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외 보험회사의 핀테크 활용 대책

        원상 ( Sang Chul¸ Won ) 한국지급결제학회 2020 지급결제학회지 Vol.12 No.2

        핀테크 활용과 같은 금융IT가 성장의 핵심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진보의 영향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에서도 첨단 디지털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도 디지털 원주민의 확산은 소비행태의 디지털화를 확실히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핀테크 관련 기술은 금융기관과 고객 접점의 서비스 제공에서의 활용과 사내 업무 효율화에서의 활용이 고려된다. 지금까지 우리 보험회사가 추진해온 IT투자는 백오피스 업무의 효율화가 중심이었음을 감안하면, 보험회사의 경우 우선 사내업무 효율화의 관점에서 핀테크 관련 기술을 도입하여 시스템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유력한 선택사항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고객 접점으로서의 핀테크 활용을 검토하기 위해 해외 상황을 보면, 미국·유럽의 대형 보험사들은 신흥 핀테크 기업의 발굴, 대형 테크놀로지 기업과의 제휴, 자체 연구기관의 증강 등 핀테크 활용 기법을 찾기 위해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서양의 대형 보험회사들은 오픈 이노베이션 사고방식을 실천하고 핀테크를 주입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반면 핀테크를 활용한 신흥 보험사들은 특정 보험 서비스에 특화되어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하여 상품 내용도 가입 절차도 단순한 보험상품으로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우리 보험회사도 가까운 장래에 고객의 디지털화에 맞추어 사내 업무와 고객 접점의 양면에서 디지털화에 대응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다양한 기회를 통해 핀테크 기업과 정보를 교환하고 적극적으로 외부의 기술을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nancial IT, such as the use of FinTech, has become one of the key to growth. The impact of rapid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is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nd advanced digital technology is also being used in developing countries. In developed countries, the spread of digital natives is expected to surely digitize consumption behavior. FinTech-related technologies are considered to be utilized in providing services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financial institutions and customers, and in improving internal business efficiency. Considering that the IT investment that our insurance company has been pursuing so far has centered on the efficiency of the back office business, in the case of insurance companies, it is a promising option to reduce system cost by introducing FinTech-related technologies from the viewpoint of internal work efficiency. I think this will be. Next, looking at the overseas situation to examine the use of FinTech as a customer contact point, large insurers in the US and Europe are looking for techniques to utilize FinTech, such as discovering emerging FinTech companies, alliances with large technology companies, and reinforcing their own research institutes. In order to do so, we are going through various trials and errors. Large Western insurance companies are putting their efforts into practicing the open innovation mindset and injecting FinTech. On the other hand, emerging insurers using FinTech are specialized in specific insurance services and are jumping into the market as insurance products with simple product content and subscription procedures using mobile terminals. In the near future, it is inevitable for our insurance company to respond to digitalization at both sides of in-house work and customer contact points in line with customer digitalization.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FinTech companies through various opportunities and to actively introduce external technologies.

      • KCI등재

        Neo-Thomism의 법사상

        원상(Won Sang-Chul) 한국법학회 2005 법학연구 Vol.18 No.-

        Neo-Thomism is a twentieth century revival of the thought of Thomas Aquinas. Thomism had been the dominant philosophy undergirding Roman Catholic theology from the fifteenth century. Under the pace setting interpretations of such thinkers as Cajetan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a complex system which spoke to the needs of both the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ical questions developed. Thomism appeared to have triumphed in 1880 when Pope Leo XIII declared it to be the official (though not exclusive) philosophy of Catholic schools. However, at the same time it became clear that Thomism's posture was threatened by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Kantian philosophical principles.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movement bifurcated. Transcendental Thomism, represented by Joseph Marechal, Bernard Lonergan, and Karl Rahner, self consciously adapted itself to Kantian thought. But another wing, under the leadership of Etienne Gilson and Jacques Maritain, sought to recover a pure version of the teachings of Aquinas himself. The metaphysical distinctive of neo Thomism may be found in its insistence on the maxim that existence precedes essence. For that reason Maritain has claimed that Thomism is the original existentialism. Put simply, this means that one has to know that something exists before one knows what it is, and before one knows that something exists, one has to accept that anything exists. This latter conviction is not the result of a rational deduction; it is an immediate awareness. Thus the act of being, apprehended in a direct intuition, precedes its various modalities Neo-Thomist who tried to overcome the inconsistence and limitations of law positivism accept the natural law as the principle of regulation of man. They tried to make it clear that the natural law is related to the reasoning power of man, and that man can find it in his real nature by means of his reasoning power. Neo-Thomist also try to include the concrete natural law principles on the basis of the personality and society of man, and they accept the historicity of human nature in the natural law. In Neo-Thomism, the purpose of law is common good and the ideology of law is righteouness and thus they think the purpose is one and the ideology is another being different from Positivists.

