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배달앱 기사는 왜 배달 노동에 머무는가? - Bourdieu의 자본이론을 중심으로 -

        강명주(Kang, Myungjoo),김수영(Kim, Su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1

        배달플랫폼의 발전에 따라, 교통사고로 인한 배달앱 기사의 부상과 사망, 불합리한 고용상태처럼 배달앱 노동을 둘러싼 심각한 사회문제들이 대두되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여전히 배달앱 기사가 배달앱 노동을 지속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연구는 배달앱 기사가 배달앱 노동을 통해 실제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Bourdieu의 자본이론을 분석틀로 활용해, 총 13명의 배달앱 기사의 다차원적 자본의 획득과 상실 과정을 분석했다. 본문에서는 전반적인 자본이 부족했던 배달앱 기사들이 배달앱 노동을 통해 경제, 사회, 문화, 상징자본을 끌어올리고자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배달앱 노동의 장 안에서 획득했던 자본들을 상실 · 변형되는 과정을 추적했다. 또한, 배달앱 기사들이 상실한 자본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경제자본의 극대화에 초점을 맞춰 자본의 재생산을 시도하면서, 배달앱 기사들의 고유한 아비투스가 형성되는 상황을 드러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자본의 획득, 상실, 회복의 반복적 과정이 배달앱 기사의 생존방식이자, 현 배달앱 노동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궁극적 원인임을 밝힌다. 결론에서는 이를 토대로 배달앱 기사의 사회보장을 위한 대안을 논했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elivery platforms, serious social problems surrounding delivery app labour are emerging, such as traffic accident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But many delivery app drivers are still willing to work on delivery apps. From the perspective of delivery app drivers" social space, this study intends to closely look at what they are getting and losing through delivery app labor. To this end, the autho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3 delivery app drivers, using Bourdieu"s capital theory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investigate how they acquire and lose multiple forms of capital in the field of delivery work. The delivery app drivers, who had lacked overall capital, pursued raising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symbolic capital through delivery labor. But over time,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losing and transforming the capitals acquired in the field of delivery labor. The delivery app drivers attempted to reproduce capitals by focusing on maximizing economic capital to restore their lost capitals, forming a unique habitus of delivery app drivers. This paper reveals that the iterative process of acquiring, losing, and recovering such capital is the survival mechanism of delivery app workers. This is also the fundamental cause which delivery workers continue to work on the current delivery app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 discusses alternatives for the social security of delivery app workers.

      • KCI등재

        서울 관악구 도심지역 미세먼지(PM<sub>10</sub>) 관측 값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농도변동 예측

        최한수,강명주,김용철,최한나,Choi, Han-Soo,Kang, Myungjoo,Kim, Yong Cheol,Choi, Hanna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0 지하수토양환경 Vol.25 No.3

        Since fine dust (PM<sub>10</sub>)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il and groundwater composition during dry and wet deposition processes, it is of a vital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fate and transport of aerosol in geological environments. Fine dust is formed after the chemical reaction of several precursors, typically observed in short intervals within a few hours. In this study, deep learning approach was applied to predict the fate of fine dust in an urban area. Deep learning training was performed by combin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techniques. The PM<sub>10</sub> concentration after 1 hour was predicted based on three-hour data by setting SO<sub>2</sub>, CO, O<sub>3</sub>, NO<sub>2</sub>, and PM<sub>10</sub> as training data. The obtain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value, R<sup>2</sup>, was 0.8973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for the entire concentration range of PM<sub>10</sub>, suggesting deep learning method can be developed into a reliable and viable tool for prediction of fine dust concentration.

      • KCI등재

        플랫폼 경제활동에 대한 시론적 고찰

        김수영(Kim, Suyoung),강명주(Kang, Myungjoo),하은솔(Ha, Eunsol)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4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일의 형태와 의미 자체를 질적으로 바꿔놓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산업경제의 사업장 노동자를 전형으로 구축되었던 기존의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재조정을 촉구한다. 하지만 디지털 플랫폼내에서의 경제활동이 산업노동과 어떤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어떤 사회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플랫폼 경제활동자에 속하는 크리에이터, 공유경제 자원제공자, 앱노동자의 실태를 개괄하고, 이들의 경제활동이 산업노동과 다른 측면을 시간적 차원(유연성), 공간적 차원(가상성), 속성적 차원(연결성)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나아가 이 3가지 특성이 파생시키는 사회적 위험과 이에 대비한 사회적 안전망을 정책선례들을 들어 서술했다. 본 연구가 시론적이나마 미래의 노동방식에 적합한 사회보장제도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일조하길 바란다. The development of ICT has led to changes in the pattern and the meaning of work and requires restructuring of the existing social security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chiefly for the wage workers in the industrial economy. However, while economic activities within the digital platform markets are different from industrial labour,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what social problems platform workers can face and how to cope with them. As a comprehensive sketch of economic activities in platform economy, this study identifies the types of platform workers and analyses three characteristics of their economic activities ― flexibility, virtuality, and connectivity. It then examines what social risks can be derived form the thre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lastly suggests alternative social safety nets and policies to alleviates the social risks and problems that platform workers may face in the digital society.

