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교육을 위한 교육의 기회들을 탐색하고, 소그룹인도의 실제를 위한 간단한 교안을 첨부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교회가 이 요리문답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잘 실천하여 성도들을 참된 믿음을 훈련하고, 성화의 삶으로 이끌고, 현세에서의 삶 뿐 만아니라 죽음 이후의 영생을 소망하는 견고한 믿음으로 교육하는 신앙 공동체가 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to educate Korean Christians in order that they form reformed eschatological faith from the Bible. Then they will not be infatuated by any kinds of heresies with false eschatology. On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use Heidelberg Catechism as a catechetical tool. It will give us very important insights for our christian education from it``s long reformed heritage of a faith worth teaching. This Catechism have been endured for 451 years by the world reformed churches. Heidelberg Catechism as a textbook has functioned the students to learn not only with their mind but also with their heart. The whole person is involved in this learning proces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catechesis (christian education) is living as a Christian. By a lifelong learning process Christians realize that Jesus Christ is their only comfort in their life and their death, and they are equipped with true faith. Heidelberg Catechism introduces great benefits that Christians receive from the sacrifice and death of Christ on the cross, Resurrection and Ascension and so on. This effectiveness of Christian faith is apply to Christian daily life in this world and as well as life after death, to eternal life. Christian life seeks sanctification with gratitude in this world, at the same time Christians wait for eagerly coming Kingdom of God. As a practical theological thesis, this article tried to search for the educational setting for education of Heidelberg Catechism. Then I add a simple example for lesson in a small group in order to form the eschatological view with the Heidelberg Catechism as a textbook.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eschatological education of Korean churches as follows: education for true faith with knowledge and commitment, emphasis on life of sanctification as fruits of gratitude, and learning from historical persons of faith with hope of resurrection.

      • KCI등재

        일반 : 리꾀르의 Narrative Identity 이론의 소그룹 성경공부에로의 적용

        강미랑 ( Mi Rang K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이 논문은 리꾀르의 이야기적 정체성 이론을 소그룹 성경공부에 적용하기 위한 교수학적 이론형성을 목적한다. 리꾀르는 자아와 타자간의 반성적이고 해석적인 활동을 통하여 인간이 자아이해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해석으로서의 정체성은 다른 이들과 다른 이야기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반성의 결과이다. 그의 이야기적 정체성 개념은 성경본문과 독자사이의 의사소통적 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이야기적 정체성은 본문의 세계와 독자의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이 해석적 과정을 리꾀르는 선구성-구성-재구성의 이야기적 구조로서 설명한다. 리꾀르는 이야기, 즉 본문의 언어들이 우리의 삶의 행동으로 옮겨져 우리의 삶을 위한 실천적 제안과 가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는 해석의 길을 찾고자 하였다. 특히 성경본문의 해석에 있어서 증거의 개념을 사용함으로 성경의 권위의 의미와 독자의 실천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리꾀르의 이야기 해석학은 소그룹 성경공부를 통하여 자아정체성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참가자들에게 성경과 자신, 타자간의 해석적 과정을 통한 풍성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룹은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타자와의 만남을 제공하고, 해석의 공동체로서 개인의 해석을 점검하고, 타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듣게 한다. 소그룹 성경공부에서 인도자는 그룹 속에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신앙여정의 동반자로서 함께 대화하는 파트너이면서 동시에, 신학자이자, 영적 안내자로서 개개인의 다양한 정체성 재구성 작업을 격려한다. 본 논문은 성경연구를 통해 기독인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리꾀르의 이야기적 정체성이론과 그 교육의 장으로서 소그룹 성경 공부라는 한 방법을 연결함으로 설명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form Bible-didactical theory to apply the theory of Ricoeur`s narrative identity to Bible study in a small group. Ricoeur`s understanding of the self is that a human being can understand one`s own self through the reflective and interpretative activities of others. This identity as interpretation is the outcome of refle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and other narratives.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ve relation among the Bible texts and its writers and readers or hearers. Narrative identity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orld of the text and the world of the reader. This interpretative process is represented as ``narrative arc`` that moves from prefiguration through configuration to prefiguration. Through these hermeneutical phases, readers or participants of the Bible study get the practical proposals or possibilities for their own lives. Ricoeur`s hermeneutic of testimony helps the Korean church as a hermeneutic community to accept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ous (personally applied) interpretations and to cooperate with hope from the biblical testimonies, and to form its own attestation. In relation to Christians` identity, this hermeneutics offers rich possibilities in the process of shaping their identity through Bible study. Especially in the group situation they can learn each other with the Bible. Group functions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i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rough the Bible study, a leader plays a role as a companion making a journey with other participants in the group. At the same time the leader takes a role as leading learner who is a theologian and spiritual gu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