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와 사회제도

        고봉진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4 法과 政策 Vol.30 No.2

        고대인의 자유는 공적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들에 의해 보장되었다. 다만 이 시민의 폭이 매우 좁아 여성의 자유와 노예의 자유는 배제되었다. 반면에 근대인의 자유는 사적 영역으로 자유 개념을 형성할 수 있었다. ‘자율성’이라는 사적 영역은 독자적인 의미를 부여받았다. 대신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연결고리가 옅어졌다. 시민의 정치 참여를 통해 공적 자유를 추구했던 ‘고대인의 자유’ 개념과는 달리, 오늘날 공적 영역의 영향은 공리 시스템 등 사회제도의 작동을 통해 발휘되어야 한다. 오늘날 약해진 시민의식으로는 시민의 정치 참여를 강화할 방법이 녹록지 않은 게 사실이다. 개인 자율성의 여건을 제공하는 사회제도를 통해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을 연결해야 한다. 고대 사상이 가지고 있던 공공성의 끈을 근대 ‘개인주의’로 돌아서면서 놓쳐버린 것은 큰 손실이다. 필자는 제도의 확립을 통해 공공선의 끈을 연결하려 한다. 오늘날 자유의 관점에서 무엇보다 요구되는 것은 ‘제도’이다. 자율성은 역량 뿐만 아니라 비지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사회적 약자는 역량의 부족과 동시에 지배로 인한 자율성의 침해 상태에 있다. 역량의 부족은 분배를 통한 적극적 자유 확보로, 지배로 인한 자율성의 침해는 ‘비지배로서의 자유’ 확보를 통해 제거된다. ‘자율성으로서의 자유’라는 근대 개념은 공화주의가 주장하는 ‘비지배로서의 자유’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지배상태에서 오는 종속과 억압에서는 사회적 약자는 자율성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신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사회제도가 곳곳에 등장하고 제자리를 잡으면서 사회적 약자의 자유, 사회 소수자의 자유는 시야에서 사라지게 했다. 거대 기업과 거대 금융에 큰 권력과 재량권이 부여되고, 이를 토대로 소득과 부의 불평등이 심화되었다. 신자유주의의 이상화된 자립 주장이 사회적 약자를 위축되게 한다. 신자유주의는 사회적 약자의 자유를 보장하고 증진하지 못한다. 좋은 사회제도이든, 나쁜 사회제도이든, 개인의 자율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사회제도는 개인의 자율성 행사를 위한 조건을 변화시킨다. 사회제도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개인의 자율성 행사의 조건으로 큰 영향력을 끼친다. 사회제도가 제공되지 않은 사회에서 개인은 자신과 사회를 조화롭게 융합하는 가능성을 놓친다. 개인에게는 누구나 자율성의 원천이 있으나, 그 자율성은 적절한 조건이 있어야 발휘된다. 자율성에 기초해 자유를 근거 짓는다면, 사회는 무엇보다도 적절한 사회제도를 제공해야 한다. 필자의 ‘제도 자유론’은 인간의 선악 양면성, 인간 공감의 한계성 등에 의해 제한되나, 제도를 통해 사회적 약자의 자유를 실질화하는 규범적인 정당성을 지닌다. ‘제도 자유론’은 (반사실적인) 규범적 주장이라는 점에서, 인권과 인간존엄, 공리 등 규범적인 언어가 여전히 강력하게 요구된다. The freedom of the ancient people was guaranteed by citizen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ublic sphere. However, the range of citizens was so narrow that women's freedom and slaves' freedom were excluded. On the other hand, the freedom of modern people was able to form the concept of freedom only in the private sphere even without the public sphere. The private realm of ‘autonomy’ was given its own meaning. Instead, the link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has become weaker. Unlike the concept of ‘ancient freedom’ that pursued public freedom through citizen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influence of today’s public sphere must be exerted through the operation of social institutions such as the utility system. It is true that with today's weakened civic consciousness, there are no easy ways to strengthen citizen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must be connected through social institutions that provide conditions for individual autonomy. It is a great loss that the public nature of ancient thought was lost as we turned to modern ‘individualism.’ I seek to connect the strings of public goo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ystems. What is required more than anything from the perspective of freedom today is ‘institution’. Autonomy is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capabilities but also non-dominati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lack capabilities and at the same time have their autonomy violated due to domination. Lack of competency is eliminated by securing active freedom through distribution, and infringement of autonomy due to domination is eliminated by securing ‘freedom as non-domination.’ The modern concept of ‘freedom as autonomy’ also pays attention to the ‘freedom as non-domination’ advocated by republicanism. This is because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cannot exercise autonomy under the subordination and oppression that comes from a state of domination. As social systems advocating neoliberalism appeared and took root everywhere, the freedom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social minorities disappeared from sight. Large corporations and large financial institutions were given great power and discretion, and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deepened based on this. Neoliberalism’s idealized claim to self-reliance causes the socially disadvantaged to shrink. Neoliberalism fails to guarantee and promote the freedom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ether it is a good or bad social system, it has a great impact on individual autonomy. Social institutions change the conditions for the exercise of individual autonomy. Social institutions not on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s identity, but also have a great influence as a condition for exercising individual autonomy. In a society where social institutions are not provided, individuals miss out on the possibility of harmoniously integrating themselves and society. Every individual has a source of autonomy, but that autonomy can only be exercised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If freedom is based on autonomy, society must above all provide appropriate social institutions. ‘Institutional freedom theory’ is limited by the duality of good and evil in humans and the limitations of human empathy, but it has normative justification for substantiating the freedom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rough institutions. Given that ‘institutional freedom theory’ is a (counterfactual) normative claim, normative language such as human rights, human dignity, and utility is still strongly required.