      • KCI등재후보

        귀책원리로서 공평책임의 비교법적 연구

        원상(Won, Sang-Chu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7 법률실무연구 Vol.5 No.1

        근대의 민법이 과실책임주의를 기본원리로 채택하는 것은 자유주의와 자본주의에 입각하여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보장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고도화와 기계문명의 발달, 거대 기업의 출현, 공해산업(公害産業)의 확대에 따른 경제적·사회적 현실은 자기책임주의에 대한 수정을 불가피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위험책임, 보상책임, 원인책임, 공평책임, 결과책임 등의 이론에 의한 무과실책임주의가 대두되었다. 한편 무과실책임과 공평책임의 관계에 대해서 좁은 의미에서 무과실책임을 위험책임과 보상책임이라 생각한다면, 공평책임의 이론적 근거가 무과실책임의 또 하나의 귀책원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위험책임과 보상책임만이 무과실책임의 귀책원리로 생각되어 왔지만, 이에 대해 공평책임도 무과실책임의 귀책원리로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야만 한다. 그로인하여 현재의 과실책임에 의해서도 무과실책임에 의해서도 구제할 수 없는 피해자에 대해서, 새로운 손해배상의 근거를 제공하고 피해자 구제의 가능성을 귀책원리의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도 필요하다. 우리 민법도 제765조 제1항에서 “손해배상의무자는 그 손해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의한 것이 아니고 그 배상으로 인하여 배상자의 생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경우에는 법원에 그 배상액의 경감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하고, 동조 제2항에서 “법원은 전항의 청구가 있는 때에는 채권자 및 채무자의 재산상태와 손해의 원인 등을 참작하여 배상액을 경감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손해배상과 공평에 관한 논의는 주로 가해자와 피해자의 손실분담과 관련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민법상 공평책임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비교법적 연구가 필요하고, 특히 공평책임을 일반규정화하기 위해서 외국의 현행규정과 개별적 유형화 등은 우리 민법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Modern Civil Law that adopts the principle of fault liability as basic principles, is aimed at guaranteeing the free economic activity of individuals on the basis of liberalism and capitalism. However the economic and social realities, according to the rise of capitalism, the development of machinery, the emergence of large corporations and the expansion of the expansion industry, have made it inevitable for the correction of self responsibility. Therefore, the no-fault liability is emerged by theory of liability for danger, liability for compensation, liability of cause, fair liability, liability for results etc. On the other hand, If you think of no-fault liability as a liability for danger and liability for compensation in a narrow sense, the rationale behind the fair liability is to assume another imputation principle of liability. Indeed, only liability for danger and liability for compensation has been thought of as the principle of imputation liability, but The fair liability should provide theoretical evidence in order to do the principle of imputation on the no-fault liability. Consequently, about the victims who can not be saved by the no-fault liability or fault liabilit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the basis for new damages and extend the repairing possibility of the victims to the level of the principle of imputation. According to the Korean Civil Act(article 765) concerning application for reduction in compensation amount, the person liable to make compens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is chapter may petition the court for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compensation, if the damages were caused neither intentionally nor by gross negligence, and such payments of compensation shall be a severe hardship to his livelihood(paragraph 1). The court may, if the petition mentioned in paragraph 1 has been filed, reduce the amount of compensation after a study of the claimants and obligors respective financial situations and the cause giving rise to the damages(paragraph 2). Discussion of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and fairness of our country is mainly related to the apportionment of losses between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 Therefore, comparative legal studies are needed to activate the fair responsibility of our civil law. Especially, in order to lay down the fair liability, Current regulations of foreign countries and individual types will give a helpful preview point on our civil law.

