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소설 과목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환경에 대한 연구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18 中國小說論叢 Vol.54 No.-

        On this thesis, it is about Capstone Design course that analyze how Chinese novel’s classroom circumstance influence on result of the class. Primarily, Capstone design was meant to be used in engineering course study, yet when it imposed on literature, all of the related courses on literature make an attempt on connecting two different kinds of area. Among the area of Capstone Design course, the meeting with Chinese novel makes the students to present a problem and deducting solution in order to produce an output based on Chinese novel. The classroom circumstance based on Capstone Design is affected by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Also, Chinese Novel Class composed of only Korean students and mixed team with Chinese shows different classroom circumstance. Between two teams, the only Korean students team shows comparatively high result in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which directly connected to bigger satisfaction and output. On the other hand, mixed team with Chinese shows comparatively low result in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Individual creativity. Although, mixed team shows low result, when the professor is subject to an involvement, the moment of the students proves their real worth in creativity, satisfaction and the result are much higher than single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This means that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and even beyond the way of utilization ability in Chinese are highly influenc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Capstone Design.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Capstone Design education course, manage the Chinese novel is needed to organize students from many different areas. In conclusion, Korean and foreign students team or students from different major make the class circumstance more diverse and creating significant output. Yet, constructing wholesome class circumstance, involvement by the instructor in Charge of Capstone Design is inevitable. 본 논문에서는 캡스톤 디자인 과정으로 운영되는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환경이 수업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본래 캡스톤 디자인은 공학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이었으나 이 개념이 인문학에 도입된 후, 인문학 관련 각 수업들에서는 서로 이질적인 두 층위를 접합시키는 시도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그 중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과 중국소설 과목의 만남은 중국소설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스스로 해답을 도출해 내며, 나아가 중국소설 기반의 산출물을 생산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에 근간한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 환경은 공유정신 모형과 상호수행 모니터링, 그리고 개인의 창의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중국소설 과목의 수업 환경은 우리나라 학생들만으로 구성된 단일 팀의 경우와 우리나라 및 중국인 학생의 혼합 팀의 경우에 따라 서로 상이한 조건으로 조성된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학생들로만 구성된 중국소설 과목에서는 공유정신모형, 상호수행 모니터링, 개인의 창의성 면에서 모두 평균 이상의 수업환경이 구성되고 이에 따른 캡스톤 디자인 수업 결과물도 평균을 웃도는 성과를 산출해 낼 수 있다. 이에 비해 중국인 학생과의 혼합 팀으로 구성된 중국소설 과목에서는 공유정신모형, 상호수행 모니터링의 단계에서 교수자의 개입이 없는 경우 평균 이하의 결과치를 도출해 낸다. 그러나 교수자의 개입을 전제로 할 경우,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단계에서 중국인 학생과의 혼합 팀 수업환경은 우리나라 학생들로만 이루어진 단일 팀 구성의 수업환경에 비해 훨씬 큰 만족도와 결과물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이는 중국학생 자체가 지닌 중국소설과 중국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나아가 모국어로서의 중국어 활용능력이 캡스톤 디자인 결과물 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캡스톤 디자인 교육 과정에 의거하여 효과적으로 중국소설 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업의 구성원을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했을 때, 예를 들어 내외국인 학생의 혼합 팀, 또는 서로 다른 전공의 혼합 팀 등으로 수업환경을 조성했을 때 가장 다양하고 의미있는 산출물이 나온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수업 환경 조성을 위한 교수자의 개입은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해야만 한다.

      • KCI등재

        조선시기 唐樂呈才에 반영된 ‘西王母’의 문화적 의미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13 中國小說論叢 Vol.41 No.-

