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神-學 : 神에 관한 우리의 인식― N. Cusanus의 작품 <De beryllo>의 철학적 사유를 쫓아서

        조규홍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2 No.-

        도대체 神에 대해 말해낸다는 것이 그리고 제대로 말해내는 것이 가능할까?’ 이 물음에 대해 본 논문은 理性的으로 해명하고자 애썼던 중세(말기)의 신학자이자 철학자 니콜라우스(Nicolaus Cusanus 1401-1464)의 입장을 그의 작품 <De beryllo(확대경에 관하여)>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 같은 노력은 비록 신앙으로 받아들여진 것 역시 모름지기 우리가 ‘알아듣는 만큼’ 받아들여진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과연 신앙과 관련된 것을 이성적으로 얼마나 설명해낼 수 있을까? 한편에선 절대자 체험에 대한 檢證이 불가능하다고 力說한다. 그러나 이미 그런 형식으로 제한될 수 없는 神이라면, 神에 대한 체험은 여전히 그와 같은 수단 및 척도로 否認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그런 체험은 오래 전부터 이루어져 왔으며 또한 인간의 理解를 거부하지 않는다고 한다. 왜냐하면 아무리 초월적인 신과의 만남이라 하더라도 신을 만나는 당사자가 인간이라는 점에서 인간의 이해능력과 무관하지 않고, 따라서 그 해명가능성을 열어두기 때문이다. 그런 관점에서 일찌감치 삼라만상이 神의 창조물이라는 신앙에 대한 철학적 통찰은 (세상)초월적이자 무한한 존재로서의 神을 (세상)내재적이자 유한한 존재로서의 인간이 어떻게든 알아보고 또 말해낼 수 있음을 지지한다. 곧 ‘창조주(神)와 창조물 사이의 관계’가 그 같은 체험을 보증해준다는 것이다. 니콜라우스는 이를 “닮음(similitudo)”이란 개념을 따라 해명하고자 한다. 물론 그는 신학자이자 주교였기에 神의 啓示로서 성서적 증언을 기억하지만, 그럼에도 동시에 과거 철학자들의 논증과 사상을 최대한 반추하여 이성적으로 神-인식의 가능성을 밝히는 데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다. 여기 beryllus는 일종의 ‘확대경’이다. 그것은 우리가 그 동안 미처 알아보지 못했던 것을 마침내 알아보도록 도와준다. 그 동안 볼 수 없었던 까닭에 무시되거나 부인되었던 사실들을 마침내 확대경의 도움으로 재고할 수 있게 되었음을 열어 보인다. 니콜라우스는 그로써 대립적인 것들 및 모순적인 것들이 ‘하나’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기에 인간의 인식활동에 새로운 전망을 밝혔다고 볼 수 있다. 혹시 우리의 인식행위가 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우리의 인식능력 자체가 초라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초라하게 만들었던 데에 탓이 있는지도 모른다. In this paper is dealt with a problem, ‘is it possible, what in this world say man about God and then can make a correct statement?’, of course not in faithful way, but in philosophical. As the basis we may think above all the concept “similitudo”(likeness) as follows: The first, “nihil itaque alienum a nostro instituto facimus”(we can never do it, which is for us only fremd)(de beryllo c.10). the secound, “cur caelum caelum et terra terra et homo homo, nulla est ratio nisi quia sic voluit, qui fecit”(why the heaven is heaven and the earth is earth and the human is human? Nothing has its existential reason, if that creatures were not caused from the will of the source)(ibid., c.31). For this aspect, we can look at once into Nicholas’ de beryllo, which he wrote in 1458. Just this work aims to thinking about God philosophically, if he said: beryllus is white and transparent stone, “per ipsum videns attingit prius invisibile”, repeatedly ‘through it man can finally look at something, which before has not seen and cognized’. And he proposed, we can apply this visible and physical medium to the invisible and intellectual dimension. If, therefor, we begin through a beryllus(=magnifying glass) on seeing something, which we before have not seen and cognized, then it make us reconsider, that nothing is not nothing, but it's covered only with our ordinary, sensitive and to the material world inclined eyes. So then we will gather ourselves up and see everything newly with our intellectual eyes, which we have accepted already from the Creator. Owing to a likeness of the intellect to that of God we may understand in everything the source of being and knowledge, in other words, God self as "indivisibile omnium principium"(ibid, c.3). If that happens, it may be no trouble, to understand all opposites and the contradictions on earth.

