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카무라 고타로(高村光太郎)의『지에코쇼(智恵子抄)』 연구 ―사계(四季)의 조형의지를 중심으로―

        문헌정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학연구 Vol.58 No.-

        For Kotaro, poetry is a poetic expression of a person’s ‘life’ and ‘energy’, nature and symbolic embodied nature. Although ‘literature’ is only a nature of poetry, it has been called ‘symbolic’ or ‘spirit’ or ‘life’ for its important meaning, and identified it as a basic concept that forms sculpture and literature. His rectitude is shaped by four seasons. In “Chiekosyou” we are asked to examine how Chieko is drawn by the four seasons. It is composed of different genres of poetry and Dana and prose, and depicts the human spirit by common sanctions called ‘Snowpants’, a symbol of Japanese tradition. Specifically, two contrasting types of traditional literature - lyric, epic and dramatic - personal lyric and impersonal plays unfold along with spring, summer and fall, which symbolize Japanese tradition. A common characteristic in the writing is the sense of language as a ‘living language’ by a sense of shape. At the end, the margin of the poem, which appears as a literary space, forms a white mold with a winter symbolizing the modern times of the West, connects the text of the unit price and prose with the cover, and converts it into a literary world that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time, forming a newly unified space sculpture. “Chiekosyou” is a collection of beautiful art love poems that are made up of life, nature, and beauty by the four seasons. 고타로에게 시(詩)란 인간의 ‘생(生)’과 ‘기(氣)’ 같은 시정신(시혼)을 표현하는 것으로, 자연 및 자연성을 내재한 것이 시적 대상이 된다. ‘문학성’은 시의 속성에 불과하지만 중요한 의미에 대해서는 ‘시혼’ 또는 ‘시정신’, ‘생(명)’이라 칭하고 이를 조각과 문학을 형성하는 기초개념으로 파악했다. 그의 시정신은 사계절로 형성되어 있다. 『지에코쇼』에서는 사계에 의해 지에코가 어떻게 그려져 있는지 고찰해 보도록 한다. 여기서는 시와 단카와 산문이라는 각각 다른 장르로 구성하였고, 일본 전통의 상징물인 ‘소나무’라는 공통 제재에 의해 인간의 정념을 그려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내용에서는 서정과 서사와 극이라는 전통 문학, 즉 개인적인 서정과 비인격적인 극이라는 대조적인 두 종류가 일본 전통을 상징하는 봄, 여름, 가을과 함께 전개된다. 이때 글에 나타나는 공통된 특색은 조형감각에 의해 ‘살아 있는 언어’로서의 언어감각이다. 마지막에 문학공간으로 나타나는 시의 여백이 서양 근대를 상징하는 겨울로 하얀 주형틀을 형성해 단카와 산문의 본문을 표지와 연결 지으며 물리적이고 심리적인 시간상의 거리를 나타내는 문학세계로 전환되어 새로이 통일된 공간 조형물을 형성한다. 『지에코쇼』는 사계에 의해 생명과 자연과 미(美)를 조형한 아름다운 예술사랑 시집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카무라 고타로의 ≪암우소전≫ 고찰 – 시인과 조각가로서의 전쟁의식을 중심으로 –

        문헌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日本硏究 Vol.- No.94

        In this paper, we paid attention to the sense of war as a poet and sculptor in Kotaro Takamura’s penance poem “Angusyoden” (1947.7), and looked at how the sense of war was formed and expressed during the war period. Kotaro’s question of responsibility for the war has been discussed by many commentators from the postwar period to today. There is a theory in Korea, but there are few, and likewise, the discussion related to his war responsibility is the main one. Given that “Angusyoden” is a work centered on language text, it was rare to analyze poetry from various angles in the future and clarify the consciousness or era of poets as well as poetry based on this. Therefore, based on such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reexamines Kotaro’s sense of war as a poet and sculptor from the perspective of a poet (sculptor) and Japan (people), that is, individual and countries. Specifically, first, the situation and purpose of asceticism are examined in the postwar departure as a poet. Second, we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a sense of war between poets and Japanese, focusing on the ‘Home’ that appeared in the confession in the work. Third, we look at the antinomy of ‘to abandon a poem to write peom’ during the war period. Divided into the war period and the postwar period, we examine the truth of the confession.

