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돈산업에서 생산성 변화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

        최규섭,권용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농촌경제 Vol.23 No.2

        1983-1997년까지 14년간 6개 도별 생산비와 산지가격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Malmquist 생산성지수와 가격변화를 계측하여 생산성 변화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1983-1997년까지 14년간 우리나라 비육돈 산업의 생산성은 연평균 약 5.7% 성장하였고, 이러한 성장요인은 효율성 변화 0.3%와 기술변화 5.4%에 기인한 것으로 기술변화가 생산성의 성장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 평균 생산성이 10.5%로 1980년대에 비해 성장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전반적으로 지역간 생산력 수준이 상향·평준화되어 지역간 생산력 수준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980년대 비해 1990년대 이후 생산성 변화가 가격 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16.2%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생산성변화와 가격변화간 추정치는 -0.262로 14년간 우리나라 총요소 생산력의 연평균 5.7% 향상은 연평균 약 1.7%의 가격인하 효과를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 마늘ㆍ양파의 價格動向과 變動패턴 分析

        崔奎燮 慶北大農學誌編輯委員 1986 慶北大農學誌 Vol.4 No.-

        本 硏究에서는 한국의 마늘 (乾, 1접) 과 양파 (중품, 3.75㎏) 價格에 관해 循環變動値를 도출하여 순환주기, 方向, 振幅 및 要因 그리고 계절변동 패턴을 비교 分析하고 이들 作目의 價格動向을 순환국면별로 비교분석하여 가격안정화 대책을 제시하는데 目的을 두었다. 그 結果 다음과 같은 注目할 사실이 有意的으로 밝혀졌다. 1) 마늘가격의 순환변동은 1967년 이후 1986년까지 최저 28개월에서 최고 53개월을 1주기로 6차례 있었다. 상승국면은 평균 20개월간으로 평균주기는 38개월을 보이고 있다. 양파의 순환주기는 최저 21개월에서 최고 47개월간으로 평균 35개월을 1주기로 하고 있어 마늘에서 보다는 약간 짧게 나타나고 있으며 상승국면과 하강국면의 기간은 각각 17.5개월과 16.7개월을 보여 마늘의 경우 하강국면이 상승국면보다 3개월 긴데 비해 양파는 오히려 하강국면이 상승국면보다 1개월 짧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기현상은 어디까지나 평균개념에서 본 개월수이며 매 주기마다 면밀히 검토하면 각 주기의 기간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제1순환에서 제5순환까지의 국면별 공통된 특징은 循環變動値의 頂點이 낮으면 하강국면이 상대적으로 짧고 순환변동치의 정점이 높으면 반면에 下降局面이 길고 또한 底點의 계곡이 깊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순환변동치의 동향을 마늘재배농가는 깊이 인식하여 次年度의 마늘재배에 신중을 기하여 經濟的損失을 미연에 방지해야 할 것이다. 3) 마늘과 양파의 循環變動期에서 주목할 것은 1966년 이후 1973년까지는 마늘과 양파의 순환변동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었으나 1975년부터 1985년까지는 약간의 時差를 두고 같은 방향으로 변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4) 時間的으로 循環이 進行됨에 따라 振幅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發散振動型으로 가고 生産品을 판매하는 流通段階에서 상대적으로 수익상 위험률이 높다. 5) 마늘가격의 季節指數 패턴을 月別로 보면 6월부터 10월까지 지수값이 100이하를 보여 年平均수준을 밑돌고 있고 11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는 평균수준을 넘고 있다. 특히 수확초기인 6月~7月 사이에 가장 낮고 冬節期에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양파의 경우는 5월부터 11월까지 연평균수준을 밑돌고 있고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계절변동의 등락격차를 20년간 월별 자료에서 구한 標準僞差로 보면 계절적 요인에 의한 가격변동폭은 마늘에서 보다는 양파가 크다. 6) 循環性은 供給측면에서 볼때, 마늘과 양파의 경우, 첫째, 파종된 마늘의 成長條件이 循環性을 가지고 변화하여 供給에 영향을 주고 있다. 