      • KCI등재

        플랫폼 노동자가 경험하는 시공간 구조와 대응전략

        김수영(Suyoung Kim),강명주(Myungjoo Ka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22 한국사회정책 Vol.29 No.1

        본 연구는 플랫폼 노동을 통해 노동자가 경험하는 시공간 구조와 대응전략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가상세계는 인간이 활동하는 시공간을 무한히 확대시키고 있다고 간주되어 왔다. 디지털 플랫폼 노동도 사업장이라는 한정된 노동공간과 9-to-6 라는 특정한 노동시간에 기반을 둔 기존 산업사회 노동과 다른 시공간의 양태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플랫폼 노동의 특징을 본질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의 구조변화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세계의 시공간 이론과 플랫폼 노동자 30명의 실증적 인터뷰 사례를 바탕으로, 플랫폼 노동을 통한 시공간 재편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간적 측면에서 플랫폼 노동자는 ‘공간의 확장과 축소’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다. 가상세계에서의 노동은 특정 아날로그 사업장을 넘어 일의 공간을 무한히 확대시키고 있지만, 반면 일상 속 생활반경은 도리어 축소되거나 고립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시간적으로도 플랫폼 노동은 ‘시간의 압축과 이완’을 동시에 일으키고 있었다. 초고속과 동시성을 지닌 가상세계에서는 노동활동도 초고속으로 진행되기에 노동자들은 시간압박을 경험하고 있었지만, 반대로 노동시간 압박으로 인한 정신적 긴장을 해소하기 위한 반작용으로 비노동시간에는 무위(無爲)를 통해 시간 리듬을 본능적으로 이완시키려는 경향이 강했다. 플랫폼 노동자들이 가상세계의 시공간 속성에 순응하면서도 인간의 생체리듬을 회복하기 위해 자신의 시공간을 재조율하는 모습도 드러낸다. 결론에서는 플랫폼 노동의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했을 때 어떠한 사회정책이 보완될 필요가 있는지를 논의한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latform workers experience and deal with their time and space. It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digital virtual world expands the time and space in which people live and work. While an analogue industrial worker works at a specific space (workplace) during certain working hours (9-to-6), digital platform economy blurs such time-space boundary.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labou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tructural change of time and space. Based on the classical theories of time-space and empirical interview cases of 30 platform workers, this paper examines the time-space reorganization through platform labour.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platform workers experience the expansion and the reduction of space at the same time. Labour in the virtual world enlarges the working space beyond specific offline workplaces, while the radius of daily life tends to be reduced or isolated. In terms of time, platform labour causes the compression and the relaxation of time at the same time. In the timeless virtual world, workers are pressured to work at ultrahigh speed, but on the contrary, they tend to instinctively loosen the time rhythm at break as a reaction to relieve mental tension caused by working pressure. This study also reveals how platform workers try to readjust their time and space for the restoration of human bio-rhythms. Considering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tform labour, this article finally discusses what kinds of social policies need to be introduced.

      • 미국, 호주, 영국의 자활역량평가제도 비교

        이상아 ( Lee Sang A ),강명주 ( Kang Myungj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 국제사회보장리뷰 Vol.28 No.-

        이 글에서는 미국, 호주, 영국의 자활역량평가제도를 소개하고, 각국의 평가 내용, 평가 방식, 절차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미국, 호주, 영국의 자활역량평가제도의 맥락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자활사업 참여자에 대한 역량평가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근로활동 이행 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역량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근로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리적・인지적 측면과 산술능력이나 쓰기, 암기능력과 같은 인지・학습 능력부터 컴퓨터 능력과 같은 업무 기술 등이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각국의 자활역량 유사지표의 특징은 한국의 자활역량평가가 세밀하고 정교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elf-sufficiency assessments implemented in the US, Australia, and the UK and compares them in terms of what each consists of―aspects assessed, methods used, and processes involved. These assessments vary in the policy context in which they are conducted. When it comes to the capacity assessment of self-sufficiency project participants transitioning to work, however, the common focus is on competencies that should matter in work. Specifically, these assessments are conducted on factors that are likely to affect one’s work activities, such as one’s psychiatric and cognitive aspects, cognitive learning abilities (arithmetic ability, writing skills, ability to memorize, etc.), and job skills (computer skills, etc.). The various versions of self-sufficiency assessment indicators used in the three countries suggest that Korea’s self-sufficiency assessment needs to be designed in detail and with pre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