        “唐乐呈才”是朝鲜时期(1392-1910)国王宫廷里开设正式宴会演出时所用音乐和舞蹈。其在韩国高丽文宗28年(1073)从中国宋朝传入后,历经朝鲜时期,一直到今日仍在登台演出。“呈才”指呈现才艺、音乐和舞蹈结合的综合性艺术。本考探讨了朝鲜“唐乐呈才”中“献仙桃”和“五羊仙”里所出现的“西王母”形象。众所周知,朝鲜是儒教盛行的国家,一切公式仪式都按儒教礼法实施,因此朝鲜没有容纳儒教以外的文化,其中有很多贬低女性文化的倾向, 尤其国家公开的典礼上决不允许女神的参与。然而,“献仙桃”和“五羊仙”等“唐乐呈才”中的“西王母”却能在朝鲜公式典礼里频繁出现。有关这种矛盾的现象,上起朝鲜国王,下至普通百姓都没有想到过不合理,乃至朝廷的群臣也都很自然地接纳了国家典礼上西王母形象的出现。 本文又对儒教严格的朝鲜时期如何能接受道教的女神“西王母”,其原因何在等方面做了进一步分析。本文以韩国《高丽史、乐志》等文献为依据来探究了“献仙桃”和“五羊仙”的唱词和演出状况。进而分析了“献仙桃”和“五羊仙”中“西王母”的象征意义。本文考察的结论中提出了朝鲜的“西王母”形象不但超越了任何意识形态,也绵绵不断地贯通了整个朝鲜时期。因为“西王母”不只是道教的一个女神,而且她也代表了人类的愿望–寿福,所以在儒教的国家--朝鲜,也能允许其形象的存在。另外,本考又考证了“西王母”风靡朝鲜整个社会的现象。朝鲜宫廷以外,即在朝鲜地方官衙里也曾演出过“唐乐呈才”。由此本文以“平壤监司宴图”里的“献仙桃”中“西王母”形象的出现,提出朝鲜时期很普遍地接受“西王母”形象,西王母也绝不与儒教意识形态相冲突。而且本考又提起了晋州教坊的“献蟠桃”。其中能找到唐乐呈才的简略化和娱乐化。 因此“西王母”形象上发生了和妓女接近的结果。

      • KCI등재후보

        唐代 愛情類 傳奇에 투영된 仙奇合流 현상

        崔眞娥 중국어문학회 2002 中國語文學誌 Vol.12 No.-

        本稿主要考察了唐代愛情類傳奇中所反影之仙妓合流現象。 仙妓合流現象就說仙女和妓女意像之交錯現像。 在唐代愛情類傳奇中, 仙妓合流現象通過兩種方向來表現, 一個就是神女或著仙女像妓女一樣當人間慾望之對象。 령外, 以妓女爲表現天上之仙女一般之文化心態。 本稿通過關於仙妓合流現象之硏究, 探討了仙妓合流現象發生之原因及其實例。 幷考察了唐代之社會、 文化之下、 仙女或著妓女保持之意義。 結果, 本稿導出了由於人性主義之擴大, 仙和妓之領域互相合在一起。 卽 女性神之位相轉變了世俗之妓女。 而且人性主義思惟方式之下, 人們將仙界和仙女爲地上化、現實化, 因此將妓女看做了仙女一般帶著聖性。 還有, 本稿敍述了唐代愛情類傳奇所表現之狐狸之性格, 狐狸也像仙女一般, 從狐仙轉變到狐妖。 其原因也在於唐代人性主義之大頭。 總而言之, 經過唐代愛情類傳奇中所反影之仙女(狐仙)和妓女, 可以認識到聖和俗之雙中性, 尤其흔値得繼續硏究在唐代之社會、 文化環境之下, 聖俗合流之問題。

      • KCI등재

        唐 傳奇에 투영된 長安의 현실지리와 심상지리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08 中國小說論叢 Vol.28 No.-

        本论文研究了首都长安之现实地理和像地理. 唐代长安不仅一个国家的首都,而心且因世界的中心. 因此,全世界的物产和文化都集中在长安. 本论文通过唐传奇分析了 长安之现实地理和心像地理. 本论文按照四个故事考察了故事发生地点和其地点的文化意义. 然后,分析了〈昆仑奴〉、〈北里志〉、〈教坊记〉、〈任氏传〉等作品. 特别〈任氏传>中,笔者发现了长安城市民不止于人间,也包括鬼神. 所以长安不但现实空间,而且包括幻想空间. 笔者又发现了长安文化之混种特色. 长安文化构成了各个边界民族文化. 绝不在基础于单一的汉族文化,因此,唐帝国尽量利用了文化上的混种特色,而其基础上扩大了国势,成为世界大国.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국소설 과목의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과 학술적 가치에 대한 연구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17 中國小說論叢 Vol.52 No.-

