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대두의 발아 및 성숙과정중 토코페롤과 지방산의 변화

        장기운,이인복 한국농화학회 199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6 No.2

        The concentrations of tocopherols and compositions of fatty acids during germination and maturation of soybean seeds were determined by HPLC and GC. In germination stages, when the length of seedling axis was about 10 ㎝, the contents of total tocopherols and lipids were the highest. At the early phase of pod filling on field condition, the concentration of δ-tocopherol in soybean seeds was the highest, but, in further pod filling, the content of δ-tocopherol decreased continuously, and α- and γ-tocopherol increased. Accumulation of oil during pod filling seems to be determined at the beginning. There seem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veral tocopherol homologues and fatty acids.

      • KCI등재
      • 목단줄기를 접목시킨 작약근과 목단피의 생태적 특성조사 및 성분분석에 의한 품질 비교

        장기운,최강주,고성룡,김현경,Chang, Ki-Woon,Choi, Kang-Ju,Ko, Sung-Ryong,Kim, Hyoun-Kyoung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2 한국농화학회지 Vol.45 No.3

        약용식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지상부 꽃은 관상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의 일환으로 목단 줄기에 작약 뿌리를 접목시켜 생육생태를 관찰하고 유효지표성분외에 무기성분, 지방산, 유기산등 성분변화 및 향미 관능검사등을 비교한 결과 생육생태를 볼 때 지상부는 목단줄기에 목단꽃이 피었으며 지하부 뿌리는 작약뿌리와 목단뿌리가 혼재하여 생성되었으며, 작약뿌리와 목단뿌리의 혼재비율은 약 3:1정도로 나타났다. paeoniflorin및 paeonol 분석결과 건조시킨 작약근의 함량은 대건물 시료(g)중 9.91 mg/g및 0.80 mg/g,접목 작약근은 11.71 mg/g 및 0.35 mg/g, 목단피는 10.81 mg/g 및 2.84 mg/g, 접목 목단피는11.26 mg/g 및 3.28 mg/g으로 유사한 경향이었다. 무기성분별 10종 함량은 대체로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Fe함량은 시료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작약근은 86.06 mg/g, 접목 작약근 127.36 mg/g, 목단피 75.05 mg/g, 접목 목단피는 140.63 mg/g으로 함량 차이가 현저하였다. 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및 ole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총 11종을, 유기산은 oxalic acid, citric acid 및 mal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총 6종을 각각 분석하였으나 함량 조성은 대체로 유사한 경향이었다. 한편, 향미 관능평가 결과 작약근과 접목 작약근은 대체로 유사한 향미 패턴을 나타내었으나, 작약근은 작약근 향미 및 떫은맛이 다소 강하였으며, 목단피와 접목 목단피도 거의 유사한 향미를 나타내었으나, 목단피가 목단피 향미, 쓴 맛, 화한 맛 및 떫은 맛이 다소 강하였다. Graft cultivation of Paeonia and Moutan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harvest yields of medicinal parts of the plants. When Paeonia root was grafted with Moutan stem, the harvest yields of underground roots showed 35% increase, with Paeonia radix and Moutan cortex ratio of 3 : 1 paeoniflorin and paeonol contents among grafted Paeonia radix (11.71 and 0.35 mg/g, respectively), Paeonia radix (9.91 and 0.80 mg/g, respectively), and Moutan cortex (10.81 and 2.84 mg/g, respectivel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aeonia radix grafted with Moutan stem was cultivate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properties and to compare index components, including minerals, fatty acids, and organic acids. The contents of 10 major minerals among the samples were very similar, whereas those of Fe were different, showing 86.06, 127.36, 75.05, and 140.63 mg/g for (Paeonia radix, Paeonia radix grafted, Moutan cortex, and Moutan cortex grafted) contents and GC profiles of 11 fatty acids including linoleic, palmitic, linolenic, and oleic acids and those of 6 organic acids including oxalic, citric, and malic acids were very similar.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s were very similar between Paeonia radix and Paeonia radix grafted or Moutan cortex and Moutan cortex grafted showed astringent taste, and stronger sensory intensity of Paeonia radix than Paeonia radix grafted showed bitter taste, and stronger sensory intensity of Moutan cortex than Moutan cortex grafted.

