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 : 조선통신사 재현과 가시화를 통한 한일 기억과 인식의 공유

        등택규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720

        The ultimate goal of public diplomacy is to affect the attitudes of the public by attracting and persuading them. Traditionally, the target of public diplomacy policies has been the public of foreign countries. However, as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by states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it has become necessary to improv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omestic and foregin publics through the cross-national collaboration of public diplomacy, allowing for the 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bilateral relations by both domestic and foreign people. Consequently, these relations can help to build friendships and favorable diplomatic environments among the involved countries. Therefore,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shared understanding of friendship among the people of collaborating countries; as both participants and witnesses.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visibility of intended information. This study explores these two unique features of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sharing and visibility. Using the aforementioned ideas as criteria, this study analyzes the joint projects between Japan and Korea that reenact and represent the Joseon Tongsinsa. One shared memory between the two countries regarding the Joseon Tongsinsa - or the memory of good neighborly relations - has been recently placed in the spotlight as a vision representing a future that enables the two countries to confirm bilateral friendship and promote collaboration in public diplomacy. Despit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discussions regarding this topic or studies that focus on its features, such as sharing and visibility, or which attempt to apply it to Japan-Korea relations. Furthermore, neither the memories of Japan and Korea surrounding the Joseon Tongsinsa nor the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regarding it have been dealt with in an academic respec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iginificance and location of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within the overall discussion of public diplomacy, to examine the two features of sharing and visibility, and to observe how the shared memory and common understanding of the bilateral friendship between Japan and Korea have been form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and visibility of the Joseon Tongsinsa.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oint out that among the various policies of public diplomacy,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is mainly classified a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form of cross-national joint ventures or projects that have easily identifiable and clear goals.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structural elements of public attitudes and understandings dealt with by public diplomacy and explains the understandings that are shared through public diplomacy. Among them, sharing understanding about past friendship can be realized by commemorating shareable past events between the countries involved. Additionally, memory, one of the factors that compose public attitudes and understandings can itself be influenced by these understandings and subsequently shared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there are two kinds of memories in Japan and Korea regarding the Joseon Tongsinsa: ‘self-centered memory’ and ‘exchange-based memory’; the latter of which had been buried in oblivion until it was ‘re-remembered’ and shared as a ‘collective memory’ through reproduction and reenactment in both countries beginning in the 1970s. Moreover, the study finds that two countries currently accept the memory as an ‘official memory’ and continue to reinforce it through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In addition, this study notes that public diplomacy promotes the sharing of memories and understandings among the public through visibility, consisting of ‘direct visibility’, ‘mediated visibility’ which relates to the secondary effect on an audience, and ‘experiential visibility’ which relates to the primary effect on participants. It also points out that each of these visibilities consists of two stages: ‘individual visibility’ which is formed through visualization and experience, and ‘social visibility’ which is formed through publiciz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Joseon Tongsinsa was a visible event for the Japanese public during the time that it took place, and one which allowed for the cognition of Joseon’s advanced culture, the significance of exchange with the delegates, and foreignness of the visitors through the experiential, direct, and mediated visibilities. Also, this study finds that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regarding the Joseon Tongsinsa helps to make visible the shared memory, the bilateral collaboration as well as other themes such as sports and person-to-person exchanges between Japan and Korea. Although public diplomacy cannot replace traditional diplomacy but only complement it, this study provides many possibilities in terms of building favourable mutual understanding and friendship among the public in the long run under the current diplomatic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Joseon Tongsinsa is a valuable asset for both Japan and Korea, who are still struggling with past issues despite accumulated efforts toward mutual understanding by previous gener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two countries to pursue the establishment of stable and positive relations and better mutual understanding by promoting collaborative public diplomacy, while at the same time continuing to work toward fundamental resolutions of the various issues which contribute to the attitudes and understandings of the public. 