즉 8월 하순~9월에 파종하여 5월~6월 상순에 수확하는 暖地系마늘과 9월 하순~10월에 파종하여 6月 중순에 수확하는 寒地系마늘은 生有期인 봄철의 氣候조건에 따라 段步當 수확량이 크게 변화하여 需給조절이 어려워 가격의 循環性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양파의 경우도 9월 하순~10월 하순이 파종기인데 역시 生有期인 봄철의 기후조건이 순환성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循環性을 야기시키는 要因은 農民의 경작여부(供給여부)에 관한 意思決定 과정에서 超過供給 또는 供給不足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셋째로, 循環變動의 진폭을 크게 해주는 요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마늘의 경우 마늘 생산량에 대한 種子所要量이 크다는 점이다. 7) 循環局面別로 마늘가격의 동향을 일반 농산물가격과 일반 소비자물가지수와 비교해 볼때, 주목되는 현상은 첫째, 마늘과 양파의 價格伸縮性이 一般農産物의 그것보다 4~5배나 되고 있으며, 둘째, 일반소비자물가지수나 농가판매 가격지수는 時系列的으로 상승폭에는 기복이 다소 있지만 계속증가추세를 보이는데 반해 마늘과 양파가격은 하강국면에 경상가격마저 하락하고 있어 재배농가의 收益性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이와 같이 마늘과 양파는 가격등락이 심하기 때문에 流通段階에서의 마진률이 대단히 크며 또한 投機의 對象이 될 수 있어 生産者와 消費者는 市場에서 불리한 입장에 있다고 하겠다. 8) 1986年産의 마늘 豫想適正栽培面積은 40千ha인데 실체 재배면적은 44.2千ha에 이르고 있어 10.5% 많은 것으로 기상이 좋을 경우 크게 過剩生産될 것으로 예상된다. 양파의 경우는 예상적정재배면적이 10.7千ha인데 실제 재배면적은 8.7千ha로 무려 18.7% 적기 때문에 양파값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短期對策으로는 마늘의 경우 (1) 供給過剩으로 消費需要를 늘리는 對策이 강구되어져야 하며 (2) 盛出荷期 홍수출하에 의한 가격하락방지를 위하여 農安基金을 이용해 出荷先渡金支援計劃을 확대실시하고 지원단가도 작년수준보다 높게 정한다. (3) 수출지원제를 모색하여 해외수요를 늘인다. 양파의 경우 (1) 입도선매에 의한 매점을 강력히 규제하여 농민의 피해를 줄인다. (2) 출하조절지원사업을 내실있게 운영하여 초기출하에 따른 농민의 피해를 줄인다. 93) 次期의 가격 안정을 위해 양파수입을 금지한다. 長期對策으로는 (마늘, 양파) (1) 産業用新需要를 포함한 需要豫測에 精度를 높인다. (2) 價格豫示制를 실시하여 정부수매를 점진적으로 증대한다. (3) 流通의 近代化를 통해 중간마진폭을 줄인다. (4) 희망재배면적을 사전에 조사하여 적정재배면적으로 유도한다. (5) 농민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경영지도를 강화한다. 96) 二元的인 재배면적 조사로 정확성을 높이도록 통계제도를 개선한다. (7)灌水施設을 支援하고 종자보급 및 재배기술을 강화한다. (8) 수입억제로 농정에 대한 신뢰성을 높인다. This study intends to document the existing cyclical fluctuations of garic and onion price at farm gate level during the period of 1966-1986 in Korea. The existing patterns of such cyclical fluctuations were estimated systematically by removing the seasonal fluctuation and irregular movement as well as secular trend from the original price through the moving average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cyclical fluctuations of garic and onion prices repeated six and seven times respectively during the same period, also the amplitude coefficient of cyclical fluctuations showed speed up in recent years. It was noticed that the cyclical fluctuations of price in onion was higher than that of in garic.

      • 農村人口의 變化와 豫測

        權容德,崔奎燮 慶北大學校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0 慶北大農學誌 Vol.8 No.-

