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어 작문교육을 위한 기초어휘 : 동사의 의도표현 연구

        민성홍 한국일어일문학회 1998 日語日文學硏究 Vol.33 No.1

        『한국에 있어서의 일본어 교육』이라는 시점에 맞추어 일본어 교육을 생각할 때, 항상 제기되는 문제는「일본어는 우리말과 어순이 같고 한자를 쓰니까 배우기 쉽다」라는 생각들이 일반적으로 뿌리 깊이 밝혀 있고 퍼져 있다는 것이다. 즉 일본어를 학습하려는 동기가 「일본어가 필요해서」, 「일본어 학습의 의의를 절감해서」가 아니라, 「왠지, 아주 배우기 쉽고, 거져 먹을 수 있을 것 같아서」라는 동기유발이 큰 문제이다. 그래서, 일본어도 소위 "Word by word translation"으로 되는 외국어가 아니고, 일본인의 오랜 민족의 역사 전통적인 문화의 배경을 가린 말이기 때문에, 우리말의 사고방식이나, 문화배경의 지식으로 이해되는 말이 아니라는 인식을 겸허하게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런 태도를 일본어 학습자들에게 깊이 주입시키는 것은 학습자들의 긴 안목에서의 학습태도, 끈질긴 도전을 유발하는 데에도 큰 보탬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일본어 학습자에게 철저하게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아주 기본적인 한·일어의 「표현어구」에서, 혹은 「단순한 단어」 하나 하나에서, 소위 「직역」에서 오는 잘못이 얼마나 많은가를 깨닫게 해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일어의 가장 기본적인 어휘들을 구사하여, 「우리말다운 우리말」과 「일본어다운 일본어」의 표현법을 가르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기초를 다지는 좋은 방법이 된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의식을 실현하기 위해서 일본어의 「する」와「とる」를 이용하여, 「일본어다운 일본어」의 요체가 어디에 있는가를 알기쉽게 펴나갔다. 외국어 교육의 올바른 길은「기초를 중시해야 한다」는 의식과 실천에 있다고 보는 본인의 소론이다.

      • KCI등재
      • KCI등재

        語彙の比喩の 研究(1) - 名詞

        閔聖泓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1995 日本硏究 Vol.10 No.-

        보통 比喩表現하면 ‘마치~와 같이’라는 형식, 즉 文形式의 것을 연상하게 되는데 이 論文에서는 그런 것이 아닌 단독의 語形式의 比喩表現을 연구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호박’이라는 단어에는 원래 그 단어가 가지고 있는 기본뜻 즉, 농산물인 식물로서의 혹은 채소의 식품으로서의 고유의 명칭인‘호박’이외에 ‘못생겼다’, ‘무르다’라는 比喩가 담겨져 있고, 요즈음 젊은 층에서 많이 쓰이는 ‘썰렁하다’는 말에는 기온, 기후의 영향에서 오는 ‘서늘함’이라는 기본 뜻이 아니고 ‘재미가 없다’, ‘시시하다’, ‘분위기가 맞지 않는다’, ‘전혀 뜻이 통하지 않는다’ 등등 여러가지 比喩를 담고 있다. 이러한 많은 품사의 어휘 중에서 本稿에서는 명사의 比喩를 알아 보았다. 물론 일본어의 명사 比喩表現이다. 이 論文은 일본어 어휘들의 比喩性을 분석, 연구하고자 하는 것으로, 한 두 편의 論文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앞으로 기회가 주어질 때마다 계속 연구 발표할 계획이다. 따라서 이번에는 필자에게 주어진 지면 관계상 단지 다섯 개의 단어(あぐら, ヨイショ, はしご, ヘ[?]どろ[?])에 관한 것밖에 실을 수 없으나 앞으로도 계속 연구ㆍ발표한다는 의지를 실어, 「名詞」로 시작하였다. 따라서 「2」이하 「3……」의 계속적인 연구 결과가 이어질 것이다. 本稿의 논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 일본어의 명사 「あぐら」에는 ‘버릇이 없다’, ‘뻔뻔스럽다’, ‘배워먹지 못하다’, ‘거만스럽다’ 등의 比喩가 담겨져 있다. 「あぐら」그 자체는 우리말의 ‘책상다리’, ‘아버지다리’라는 뜻이다. 그러나 우리말에서는 ‘책상다리’, ‘아버지다리’에 ‘버릇이 없다’, ‘뻔뻔스럽다’, ‘배워먹지 못하다’, ‘거만스럽다’ 등의 比喩가 담겨져 있지 않음은 우리 한국 사람이면 다 아는 사실이다. 이러한 比喩한의 차이는 한ㆍ일 양 민족의 衣裳文化의 차이에서 온 것이다. 일본의 「きもの(着物)」구조는 남 앞에서 ‘책상다리’를 할 수 있게 되어 있지 않기에 그 말에 위에서 언급한 比喩가 실리게 되는 것이다. 2) 「ヨイショ」는 일본어의 「感嘆詞」이다. 즉, 우리말의 ‘영차!’ 혹은 ‘영치기 !’ 등의 구령이다. 그러나 이 구령이 ‘사탕발림’, ‘아부ㆍ아첨’, ‘속이 들여다보이는 아부’등의 比喩語로 쓰인다. 3) 「はしご」는 우리말의 ‘사닥다리’라는 기본 語意인데, 술자리의 ‘2차, 3차……’라는 比喩表現語로 쓰인다. 그러던 것이 그 쓰임새가 확대되어 술자리가 아닌 행동에서도 이 일 저 일 계속 이어지는 경우를 比喩할 때에도 쓰이게 되었다. 즉 ‘시장에 갔다가 미장원에 갔다가 결혼식에 참석했다가 줄이어 바쁜 하루를 지냈다’와 같은 말중의 ‘줄이어 바쁜 하루를 지냈다’라는 표현을 이 ‘사닥다리(はしご)’로 나타낸다. 4) 「ヘ(?)」는 우리말의 ‘방귀’이다. 그런데 이 단어가 다른 말과 함께 쓰여서 ‘전혀 상관치 않는다’, ‘아무렇지도 않다.’, ‘보잘 것 없다’, ‘쓰잘데 없다’라는 比喩를 낳는다. 즉, 「?とも思わない」는 우리말의 ‘눈꼽 만치도 대수롭게 생각않는다’라는 比喩表現과도 같다. 5) 「どろ(泥)」는 우리말의 ‘진흙’, ‘흙탕’이라는 기본 語意를 담은 말이다. 그러나 이 말이 ‘곤드레 만드레 취하다’, ‘축 늘어지게 피곤하다’, ‘수치ㆍ불명예ㆍ먹칠ㆍ죄’, ‘비난ㆍ불리한 처지’,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인격의 비유에 대하여 연구