      • KCI등재

        유황성분(硫黃成分)이 마늘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장기운,황준영,우인식,Chang, Ki Woon,Hwang, Joon Young,Woo, In Shik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98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1 No.2

        본(本) 연구(硏究)는 유황시비(硫黃施肥)에 따른 마늘의 품질(品質)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시험(試驗)으로서 1986년산(年産) 서산한지형(寒地形) 마늘을 pot 및 포장(圃場)에서 유황시용량(硫黃施用量) 5개처리구(個處理區)(0, 10, 20, 30, 40kg/10a)를 3반복(反覆) 난괴법(亂塊法)으로 배치(配置)하여 재배(栽培)하였다. 재배기간중(栽培期間中) 주요(主要) 생육단계별(生育段階別)로 7회에 걸쳐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의 생육특성(生育特性) 및 수량조사(收量調査)와 마늘향기(香氣)의 주성분(主成分)인 diallyl disulfide를 비롯한 14종의 유기유황(有機硫黃) 화합물(化合物)을 GC 및 GC/MASS로 분리(分離), 확인(確認), 정량(定量)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地上部)의 생육조사(生育調査) 결과(結果)는 유황시비량(硫黃施肥量)에 따라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으나, 지하부(地下部) 수량(收量)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Pot 시험(試驗)에서는 10a당(當) 유황(硫黃) 10kg 시비해당구(施肥該當區)인 처리구(處理區)(S-10)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에서는 20kg 시비(施肥)한 처리구(處理區)(SF-20)에서 마늘구근(球根)의 수량(收量)이 가장 많았다. 3. 마늘 향기성분(香氣成分)의 주성분(主成分)으로서 휘발성(揮發性) 유기유황(有機硫黃) 화합물(化合物)인 diallyl sulfide, allyl methyl dithia cyclo pentene, methyl propyl disulfide(Z+E), diallyl disulfide, dipropenyl disulfide, dipropenyl disulfide(isomer), allyl methyl trisulfide, 3-vinyl-1, 2-dithia cyclo bexa-5-ene, 3-vinyl-1, 2-dithia cyclo hexa-4-ene, diallyl trisulfide, allyl propyl trisulfide 및 dipropenyl trisulfide의 함량(含量)은 pot 시험(試驗)에서는 SP-10, 포장시험(圃場試驗)에서는 SF-20구(區)에서 가장 높았다. 4. 상기(上記) 유기유황화합물(有機硫黃化合物)은 생육초기(生育初期)부터 지상부(地上部)에서 생합성후(生合成後) 지하부(地下部)로 이동(移動)되는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5. 마늘의 수량(收量), 마늘중 총유황(總硫黃) 및 휘발성(揮發性) 유기유황(有機硫黃) 향기성분함량(香氣成分含量)의 측면(側面)에서 판단(判斷)할 때 본(本) 시험(試驗)에 사용된 공시품종(供試品種)과 토양조건(土壤條件)에서는 10a당(當) 20kg의 유황시비구(硫黃施肥區)에서 포장경작시(圃場耕作時) 수량(收量)과 품질(品質)이 가장 양호(良好)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lfur fertilization, and the quality and yield of garlic was investigated. The garlic was grown in pot and field at the five fertilization levels of sulfur.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lavour components of the garlic were studi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lfur applications contributed to a weight and yield of the bulb in SP-10 (10kg/10a) and SF-20 (20kg/10a) significantly, respectively. 2. From the volatile oil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of garlic, fourteen organie sulfur components were separated, identified and quantified by GC and GC/MASS and the SP-10 and SF-20 were higher in the concentration of the flavour components in the volatile oil than other treatments. 3. It is considered that the organic sulfur components were synthesized in the top and transported to the bulb of the garlic. 4. In conclusion, SF-20, 20kg/sulfur per 10a, could be recommended to get maximum yield and a good quality of garlic in view of evaluation through the contents of organic sulfur components in the volatile oil and the yield of the bulb.

