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고등학교 교사 역할 탐색

        허주,(Hur Ju)김갑성(Kim Kap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역량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교사 역할을 기능주의적 관점이 아닌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에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교사니까 해야 하는 일로 교사의 역할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학생, 교사-학부모, 교사-교사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교사 역할과 역할이 수행되는 조건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역량교육을 실천하는 고등학교 교사 3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역할 수행자(교사)가 인식하는 역량교육 실천을 위한 역할 및 학생, 학부모, 동료교사와의 관계와 맥락을 탐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도출된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지원과 소통이었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 동료교사와의 관계적 맥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는 학생의 특성과 교사의 연령대가 영향을 주었으며, 학교의 지리적 특성 또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에는 대학입시가 크게 영향을 주었고, 특히 학교의 최근 대학입시 성과가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는 교사들 간의 세대 격차가 영향을 주었고, 학년부 중심의 교무실 사용이 동료교사와의 긍정적 관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역량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교사 역할을 학교 구성원의 관계적 맥락 및 역할 수행의 조건에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하고, 그 맥락과 조건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 roles in a competence education setting through a symbolic interaction theory. Specifically, providing understandings of teacher roles based on teacher-student, teacher-parent, and teacher-teacher relationship was the main focus. Methods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focus-group interview with three high school teachers. The focus of FGI was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roles in competence educ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parents, and fellow teachers. Data was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The data showed two major roles of teachers in a competence education setting, which are support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symbolic interaction perspective, this finding shows that first,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eacher age as well as school’s remote location influenc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econd, in teacher-parent relationship, college admission was a big factor, and recent results of the school’s college admission was affecting teacher-parent relationship. Finally, teacher-teacher relationship was influenced by the age gap among teachers, and using office space based on grade level affected the relationship positively.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s of teacher roles in a competence education setting and school members’ relationship as well as the conditions for teachers’ role taking are presented.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 학생의 교과목 수요를 중심으로

        허주(Hur Ju),김갑성(Kim Kapsung),최수진(Choi Su-Jin),이승호(Lee Se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scussion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rom teachers’ perspective. Specifically, this study provide directions for teacher supply based on analysis of students’ subject choice, and suggestions for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credit system. Data was collected from 29,046 students from 400 high schools, which were randomly sampled, and analyzed in 4 cases with differentiated teacher classroom time and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Results showed, first, with 15.1 hours of teacher classroom time and 24.5 students per class, major subject area had more teachers than students’ need, but in most other subjects more teachers were needed. Second, with 15.1 hours of teacher classroom time and 14 students per class, most subject areas showed lack of teachers, and finally, with 12.0 hours of teacher classroom time and 24.5 and 14 students per class also showed shortage in number of teachers. These findings imply that current number of high school teachers are not sufficiently enough for the credit system. Additionally, with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matter of teacher supply is not simply about the number of teachers, but a realistic approach in terms of satisfying students’ need as well as reducing teacher classroom time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olicy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are suggested.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학생평가, 학사운영 등에 논의가 집중되어 있는 한계를 넘어 교사의 관점에서 고교학점제 관련 논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교과목 수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원수급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교사의 관점에서 고교학점제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400개 고등학교의 학생 29,046명을 대상으로 교과목 수요를 조사하고,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와 학급당 학생 수를 달리 적용하여 각각의 경우에서 필요 교원 수를 추산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주당 수업시수 15.1시간, 학급당 학생 수 24.5명을 적용하였을 시, 주요 교과목에서는 학생 수요에 비해 교사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의 교과목에서는 교사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당수업시수 15.1시간, 학급당 학생 수 14명을 적용한 경우, 거의 모든 교과목에서 교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주당수업시수 12.0시간, 학급당 학생 수를 각각 24.5명과 14명으로 적용한 경우에도 거의 모든 교과목에서 교사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의 고등학교 교수 인력으로는 고교학점제 시행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고교학점제에서 교원수급의 쟁점은 단순히 몇 명의 교사가 더 필요하다는 논의가 아닌, 적정한 교사의 평균 수업시수 및 학급당 학생 수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선 내용을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의 도입과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생애단계별 전문적 자본 차이 분석

        최원석 ( Choi Wonseok ),허주 ( Hur Ju ),이동엽 ( Lee Dongyup ),김갑성 ( Kim Kapsung ),김민규 ( Kim Minky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전문적 자본이 생애단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표집된 214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문적 자본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인 즉,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의사결정 자본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교사의 생애단계에 따른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교사의 교직경력 이외에 전문적 자본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관찰된 차이가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인적 자본의 경우 교직경력 2년 이하인 교사들의 평균에 비해 교직경력 11년 이상인 교사들의 평균이 높았다. 사회적 자본은 경우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에 비해 1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의 평균이 더 높았고, 마지막으로 의사결정 자본은 2년 이하 경력교사들보다는 3~5년의 경력 교사들이, 이들보다는 16년 이상의 경력 교사들의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 초기 단계 교사들의 전문적 자본 축적을 돕고, 특히 교직 경력 11년 이후에도 교사들의 전문적 자본 축적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 방법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ofessional capital of primary school teachers based on 7 steps of life cycle stage, if any. A total of 1,821 teachers from randomly selected 214 prim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included measures of professional capital as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decisional capital. A one-wa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differences among teachers’ life cycle stag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 differences stand with the control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eachers with less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had higher human capital compared to teachers with more than 11 years of experience. Second, social capital was greater in teachers with 16 years of experience than teachers with 5 years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Lastly, decisional capital showed differences of 16 and more years of experienced teachers being greatest following 3 to 5 years and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These findings had similar patterns with the control variable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re presented for strengthening improvement of professional capital at early stages of teachers as well as teachers with more than 11 years of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