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類義語の「与える」と「やる」の意味分析

        김옥영(Kim Ok-Yeo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1

        There are two verbs 'yaru' and 'ataeru' in Japanese which mean 'to give.' When the object moves from the one who gives to the one who receiv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erbs is largely shown in two points of view. 1. When the object belongs to concrete things 'yaru' is basically used, which also features privacy that it mostly comes to be used in dialogic style. 'Ataeru' has subject given by official institutions, and is mostly used in written style as explanatory texts. It also imply the higher position of the subject who gives, that when we use 'ataeru' to the equal or a little subordinate part giving the subjective thing to them it hears like the superiority on our part or a joke. When it comes to time time does not belong to concrete things but shares additivity with them, that it is also used in the case of 'yaru' and in the one of giving one's son or daughter as a spouse. 2. When the object belongs to abstract things 'ataeru' is used. The cases are when giving abstract things, when imposing works, obligations or fines, when conferring value or authority, when giving advice, orders or explanations, when affecting mental effects, and oth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乾燥を表す動詞の「ホス」 「カワカス」の意味分析

        金玉英(Kim Ok-Yeo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9

        Japanese verbs 'hosu' and 'kawakasu', which correspond to Korean verb 'malida', have in common the feature of removing water from the object to be dried. In the case of objects which are too thin to be distinguished between its inner part and its surface, when it is dried for a long time taking as the drying source the natural ones as sunlight, 'hosu' and 'kawakasu' both are used. The typical example is laundry. In the case of 'hosu', the object has been originally keeping moisture inside, and the moisture is removed for storage. Its drying sources are sunlight, wind and others, and it is dried being spread or hung up. The object includes fishes, vegetables, some fruits(persimmons) and others. In the case of 'kawakasu', the object is thoroughly removed of moisture in movement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using artificial drying sources like heated air. It is also used in the case of moisture removal of wet objects, that it applies in the case of partly wet objects. The object includes wet clothes, washed hair and others. While in the case of 'hosu' the object does not need to be removed of moisture thoroughly, in the case of 'kawakasu' the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needs to be thoroughly removed. The verb 'hosu' has significations of 'drinking the cup dry' and 'not giving any work(roles)', which are not the case in 'kawakasu'. The former is an extension from the meaning of the motion of 'removing moisture on the inside', and the latter is the one from that of 'leaving as it is for a long period of time'.

      • KCI등재

        日本語の食動詞の意味分析

        金玉英(김옥영, Kim, Ok-Yeong)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6 No.-

        日本語の「食べる」「食う」「食らう」という三つの食動詞は、韓国語の「먹다」という一つの動詞と対応しているため、韓国人の日本語学習者には日本語の食動詞の意味領域の区別が簡単でない。食動詞の「食べ物を食する」という行為は、「食べ物を口の中に入れてかむ」それから「胃の中へ飲み込む」という一連の動作で成り立つ行為である。そのため、「かむ」と関わる意味と「飲み込む」と関わる意味が生じてくるため、意味領域が広くなってくる。まず、「飲み込む」から生じた意味領域には①「食べる」「食う」「食らう」の「食べ物を食する」②「食らう」の「飲み物を食する」③「食らう」の満喫する④「食べる」「食う」の「生計を立てる」⑤「食う」「食らう」の「被害を被る」⑦「食う」の人の領域を侵すという意味がある。なお、「かむ」から生じた意味領域には⑧「食う」「食らう」の「かむ」⑨「試合で勝つ」⑩「食う」の「相手より能力などが勝る」⑪「食う」の「相手を見くびる」という意味がある。「食べる」は丁寧な言い方であり、「食う」「食らう」はぞんざいな言い方であるが、「食らう」の方がぞんざいさの度合いが高い。

      • KCI등재
      • 日本語の動詞分類に關する再考察 : 金田一春彦の四分類をめぐつて

        金玉英 釜山大學校 1995 人文論叢 Vol.47 No.1

        일본어 동사의 상을 논할 때 빠짐없이 인용되고 있으며 상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金田一春彦의 동사분류와 金田一春彦의 동사분류로부터 출발한 玲木, 談井, 吉川의 동사분류를 재검토하여 지금까지 남아 있는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찾아 보려고 했다. 일본어는 진행을 나타내는 형태와 결과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태가 「-ている」라고 하는 하나의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 의미의 구별이 애매한 경우가 흔히 나타나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고 있다」 「- 어 있다」라고 하는 두가지 형태가 각각 존재하여 형태상으로 뚜렷이 구별되기 때문에, 한국어 입장에서 일본어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제4종동사는 「-ている」가 항상 접속되어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一ている」가 접속될 경우 상태를 나타내는 것(순간동사)과 구별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제4종동사가 항상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계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제4종동사를 형태상으로 단일형태(似る, 聳える)와 「一 する」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인 단일형태의 경무는 결과의 상태를 나타내며, 후자인 「一 する」 형태인 경우에는 계속의 의미를 나타낸다. 2. 일반적으로 계속동사와 순간동사에 걸쳐 있다고 하는 「來る, 崙ちる」와 같은 동사는, 경우에 따라서 순간동사, 계속동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원래 계속동사와 순간동사의 특성을함께 갖고 있는 동사이기 때문에 순간동사, 계속동사와는 다른 동사로서 하나의 다른 동사로 분리하여야 한다. 3. 「着る」 「持つ」라고 하는 동사류는 계속동사와 순간동사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두개의 계속의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着る」의 경우를 보면, 옷을 입고 있는 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와 옷입은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경우의 두가지 계속의 의미가 포함된다. (보통 후자의 의미를 옷을 입은 결과의 상태라고들 하고 있다) 소위 재귀동사류가 여기에 속한다. 4. 金田一春雇와는 달리 일단 일본어 등사를 가령 상태동사, 계속동사, 순간등사, 변화동사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되나, 이번의 관찰은 일본어 등사분류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제시 하는데 그치므로 새로운 동사분류는 금후의 과제로 해 두기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