        민성홍 한국일어일문학회 1995 日語日文學硏究 Vol.27 No.1

        우리 한국인의 人名에는 '마당쇠', '갑돌이', '갑순이' 등이 있다. 이런 人名에서 풍기는 比喩性의 감각은 韓國語의 요람속에서 자라난 한국 사람 아니고는 도저히 알 수 없는 것이다. '네가 무슨 홍 길동이야!'라는 말을 들었을 때, 한국사람이라면 이 문귀의 앞, 뒤에 어떠한 말들이 더 오고 갔을지, 또는 오고 갈지는 아무런 언어상의 장애없이 이해하고, 알 수 있는 법이다. 즉, 그것은 한국인이 갖는 한국인명에 대한 연상인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본인에게 있어서의 일본인명에 대한 연상은 오랜 세월과 그간에 심어지고, 거두어들인 일본민족의 전통적인 생활문화의 언어유산인 것이다. 이런 언어유산에는 일본인의 심정이 깃들어 있으며, 비유표현의 근본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일본사람의 인명에 많이 쓰이는 「太郎」에는 무엇보다 먼저 '사내·장자(장남)'이라는 性別과 家族關係에 있어서의 順位가 명시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라,「太郎」에는 '여성'에 대한 '남성 우위'의 오랜 유교사상의 영향때문에 '빼어난 자·위대한 자'라는 뜻과 소망이 담겨져 있다. 또 「太郎」에는 위와 같은 뜻과 소망에 의해 '첫번째', '첫물', '으뜸', '마수'라는 比喩의 뜻이 있다. 그런데 「笑いの文學」라고 하는「狂言, 落語」의 세계에서는 이「太郎」에「與」를 붙여서「與太郎」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되면「愚か者·そそつ かし屋(얼간이·덤벙쟁이)‥‥‥」라는 比喩의 뜻을 자아내게 된다. 「太郎四郎」라는 인명도 마찬가지로 「ばか者·あほう(바보·멍청이)」라는 比喩語로서 쓰이게 된다. 「おしん」이라는 이름은 한 때 일본에서 100%의 시청율을 자랑한 Home drama의 여주인공의 이름인데, 이제는 이 여인의 이름은 단순한 한 Drama의 여주인공의 이름으로서의 추억속에 자리잡고 있는 인명이 아니라, 우선 '여자'라는 比喩에다 '끈질기고 강인한 여자'라는 比喩語로서의 자리를 확고하게 잡았다. 우리말의 '또순이'라는 이름이 갖는 比喩와 버금간다고 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금은「今はおしんになりきろう」라는 표현으로 '지금은 아무소리 말고 꾹 참아야지!'라는 比喩表現語로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이다. 「小町」에는 일본의 文學上의 史實까지 관련이 되어 現代의 일상 언어 생활에서 '美人'이라는 喩義로 아주 흔히 쓰이게 되었다. 文學上의 史實까지 들먹거리게 되는 인명이어서 또 '불쌍한 여인', '시집도 못가본 여인', '남자 잡아먹는 여인', '성불구자'라는 比喩語로서까지도 쓰인다. 「三助」는, 원래는 남녀 모든 하인, 머슴들에 대한 대명사였던 것인데, 「三下」, 「三一」이라는 語源인 「うだつの上がらない者(보잘 것 없는 자·별볼일 없는 자)」라는 一般的喩義로 轉用되어 끝내는 '대중목욕탕에서 장작을 패고, 물을 기는 힘드는 일을 맡아하는 머슴'이라는 比喩의 대명사가 되더니 급기야는 '때밀이'라는 比喩語로 전락하고 말았다. 「お三」은「三下」,「三一」이라는 語源과는 관계가 없다.「江戶幕府」제도하의「大奧」의「三の間」제도에서 온 것이다. 따라서, 「大奧」에 접근할 수 있는 자리에서 일하는 신분이므로, 아주 천한 여인은 아니었던 것이다. 이러던 것이 세월이 흐르고, 후에는 막일을 하는 '하녀'라는 比喩語로 변해갔다. '無賃乘車'라는 比喩語인 「薩摩守」는 당시 나는 새도 떨어뜨리는 權勢를 잡고 있던 한 인물의 人名(タダノリ)에서 그 음만을 따서 오늘날까지 일본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진 比喩語인 것이다. 이와 같은 일본인의 人名의 比喩를 探究하는 것은 일본인의 '말의 고향', '생활의 마음', '이질문화의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 크게기여할 것이다. 또 이러한 연구는 한·일어간의 比喩表現에서 나타나는 이질문화배경의 상호이해라는 크나큰 열매를 얻게 될 것이다.

