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두부(頭部)] 관련 관용 표현 연구

        박종갑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The aim of the article is to analyse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related to [The Head]. First, these expressions are classified centering around meaning, and then the article examined what kind of ‘meaning contents’ literal meaning and idiomatic meaning have and what figurative characteristics are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meaning of ‘head’ of the core word in them, the idiomatic expressions related to [The Head]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head’ and ‘hair’. Among 60 idiomatic expressions, 46 is the former and 16 is the latter. The expressions related to ‘head' is much more, and this reflects the recognition that ‘head’ is more important than ‘hair'. The method for classifying the idiomatic meaning which centers in the article is to sub-classify them hierarchically in a systematic and in a more detailed manner. By conducting this method, the article could be a great help us know what meaning is the idiomatic expressions related to [The Head] used as, and help us grasp their relatedness in ‘meaning contents’ with the literal meaning. The article shows that the idiomatic expressions related to [The Head] are formed by the method of metonymy.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the cases between the meaning of ‘head’ and ‘hair'. The former is mostly based on the metonymy of ‘container-> content’ and the latter is based on the metonymy of ‘cause ->result’, not on the metonymic mechanism of the former. The factors revealed in the article shows the diversity of our recognition on the expressions related to ‘head’ and ‘hair’. 본고는 국어의 [두부] 관련 관용 표현들의 의미 구조를 분석해 보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들을 관용적 의미를 중심으로 분류한 다음, 축어적 의미와 관용적 의미 사이에 어떠한 성격의 의미 내용적 연관성이 있으며, 축어적 의미와 관용적 의미 사이의 비유법적 특징은 어떠한가에 대해 기술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본고에서는 국어의 두부 관련 관용 표현들은, 그 핵심어인 ‘머리’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따라, ‘[머리]의 의미인 경우’와 ‘[두발]의 의미인 경우’ 등 2개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총 60개의 관용 표현 중 46개가 전자에 해당되고 14개가 후자에 해당되어, [머리]와 관련된 경우가 월등히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이것이 우리의 신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관용적 의미를 중심으로 분류하는 방식을 취하되, 그것을 체계적이고 반복적으로 분류하여 세밀하게 하위 유형화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국어의 두부 관련 관용 표현들이 어떠한 의미로 쓰이고 있는가를 체계적으로 알 수 있었고, 축어적 의미와의 의미 내용적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국어의 두부 관련 관용 표현들은 대부분 환유의 방식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는데, ‘[머리]의 의미인 경우’와 ‘[두발]의 의미인 경우’가 조금 다르다. 전자의 경우는 대부분 ‘용기-용물’ 방식의 환유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후자의 경우는 ‘용기-용물’ 방식의 환유에 의해 형성된 것은 없고, 모두 ‘원인-과’ 방식의 환유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는 점이 대조적이다. 이러한 점은 [머리]와 [두발]과 관련된 우리의 다양한 인식 내용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국어 문법서의 기저구조 관련 기술의 변천과 의의

        박종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59 No.-

        The paper investigates the transitional aspects of the grammatical description related to underlying structures and the meaning of grammatical history that the transition has in several Korean grammars―Kim, Gyu-sik’s 『Choseonmunbbeop』, Ju, Si-gyeong’s 『Gukeomunbbeop』, Kim, Do-bong’s 『Choseonmalbon』, Choi, Hyeon-bae’s 『Woorimalbon』. The paper examines several subjects mentioned below for this. First, Are the examples, employed in sentential analyses related to underlying structures, appropriate in exploring structural features in each grammar? And how did they transmit in each grammar? Secondly, what is the nature of underlying structures introduced in syntax of each grammar? And how did they transmit in each grammar? Thirdly, in syntax of each grammar, how the analyses on the underlying structural features of syntax and meaning were treated in any role and weight? And how did they transmit in each grammar? Fourthly, how much did the recognition of underlying structures contribute for the new analyses of sentential structures in Korean? And how did they transmit in each grammar? Fifthly, what meaning do the recognition related to underlying structures employed in each grammar and the transition of actual grammatical description have as Korean grammatical history? 본고는 몇몇의 국어 문법서-김규식의 『朝鮮文法』, 주시경의 『國語文法』, 김두봉의 『조선말본』, 최현배의 『우리말본』-에 등장하는 기저구조 관련 문법기술의 변천 양상과 그러한 변천이 갖는 문법학사적 의의에 대해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논구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문법서에서 기저구조와 관련하여 국어 문장분석에 이용된 예문들의 적절성 문제와 각 문법서에 따라 이뤄진 그러한 적절성의 변천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용된 예문들은 통사 및 의미적인 성격의 예문들이 섞여 있다가 통사적인 성격의 예문으로 집중되는 방향으로 변천되었다. 둘째, 각 문법서의 문장론에서 상정되고 있는 기저구조의 성격과 각 문법서에 따른 그러한 성격의 변천 내용에 대해 고찰했는데, 기저구조의 성격은 통사 및 의미구조가 함께 논의되다가 통사구조로 단일화되는 방향으로 변천되었다. 셋째, 각 문법서의 문장론에서 국어 문장의 통사 및 의미의 기저구조적 특징에 대한 분석이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의 정도성 문제와 각 문법서에 따른 그러한 정도성의 변천 내용에 대해 고찰한 결과, 그러한 역할과 비중의 정도는 점차 약화되는 방향으로 변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각 문법서에 따라 이뤄지는 기저구조와 관련된 인식과 실제적 문법기술의 변천이 국어 문법학사에서 가지는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초기 국어 문법서의 문장론에서 중시되었고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던 기저구조 관련 인식이 새로운 학문적 관점과 방법의 확립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약화된 것은 참 아쉬운 일이다. 그러나 연구대상을 표면적인 통사구조 중심으로 명확히 한정하고 문법을 언어구조 안에 존재하는 규칙으로 제한하여 국어학의 과학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변천한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주시경 문법의 문법 모형 연구(2)- 초기 문법서를 중심으로 -

        박종갑 한민족어문학회 2003 韓民族語文學 Vol.43 No.-

        A Study of the Grammatical Model of Ju Si-Gyeong's Garmmar(2):with emphasis on his early works. Bak Jong-Ga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