      • KCI등재후보

        미국의 생명보험 매입에 관한 법규제의 개요 - 뉴욕주 보험법을 소재로 해서 -

        원상(Won, Sang-Chu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0 법률실무연구 Vol.8 No.2

        생명보험계약은 피보험자의 사망 등과 같은 보험사고를 담보로 하는 보험계약으로, 보험기간 내 피보험자의 사망 시 보험수익자는 보험금을 수령하게 된다. 단 이때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생명보험에 가입하는 동기는 다양하나,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상속 동기(Bequest Motive)일 것이다. 피보험자 사망 이후 남겨진 부양가족 등의 상속세 재원 및 생활자금 제공 목적으로 보험금을 남기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험 기간이 장기에 걸친 생명보험의 특성상,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속 동기 자체를 상실하게 되기도 하고, 실직과 치료비의 마련과 같은 재정적 곤란을 일으키는 요인들로 인해 보험계약의 유지가 어려워지기도 한다. 이때 보험계약자는 생명보험계약의 해지를 선택하게 되고, 보험회사는 계약자에게 사전에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해약환급금(Cash Surrender Value)을 지급하게 된다. 보험계약자의 해약은 계약자의 보험증권을 보험회사에게 되파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처음에는 시한부 중증질환자에 대해 전매가 허용되었으나 이후 노년층을 대상으로 확대된 바 있다. 국내의 경우 아직 전매가 허용되어 있지 않으나 최근 포용적 금융, 소비자 중심 금융 등의 추세에 따라 전매의 허용에 대한 논의는 언제든지 재개될 수 있다. 생명보험 전매는 보험 가입자들의 기대수명을 거래한다는 점에서 종종 윤리적인 비난을 받는 거래이다. 가입자가 빨리 사망할수록 전매투자자의 수익이 높아진다는 점에서이다. 보험 가입자의 도덕적 해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예측된 일정 비율의 해지율을 기반으로 보험료를 책정한 보험사의 경우 지급보험금의 증가와 해지로 인한 이익의 감소 등으로 인해 보험료가 상승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보험 매입과 관련된 미국 뉴욕 주의 보험법 관련제도를 검토하고 우리법제가 도입할 수 있는지 등울 검토하였다. Life insurance contracts are insurance contracts that cover insurance accidents such as the death of an insured person. In the event of an insured person’s death within the insurance period, the insurance beneficiary receives the insurance money. However, at this time, the policyholder and the insured may not match. The motivations to buy life insurance are diverse, but the typical one is the Bequest Motive. The intention is to leave insurance money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financial resources and inheritance tax for dependents left after the death of the insured.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life insuran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motivation for inheritance may be lost over time, and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insurance contracts due to factors that cause financial difficulties such as unemployment and the provision of medical expenses. At this time, the policyholder selects the termination of the life insurance contract, and the insurance company pays the contractor a cash surrender valu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The policyholder’s cancellation can be viewed as a process of returning the policyholder’s insurance policy to the insurance company. In the U.S., resale was allowed for the severely ill in the beginning, but it was later expanded to the elderly. In Korea, resale is not yet permitted, but discussions on the resale allowance can be resumed at any time in accordance with recent trends such as inclusive finance and consumer-oriented finance. Reselling life insurance is often an ethical criticism in that it deals with the life expectancy of the insured. The reason is that the sooner a subscriber dies, the higher the profit of a pre-sold investor. There may be a moral hazard of the insured, and there is also concern that an insurance company that has established a premium based on a predicted rate of termination may increase the premium due to an increase in the insurance premiums and a decrease in profits due to termination. do.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insurance law related system of New York State in the US related to the purchase of life insurance and examined whether the Korean law c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상가권리금보호를 위한 입법적 해결방안 검토