        캡스톤 디자인은 ‘창의적 종합 설계’로 표현되며 본래 공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최근 들어 대학에서 융복합 교과목을 운영하고 개설함에 따라 중문학에서도 캡스톤 디자인에 기반한 교과목이 편성되었고 공학의 원리에 중문학이라는 인문학의 내용을 결합시키는 시도를 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어중문학과 개설 교과목인 ‘중국소설과 스토리텔링’을 캡스톤 디자인의 원리에 의해 설계하고 최종적으로는 수업의 결과물을 산출해 내는 교육과정의 운영과 그 실례 및 학술적 의의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실제로 이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매 시간 토론을 통해 과제를 설정하고, 과제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상호작용에 기반하였다. 또한 이 수업에서는 중국소설을 원자료로 삼아 현대 문화산업의 각 분야, 즉 보드게임, 광고, 앱, 스토리 북, 어린이용 캐릭터 등의 산출물을 만들어 내었고 이들 산출물을 공개 전시하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다. 결론적으로 캡스톤 디자인 기반의 ‘중국소설과 스토리텔링’ 수업은 무엇보다도 인문학적 아카데미즘과 현대문화산업이라는 실용의 영역이 어떠한 방식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지에 대해 실례를 제시하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캡스톤 디자인이라는 공학과 중국소설이라는 인문학의 융합적 시도를 통해 중국소설이 지닌 현재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중국소설의 학문적 영역을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term ‘capstone design’ is an expression that is used as a “creative comprehensive plan” and a term that is normally used for engineering purposes. However, Universities today manage and establish these convergence education to study the Chinese literature which also follows the trend to offer coursework based on capstone design; this attempts the way to unite theory and the content from engineering and the study of Chinese litera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 description of “Chinese novel and storytelling”, which is a layout by capstone design and eventually produce the output from the course by giving practical examples and curriculum managements. During the course, tutor and the tutee were able to correlate each other setting a task and to try find a solution of the problem through a discussion. In addition to this, the course was able to produce a public display and many outputs in cultural industry such as board game, advertisement, application, story book and figure for children by using Chinese novel as a key source material. In conclusion, “Chinese novel and storytelling” by capstone design has meaning and showing the way of practical examples of how literary academism and cultural industry can be in harmony. By extension, attempt of fusioning capstone design and Chinese novel, we are able to find and manifest the value and may be able to contribute academic territory of Chinese novel hereafter.

      • KCI등재

        오늘의 중국과 大唐帝國의 소환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15 中國小說論叢 Vol.45 No.-

        이 논문에서는 현 시기 중국이 ‘중국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大唐帝國을 모델로 소환하는 이유와 그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고찰의 과정에는 당 제국을 제재로 하는 현대 영상물, 서사와 西安 지역의 지역학을 논거로 들었다. 고찰의 결과 오늘의 중국은 정치, 경제적 대제국만이 아니라 대당제국과 같은 문화제국의 위상을 지향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측천무후, 당태종, 양귀비 등과 같은 대당제국의 역사적 인물들이 오늘의 중국에 필요한 문화 컨텐츠가 되었고 대당제국의 수도였던 서안은 古都 회복의 사업과 신 실크로드 사업의 중심지임을 밝혀내었다. 현 시기 중국이 대당제국을 전략적으로 소환하여 그 결과가 패권국가를 지향할지 아니면 문화대국을 실현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대당제국이 지닌 ‘개방성’과 ‘혼종성’이라는 특성을 중국이 얼마만큼 구현해 내는지에 따라 대당제국으로 가는 ‘중국의 꿈’을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study the reason and meaning that the China of the day recalls T’ang Empire as a model to realize today’s ‘China dream’. In the process of study, I used contemporary Chinese visual media, narratives, Xi’an regional fields about T’ang Empire associated that topic. Therethrough I obtained the conclusion that the China of the day aimed the status as like as T’ang Empire that is not only the great empire in politics and economic fields, but also in cultural fields. So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reason that historial person as Wuzetian, Tangtaizong, Yangguifei of T’ang Empire became cultural contents that are necessary to the China of the day. And explained that the Xi’an city of the T’ang Empire’s capital became the center through restoration of old capital project, construction of new- silk road project. We still don’t know whether the China of the day will aim at dominate nation or great cultural-nation through the strategic recall of T’ang Empire. But, this paper forecasts that representation of ‘China dream’ way to T’ang Empire with realization of T’ang Empire’ character - ‘the openness’, ‘the cultural hybridity’ or not.