      • Shigella R plasmid의 Incompatibility에 의한 分類

        曺圭弘,薛盛用,全燾基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5 慶北醫大誌 Vol.22 No.2

        우리나라에서 分離되는 Shigella는 群別에 關係없이 大部分이 chloramphenicol(Cm), tetracycline(Tc), streptomycin(Sm), sulfisomidine(Su), a-mpicillin(Ap), trimethoprim(Tp)등 4劑以上의 抗菌劑에 耐性이었으며 이들 耐性이 E. coli 에 接合에 의하여 잘 傳達되었으므로 이들 耐性이 plasmid에 由來하는 것임을 알았다. 따라서 이들 R plas-mid 의 比適合性群에 對한 實驗을 colony test에 의하여 實施하였다. 먼저 Cm, Tc, Sm, Su, Tp 및 kanamycin (Km)에 耐性인 plasmid 와 다른 抗菌劑耐性 plasmid 와의 關係를 본바 이 R plasmid는 Cm, Tc, Sm, Su, Ap 및 Tp 耐性 plasmid, Cm, Tc, Sm, Su 및 Ap 耐性 plasmid 와는 比適合性이어서 같은 群의 菌으로 判別되었으며 Cm, Tc, Sm, Su 및 Ap 耐性 pla-smid 는 Cm, Tc, Sm, Su 및 Tp 耐性 plasmid 와 比適合性이었으니 이들 plasmid는 相互間에 比適合性 이어서 同一한 群의 R plasmid를 가지고 있다고 思料 되었으나 各 R plasmid 의 適當한 segregant를 얻지 못하여서 比適合性群을 確定할 수는 없었다. Cm, Tc, Sm 및 Ap 耐性 pla-smid 는 Cm, Tc, Sm, Su, Tp 및 Km 耐性 plasmid, Cm, Tc, Sm, Su 및 Ap 耐性 plasmid 와 Cm, Tc, Sm 및 Su 耐性 plasmid 와 適合性이었다. Cm, Tc, Sm 및 Su 耐性 plasmid의 一部는 FⅡ比適合性群 또는 이와 깊은 關係가 있는 群에 屬하는 것으로 判定되었다. Shigella strains isolated in Korea were almost exclusively multiply resistant to four or more drugs of chloramphenicol(Cm), tetracycline(Tc), streptomycin(Sm), sulfisomidine(Su), ampicillin (Ap), and trimethoprim(Tp), irrespective of their groups. The resistance of a majority of strains was easily transferred to Escherichia coli by conjugation, and was known to be mediated by R plasmids. The incompatibility of R plasmids in Shigella was tested by colony test, and it was found that R plasmid encoding resitance to Cm, Tc, Sm, Su, Tp, and kanamycin(Km) was incompatible with R plasmids carrying resistance to Cm, Tc, Sm, Su, Ap, and Tp, and those carrying resistance to Cm, Tc, Sm, Su, and Ap. Moreover, R plasmids conferring resistance to Cm, Tc, Sm, Su, and Ap was incompatible with plasmids carrying resistance to Cm, Tc, Sm, Su, and Tp. With these results, the above noted four kinds of R plasmids were considered to be classified into the same incompatibility group, but it was unable to determine the incompatibility group, without having segregants lacking appropriate markers. R plasmid conferring resistance to Cm, Tc, Sm, and Ap was compatible with plasmids carrying resistance markers of Cm, Tc, Sm, Su, Tp, and Km; Cm, Tc, Sm, Su, and Ap; and Cm, Tc, Sm, and Su. One R plasmid conferring resistance markers of Cm, Tc, Sm, and Su was known to be Inc FⅡ group or closely related to this group.