      • KCI등재

        미생물 첨가에 의한 소규모 정체식 퇴비화

        장기운,유영석,Chang, Ki-Woon,Yu, Young-Seok 유기성자원학회 2003 유기물자원화 Vol.11 No.1

        본 연구는 소규모의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을 합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소규모 정체식 퇴비화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때 미생물을 첨가하여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의 대조구, 일반 Bacteria와 Lactobacillus을 처리한 BL구, BL구에 Photo.를 첨가한 BLP구 등 3개를 두었으며, 별도의 퇴비화 장치 없이 퇴적시킨 후 간헐적인 뒤집기를 실시하였다. 원료의 수분함량은 60% 정도였으며, 우분, 왕겨, 톱밥이 혼합되었다. 퇴비화 과정 중 온도는 3일 이내에 $60^{\circ}C$이상 상승하였으며, BLP와 BL구에서 Control구에 비해 초기 온도상승에 우세하였다. 원료의 초기 pH가 높아 퇴비화 과정중 pH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크지 않았으며, 약알카리성에 머물렀다. EC는 뇨와 분의 계속적인 배출로 축적되어 초기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퇴비화 과정중 5~10%의 상승을 보였다. C/N율의 감소는 BLP구에서 가장 높은 22.7%를 보였으며, BL과 Control구에서는 각각 19.2와 17.5%의 감소를 보였다. 식물독성평가에서는 BLP가 가장 짧은 시간에 안정되었으며, BL구와 Control구의 차이는 없었다. 소규모 축사농가에서 발생하는 축분의 처리는 적절한 뒤집기와 수분함량을 갖춘 소규모 정체식 퇴비화에 의해 가능하며, 미생물의 첨가는 초기 온도상승과 식물독성물질의 감소에 긍정적이었으나, 부숙도에 큰 영향은 미치지 못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utilization possibility of composting system of small scale static pile with animal manure produced from cattle shed and the effect of addition of microorganism on the maturity of compost. Microorganisms added in composting substrate were bacteria+lactobacillus(BL)+photo.(BLP). The composting practiced was a windrow system without aeration equipment and turning was practiced periodically. The water content of substrate mixed with cow manure, rice husk, and sawdust was about 60%. The temperature during the composting process was increased at over $60^{\circ}C$ within 3 days after composting starting. Increase of temperature at the early stage of composting was fasten in BLP and BL than Control. Because the pH of the raw material was high, the changes of pH during composting was little and stabilized in weak alkaline condition. EC value was high for accumulation of manure and urine excreted continuously by animal and the changes of those during composting occurred in 5~10% increase. Reduction rates of C/N ratio were the largest as the 22.7% in BLP and 19.2and 17.5% in BL and Control respectively. In the evaluation of phytotoxicity, there was stabilized within the short time in BLP and not the difference between BL and Control. Treatment of animal manure produced from small scale cattle shed was possible by using the small scale static pile composting system with reasonable water content and turning and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 in composting substrate was effected on the temperature increase at the early stage of composting and reduction of plant toxicity compounds but little on the maturity of compost.

      • KCI등재

        하수슬러지와 Alum 슬러지를 이용한 퇴비화

        장기운,임재신,이인복,김영한,Chang, Ki Woon,Lim, Jae Shin,Lee, In Bog,Kim, Young Han 유기성자원학회 1995 유기물자원화 Vol.3 No.1

