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Consumers’ Cognitive and Practical Knowledge in Accepting Mobile Banking

        Kim, Miyea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1

        최근 인터넷 기반 쇼핑 및 인터넷 뱅킹 서비스가 모바일 영역으로 확장됨에 따라 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급 진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것은 그만큼 소비 자들이 모바일 뱅킹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을 빠르게 수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수용하는데 있어 영향을 주고 있는 소비자 지식을 크게 인지적 지식과 실용적 지식으로 구분하여 소 비자 지식이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술 수용 모델(TAM)을 적용하여 소비자 지식 이 용이성 인식과 신뢰를 거쳐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파악하였 다. 본 연구는 20-40대 금융소비자 3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최종 분석 데이터로 활용하 였고 SPSS 21.0 and AMO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지식은 인지적 지식과 실용적 지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소비자 지식의 종류에 따라 용이성 인식과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금융소비자들의 지식이 사용과 관련 한 지식 뿐 아니라 인지적 측면의 지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인지적 측면의 지식이 신뢰에는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용적 지식이 인지적 지식보다 용이성 인식과 신뢰를 통한 총 효과가 더 크게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용은 용이성 인식 뿐 아니라 신뢰에 모두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금융소비자 교육은 필수적이며, 특히 실용적 지식을 중심으로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 지식을 인지적 지식과 실용적 지식으로 구분하여 모바일 뱅킹 서비스 수용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가 있다. 또한, 모바일 뱅킹 수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소비자 지식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며 실무적·교육적으로 새로운 기술을 수용할 때 소비자 교육의 방향성을 제 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as internet-based shopping and internet banking services have expanded into the mobile sector, mobile banking services have been showing a rapid increase. The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using mobile banking services means that consumers are rapidly adopting technologies related to mobile banking services. The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 knowledge on the acceptance of mobile banking services by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he study structurally analyzed how consumer knowledge (cognitive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influences mobile service acceptance after going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trust,” which are critical variables in the mobile banking servic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gnitive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are both positively influencing “perceived ease of use” and “trust” of mobile banking. Also,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both variables are positively impacting the acceptance of mobile banking.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knowledge, mobile banking property, and acceptance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 KCI등재

        치아교정치료 서비스 만족 영향요인 연구: 의료소비자 기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예 ( Kim Miyea ),옥경영 ( Ohk Kyung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치아교정치료를 받는 의료소비자들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치아교정치료 서비스의 속성과 의료소비자 기대로 나누어 살펴보고, 특히 소비자 기대의 매개효과를 중점적으로 연구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치아교정치료 서비스의 속성을 의료진 전문성, 의료기관 서비스, 평판, 가격으로 세분화하고, 의료소비자 기대 측면을 기능적 기대와 심미적 기대로 구분하여 의료소비자 기대를 매개로 치아교정치료 서비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치아교정치료 서비스 경험이 있는 20-50대 의료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21.0과 SPSS PROCE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집단간 차이 분석(t-test), 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아교정치료에 대해 의료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속성을 의료진 전문성, 의료기관 서비스, 평판, 가격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각 속성 값의 인구사회학적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치아교정치료 서비스는 일반 의료서비스와 다르게 치료의 2가지 목적(치아 기능 향상과 심미적 손상 향상)이 있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소비자들은 치아교정치료 대한 2가지 기대(기능적 기대와 심미적 기대)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치아교정치료 서비스 만족은 의료소비자 기대를 매개로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료진 전문성, 의료기관 서비스는 소비자 기대를 매개로 의료소비자의 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미적 기대 경로에서 평판 속성이 심미적 기대를 통해 만족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치아교정치료 서비스의 속성과 의료소비자 기대를 통해 치아교정치료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일반 의료서비스와 구별되는 치아교정치료 서비스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and consumer expectations on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using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For this purpose, we divided the attributes of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into medical expertise, service, reputation, and price, and divided consumer expectation into functional expectation and aesthetic expectation and examined the effect of consumer expectation on satisfac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0-50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SPSS 19.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description, and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ributes of orthodontic treatment that consumers perceived importantly about orthodontic treatment are classified into expert, service, reputation, and price. However, the perception of each attribute in gender is different, and it is in line with the result of the sociocultural difference in the medical service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Second, satisfac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enhanced through consumer expectations.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attributes and satisfaction on the mechanism of consumer expectation was confirmed.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differentiated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dental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 and customer expectation on dental orthodontic treatment service satisfaction.

