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열 개념의 유형화 및 비판적 검토: 은유와 교육을 중심으로

        신기현 한국교육원리학회 2009 교육원리연구 Vol.14 No.1

        이 논문은 교육열의 개념화에 작용한 열에 대한 은유적 사고와 교육개념을 중심으로 기존 교육열 연구들에서 제시된 교육열의 개념을 유형화하여 검토하고, 교육열 개념화의 진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열의 개념을 에너지, 열병, 동기, 열정의 은유를 중심으로 네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에 속하는 대표적인 연구를 사례로 하여 각 은유를 중심으로 어떻게 교육열이 개념화되고 있고, 그것을 토대로 어떤 연구문제들이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교육열의 개념화 과정에서 각 연구자들이 열과 교육에 대해 어떤 개념을 제시하고 있고, 또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열의 연구가 발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교육개념의 정립, 올바른 용어사용, 내재변인으로서의 교육열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critically review the concept of education fever and suggest research issues of education fever. I reviewed the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 fever with focusing on metaphor and education that concept and research questions of education fever were based on. The metaphor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to formulate a concept and research questions in the study of education fever. There were four types of metaphors that had been used by researchers: metaphor of heat, fever, motive, and passion. This paper examined the way that the education fever was conceptualized and research questions were constructed by each metaphor. The concept of education is a critical element of concept of education fever, and therefore the study of concept of education should be important part of research of education fever. But an inquiry into the concept of education was disregarded by researchers. Some researchers differentiated the concept of education from schooling, and the concept of eduction for the study of education fever was restricted to schooling. But they did not inquire further about what is schooling, and how different schooling is from education. It was recommended that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education fever be required. First, an inquiry into the concept of education is regarded as important issues of the study of eduction fever. Second, the terminology of the research is chosen and used more strictly. Lastly, new research which the education fever is regarded as endogenous variable of education is required.

      • KCI등재

        학문의 통섭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교육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신기현 한국교육원리학회 2013 교육원리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학문의 통섭을 둘러싼 윌슨과 우리나라 학자의 논쟁을 교육적 상황으로 재구성하고, 교육의 인식론적 내재율 중에서 진리체험의 자증, 존현과 존우, 단계별 점진주의를 그들이 얼마나 준수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통섭논쟁은 거기에 참여한 사람들의 통섭에 대한 주장을 두고 어느 주장이 더 나은지를 판단하는 인식론의 문제가 개입된 상황이고, 교육적 인식론에서는 그 문제가 교육의 인식론적 내재율을 준수함으로써 해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검토결과 논쟁에 참여한 학자들은 교육의 인식론적 내재율을 지키지 않고 있고, 오히려 반대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우리 사회에서 수많은 통섭론이 난무하다가 결국은 생산적인 성과 없이 통섭논쟁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이를 극복하고 통섭논쟁이 우리나라 학계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통섭논쟁에 참여하는 구성원들 스스로가 자신에 대한 교육적 성찰과 함께 교육의 인식론적 내재율을 준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에밀>에 제시된 Rousseau 교육론의 재구성

        신기현 한국교육원리학회 2015 교육원리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교육의 원리에 근거해 <에밀>에서 Rousseau가 제시한 교육론을 재구성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Rousseau의 교육론을 연구한 대부분의 학자들은 Rousseau가 제시한 자연 에 근거해 그의 교육론을 탐색해 왔다. 그러나 ‘자연’이 루소의 사상에서 핵심을 차지한다 하 더라도 교육론은 결국 교육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기에 Rousseau의 교육론을 탐색하기 위해서 는 그가 제시한 교육을 자연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Rousseau는 교육을 개념, 방법, 원리의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는데, 이 연구는 그가 제시한 교육원리에 주목하여 교육론을 탐 색하였다. Rousseau의 교육론을 교육의 맥락과 목적, 자연적 발달과 사회적 발달의 조화, 행 복과 교육의 단계, 자유와 교육의 주체로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주제별로 교육의 주요 원리 와 그 원리가 갖는 의미를 <에밀>에서 Rousseau가 제시한 예시를 통해 설명하였다. 교육에 초점을 둔 연구는 자연에 초점을 둔 연구와 다른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 론에서 차이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는 주제를 제시했지만, 실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드러 내기 위해서는 별도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NO2 Sensing Properties of Bead-like TeO2 Nanostructures Fabricated Using Different O2 Flow Rates

        신기현,박성식,정학영,노영욱,이동진,최선우,진창현 대한화학회 2015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6 No.11

        We report the synthesis of bead-like TeO2 nanowire (NW)-based NO2 gas sensors using different O2 flow rates. The performance of these sensors was compared with that of a sensor based on smooth TeO2 NWs. The smooth TeO2 NWs were grown directly from Te powder by thermal evaporation in air (i.e., without using O2 gas), while the bead-like TeO2 NWs were synthesized by transporting the evaporated Te precursor indirectly using reactive O2 gas at flow rates of 20–40 scc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the bead-like TeO2 NWs had uneven surfaces on which protruding nanoparticles with sizes of 20–100 nm were attached. The nanoparticle size varied with the O2 flow rate used. The responses of the gas sensors based on the multi-networked bead-like TeO2 NWs were indicative of a higher change in their electrical resistance as well as better selectivity to NO2 gas than those of the sensor based on the smooth TeO2 NWs. The individual responses—to 50 ppm NO2 gas at 350 °C—of the sensors based on TeO2 NWs fabricated without using O2 , using O2 at 20 sccm, using O2 at 30 sccm, and using O2 at 40 sccm were 113, 188, 220, and 345%, respectively. The underlying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e improved performances of the bead-like TeO2 NW-based sensor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육열 연구에 사용된 `교육` 용어의 해체

        신기현 한국교육원리학회 2013 교육원리연구 Vol.18 No.2

        교육학이 자율적인 분과학문으로 발전하려면 지금까지 ‘교육학자’에 의해 잘못 사용된 ‘교육’ 관련 용어를 해체하고, 그 위에 교육학의 고유한 개념과 용어를 정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런 작업의 일환으로 ‘교육열’ 연구에 사용된 ‘교육’ 용어를 분석하고, 그것을 해체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열’ 연구자들은 ‘교육’ 용어를 수사학적, 치환적, 모순적으로 사용하고 있었고, 이러한 ‘교육’ 용어의 편집증적 사용은 연구자들의 ‘교육’ 개념에 대한 비이론적 태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잘못 사용된 ‘교육’ 용어를 해체하면, ‘교육열’ 연구에서 미해결의 과제로 제시되었던 ‘교육열’ 개념의 혼란이 해소되고, 새로운 연구분야가 성립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