전통적으로 공공외교는 타국민을 정책의 대상으로 삼아 왔지만, 현재 외교 환경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국가 간 협동을 통해 자국민과 타국민 모두에게 양자 관계의 중요성을 인지시켜 우호적인 상호인식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논하는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는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한 정보를 자국과 상대국이 하나가 되는 모습을 통해 대중에게 가시화함으로써 인식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유’와 ‘가시화’라는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진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사례로 조선통신사 재현 사업을 분석했다. 최근 한일 양국에서는 통신사에 대한 ‘선린우호’라는 기억이 양국의 우호와 유대를 확인하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비전으로 주목받아 이와 관련한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가 실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공외교의 협동에 대한 논의는 충분치 않았고, 그 두 가지 특징을 살펴보거나 한일관계와 통신사에 적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외교 정책으로서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의 의미와 위치를 확인하고 ‘공유’와 ‘가시화’라는 두 가지 특징을 밝히면서, 통신사의 재현과 가시화를 통해 한일 공동의 기억이 공유되고 양국 우호 관계에 대한 인식이 공유되는 양상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우선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가 다양한 공공외교 정책 가운데 주로 국제문화교류 유형에 해당하는 복수 국가 간의 공동사업임을 확인했다. 이어서 공공외교가 다루는 대중의 인식의 구성 요소와 기억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를 통해 공유하려는 인식을 설명했다. 또한, 통신사를 둘러싸고 양국에 존재해 온 ‘자국중심의 기억’과 ‘교류중심의 기억’ 가운데 후자는 1970 년대 이후 양국에서 ‘집단적 기억’으로 재기억 및 공유되었고, 현재 양국은 이러한 공동의 기억을 ‘같이 하는’ 공공외교를 통해 더욱 굳건히 공유하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가 ‘가시화’를 통해 이러한 ‘공유’를 실현하는 것에 주목했고, 그 가시성에는 관중에 대한 ‘직접적 가시성’ 및 ‘매개된 가시성’과 참가자에 대한 ‘체험적 가시성’이 있으며 각각 ‘개별적 가시성’과 ‘사회적 가시성’을 가짐을 확인했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해, 당시 통신사는 조선 문화의 선전성과 교류의 중요성, 그리고 이국성을 인지하게 해주는 가시적인 이벤트였음을 설명했으며, 현재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는 통신사에 대한 공동의 기억과 양국의 협동, 그리고 기타 주제를 가시화함으로써 공동의 기억과 한일 우호 관계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을 공유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외교 환경에서 장기적 관점으로 국민 간에 우호적인 관계와 상호인식을 구축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특히 한일 양국은 국민들의 인식을 형성하는 다양한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모색하는 한편, 통신사와 같은 양국 공동의 재산을 잘 활용하면서 ‘같이 하는’ 협동적 공공외교를 적극 추진해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양국 관계 및 상호인식을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究極的な目標は、説得や魅了により大衆の認識に影響を与えることであり、その政策の対象は伝統的に他国民であった。しかし、情報の国家的な管理が困難となった現代において、長期的な観点から自国と他国の間に友好的な関係を構築し、円滑な外交環境を造成するためには、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国家間の協働により自国民と他国民の双方に両国関係の重要性を認知させ、良好な相互認識を形成する必要がある。本研究が論じる「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は、自国と相手国が共に働く姿を通じて特定の情報を参加者や観衆といった大衆に対して可視化することにより、両国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を共有するものであり、その意味で「共有」と「可視化」という二つの特徴を持つ。 このような観点に基づき、本研究は、日本と韓国の間で実施されている朝鮮通信使の再現事業を「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事例として分析した。近年、日韓両国において朝鮮通信使に関する「善隣友好」という共同の記憶が両国の友好や絆を確認し、未来へと進むためのビジョンとして注目されており、朝鮮通信使に関する「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が実施されているためである。一方、「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こうした重要性にもかかわらず、これまで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に関する研究において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協働に関する議論は十分に行われず、また、それを「共有」や「可視化」といった観点から分析した研究や日韓関係への適用を試みた研究は見当たらなかった。さらに、朝鮮通信使を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観点からアプローチした研究はもとより、朝鮮通信使を巡る日韓の記憶を扱った研究も実施されてこなかった。このような状況に対し、本研究は、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一政策として「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意味と位置を確認し、「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の「共有」及び「可視化」という二つの特徴を明らかにしつつ、朝鮮通信使の再現と可視化を通じて日韓の共同の記憶が共有され、両国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が共有される様子を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 その結果、本研究ではまず、「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が多様な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政策のうち複数の国家による共同の事業またはプロジェクトとして主に国際文化交流の類型に該当し、かつ容易に識別可能な明白な目標を持ったものであ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また、本研究は、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が扱う大衆の認識の構成要素を確認し、「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を通じて共有しようとする認識を説明した。その中でも「過去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の共有は協働する国家間で共有可能な過去の記憶を記念することにより行われ、記憶は認識を形成する一要素であると同時に認識から影響を受ける存在であり、社会化過程を通じて共有されることを指摘した。また、朝鮮通信使を巡り両国に存在する「自国中心の記憶」と「交流中心の記憶」のうち、1960年代まで忘却されていた後者は1970年代以降、記憶の再生産装置を通じて両国で「集団的記憶」として再記憶・共有され、現在、日韓両国はこのような共同の記憶を「公式記憶」として認定し、「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を通じて一層堅固に共有しながら両国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を共有し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 さらに、本研究は、「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が「可視化」を通じてこのような「共有」を実現していることに着目し、その可視性には観衆への二次的的効果に関する「直接的可視性」および「媒介的可視性」と参加者への一次的効果に関する「体験的可視性」が存在し、それぞれ視覚化や体験を通じて形成される「個別的可視性」と公論化を通じて形成される「社会的可視性」を持つことを確認した。このような議論に基づき、本研究は、日本の大衆にとって当時の朝鮮通信使は交流や直接的または媒介的な可視化を通じて朝鮮文化の先進性や交流の重要性、また異国性を認知させる可視的なイベントであったことを確認した。また、朝鮮通信使に関する「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は、日韓間の共同事業において朝鮮通信使に対する共同の記憶と両国の協働、またスポーツや人的交流といったその他のテーマを可視化することにより、共同の記憶を一層堅固に共有しつつ、日韓の友好関係に対する認識を共有してい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 結局、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は伝統的外交を代替するものではなく、それを補完するものに過ぎないが、本研究の結果は、現在の外交環境の中で長期的な観点から国民間で友好的な関係と相互認識を構築する上で多くの示唆点を有する。特に、先人たちの積み重なる努力にもかかわらず依然として過去に関する問題が障害となっている日韓関係において朝鮮通信使は両国の貴重な財産であり、両国は国民の認識を形成する多様な問題の根本的解決を模索しつつも、「共にする」協働的パブリック・ディプロマシーを積極的に推進し、安定的で前向きな両国関係および相互認識を構築していくべきである。