      • KCI등재

        現代語の「シャレ」の硏究

        閔聖泓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1999 日本硏究 Vol.13 No.-

        일본어에는 「?落」라는 학문분야가 있다. 그 근원은 「懸詞」라는 문학적 修?法에 있다. 「懸詞」가 순수 문학적 修?法이라고 한다면, 이 「?落」는 ‘익살’과 ‘웃음’을 근간으로 하는 修?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두 가지 흐름의 修?法의 공통점은 「重義法」라고 하는, 한가지 語句에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뜻을 실은 言語表現技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修?法은 「万葉時代」에서부터 꾸준히 이어받아 내려오고 있던 것인데, 「江戶時代」에 들어와서는 「上方」에서는 「口合」라고 하고, 「江戶」에서는 「地口」라고 일컬어져, 각기 발전해 나갔다. 이런 「?落」가 문예성이 높은 경지로까지 발전하게 된 데에는 역시, 너무도 잘 알려져 있는 日本語의 특성 즉, 음성구조의 간결단순함에 그 근본적인 요인이 있는 것 같다. 이 음성구조의 단순함은 필연적으로 同音異義語를 많이 낳게 하며, 그 결과로서, 같은 말 한마디에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말뜻을 담아, 화법의 機智와 언어표현의 미학적 감각을 키우는 「言語遊技」가 융성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의 「?芸」라고 할 수 있는 「落語」라는 장르의 언어예술로 발전하였다. 우리말에서도 요즈음, 방송 미디어에서, 난데없이 ‘감’이 떨어지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감을 잡았습니다.’ 하고 외친다. 그리고는 곧 이어 ‘알기 쉬운 신문, 읽기 쉬운 신문 매일경제신문을 일주일만 보면, “감”을 잡습니다. 한달 만 보면 호박이 넝쿨 채 굴러 들어옵니다.’ 라는 自社신문판매촉진 광고를 보고 들을 수가 있다. 바로 이 선전문구의 먹는 ‘감’과 느낌의 ‘감(感)’과를 同音異義語를 활용하여, 표현의 효과를 창출해내려고 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重義法」에 의한 「?落」인 것이다. 또 전화번호에서, ‘8 2 8 2’ 에 ‘빨리 빨리’ 라는 뜻을, ‘2 4 2 4’ 에 ‘移徙移徙’ 의 뜻을 겹쳐 싣는 것도 「?落」 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즉, 「語呂合わせ」 가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日本의 경우와 같이, 이런 것이 ‘문학성’, ‘예술성’ 으로 까지 승화될 만큼의 발전을 하지 못했다. 그것은, 역시 ‘음운의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우리말의 특성 때문일 것이다. 이 「?落」 의 연구는 ‘일본어다운 일본어’ 연구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이니,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연구에 참여할 수 있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