      • Niclofolan의 摘出腸管運動에 미치는 影響

        曺圭弘,金重暎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8 慶北醫大誌 Vol.19 No.2

        Niclofolan에 의하여 야기되는 적출장관운동을 억제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렛드적출장관을 사용하여 acetylcholine(2×10 exp (-4) g/ml), barium chloride(4×10 exp (-4) g/ml), calcium chloride(2×10 exp (-4) g/ml)에 의한 tonus의 변화를 niclofolan(2.4×10 exp (-7) g/ml)이 존재하였을 때와 존재하지 아니하였을 때의 작용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cetylcholine에 의하여 야기되는 수축의 증가는 niclofolan 첨가후 20분에 phasic contration 보다 tonic contration이 억제되었으며 niclofolan 첨가 30분후에는 양자가 모두 현저히 억제되었다. Barium chloride에 의하여 야기되는 수축의 증가는 niclofolan 첨가후 20분에는 phasic contraciton 및 tonic contraction이 다같이 억제되었으며 30분후에는 더욱 현저히 억제되었다. Calcium free 상태에서나, niclofolan 첨가후 20분에, acetylcholine에 의한 증가가 감소되는 양상은 유사하였으나 barium chloride에 의하여 일어나는 수축증가는 calcium free 상태에서는 억제되지 아니하였으나, niclofolan 존재하에서는 억제되었다. Calcium free 상태하에서 calcium chloride 및 barium chloride의 첨가로서 일어나는 tonus의 회복은 niclofolan 존재시에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niclofolan에 의하여 야기되는 적출장관운동의 억제는 calcium pool에서 유리되는 calcium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 같으나 유리를 억제하는 것이지, 수축단백을 직접 억제하므로서 야기되는 것인지는 본 실험 결과로서는 단정하기 곤란하다. Nicloflan (5, 5'-dichloro-2, 2'-dihydroxy-3, 3'-dinitro biphenyl) decreases tonus of isolated intestine, but mechanism of decreased tonus induced by niclofolan has not been proved. To observe the machanism, the effect of acetylcholine (2×10 exp (-6) g/ml), calcium chloride(2×10 exp (-4) g/ml) and barium chloride (4×10 exp (-4) g/ml) were observed on the isolated rat duodenum suspended to Tyrode's solution at 38℃. some investigators reported that acetylcholine and barium chloride show phasic contraction (PC) due to Ca-relese and tonic contraction(TC) maintained by energy-dependent Ca-influx, particularly acetylcholine utilizes easily releasable Ca, and barium chlorde utilizeds easily releasable ca and less easily releaseble Ca. To observe mechanism of niclofolan-induced action particularyly in relation to calcium, this suggestion was applied. Acetylcholine-and barium chloride-induced PC and TC followed 30 minute later by niclofolan were depressed. Acetylcholine-induced TC followed 20 minute later by niclofolan or by calcium-free without inclofolan was more markedly depressed than PC. But barium chloride-induced PC and TC followed 20 minute later by niclofolan were depressed and by calcium-free without niclofolan were not depressed. In the calcium-free media barium chloride-induced TC followed 10 minute by niclofolan was more significantly depressed than PC. Addition of calcium chloride made to restore from decrease in tonus induced by calcium-free, but the restoration due to calcium chloride was sinificantly inhibited by the presence of niclofola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uilization of releasable calium might be inhibited by niclofolan, but these would not prove either inhibition of release from calcium pool or direct inhibition to contractile protein.

      • KCI등재후보

        니콜라우스 쿠사누스의 De nob-aliud (c.22) - '가시적인 것 안에서 비가시적인 것을 알아봄'