      • KCI등재후보

        성층권 비행선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연구

        고봉진,김혜영,조성언,Ko Bong Jin,Kim Hye Young,Cho Sung E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0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 No.2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tic results of outage probability, considering the effect of Rician fading, interference and interference-reduction techniques, whe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as constructed by using Stratospheric platform, one of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which provides high speed multimedia services. The results show that carrier to interference power ratio C/I and fading depth K have an effect on outage probability. That is, outage probability decreases as K value increases for constant C/I value and C/I value increases for constant K value.

      • 마이크로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16 QAM 신호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고봉진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9 産技硏論文集 Vol.13 No.-

        In this paper, the Optimum Threshold Level(OTL) of 16QAM signal which is considered in AWGN as well as fading depth is derived, and the performance of 16QAM signal is analyzed. And evaluated error performance of 16QAM signal is compared with that of 16QAM signal which considered in fading depth only. From the results, the error performance evaluated by proposed OTL was superior to that of 16QAM signal with OTL, which considered in fading depth only, in the range of low CNR.

      • 최첨단 생명과학기술의 위험과 IRB

        고봉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7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2

        We live in the modern society, which is especially characterized as ‘Risk Society’: We live with the modern risk. It is so huge and wide, that we should try to know how to deal with. It has two sides: benefit and harm. Besides it is related with the decision and the responsibility. The former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modern risk: benefit, harm, decision, responsibility. The latter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isk of the modern biotechnology research and the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The modern biotechnology research ha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the benefit, but also that of the harm. The IRB should estimate the risk of the modern biotechnology, and take possibile steps to reduce it. With the decision of the IRB, it takes the responsibility at the same time.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und the norm. The theme ‘the risk of the modern biotechnology research and the IRB’, with which this article deal, is one example of the important problem, how the modern norm responds to the modern risk.