      • KCI등재

        아름다움과 강함의 환상

        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11 中國小說論叢 Vol.35 No.-

        侠客不从主人的规定。他们不属于儒教秩序, 追求“义”, 有时违反国家的禁令。因此, 我们称他们侠客, 不称侠主。侠女也有同样的道理。虽然她们是女性, 也不属于儒教秩序, 追求“义”, 有时违反国家的禁令。而且她们持了美丽的外貌和超人的能力。这都是侠女的基本条件。本考通过唐代传奇〈聂隐娘〉、 〈车中女子〉、 〈崔慎思〉、 〈红线〉、 〈贾人妻〉、 〈谢小娥传〉考察了侠女类型和意义。本来唐代建国时起用侠客, 由此自然形成了遵从侠客的文化, 并且道教的影响之下, 重视女性, 产生了侠女传奇。唐代传奇中的侠女具备了美丽的外貌和超人的能力。她们有时发挥超凡男的武术容易解决了困难的问题。有时能运用了道术。因此, 当时男性以侠女传奇充足了自己的幻想。侠女可以当作了男性读者的代替者, 能实现了他们的欲望。 还有唐代侠女传奇的结尾常构成了“不知所终”的形式。通过这种形式会说明了唐代侠女等于是天上的仙女。唐代侠女身上没有母爱, 她们为了“义”甚至能杀自己的婴儿。有时如〈谢小娥传〉, 唐代侠女被成为烈女, 这也是男性读者喜爱的部分。朝鲜古小说〈朴氏传〉也有同样的道理。女主角朴氏最初是丑女, 以后脱皮, 恢复了天上丽质。她具备了武术、 道术和美貌。假如侠女不美, 她们没什么意义。因为所有的侠女以男性幻想来产生的, 不能代替女性本身的欲望, 到现在以电影等再产生现代的侠女类型。

      • 성, SES에 따른 청소년의 성역할 특성 및 자아개념

        李淑,崔眞娥 全南大學校家政科學硏究所 1991 生活科學硏究 Vol.1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Adolescent's self-concept and sex-role traits according to sex, SES. The subjects were 429 high school students in Kwang Ju. To measure the adolescent's self-concept, Diagnostic Test designed by Song(1989) was employed, and measure sex-role trait, 5 point scale OK Bun Chung's translated version(1983) of Short From Sex-role Inventory(BSIR) invented by Bem(1981)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Freq, One-way ANOVA, Scheffe-test were practiced.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1. The adolescent's self-concep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4 types sex-role identity. Androgyny was found having the most positive relation to self-concept. 2. Although self-concep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ference to sex of adolesc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y SES.Male student tends to demonstrate more positive self-concept. 3. It wa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ference to sex in sex-role trai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y SES. Furthermore,male students showed higher masculine traits as well as feminine traits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less masculine traits.