      • KCI등재

        생성형 AI 긍정 태도는 어떻게 형성될 수 있을까? 소비자 경험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디지털 자아효능감을 통해 생성형 AI 긍정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진 ( Kim Minjin ),김미예 ( Kim Miyea ),노환호 ( Noh Hwan-ho ),김범수 ( Kim Beomsoo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2

        ChatGPT의 등장 이후 생성형 AI 사용 범위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면서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 개인, 기업, 국가 간 격차가 예상된다. AI 활용의 확대는 추후 디지털 격차와 같이 AI로 인한 격차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성형 AI 활용 증진을 위한 소비자 중심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소비자들은 컴퓨터, 인터넷, 전자 상거래, 스마트폰 앱, AR/VR과 같은 기술의 발전을 늘 경험하며 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에 적응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AI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있어 선행요인으로 소비자 경험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제시하고, 이 둘의 관계에서 디지털 자아효능감의 역할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연구 결과, 소비자 경험의 하위 분류인 컴퓨터 경험과 모바일 경험은 모두 디지털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디지털 자아효능감은 생성형 AI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에 있어서 자아효능감이 긍정 태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모바일 리터러시의 경우 디지털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디지털 자아효능감을 통해서도 생성형 AI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차이는 생성형 AI가 가진 복잡성과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개발의 특성 때문으로 보이며, 컴퓨터 리터러시가 모바일 리터러시보다 생성형 AI 사용에 요구되는 능력을 보다 명확하게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AI 수용태도에 더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속에서 기기 사용의 중요한 결정요인 중 하나로 설명되고 있는 자아효능감이 생성형 AI 태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생성형 AI 인터페이스 운영과 AI 관련 소비자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advent of ChatGPT, the use of generative AI has seen rapid proliferation, concomitantly deepening disparities among consumers, businesses, and nations based on their adoption rates. The impact of generative AI on the digital divide highlights the need for research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 its use.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and analytical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s generative AI.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consumer experiences with digital technologies and digital literacy to identify how such factors affect AI acceptance and how digital self-efficacy can act as a mediator between consumer experience, digital literacy, and AI attitude. With the rise of ChatGPT, the use of generative AI has quickly grown.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companies, and countries in how they use generative AI have grown. This situation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research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s using generative AI.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and analytical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s the acceptance of generative AI.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existing consumer experiences and digital literacy affect the attitude towards AI acceptance and how digital self-efficacy acts as a mediator between consumer experience, digital literacy, and AI acceptance attitude. The study found that consumers with high digital self-efficacy are more likely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generative AI. This aligns with existing research that confidence in digital technology positively impacts the acceptance of new digital technologies. Moreover, consumer experiences, including computer and mobile experiences,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digital self-efficacy. Computer liter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digital self-efficacy, but mobile literacy did not. This difference is likely due to the complexity of generative AI and the nature of its computer-based development. This result proposes that this makes computer literacy more important to AI acceptance, as it more clearly reflects the skills required to use generative AI than mobile literacy,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devices.

      • KCI등재

        경제적 무력감이 상징소비에 미치는 영향

        김미예 ( Kim Miyea ),김정구 ( Kim Chung K. ),한정수 ( Han Jeongsoo ),전미나 ( Jun Mina ),정우영 ( Jeong Woo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6