      • KCI등재

        제도 공리주의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21 법철학연구 Vol.24 No.3

        The fact that ‘majority problem’ is highlighted by modern capitalism is the main background for utilitarianism to be in the spotlight. Utilitarianism is the optimal theory that can deal with ‘majority problem’ in that it aims for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With the totality of modern capitalism, today’s economic sector affects all areas of society. Utilitarianism emerges again as progressive theory in this era in that modern society is a structure of ‘minority to majority.’ Utilitarianism becomes a counter theory against the totality of capitalism. I insist on creating and operating a system for the benefit of the majority through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Social reform is none other than institutional reform. It is to promote public interest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ystem.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proper system. Public interest should be understood as social organizational system, and our task is to make social systems promote public interest. In creating and operating social systems, the priority of pain removal and the secondarity of pleasure promotion should be considered. The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requires harmony with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ociety.’ Laws and system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at actually occurs in society. Otherwise it can be counterproductive. It has a more effective effect to operate an appropriate system in line with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ociety.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for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promotes desirable functional differentiation from ‘normal perspective’ against the backdrop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realized in society. If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factual concept’ is the background and condition for realizing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concept’ becomes the goal that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seeks to realize. If you are satisfied with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at actually occurs in society as it is, you cannot expect to differentiate the system for the weak naturally in society. I insist on realiz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task’ in areas outside the market. In this regard, from my point of view, ‘utilitarianism’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task’ are very closely related. 현대 자본주의에 의해 ‘다수의 문제’가 부각되는 점은 공리주의가 각광을 받게 되는 주된 배경이 된다.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지향하고 다수의 公利를 다룬다는 점에서 ‘다수의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최적의 이론이다. 현대 자본주의의 총체성으로 오늘날 경제영역은 사회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현대 사회가 ‘소수 대 다수’의 구조라는 점에서 공리주의는 이 시대에 진보적인 이론으로 다시 부상된다. 공리주의는 자본주의의 총체성에 대항하는 대항 이론이 된다. 필자는 ‘제도 공리주의’를 통해 다수의 이익을 위한 제도를 만들고 운영할 것을 주장한다. 사회개혁은 다름 아닌 제도개혁이며, 제도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公利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제대로 된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제도 공리주의’는 강조한다. 공리는 사회 조직 체계로 파악되어야 하고, 우리의 과제는 사회제도가 공리를 증진하는 것으로 만드는 데 있다. 사회 제도를 만들고 운영함에 있어서는 ‘고통 제거의 우선성’과 ‘쾌락 증진의 이차성’을 고려해야 한다. ‘제도 공리주의’는 ‘사회의 기능적 분화’와 조화를 이룰 것을 요한다. 사회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기능적 분화’를 고려해 법과 제도를 마련해야지, 다수를 위한 제도와 정책이 표면상으로 옳다고 해서 이를 무턱대고 추진해서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 사회의 기능적 분화에 발맞추어 적절한 제도 운영을 하는 것이 더 실효적인 효과를 낸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한 ‘제도 공리주의’는 사회에 실현된 기능적 분화를 배경으로 ‘규범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한 기능적 분화를 도모한다. ‘사실적 개념으로서 기능적 분화’가 ‘제도 공리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배경과 조건이라면, ‘규범적 개념으로서 기능적 분화’는 ‘제도 공리주의’가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가 된다. 사회에 실제로 일어나는 기능적 분화를 그대로 두는 것으로 만족한다면,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약자를 위한 체계가 분화되기를 기대할 수 없다. 필자는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시장 외의 영역에서 실현할 것을 주장한다. 그런 점에서 필자의 관점에서는 ‘공리주의’와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자유주의적 관용의 역사적 전개와 그 한계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16 법철학연구 Vol.19 No.2

        The term ‘Tolerance’ refers to the acceptance of beliefs, actions or practices that one considers to be wrong but still tolerable. One can’t force if the other don’t want to. Today tolerance is regarded as a virtue. Tolerance is regarded as the means of peaceful coexistence. The most typical example of intolerance is the wars of Religion in the Middle Ages which were fought between Catholics and Protestants. In history relativism appears as a solution. There are no absolute truth. Truth is relative to some particular frame of reference. Tolerance is the highest result of relativism(pluralism). But in my view ‘liberal tolerance’ does not mean the positive(active) acceptance of different beliefs, actions or practices. It means the passive acceptance. It means non-interference with different beliefs, actions or practices. It means ‘leaving alone’ or neglect of duty. Instrumental reason and intensified individualism distort the meaning of tolerance. The meaning of Minority Difference has hardly been discussed in the public sphere. In my view ‘liberal tolerance’ is not sufficient guide for rights and values of minority. This paper deals with a recent critique of the ‘liberal model of tolerance’. In this paper I assert that the liberal model of tolerance fails to recognize rights and values of minority. I suggest replacing the liberal model of tolerance with the appropriate combination of Tolerance and Recognition. 불관용의 시대를 지나 역사는 관용의 시대를 이끌 사상을 원했다. 독단이나 독선을 피하고 신념이나 행동의 이질성을 인정한 자유주의는 인류 최대의 역사적인 유산이 되었다. 자유주의적 관용은 불관용의 역사에서 비롯된 결과물이었다. 필자는 우선 자유주의적 관용이 역사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런 후에 자유주의적 관용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자유주의적 관용의 장점에서 단점으로 시선을 돌려 자유주의적 관용의 한계를 살폈다. 한때는 비판적이었던 것이 이제는 이데올로기적인 것이 되어 버렸다. 필자는 오늘날의 주류 사상인 자유주의 사상과 관용이 접목함으로써 관용이 이데올로기화되어 관용 본래의 의미를 상실하지는 않았는지 살펴보았다. 자유주의 하의 관용은 방해하지 않고 그냥 두는 무관심, 냉담함으로 변할 수 있다. 관용은 심하게 말하면 ‘나와 상관없음’, ‘그대로 내버려 둠’을 의미한다. 더 심하게 말하면 다른 삶에 대한 거부와 폄하를 잠깐 동안 연기하고 유예하는 것이다. 이는 현대 자유주의 사회가 ‘개인주의’와 ‘도구적 이성’이 만연한 사회라는 점에서 더 그러하다. ‘개인주의’와 ‘도구적 이성’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개인은 자신의 이해를 넘어 공동의 이해에는 관심이 없으며, ‘상대주의적 무관심’에 빠진다. 이런 사회에서 ‘관용’이라는 고상한 언어는 더 이상 고상한 어떤 것도 뜻하지 않는다. 또한 관용의 정치는 차이의 장소를 사적인 영역에 한정함으로써 차이가 가진 공적인 속성을 축소시킬 수 있다. 사적인 영역에 한정된 관용 담론은 차이를 사적 정체성의 문제로 후퇴시키며 시민들 간의 소외를 강화시킬 뿐, 공적인 차이의 문제를 제대로 다룰 수 없게 된다. 사적인 영역으로 축소된 관용 담론은 공적인 불평등, 배제, 갈등을 탈정치화하기도 한다. 오늘날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인 신자유주의 하에서 관용이 이야기되지만, 사실상 약자의 권리, 약자의 가치는 쉽게 도외시된다. 필자는 관용의 정치보다 승인의 정치를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적극적으로 약자의 권리, 약자의 가치를 승인하는 모델이 필요하다. 이런 모델 하에서 관용은 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자유주의 하에는 관용이 우선되지만, 실제로는 (의도한 것은 아니겠지만) 약자의 권리, 약자의 가치는 강자의 권리, 강자의 가치에 뒤처지고, 관용은 그 본래 의의를 잃어버린다.