      • KCI등재

        다카무라 고타로의 《암우소전》 고찰– ‘전조’의 의미를 중심으로 –

        문헌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日本硏究 Vol.- No.96

        In this paper, the truth of confession was examined through the meaning of ‘modulation’ in Takamura Kotaro’s postwar penance poem “Angusyouden” (1947.7). Modulation and beliefs as poets and sculptors are manifested through ‘cicada’, a common object of poetry and sculpture. For poet and sculptor Kotaro, ‘cicada’ shows that he appears as an ego and another ego as an object of poetry and sculpture, and appears in the form of assimilation after escaping from Japan. ‘break from the Japanese’ has been steadily attempted through poetry, but as Kotaro himself knows, it was possible with the consciousness of ‘break from the Japanese’ from him, but it was impossible by action. The postwar penance poem written after the defeat of the war can be evaluated as a confession as a poet and sculptor for Japan (Japanese) by showing a disconnected appearance from the outside.

      • KCI등재

        다카무라 고타로(高村光太郎)의 『도테(道程)』에 나타난 사계(四季)의 의미

        문헌정(Moon Heon Jeong,文憲正) 일본어문학회 2015 일본어문학 Vol.70 No.-

        高村光太郎(1883~1956)は、詩人であり彫刻家でもある。彼は詩人とし ての自分を絶えず否定したにも拘わらず、生涯にわたって総七〇〇編以上の多くの作品を残している。本格的に詩作を始めたことはヨーロッパから帰ってきた翌年明治43年の後半期で、当時の日本には西洋の近代の空気を呼吸した詩人や彫刻家などの芸術家達が次々と帰国し始め、西洋の新しい芸術が輸入され、紹介されていた。特に、『ロダンの言葉』を翻訳した当時の回想からは彼の芸術原理への自覚がみられる。光太郎が彫刻から排除しよとした詩の要素は、作品に多く用いられている<四季>の詩語が持つ時間の普遍性によって歌われている。また、このように表出される詩観は彼の彫刻観、自然観などの芸術理念の表象でもある。従って、本論文では、光太郎の処女詩集『道程』の<四季>に注目し、彫刻世界を含んでいる<四季>の詩の普遍的な芸術原理としてのメカニズムを探ってみた。これによって、光太郎の詩集『道程』の意味はもちろん、詩と詩人の内実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

      • KCI등재

        다카무라 고타로의 에밀 베르하렌 수용에 관한 고찰

        문헌정(Moon, Hu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4

        다카무라 고타로 高村光太郎는 미국, 영국, 프랑스의 해외 유학을 마치고 1909년에 귀국하였다. 이후 일본과 서양의 의식 차이로 의한 내면세계의 혼란을 겪으면서 서양의 시인 및 작품을 면밀히 분석, 탐구하여 새로운 시적 출발을 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벨기에계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 에밀 베르하렌 Émile Verhaeren의 영향으로 당시 그가 어떤 시적 모색을 하는지 일면을 논해보았다. 베르하렌의 이름이 처음 일본에 소개된 것은 1901년 『문예논집(文芸論集)』이며 1904년 1월호 『묘조 明星』에 게재한 우에다 빈 上田敏의 「백로의 노래(상징시) 鷺の歌 (象徴詩)」( Parabole, in Les Bords de la Route , 1895)」가 첫 번째 번역시이다. 고타로는 이 잡지에 가인(歌人) 다카무라 사이우 高村砕雨라는 필명으로 단가(短歌) 35수를 함께 실으면서 베르하렌을 처음 알게 된다. 하지만 이때까지도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귀국 이후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는다. <생명>을 찬미하며 <자연>의 힘을 믿고 이상을 추구하는 베르하렌의 시적 태도에 공명함으로써 그를 ‘시인으로서의 자연아(自然兒)’로 인식하고 시인의 표본으로 삼았다. 그 결과 <인간> 내면을 시의 ‘육체’, 즉 시형(詩形)을 통해 <자연>으로 표현한 베르하렌은 고타로에게 <환상가>, 현실적 <증거>, <과거>의 감상자, <모성>과 <부성>을 발휘하는 <자연>과 같은 존재였으며 그의 시세계는 ‘정열’이 ‘극단적’ 방향으로 전환해 정신적 승리로 극복하는 삶의 자세가 ‘발과 그 촉각’으로 전해지는 <지상>의 세계였다. 고타로가 귀국한 이후 쓴 초기 작품에는 이런 베르하렌의 영향이 일본 근대의 청춘상을 그리며 시작되고 있으며, 첫 시집『도정(道程)』을 통해 <여름>과 <겨울>의 시인상으로 나타난다. Kotaro Takamura experiences chaos in the inner world due to differences in Japanese and Western consciousness after studying abroad in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France, and returning home in 1909. This develops as an opportunity for him to closely analyze and explore Western poets and their works to set the stage for his new poetic beginning. In particular, he seeks his way as a modern poet through translation and creation, as he comes across works by Belgian French poet Emile Verhaeren, known as a French symbolist poet. This shows his new poetic start by embracing Verhaeren’s poetic attitude in the early days of his return to Japan and portrays him as a modern Japanese y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