        원상(Won, Sang-Chul) 한국재산법학회 2011 재산법연구 Vol.28 No.3

        현재 상가건물임대차계약 해지 시 임차인이 임대인이나 전임차인에게, 또는 임차권의 양수인이 양도인에게 임차보증금을 지급하는 것 외에 별도로 권리금이라는 명목으로 보증금보다 많은 금전을 지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권리금의 지급은 상가건물임대차에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법적ㆍ제도적 보장이 미흡하여 이를 둘러싼 분쟁이 날이 갈수록 증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문제해결이 시급한 사항이다. 이러한 상가건물의 임대차와 관련하여 임차인이 임차보증금 이외에 권리금이라는 명목으로 임대인에게 지급되는 금전의 성격이나 반환의무의 효력이 대부분 당해 임대차계약의 당사자의의 상가건물임대차계약의 내용에 의하거나 관행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는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판례는 임대인이 그 임대차 종료 후에도 상가건물이 그 재산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양수하거나, 또한 권리금을 수수한 후에 일정기간 그 임대차관계를 유지시켜 그 재산적 가치를 이용하게 하도록 약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임대인의 사정으로 그 임대차계약이 중도에 해지되어 약정기간동안 그 재산적 가치를 이용하게 해 주지 못한 경우에는 그 임대인은 그 임차건물의 권리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반환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상가건물임대차에 있어서 권리금을 계약당사자간의 계약자유나 판례의 불완전한 보호로 해결하는 것보다 이를 근본적 해결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그리하여 법과 현실의 괴리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상가건물임대차계약에 있어서 권리금문제는 당사자간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처리되어야 할 것이므로, 계약자유이든 입법적이든 어떤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본고는 상가건물임대차의 경우 경제적 약자인 임차인의 권리금을 보호하고 바람직한 입법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ommonly, around a contract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in addition to a lease deposit, a premium paid by the lessee to lessor, lessee to prior lessee, or sub-lessee to original lessee, assignee of lease right to assignor. If Both parties terminates the contract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Lessee will have to pay to lessor more the premium then the lease deposit. Though this premium is being paid customarily in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We lacks legal and institutional guarantee on the premium. Because these disputes is growing, we should resolve this issue. Actually, even though the payment of the premium is a general practice in a contract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the lessee is not protected by a lease dispute involved premium. It has a great importance. In relation to these commercial building leases,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mium and the obligations of the premium return that is called the premium in the contract of commercial building lease that be paid to the lessor except for a lease deposit, is decided by the customs or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It is our reality. Our case can not charge the re-claim of the premium in principle. But even after the lease relationships is terminated, If the commercial buildings have a property value or the lease contract is terminated by the lessor’s errors, lessor should give some or all of premium back. However, upon the case reviewed, some commentators argued that the gap between the actual practice and legal principle is needed to be removed by the enactment of rules rather than solved by the self-governing principle between the parties. The issue of premium in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contract, should be handled carefully. Thus, considering both parties equal treatment of the legal position, seeking to the solution either legislation or self-governing is significant job for researcher and I presented somewhat serious proposal in this piece. This paper is that the resolution would like to present to the legalization of premium in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 KCI등재후보

        미국 연방증권법 사기방지 규정의 역외적용에 관한 고찰

        원상(Won, Sang-Chu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8 법률실무연구 Vol.6 No.2

        본고는 미국에로의 투자가(한국 기업도 포함)가 사기방지 규정에 기초하여 미국법원에서 소송을 제기했을 경우, 사기방지 규정이 미국 외의 행위나 손해에 대하여 어디까지 적용되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어느 나라든 그 영역 내에서 주권을 행사하는 속지주의를 취하고 있으나, 오늘날 개인과 법인의 활동범위가 글로벌하게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의 행위만을 법 적용의 대상으로 대응할 수가 없다. 국경을 초월한 여러 가지 경제활동에 대해서 적절하게 법 적용의 필요성이 있다는 데에 대해서 많은 나라들이 공감하고 있다. 즉 속지주의를 근거로 하지 않는 모든 국가의 관할권 행사는 관할권의 역외적용(extraterritorial exercise of jurisdiction)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지만 그것은 속지주의에도 적용된다. 1986년 제정된 미국 대외관계법 제3 리스테이트먼트에서는 미국 증권법을 적용하는 상당성이라는 관점 하에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가 구체적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미국 반독점법의 역외적용에 관한 논의가 중심이 되고 있고, 사기방지 규정의 역외적용에 대해서는 별도의 논의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2010년의 모리슨 판결에서 다시 논의가 되고 있기 때문에 사기방지 규정의 역외적용 문제를 재검토하고자 한다. 현재 시점에서 증권법 지식을 모아 검토하는 것도 나름대로 의미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지만, 본고는 모리슨 판결을 둘러싼 논고를 중심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how fraud prevention rules apply to actions and damages outside the United States if US investors or foreign investors (including Korean companies) file lawsuits in US courts based on fraud prevention regulations. I review the some problem regarding on that issues. The state will exercise its sovereignty within its territory, the most common being that of a person or thing existing within its territory, or a jurisdiction exercising jurisdiction on the grounds that certain acts are occurring within its territory. However, if the scope of activities of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is enlarged globally, it can not be dealt with only by domestic law. It is thought that many nations have come to have a common understanding about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law appropriately for various activities beyond the border. Logically, all national jurisdiction exercises that do not rely on transcendence can be said to be an extraterritorial exercise of jurisdiction, but it also fits the definition of transcendentism. In the external disclosure of third restatement of the US External Relations Act of 1986, cases where the jurisdiction can be exercised under the view of the substantiality of applying the US Securities Act have been specifically examined. In Korea, however, the debate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US antitrust law to the offshore area was centered, and the application of the anti-fraud regulations outside the country was not discussed. However, Morrison’s decision in 2010 is being discussed again. Therefore, I want to review the problem of offshore application of the anti-fraud regulation of the US Securities Law. At the present time, it is thought that collecting knowledge of securities law may be meaningful. In such a case, it is also said that it is an argument about the Morrison judgment.