        이상에서 본 연구는 1960년 이후부터 1985년까지의 인구규모와 그 변동의 특질을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이동현상과 관련하여 검토해 보았다. 아울러 분해시계열방법을 이용하여 농촌인구유출과 농정과의 관계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적정모델을 추정하여 2,000년까지의 농촌 및 농가인구도 예측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인구구조의 변화측면에서 농촌인구와 농가인구는 1965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1975년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농촌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농촌인구의 자연감소로 인한 요인보다는 도시로 유출되는 인구이동의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유출과정에서 유입지의 분포를 보면 도시지역 중에서 서울, 부산, 경기지역으로 인구가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년대에는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지역으로 직접적인 이동이 있었으나 80년대에 들어와서는 대도시 지역으로의 직접적인 유입보다는 주변지역으로의 유입이 점차 증가함으로써 농촌에서 대도시로의 유입형태가 주변도시로의 유입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농촌인구의 유출을 농업생산과 관련시켜 볼 때 농업노동력의 수요가 확대되는 6월 이후에 유출인구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3월에 가장 많이 유출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60년대 이후 농업정책과 농촌인구의 유출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순환변동을 도출하였으며 2-3차 개발계획기간을 제외한 기간에 있어서 농촌부문의 상대적 저위성이 농촌인구의 유출을 자극한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러한 사실은 농업정책의 불균형적 시행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하겠다. 끝으로 농촌인구의 유출을 포함한 한국농업의 근본적인 문제는 도농간 상대적 소득 격차에 있다고 보고 농촌지역의 개발을 서울이나 수도권, 대도시권의 비대화를 막기 위한 방편 또는 공업화 우선정책의 반작용으로 본 과거의 정책성향을 극복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농간 소득격차의 문제를 농업정책의 중심과제로 삼고 농촌지역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나라의 경제적 효율성은 물론 형평성을 높인다는 시각에서 농업정책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tflow of rural population and agricultural policy by using time series method. For the analytical tools, decomposition time series methods and regression technique were employed in computing seasonal fluctuation and cyclical fluctuation of population migration. Also, this study predicted farmhouse, rural population till the 2000's by means of the mathematical methods. The analytical forms employed in forecasting farmhouse, rural population were Exponential curve, Gompertz curve and Transcendental for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Rural population and farmhouse population began to decrease from 1965 and hastily went down since 1975. Rural population which accounted for 36.4 percent, 35.6 percent of national population respectively in 1960 diminished about two times: 17.5 percent, 17.1 percent respectively. 2) The rapid decreasing of the rural population was caused because of the outflow of rural people to the urban regions. Of course, that was also caused from the natural decreases but the main reason was heavily affected more the former than the latter. In the outflowing course shaped from rural to the urban regions, rural people concentrated on such metropolis as Seoul, Pusan, Keanggi. But these trends were diminishing slowly. On the other h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1970's the migration to Keanggi was still increasing in the 1980's. That is, people altered the way of migration from the migration to Seoul, Pusan to the migration to the outskirts of Seoul. 3) The seasonal fluctuation index of population migration has gone down since the June which the request of agricultural labor force increases and has turned to be greatly wanted in the March as result of decomposition time series method. As result of cyclical analysis, the cyclical patterns of migration have greatly 7 cycle. 4) As result of forecasting the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in the 2000 will be about 9,655(thousand/people) and 4,429(thousand/people) respectively. Thu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robloms that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will decrease or increase by the degree. But fairly defining the agricultural into a industry that supply the food, this problem-how much our nation need the rural farmhouse population-is greatly significant too. Therefore, the basic problems of the agricultural including the outflows of rural people are the earning differentials between rural and urban regions. And we should regard the problems of the gap of relative incomes between rural and urban regions as the main task of the agricultural policy and treat the agricultutal policy in the viewpoint of developing economic equilibrium than efficiency by using actively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rural regions.

      • 農家所得 決定要因의 計量的 分析

        崔奎燮 경북대학교 1981 새마을 硏究論叢 Vol.1 No.-

        The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role of determinants of farm household income in Korea. also to document the existing structural change of those determinants between the period of 1960's and 1970's. To estimate the role of determinants of farm household income, the farm household income determinant (FHID) equations were built and tested respectively with high significance for the two periods. The coefficients of those FHID equation were inelastic in the period of 1959∼67 and highly elastic in the period of 1968∼79. The contribution of land productivity to the increased farm household income were on the average showed by 0.3 percent in the 1959∼67 period, but those of the agricultural terms of trade and non-farm income were showed respectively by 1.4 percent and 1.9 percent yearly. It was found that the contribution of land productivity to the farm household income was increased by high level of 5.3 percent annually in the period of 1968∼79, and also those of the agricultural terms of trade and non-farm income were increased by 4.8 percent and 1.7 percent respectively in the same period. To increase the farm household income in the future, the Korean rural economy holds complicated factors such as low land productivity, rigidity of the agricultural terms of trade and instable non-farm income sources, hence the policy of government increasing farm household income in the future should focussed on the developing non-farm income sources like in Japan and Taiwa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