      • KCI등재

        女俠 聶隱娘을 바라보는 두 시선

        최진아(崔眞娥)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48 No.-

        이 논문에서는 唐 傳奇의 <聶隱娘> 이야기와 대만 영화 감독 허우샤오시엔(侯孝賢)의 ‘자객 섭은낭(The Assasin)’을 비교분석하였다. 허우샤오시엔은 청년 시절 탐독한 당 전기 <섭은낭> 이야기로부터 영화적인 영감을 얻고 이를 자신의 시각으로 변용하였는데 그 결과 원 작과 몇 가지 점에서 변별점을 지니게 되었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다. 먼저 당 전기의 시선과 허우샤오시엔의 시선에 따라 달라진 두 서사의 구성 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당 전기의 섭은낭은 목적지향적인 반면 영화의 섭은낭은 살인 앞에 서 갈등하는 인간적인 정서를 지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당 전기에서는 그 당시 藩鎭의 節度使 사이의 정치적 암투 속에서 道敎의 술법과 신출귀몰한 무예에 능란한 여협 그 자체 에 집중한다. 이는 당 전기 <섭은낭>의 작가 裴鉶이 도교 문화에 심취한 인물이었음과 유관 하다. 이에 비해 ‘자객 섭은낭’에서는 섭은낭의 도술에 초점을 두지 않고 오히려 번진 안에서 중앙 정부에 대해 주전파와 주화파로 나뉘어져 다투는 내용을 묘사한다. 이 부분은 현 시기 대만이 중국에 대해 지니는 복잡한 정치적 입장을 상징한다. 그리고 허우샤오시엔 영화에서 는 이미 대만의 독특한 정치적 상황을 영화를 통해 드러낸 바가 있었다. 그런데 이들 두 서 사 모두 고전소설과 현대 영화라는 차이가 있지만 ‘唐’이라는 중국의 옛 왕조를 배경으로 삼았다는 지점에서 두 서사의 시선은 일치된다.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된 왕조의 문화를 재현 하고자 하는 허우샤오시엔의 시도는 그 시기의 서사인 <섭은낭>과 조우하며 ‘여협’이라는 특별한 캐릭터에 집중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당 전기는 허우샤오시엔에게 영감을 제공하고 현대 영화로 변용되는 원천의 역할을 한 것이다. In this paper, I focused on analyzing different perspectives reflected on a novel, Nieyinniang of Tang Chuan-qi, and ‘The Assassin’ by Houxiaoxian’s movie. Both works based on the story of a woman knighterrant Nieyinniang in Tang dynasty in the 8th century and described Nieyinniang as a great heroine in political chaos, when Tang dynasty experienced a decentralized administration. Taiwanese movie director Houxiaoxian adapted T‘ang Chuan-qi ‘Nieyinniang’ for his movie ‘the Assassin’, and, compared to Nieyinniang in novel, Houxiaoxian showed a different lead character of Nieyinniang. I found three distinct features reflected on Nieyinniang of Tang Chuan-qi and the Assassin by Houxiaoxian’s movie as follow. First of all, the basic personality of Nieyinniang was differently described in Houxiaoxian’s Movie ‘The Assassin’. In a novel, Nieyinniang was depicted as a cruel assassin, who pledged absolute loyalty to her master and just completed her duty as a killer. On the contrary, Houxiaoxian emphasized humanistic side of Nieyinniang, so Nieyinniang in movie was an emotional killer, who engaged inner conflicts between her job as a murderer and great humanity as a woman. In addition, the political state represented by the movie ‘The Assassin’ showed a sligh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ang Chuan-qi ’Nieyinniang’. The background of the novel was set during the 8th century in Tang Dynasty, and political conflicts among local governments was generally described. However, Houxiaoxian elaborated on political situation in Tang Dynasty where the warlike party clashed with the party members who avoided war. It is assumed that in his movie Houxiaoxian wanted to reflect current political situation of Taiwan closely related to China. Furthermore, the Taoistic elements that was broadly reflected on T‘ang Chuan-qi ’Nieyinniang’ was missing in a movie ‘The Assasin’. In a novel, Taoism thought was presented as a significant device to make a character ‘Nieyinniang’ ; ‘Nieyinniang’ put efforts into prcaticing and performing Taoist martial arts and this special skill plays an important role for her to accomplish a task as a liller. However, Houxiaoxian in his movie excluded Taoistic sentiment and highlighted fundamental emotions as a human-being and a vulnerable woman. For instance, although ‘Nieyinniang’ was an expert at Taoist magic and martial arts just like T’ang Chuan-qi ‘Nieyinniang’, she betrayed master’s confidence and secluded herself from the world. Also, in the movie ‘The Assassin’, ‘Nieyinniang’ sought to overcome inner conflicts as relying on Boy ‘Mojing’ rather than fulfilling a required duty as a killer. To sum up, there must be distinct features between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and modern movie in terms of time period, format, and style used to create each work. It turned out that different perspectives were represented on T‘ang Chuan-qi ’Nieyinniang’ and Houxiaoxian’s movie ‘The Assassin’. As considering these factors, Houxiaoxian might want to mirror the glorious period of T’ang Dynastv in the Chinese history and reproduce cultural legacy and assets in his movie ‘The Assas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