      • KCI등재후보

        미국의 식품집단소송에 대한 소고

        원상(Won, Sang-Chu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3 법률실무연구 Vol.1 No.2

        식품의 안전은 특히 가공식품에 대한 의존이 높은 사회에서 국가의 중대한 관심사항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식품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하고 있지만 쉽게 변질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가의 강한 규제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식품과 관련된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와 제조자의 보호라는 적절한 해결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식품과 관련한 불법행위소송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전자조작식품과 패스트푸드점의 식품이 소비자의 건강을 해치거나 비만을 발생시킨다는 이유로 그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 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식품소송도 담배소송과 마찬가지로 집단소송의 형식을 띠고 있다는 점인데, 이러한 집단소송은 거액의 손해배상액 때문에 그 구제방법으로 과연 타당한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즉, 해당 회사에 재기할 수 없는 치명적인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점과 원고보다 소송대리인인 변호사가 고액의 변호사비용을 받는 것에 대하여 비판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미국 의회에서는 집단소송공정법(Class Action Fairness Act)이라는 것을 제정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집단소송에 일정한 제제를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소비자기본법에 의하여 소비자에게 피해주는 행위를 금지 또는 중지시켜 달라는 단체소송은 법원에 낼 수 있으나, 미국의 집단소송처럼 소비자들의 피해를 금전으로 손해배상을 해 달라는 단체소송은 허용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식품집단소송의 필요성과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미국의 식품집단소송의 현상과 입법적 대응방안 및 그 과제를 살펴본다. 그리고 식품비만소송에서 화해내용을 생각한다면 식품피해의 구제방법으로 반드시 금전배상만을 염두에 둘 필요는 없고, 손해배상을 대신할 수 있는 내용으로 공익단체에 기부하는 등으로 그 해결을 생각해 볼만 하다. 식품이 행정에 의한 규제의 대상으로 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행정규제의 효과와 유사한 구제방법도 생각할 필요가 있다. 또 식품과 관련하여 손해의 인과관계가 입증이 곤란한 사안에 대해서는 집단소송에 의한 손해배상청구는 적절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식품소송 즉 식품비만소송의 현상과 과제는 대규모 불법행위소송에서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한 사안을 명확히 한 후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품집단소송제도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사회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od has been much regulated since the dawn of history. It being highly susceptible to adulteration and essential to life, government has acted to insure the ingredients of food. Common Law has also given civil cause of action for damages in relation to the sale of adulterated food. Food litigation is likely to be mass torts litigation because food has a great impact on our daily life. Mass torts litigation for damages has been criticized by many scholars and attorneys for over a decade because attorney fee in the United States is extremely high. Starting with concerns over genetically modified crops, this note focuses on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obesity litigation for damages in the United States. Obesity litigation against fast-food chains exposes the following problems: causation of negligence tort is eased and class action certification is likely to be denied. The former shows class action is a procedural device and affects torts of substantive law. And the latter shows class action becomes much more difficult in dealing with mass torts claims for damages. This note concludes class action for damages is not a good way to redress obesity problems, suggesting remedy other than damages is a plausible way to deal with the obesity claim.

