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wden 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캔디다 식도염 1예

        강경지,윤혜정,류성렬,류남희,강유나,황진복,Kang, Kyung-Ji,Yun, Hye-Jung,Ryu, Seong-Yeol,Ryoo, Nam-Hee,Kang, Yu-Na,Hwang, Jin-Bok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1

        Cowden's syndrome is a harmatomatous polyposis syndrome with characteristic mucocutaneous lesions and among the spectra of clinical disorders that has been attributed to germline mutations in the PTEN gene. Although Cowden's syndrome has rarely been reported, immunologic studies have revealed that patients with this syndrome have humoral and/or cellular immune abnormalities. We recently identified a 21-year-old woman with Cowden's syndrome who was diagnosed with candida esophagitis without a history of diabetes, carcinoma, or steroid therapy. We report the immunologic status of this patient and the relationship with candida esophagitis on the basis of a literature review. Cowden 증후군으로 진단되어 추적 관찰 중인 21세 여자에서 위장관 용종의 정기적 관찰을 위하여 시행한 내시경 검사 중 캔디다 식도염이 발견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면역학적 이상, 진균 식도 감염의 선행 질환, 투약의 병력이 없었고, 뚜렷한 식도 감염의 임상 증상도 없었다.

      • KCI등재

        임상 ; 신생아 위장관 천공에서 괴사성 장염군과 기타군의 임상양상 및 사망률 비교

        강경지 ( Kyung Ji Kang ),송지현 ( Ji Hyeun Song ),김천수 ( Chun Soo Kim ),이상락 ( Sang Lak Lee ),최순옥 ( Soon Ok Choi ),박우현 ( Woo Hyu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2

        목적: 신생아 위장관 천공의 빈도와 사망률이 높은 괴사성 장염을 다른 원인들과 비교를 통해 사망률 증가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위장관 천공으로 수술한 신생아 28명을 후향적의무기록조사를 통해 괴사성 장염군과 기타군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특성과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원인으로 괴사성 장염이 35.7%로 가장 많았고 기타 원인(장관 폐쇄, 장관 회전이상, 태변 복막염 등)이 64.3%였다. 괴사성 장염군에서 유의하게 재태주령이 낮고(32.8±4.6주 vs. 36.8±2.7주, P=0.028), 천공 진단일이 늦었으며(16.3±9.7일 vs. 2.2 ±1.8일, P=0.001) 사망률이 높았다(50.0% vs. 5.6%, P=0.013). 단순 회귀분석에서 재태주령(OR 0.69, 95% CI: 0.51-0.95, P=0.022)과 괴사성 장염(OR 17.00, 95% CI: 1.60-181.36, P=0.019)이 유의한 위험인자였으나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괴사성 장염(OR 7.70, 95% CI: 0.55-108.06, P=0.130)과 재태주령(OR 0.79, 95% CI: 0.58-1.09, P=0.151)은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괴사성 장염군에서 유의하게 재태주령이 낮고 사망률이 높았으나 다중 회귀분석결과 낮은 재태주령과 괴사성장염 자체는 사망률 증가의 유의한 위험인자는 아니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 of neonatal gastrointestinal perforation due to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and other etiologic diseases (non-NEC).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neonate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Dongsan Medical Center for gastrointestinal perforation between January 1999 and December 200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admission records for clinical findings and mortality were review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or both groups. Results: Among 28 neonates, NEC group was 35.7% and the other group (intestinal atresia, malrotation, meconium peritonitis, etc) was 64.3%. The mean gestational age was significantly shorter (32.8±4.6 weeks vs. 36.8±2.7 weeks, P=0.028) and the mean diagnostic day was significantly later (16.3±9.7 days vs. 2.2±1.8 days, P=0.001) in the NEC group than that of the non-NEC group. The mortality rate was markedly higher in the NEC group (50%) than that of the non-NEC group (5.6%)( P=0.013). By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estational age (OR 0.69, 95% CI: 0.51-0.95, P=0.022) and NEC (OR 17.00, 95% CI: 1.60-181.36, P=0.019) were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to increase the mortality rat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NEC (OR 7.70, 95% CI: 0.55-108.06, P=0.130) and gestational age (OR 0.79, 95% CI: 0.58-1.09, P=0.151) were not the significant independent risk factors.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gestational age was shorter and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the NEC group than the non-NEC group. However, afte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NEC or lower gestational age itself did not increase the mortality rate significantly.