        조규홍 한국중세철학회 2005 중세철학 Vol.0 No.11

        “A seeing of the invisible in the visible” is not only for a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issue, but also a sincerely experiential request in our reality, for example, we say that the visible dosen’t represent all of its essence. Nicholas says, however, that with this experience we can approach nearer to God than any other way, that we have had before, because he think, there is a positive opportunity than the traditional method, i.e., negativa theologia. How can we understand God, if God excels everything visible, which apart from Him? His answer for the question is so as follow: we are all the living mirror(aenigma) that reflect in any aspect His reality, because we are nothing excepted creature by Him. Therein a word set well: likeness(similitudo vel assimilatio), for Nicholas as like as biblical testament. This concept is, nevertheless, not unique for theology or faith, but the principal medium to recognize the source of being and knowledge. Because human mind measures by taking the likeness of whatever things it encounters within the world. We must then consider, that this concept “likeness” has both ‘sameness’(not-other) and ‘non-sameness’(other) between creator and creature. For this reason we need to see the invisible in the visible and we get on track of God-understanding. 가시적인 것 안에서 비가시적인 것을 알아보는 일은 철학적-신학적으로만 제한된 연구영역이 아니라 이미 현실적으로도 소위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고 말하듯 우리의 일상경험 안에서도 자주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요구 가운데 하나다. 그러나 여기 발췌문(De non-aliud c.22)에서 작품의 저자(니콜라우스)가 제안하는 통찰태도는 신(神)-인식과 직결되어 있다: 소위 초월적인 신(神)이라고만 규정한다면 우리의 이해지평 너머에 존재하는 신을 우리는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우리에게 신과의 소통을 가능케 하는 그 어떤 것이 자리하지 않을 경우 도대체 신을 알아보는 일이 가능할 법한가? 물론 이에 대한 단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신학적으로 확고히 마련되어 왔으니, 하나는 인간이 신의 모상(imago Dei)으로 창조되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이 세상의 삼라만상이 신의 창조물이라는 점이다. 이 세상은 신과 아예 무관한 것이 아니라 바로 그의 작품(창조물)이라는 점에서 - 창조주와의 닮음을 통해서 - 그를 알아볼 수 있는 흔적들이니, 결국 그 같은 ‘닮음’은 보이는 창조물을 통하여 보이지 않는 창조주를 찾아가게끔 돕는 소중한 단서인 셈이다. 그럼에도 닮음은 엄밀히 말해 ‘같음’과 동시에 ‘같지 않음’을 함의한다. 이 발췌문은 바로 그런 통찰에 이르는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인간의 이해지평 너머에 존재하는 초월적인 신은 동시에 인간의 이해지평 안에도 내재한다. 도무지 알아볼 수 없는 신이라면 우리에게 그리고 이 세상에 어떤 의미를 띠겠는가! 한편 인간의 이성(능력)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 마치 우리의 가시(可視)능력에 한계가 있듯이 - 고려한다면, 그 능력 너머에 초월한 존재는 아직 우리에게 발견되지 않은 것일 뿐, ‘이미’ 우리 곁에 존재(내재)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렇게 가시적인 것 안에서 비가시적인 것을 통찰하는 일은 궁극적으로 신(神)을 향한 인식과 결부되어 있다.

      • KCI등재

        神(Θέος)과 하나(Eν) ― Plotinos의『Enn. VI 9(善 혹은 하나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조규홍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8 No.-