      • KCI등재후보

        정부의 상가권리금 법제화 방안에 대한 타당성 검토

        원상(Won, Sang-Chu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5 법률실무연구 Vol.3 No.1

        상가임대차인 경우 주택임대차와 달리 권리금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며, 현실에서 권리금 수수계약은 기존의 상가임대차계약의 성립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임차인 측면에서 거액의 권리금을 지급하고 임대차를 체결한 후 임대차관계가 종료와 더불어 이를 반환받지 못함으로 임차인의 피해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다. 현실에서 권리금은 증가하면서 임차인의 피해사례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상가임대차와 관련하여 현행 「상가임대차보호법」이 지난 2002년부터 제정 운용되어 임차인의 생존권을 보호하고 있으나, 임차인의 상가권리금과 관련된 사항이 제외되어 있다. 그리하여 정부는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상가권리금을 법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상가권리금에 대한 보호 대책을 내놓았다. 현행법상 상가권리금에 대한 직접적인 규정은 아직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임차인이 상가권리금을 회수하는데 미흡하다. 따라서 정부는 상가임대차제도를 개선하여 5년간의 임대차계약기간을 보장하고, 임대인에게 권리금 회수에 협력의무를 부과하고, 임대인이 권리금 회수를 방해하면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도록 명시하고, 전국 17개 시도에 분쟁조정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개선안은 상가권리금 보호에 미흡하고 현실적 괴리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정부의 개정안은 주로 상가건물임대차 보호법의 개정을 통해 처리하려고 하나, 상가권리금과 관련 있는 민법의 개정을 통해서 임차인의 상가권리금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임차인의 상가권리금을 보호하기 위하여 새로운 입법 작업과 동시에 상가권리금과 관련된 현행법상 권리를 강화시키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The shops lease occurs a key money problem unlike the housing lease. The problem that is given and taken the key money, is an important factor of shops lease in the formation. These days, The guaranteed of the key money, in addition to security deposit, is set to be a problem with regard to shops lease. After paying a large amount of key money, It is a serious problem to do not return this. So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protective meas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blind spot of the law. Because there is no direct regulations on current law, It is difficult for lessee to recover the shops key money. Therefore the government had presented the improvement of shops lease program; a guaranteed of lease period for five-year, cooperation obligations on the key money recovery of lessor, the lessor’s damages if you disturb the key money recovery etc. However, Because the government’s improvement is insufficient to protect the shops key money, This is necessary to provide for improving plan. The government’s amendments is to process through the Shops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bu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lessee’s shops key money by Revising the Civil Law.

      • KCI등재
      • KCI등재

        복지서비스계약의 법적 과제

        원상(Won Sang-Chul) 한국법학회 2006 법학연구 Vol.24 No.-

        오늘날 사회복지개혁은 공공부조제도의 변화뿐 아니라 기존 공공조직과 비영리조직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던 사회복지 영역에 영리조직의 진입으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체계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민간부문에 의한 복지서비스제공은 사업자간 경쟁을 통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고, 복지서비스의 질과 수요에 대한 반응을 높일 수 있다는데 기대를 모으고 있다. 복지서비스제공계약 과정의 부패와 비용 상승, 지도 감독의 어려움에 대한 우려 속에서 복지서비스의 제공계약은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복지서비스의 시장화에 의해 복지서비스계약을 통하여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인재ㆍ재원의 효율적 분배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일정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이용계약시 민간서비스제 공자와 서비스이용자 간의 문제에 대해서는 매우 소홀하게 다루어 온 것이 우리의 현실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복지서비스의 제공수단으로서의 계약이 어떤 특징을 갖는 계약인가를 살펴보고, 복지서비스에 있어서 계약의 유형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특히 복지서비스계약의 기본과제는 이용자의 자기결정과 서비스의 질을 확보하는 것이다. 복지서비스의 시장화에 있어서 이를 어떻게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도 타당한 해결방법이 있는지를 찾아보고, 향후 복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또 구제의 실현을 위해서라도 복지서비스계약법의 법제가 시급히 제정되어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피력해 보고자 한다. The social welfare system of our Korea brought changes in the not only public assistance system but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This study starts from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hanges after Welfare Reform and then examines how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have adapted through performance-based welfare service contract based on resource dependence theory. Based on the examination, we suggest the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n Korea. Also we compare the current issues(such as welfare devolu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n Korea with the environments for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confronted after 1980's. This environmental changes mad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ctively selected a proper and optimal adaptation type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substitution of resources. Through these experience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Korea can prepare for the highly competition market in the near future by restructuring of the organizations system, and redefining of the mission or identity. At the same time the public social welfare agencies have to develop the planning and governance skills for the entir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o establish a system making fair-competitions among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