      • KCI등재

        형법 제304조 규범심사 ―해악, 법적 후견, 자기결정권―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1

        The Article 304 of the Korea Criminal Law regulates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In 2009 the Korea Constitutional Court dealed with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Article 304 of the Korea Criminal Law. This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is quite interesting in views of Legal Philosophy. It was debated whether or not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cause harm to woman. According to the harm principle the actions of individuals should only be limited to prevent harm to other individuals. The major opinion argued that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does not cause harm to woman. The major opinion argued that the Article 304 of the Korea Criminal Law is unconstitutional, because legal paternalism of the Article 304 cannot be justified. Legal Paternalism is not controversial when applied to children. But legal paternalism is controversial when applied to adults. When legal paternalism is applied to adults, it is thought by many people to be a threat to individual liberty and privacy. According to the major opinion the Article 304 can be a threat to the men's autonomous decisions. But the minor opinion argued that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cause harm to women. So the minor opinion insisted that the Article 304 can not be a threat to the men's autonomous decisions. According to the minor opinion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passes the limit of the men's autonomous decisions. In my opinion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does cause harm to woman. So I agree with the minor opinion. But it should be more debated whether or not the harm that is caused by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should be punished by the criminal law. It should be debated whether or not the harm that is caused by “sexual intercourse under pretence of marriage” deserves the regulation of the criminal law. The effectiveness of the criminal punishment and the side effect of the criminal punish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propriety of the criminal punishment is debated. In my opinion the effectiveness of the criminal punishment and the side effect of the criminal punishment should be taken seriously when the legitimacy of the article 304 is debated. 형법 제304조(혼인빙자간음죄)의 위헌성을 심사하는 헌법재판소 2009년 결정(헌재 2009.11.26. 2008헌바58, 2009헌바191 결정)은 ‘해악’, ‘법적 후견’, ‘자기결정권’에 대한 법철학적 문제를 담고 있다. 2009년 ‘혼인빙자간음죄’ 결정에서 헌법재판소의 다수의견은 혼인을 빙자하는 것은 해악적 문제를 수반하지 않는 방법으로 여성을 유혹하는 성적 행위로서 이를 처벌한다면 남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이 침해된다고 본다. 다수의견은 “해악을 수반하지 않는” 혼인빙자의 경우에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존중하여 형법을 개입하지 말자는 주장을 펼치며, 형법 제304조를 통해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호하려는 것은 “정당화되지 않는” 법적 후견이라고 비판한다. 반면에 소수의견은 혼인을 빙자하여 간음하는 것은 해악적 문제를 수반하며, 이를 통해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이 침해된다고 본다. 소수의견은 “해악을 수반하는” 혼인빙자의 경우에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형법을 통해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필자는 소수의견과 마찬가지로 혼인빙자간음행위는 부녀에게 해악을 끼치고, 부녀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며, 남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의 한계를 넘는 행위라고 판단한다. 혼인빙자간음행위를 형법으로 규율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한다. 왜냐하면 ‘형사처벌의 적정성 판단’은 ‘혼인빙자간음행위의 해악 정도와 부녀의 성적 자기결정권 침해 여부에 대한 판단’뿐만 아니라 ‘형사처벌의 실효성과 부작용 판단’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私見에 따르면) 혼인빙자간음행위가 초래하는 해악이 형벌로 처벌해야 할 만큼의 해악인지를 좀 더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혼인빙자간음행위가 초래하는 해악을 일률적으로 형법 제304조로 규율하는 것이 책임과 형벌 간 비례원칙에 위배되지 않는가 여부를 살펴봐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