        소비자들은 일상적인 소비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소비제약 상황이나, 주변 사람들과 소비생활을 비교하게 될 때 심리적으로 움츠려 드는 경제적 무력감을 느낄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소비생활을 하며 흔히 느낄 수 있는 심리적 상태인 경제적 무력감을 느낄 때 상징소비행동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가 경제적 무력감을 느낄 때, 사회적 무력감을 느낄 때와는 다르게 파워상징상품으로 보상소비를 하지 않고 (가설 1), 소비자들은 경제적 무력감을 느낄 때는 필수상품에 대한 소비지출의향이 높지만, 경제적 자신감을 느낄 때는 파워상징상품에 대한 소비지출의향이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한다 (가설2). 마지막으로 경제적으로 무력감을 느낄 때, 물질주의가 높은 소비자들은 파워상징상품에 대한 추구가 높지만, 물질주의가 낮은 소비자들은 의미상징상품에 대한 추구가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가설3).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1은 대학생 175명, 연구2는 대학생 121명, 연구3은 일반인 183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는 소비생활을 하며 빈번히 느낄 수 있는 경제적 무력감을 사회적 무력감과 구분하여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다른 사람을 위한 의미있는 소비가치를 반영한 의미상징상품을 제시하여 경제적 무력감 해소를 위한 다양한 상징소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제적 무력감이라는 심리적 상태가 파워 리콜태스크 만으로도 전환될 수 있음을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하였기에, 긍정적인 사회 분위기 조성은 소비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Personal economic condition can play a critical role in consumers` purchasing pattern.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are limited by their personal economic condition (Tully, Tershfield, and Meyvis 2015). In this situation, consumers feel economic powerlessness which can be defined as a feeling of relative deprivation by one`s personal economic condition. Then, how consumers do differentiated compensation consumption when they feel the economic powerles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economic powerlessness has different impact on consumers behavior than social powerlessness does.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materialism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affect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s under economic powerlessnes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series of 3 experimen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study 1, different from social powerlessness, economic powerlessness does not lead consumers to do compensation consumption with power-symbolic products. Study 2 reveals that consumers have stronger purchasing intentions for necessary goods when they feel economic powerlessness while consumers have stronger purchasing intentions for power-symbolic products when they feel economic confidence. Study 3 reveals that consumers with high materialism show stronger purchasing intentions for power-symbolic products even when consumers feel economic powerlessness. On the contrary, consumers with low materialism show stronger purchasing intentions for meaning-symbolic products when they feel economic powerlessness. This results demonstrates strong impact of materialism on consumers` behavior under economic powerlessness. This study has several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that it distinguishes economic powerlessness from social powerlessness and examines how economic powerlessness influences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s. As economic recession continues, investigating consumer behavior under economic powerless is getting more significant. In this light, this study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basis for future studies in respective research area.

      • KCI등재

        소비자의 지각된 경제력이 브랜드 고정관념, 브랜드 애착을 통해 브랜드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예 ( Kim Miyea ),옥경영 ( Ohk Kyung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2

        파워는 사람들을 행동하게 하는 중요한 가치로 사회학, 심리학, 소비자학에 걸쳐 다방면으로 연구되었다. 대다수의 파워 논문은 파워를 사회적 자원으로서 단일 차원으로 연구해 왔기 때문에, 세분화된 파워의 종류에 따라 소비자의 정보처리방식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 면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워의 종류를 Lammers, Stoker, & Stapel (2009)이 제시한 개인적 파워중에서 돈에 의한 파워 즉, 지각된 경제력(perceived economic power)이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소비자의 지각된 경제력이 갖는 특성으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브랜드 고정관념, 브랜드 애착, 브랜드 지지행동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 방법은 SPSS 21.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초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 분석, 붓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지각된 경제력은 브랜드 고정관념,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브랜드 지지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소비자들의 지각된 경제력은 브랜드 고정관념을 통해 브랜드 지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지각된 경제력은 브랜드 고정관념과 애착을 통한 이중매개를 통해 브랜드 지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차원으로 연구되어 오던 파워를 돈을 원천으로 한 소비자의 지각된 경제력으로 세분화하고, 소비자의 지각된 경제력과 브랜드 지지행동과의 관계를 브랜드 고정관념과 브랜드 애착의 이중매개 모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심리적 자원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브랜드 전략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ower is an important value that makes people behave, and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in sociology, psychology, and consumer science. However, more detailed power is required, and a detailed analysis of how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is changing depending on the type of power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money, that is, perceived economic power, on consumer behavior among the personal powers suggested by Lammers, Stoker, & Stapel (2009).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makes us feel psychological confidence and self-efficacy, so we need to underst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economic power can affect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stereotyping, brand attachments, and brand support behaviors,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PSS 21.0 and AMOS 22.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description, and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stereotypes and attachments but did not directly affect brand support behavior. Second,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has a positive impact on brand support behavior through brand stereotypes. Third, perceived economic power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support behavior through brand stereotypes and brand attach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perceived economic power of consumers with money as the resour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ceived economic power and brand support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model of brand stereotypes and brand attachment. It can be used to understand consumers' psychological resources and derive brand strategies through these results.