      • KCI등재

        임상 ; 미숙아에서 태변 장폐색의 임상적 특징 및 예후

        김천수 ( Chun Soo Kim ),김은하 ( Eun Ha Kim ),이상락 ( Sang Lak Lee ),강경지 ( Kyung Ji Kang ),이금채원 ( Geum Chae Won Yi ) 대한주산의학회 2012 Perinatology Vol.23 No.4

        목적 : 태변 장폐색은 점착성의 농축된 태변이 회장 말단과 대장에 축적되어 발생하는 일시적 장폐색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태변 장폐색의 임상소견과 예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2009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미숙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방사선 영상소견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태변 장폐색의 진단은 임상증상과 gastrografin 관장 검사의 이상 소견 둘 다 있는 경우로 하였다. 대조군은 출생연도와 재태연령을 동일한 조건으로 맞춘 미숙아 중에서 2배수 무작위 추출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으로 합당한 태변 장폐색군 환아는 43명이었다. 주산기 임상소견 중 산모의 고혈압증과 황산마그네슘 사용 빈도는 장폐색군에서 더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부당 경량아의 빈도는 장폐색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았 다(14% 대 3.5%; P<0.05). 수유장애의 동반율도 장폐색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았다(86% 대 24.4%; P<0.001). 1례를 제외 한 모든 환아에서 gastrografin 관장은 1회 시행하였고, 영상소견상 소결장은 7예(16.3%)에서 동반되었다. 전례에서 관 장의 합병증 발생은 없었다. 태변 장폐색을 가진 환아에서 조영관장 후 폐색의 호전은 방사선 영상소견상 6.5±10.0일에 이루어졌고, 이는 임상증상의 호전 시기인 7.5±9.4일보다 더 빨랐다(P<0.05). 완전 장관영양의 도달 시기는 장폐색군이 25.4±14.3일로 대조군(16.4±9.3일)보다 더 느렸고, 재원기간도 장폐색군에서 더 길었다(P<0.001). 결론 : 미숙아에서 수유장애는 태변 장폐색을 시사하는 소견이 된다. 태변 장폐색은 완전 장관영양의 도달 시기를 지연 하거나 재원기간을 연장하는 요인이 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of meconium intestinal obstruction (MIO) in preterm infants.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images was conducted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ver a 3-year period (2009-2011). In addition, birth year- and gestational age-matched babie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ith twice the number as the control group. Results : There were 43 infants with MIO who were appropriate as subjects. In perinatal factors, a maternal history of hypertension and the use of magnesium sulfate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MIO, but not significant. Feeding intolerance was more common in the MIO group than the control (86% vs. 24.4%; P < 0.001). The frequency of gastrografin enema was once in all but one of the patients, and the microcolon was detected in 7 cases (16.3%). Radiographic change after enema was seen earlier than clinical improvement (P < 0.05).The patients with MIO took longer to achieve full enteral feeding, and had a more prolonged hospital stay (P <0.001). Conclusion :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may be an early clinical finding of MIO. Meconium obstruction causes a delay of full enteral feeding and extension of hospital stay.

      • KCI등재

        임상 ; 신생아 위천공에서 미숙아와 만삭아의 임상양상 비교

        박우현 ( Woo Hyun Park ),최순옥 ( Soon Ok Choi ),김천수 ( Chun Soo Kim ),정은영 ( Eun Young Jung ),김은하 ( Eun Ha Kim ),이상락 ( Sang Lak Lee ),강경지 ( Kyung Ji Kang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2

        목적: 신생아 위천공의 임상양상과 결과에 대해 미숙아와 만삭아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20년간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위천공으로 수술한 신생아 9명을 후향적 의무기록을 통해 미숙아와 만삭아로 분류하여 임상적 양상과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신생아 위천공 환자는 총 9명이었으며, 이 중 만삭아가 5례, 남아가 8례로 많았다. 자발성 위천공은 미숙아에서 3례(75%), 만삭아 에서는 1례(20%)였다. 천공부위는 미숙아의 경우 대만곡에서 4례(100%)였고, 만삭아는 대만곡 3례, 전정부 2례였다. 사망률은 미숙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낮았으며(25.0% vs. 40.0%, P>0.1), 원인으로 자연천공이 있었던 4례는 모두 생존하였고, 괴사성 장염이 있었던 2례는 모두 사망하였다. 결론: 신생아 위천공의 임상양상과 사망률은 미숙아와 만삭아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자연천공 환자에서는 예후가 좋았던 반면, 괴사성 장염이 있는 경우 사망률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8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findings and mortality of neonatal gastric perforation between preterm and term infant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neonate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Dongsan Medical Center for gastric perforation between July 1992 and June 2012,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admission records of clinical findings and mortality were review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etween preterm and term infants. Results: Nine infants were diagnosed with neonatal gastric perforation. Of the 9 infants, the number of term infants was 5 and the number of male was 8. Of the 4 infants diagnosed with spontaneous gastric perforation, the number of preterm and term infants was 3 and 1 respectively. The anatomical location of perforation was greater curvature in all 4 preterm infants. However, various sites such as greater curvature (3 infants) and antrum (2 infants) were observed in 5 term infants. Mortality rate was tended to be lower in preterm infants compared to term infant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25.0% vs. 40.0%, P>0.1). There was no mortality in 4 infants diagnosed with spontaneous gastric perforation. However, 2 infants diagnosed with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all died.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findings and mortality of neonatal gastric perforation between preterm and term infants. The prognosis of spontaneous gastric perforation was good, however, mortality rate was tended to be higher in NEC than other causes(P=0.08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