        본 실험은 alum슬러지를 도시하수슬러지나 톱밥과 같은 유기물질들과 혼합하여 퇴비화를 하였을때 그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행되었다. 톱밥과 제지슬러지를 같은 부피의 비율로 혼합한 후 alum슬러지를 이들 원료에 대해서 부피로 0%, 25%, 35%, 45%를 혼합하였다. 퇴비화장치는 aerated static pile을 사용하였으며, 화학분석과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여 부숙정도를 판정하였다. 퇴비화 과정중 0%와 25% alum 처리구는 30일 까지 온도가 $55^{\circ}C{\sim}68^{\circ}C$까지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세균 및 방선균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35%와 45% alum 처리구의 온도는 $50^{\circ}C$ 이상 올라가지 않았다. 퇴비화 기간중 모든 처리구에서 탄소함량과 C/N율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양이온 치환용량(CEC) 은 0%, 25% alum 처리구에서 퇴비화 30일 동안 70me/100g까지 증가하였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약간 증가하거나 혹은 증가하지 않았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assessment of the possibility of alum sludge composting, as well as changes of some chemical properties during composting. Alum sludge was mixed in different proportions, which are 0%, 25%, 35% and 45%, respectively, with a sewage sludge and sawdust mixture. The final mixtures to be composted are placed on static piles constructed with a perforated aeration pipe on the ground, and composted for more than 50 days. During the composting of some alum sludge treatments, there was not notable difference in changes of pH, C/N ratio, and content of several minerals among the alum sludge treatments, while changes of pile temperatures and CEC were significant and these remarkable differences in related to the pile temperatures and CEC seem suitable for the evaluation of alum sludge maturity. Also,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oper mixing ratio of alum sludge for composting was 25% level.

      • KCI등재

        모단(牡丹)(Paeonia moutan Sim) 접목(接木)이 작약(芍藥)(Paeonia albiflora Palls) 근(根)의 유효성분(有效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장기운,김필주,정하일,문창식,안병창,Chang, Ki Woon,Kim, Phil Joo,Chung, Ha Il,Moon, Chang Sik,Ahn, Byeong Chang 한국토양비료학회 199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4 No.3

        This paper was inten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graft of Paeonia moutan scion into Paeonia albiflora stock on the yield and the pharmaceutical components of the root-Paeoniflorin, Albiflorin, Oxypaeoniflorin and Paeonol. The roots of Paeonia albiflora(PA), Paeonia moutan(PM) and Paeonia albiflora grafted in Paeonia moutan (M/A), were collected after being cultivated for three years in Yoenki, Chungnam, Kore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underground part of M/A were similar to those of PA. 2. The yield of M/A was 3-5 times as that of PA in appearance. 3. The amount of Paeoniflorin in M/A was 0.2-0.5% higher than that in PA. The content of paeonol in M/A was not increased by grafting of paeonia moutan with high concentration of paeonol. 농가에서 3년간 재배중인 작약(芍藥), 목단(牧丹), 모단(牡丹)을 접붙인 작약(芍藥)(목단(牧丹)/작약(芍藥))근(根)을 수집해서 외형적(外形的)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유효성분(有效成分)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목단(牧丹)/작약(芍藥)을 접목(接木)한 지하부(地下部)의 외형적 생육상태(生育狀態)는 작약(芍藥)의 특성과 같았으나, 달관(達觀) 조사(調査)에 의하면 목단(牧丹)/작약접목근(芍藥接木根)이 작약(芍藥)에 비해 2~3배의 증수량(增收量)을 나타냈다. 2. 목단속(牧丹屬)(Paeonia linne) 식물의 주요(主要) 유효성분(有效成分)인 Paeoniflorin은 목단(牧丹)/작약근(芍藥根)이 0.98%로 작약(芍藥) 0.78%, 목단(牧丹) 0.46%보다 0.2%에서 0.5%까지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목단(牧丹)에 다량 함유된 Paeonol은 목단접목(牧丹接木)으로 인해 목단(牧丹)/작약(芍藥) 접목근(接木根)에서 함량(含量)이 증가되지는 않았다. 3. 결과적(結果的)으로 수량(收量)과 유효성분(有效成分) 측면을 종합비교(綜合比較)해 볼 때, 작약(芍藥)의 뿌리를 대목(臺木)으로 하여 모단경(牡丹莖)을 접수(接穗)로 접목(接木)함으로서 근생육(根生育)이 괄목할만하게 증대되었고, 약효성분(藥效成分)은 작약(芍藥) 고유의 함량비(含量比)를 유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향후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