      • KCI등재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성과를 넘어 소비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정구 ( Kim Chung K. ),한정수 ( Han Jeongsoo ),전미나 ( Jun Mina ),김미예 ( Kim Miyea ),( Joshua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4

        브랜드 애착은 일반적으로 브랜드 성과 측면에서 중요한 변수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여러 브랜드 애착 관련 연구에서 브랜드 애착이 소비자의 전반적인 삶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브랜드 애착은 직접적, 간접적으로 소비자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고 있지만, 기존의 브랜드 애착 연구는 브랜드 지지행동에 관한 연구에 비해 소비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성과를 넘어 소비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브랜드 애착의 긍정적인 측면은 자아효능감을 높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지만, 현실도 피 욕망이 높아져 삶의 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양면성을 지닌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더 나아가, 소비자의 실제적-이상적 자아 불일치가 높을수록 브랜드 애착이 현실도피 욕망에 미치는 영향이 강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마케팅의 주요 변수인 브랜드 애착, 브랜드 지지행동, 소비자 삶의 질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브랜드 애착은 삶의 질에 긍정적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실증분석을 통해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이 단지 기업의 수익만이 아닌 소비자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기업 수익적인 측면만이 아닌 공공가치 구현, 소비자 복지차원의 정책적인 시사점도 제공한다. Consumers` attachment to brands (or brand attachment) has gained significant interest among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marketing. It was well documented that brand attachmen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supportive behaviors, which will eventually increase brand profitability and customer life time value. The existing studies focused only on the effect of brand attachment on brand performance, ignoring its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well-being or quality of life. However, in reality, if a person develops a strong attachment to a brand, he or she tends to not only show strong brand supportive behavior, but also feel happy or satisfactory in lif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brand attachment can affect consumers` well-being or quality of life, beyond brand supportive behavior. Interestingly, we found that brand attachment has not only a positive effect through self-efficacy on life satisfaction, but also a negative effect through escapism. We further found that actual- ideal self-discrepancy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escapism. Based on our findings, several important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practitioners to perform marketing and brand strategies in ways to improve both the well-being of the companies (e.g., brand profit) and the well-being of consumers (e.g.,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코로나19 안전안내문자 정보 속성 분석 : 필수 정보 요인과 프라이버시 침해 정보 요인을 중심으로

        김민진 ( Minjin Kim ),김미예 ( Miyea Kim ),김범수 ( Beomsoo Kim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1 지식경영연구 Vol.22 No.2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정부가 감염병 확산을 제어하기 위해 발송하는 안전안내문자는 기존 재난문자와는 달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확진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안내문자의 필수 정보 요인과 프라이버시 침해 정보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실험 방식의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해 정보 속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안내문자의 필수 정보 요인은 확진자 국적, 주소, 감염 경로, 확진자 전체 동선 및 접촉 발생 주요 동선, 홈페이지 공개여부, 주요 동선 방역 여부, 확진자 격리시설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침해 요인은 확진자 국적, 성별, 연령, 주소, 확진판정일, 확진자 전체 동선, 주요 동선, 동선정보 홈페이지 공개여부, 방역여부, 확진자 격리시설임을 확인했다. 또한, 가장 필수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보 조합과 확진자의 프라이버시를 가장 크게 침해한다고 인식하는 정보 조합은 확진자 개인정보와 동선정보, 방역여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궁극적으로 필수 정보를 제공하는 안전안내문자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확진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한 본 연구는, 연구자뿐 아니라 정책입안자에게 유용한 지식경영학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pandemic caused by COVID-19, emergency alert text messages can violate the privacy of confirmed corona positive cases. This study used conjoint analysis to identify the essential information factors and the privacy invasion information factors of local government initiated safety notic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eight essential information factors, including all routes of the confirmed case and ten privacy invasion factors of safety notice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the combinations of information perceived to be the most essential and perceived as the most significant privacy invasion; both combinations include the confirmed case's personal and route information. This study ultimately tried to suggest a way to lower the concern about privacy invasion of the confirmed cases without damaging the emergency alert text messages' essential informat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interested in disaster communication with valuabl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 INFLUENCING FACTORS OF CONSUMER FANTASY EXPERIENCE IN THE LUXURY BRANDS' PROMOTIONAL SITES IN METAVERSE

        Qi Jiang,Miyea Kim,Eunju Ko,Kyohong Jin,Kanghyeon Shin,Ju-Hyo Hwang,Kyung Hoon Kim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23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23 No.07

        Metaverse provides technology for people to connect, find communities, and grow businesses. Its sales have seen grow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an era of metaverse, luxury brands such as Gucci, Ralph Lauren, Burberry, Balenciaga, and Dolce & Gabbana are trying to adapt to new changes. They launched NFT(Non-fungible token) goods, digital fashion, and virtual luxury goods on various metaverse platforms such as Zepeto, Roblox, and Fortnite. For example, Ralph Lauren in Zepeto provides various types of luxury items, immerses in virtual performances, and has a game plot interaction. As people immerse themselves in the Metaverse, they feel happy from various activities—such as watching advertisements, drinking juice, and playing with friends. Thus, wha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luxury brands manage the metave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