        이 논문은 신플라톤주의자 Plotinos의 대표적인 개념 <하나(Hen)>에 대한 현대적인 ― 고전 신비주의적인 형식에서 벗어난 ― 이해를 모색하는 글이다. 이 개념에 좀더 쉽게 접근하기 위해 그의 주제논문 Enn. VI 9를 택했다. 물론 <하나>에 대한 그 밖의 다른 작품들의 진술을 살펴보는 일 역시 병행될 것이다. <하나>는 최고의 절대적인 존재로서 혹은 자체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그것은 그의 <하나>개념이 이미 오래 전부터 희랍사상 안에서 꾸준히 전승되어 온 (Arche) 혹은 궁극적인 據(Aition) 개념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본 소고는 그러한 개념의 역사를 간단히 되짚어볼 것이다. 예컨대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특히 Parmenides)와 Platon( 개념) 그리고 Aristoteles(움직이는 최초의 개념)를 통해서 말이다. Plotinos는 분명 그러한 절대자 개념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였다. 그가 숙고하고 다듬어낸 <하나>개념은 무엇보다도 초월적인 의미를 띤다. 그가 자주 “저편의 세계(epekeina)”에 대해서 언급하듯, 그것은 이 현실세계에서는 무엇이라고 단정하기 어려운, 이른바 ‘인 어떤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언어(범주)로 표현해내는 일이 곤란하다. 그럼에도 Plotinos는 <하나>가 단지 초월적인 의미로만 해석되는 것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저 초월적으로 머물러 있는 존재원천 혹은 존재근거라고 한다면, 사뭇 이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것들과 무관하게 여겨질 수 있겠기 때문이다. 그런 단절된 의미에서 <하나>는 존재는 아니어야 한다. 오히려 그것은 필히 내재적이어야 한다. 그것이 존재원천 혹은 존재근거라고 한다면, 그래서 어느 것 하나 <그>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없다고 [말해야] 한다면, 그것은 존재하였던 것(과거의 존재), 존재하는 것(현재의 존재), 그리고 존재할 것들(미래의 존재)에게 이미 그리고 꾸준히 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은 한 마디로 그가 찾아낸 ‘영원한’ <하나>개념이 곧 모든 존재의 시작이자 중간이며 끝이라는 의미이다. 바로 그 때문에 모든 존재하는 것들의 존재의미가 그 곁에서 발견된다. 존재의미를 성취(실현)하는 것은 달리 말해 <하나>를 觀하는 일이다. 그렇게 직관하는 것은 Plotinos에게서 ― 바라봄 안에서 인식하는 자와 인식되어지는 것이 손색없이 결속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 <그것>과 하나되는 일이다. 그러한 하나됨은 비록 오래 전부터 신비주의적인 형식(탈혼, 자기이탈, 합일정념)으로 해석되어왔지만, 이제 그러한 용어는 재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은 그러나 간단히 ‘신비’를 포기하라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도무지 우리(이성)로서는 아예 근접할 수 없는 ‘신비’로 따돌리는 것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것 같다. Plotinos는 그런 입장에서 “<하나>에 대해 철학하기(περ τ ν φιλοσοφήσειν)”를 새롭게 제의한다. Diese Studie fokussiert den Begriff “Hen(ν)” bei Plotin, welchen man bisweilen mit der Transzedenz des Abslouten darzustellen versucht. Wie z.B. “Das Eine [bei Plotin]” erläuterte J. Halfwassen(1992), “als Prinzip des Seins von allem vorausgesetzt wird, ist es das absolute Erste”. Dabei fragt sich allerdings: Wie soll überhaupt der Gedanke, der die Anschaulichkeit des absolut Transzedenten zu denken versucht, je in den Blick kommen können? Wie sollte das Absolute, das im radikalen Sinne überhaupt unerkennbar ist, je in das Denken aufgenommen werden können? Über dies erklärte ein früherer Forscher F. Heinemann(1973) so, Plotinische Selbsterkenntnis sei “keine logische, sondern eine religiöse und eine solche, bei der das Selbst des Menschen in Gott untergeht. Die Erkenntnislehre wird zur Religionsphilosophie, an die Stelle des Wissens tritt die ekstatische Schau”. Den Grund hat Heinemann nämlich bei Plotin selbst angenommen, wenn er schreibt: “Nicht mit den Füßen sollst du sie vollbringen; denn die Füße tragen überall nur von einem Land ins andere. Du brauchst auch kein Farhzeug auszurüsten, das Pferde ziehen oder auf dem Meer fährt. Nein, dies alles mußt du hinter dir lassen und keines Blickes würdigen. Du mußt vielmehr gleichsam die Augen schließen und ein anderes Gesicht statt des alten in dir erwecken, welches zwar jeder hat aber nur wenige gebrauchen”(Enn. I 6, 8.23-27). Damit stehen wir vor der Frage noch, ob und gegenbenfalls in welchem Sinn bei Plotin von “die Augen schließen(μύειν)”, d.h. “Mystik” gesprochen werden kann. Um die obig erwähnten Fragen zu lösen, wird die Plotinischen Gedankengänge vor allem durch seine Texten nachvollzogen werden. Zuerst schauen wir den Seinsursprung wie Arche bzw. Aition bei vorplotinischer Philosophie, insbesondere bei Parmenides, Plato und Aristoteles, durch(auf dem Grund des Werkes <Enn. V 1>). Dabei können wir uns je an den Begriff “das [Ewiges] Sein”, “das Gute(γαθόν)” und “der erste bewegende Unbewegte(πρτον κινον κίνητον)” erinnern. Daraus nimmt auch Plotin vielfältigen Bedeutungen zu seinem eigentümlichen Begriff “das Eine(Hen)” auf. Dann versucht er uns zwar zu erklären, wie man in das Eine hinaufsteigen kann, aber weder mystisch noch kategorisch, sondern mit neuem Philosophieren. Bemerkenswert kann man hiermit auch eine sprachliche Wendung zuschauen. Mit anderm Worten spielt eine große Rolle bei seiner Erklärung des Aufsteigen zum Einen solche Metapher, wie seine Kreis-Symbolik. Damit ist Plotins Hypostaen-System als rhythmisiertes In-ein-ander von “zentralem” Einen, “radialem” Geist und “zirkumferenter” Seele auszulegen. Aber nach Plotinischem Konzept liegt das eine nicht neben oder nach dem anderen, sondern in-aus-miteinander in eins: Über unsere Drei-Dimentionen hinaus heißt ja zwar Transzendenz, aber nicht bloß im Sinne von ‘über diese raumzeitliche Welt hinaus’, sondern ‘in eine allumfassende Welt hinauf bzw. hine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