      • 趙泰億의 使行文學 연구 : 對日觀을 중심으로

        조영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321

        본 논문에서는 1711년 신묘사행의 정사 趙泰億(1675∼1728)의 사행문학을 통해 그의 대일관을 연구하였다. 1711년 신묘사행은 임란 이후 시작된 조선후기 통신사행에 있어서 시기적으로 중간에 놓인 사행이며, 회차로는 여덟 번째 사행이다. 조태억은 정사로 일본을 사행하며 그 체험을 개인문집인 『謙齋集』6, 7, 8권에「東?錄」으로 남겼다. 그러나 『겸재집』이 미간행 문집인데다가 「동사록」이 『海行摠載』에 실리지 못해 접근성이 떨어져 사행문학 연구에 있어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또한 이 시기의 사행문학이 여항 문인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정사로서 일본을 사행한 조태억 연구는 사행문학 연구의 주류를 차지하지 못했다. 현재까지 조태억 개인을 조망한 연구는 없었으며, 대체로 막부의 집정관으로 통신사 접대를 담당한 新井白石와 관련된 연구에서 조태억이 거론되었다. 신묘사행은 이전 회차인 1682년 임술사행부터 조일 양국 간에 늘어나기 시작한 문화적 교류의 분위기를 타고 많은 교류의 흔적을 남긴 사행이다. 조태억도 이러한 문화 교류의 흐름에 합류하고 있었다. 제술관 1인, 서기 3인이라는 사문사 체제가 정립된 이 시기, 조태억은 정사였기 때문에 일본인과의 시문 교류에 의무가 없었지만 그의 「동사록」에는 일본인들과 교류한 시들이 다수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이 시들 중 일부는 일본에서 간행된 필담창화집 23종에 수록되어 있다. 이 밖에서 일본인에게 보낸 서문과 贊, 銘이 『겸재집』내에 수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료들에는 일본인과의 교류뿐 아니라 일본에 대한 조태억의 선험적 인식과 일본 각 지역에서의 견문 및 술회가 드러나 있어 조태억의 대일관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활용되었다.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과 주변인들의 ?章을 통해 사행에 임하는 태도를 세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 사행을 새로운 유람으로 생각하고 기대했으며 주변인들도 일본의 자연 경관을 즐기고 돌아올 것을 당부했다. 두 번째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100년이 지난 시기였지만 일본이 임진왜란의 주범국이라는 것에 적개심을 지니고 사행에 임했다. 일본이 전쟁의 원흉이라는 사실은 주변인들도 잊지 못하는 터였지만, 일본에 대해 복수의 의지를 다지는 인물이 있는가 하면, 과거보다 현재의 교린 상태를 중요시하여 和로써 대할 것을 당부하는 인물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태억은 존화주의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하며 사행에 임했다. 조태억의 주변인들도 마찬가지로 일본에 대해 이적으로 파악하는 관점을 지녔다. 기본적으로 조선을 오랑캐인 일본보다 우위에 두는 입장에서, 회유와 유화책으로 일본인을 대할 것을 당부하거나 인간의 본성과 감정은 같은 것이라는 이해 아래 대등하게 대해야 함을 강조했다. 실제 일본을 체험하며 선험적 인식과 태도는 유지되거나 변형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체험을 통한 조태억의 대일관이 형성되었다. 본고에서는 조태억의 대일관을 일본의 자연, 일본의 문물, 일본인에 대한 것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의 자연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기행시와 창화시를 막론하고 일본의 승경을 찬미하였으며, 자연을 우열논쟁의 대상으로 파악하지 않고 일본의 것이더라도 좋으면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다. 두 번째로 일본 문물의 장점을 포착하는데 주력했다. 임진왜란의 주범으로 여겨지던 豊臣 가문을 무너트린 德川 가문의 위업을 높이는 것으로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해소한 후 일본의 번화와 좋은 점을 시의 소재로 삼았다. 일본의 우수한 풍속을 기록했으며 중국의 제도와 비교해 우월성을 인정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일본인에게서 교화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新井白石을 만나 소통하면서 武國으로 인식했던 일본이 文을 향해 변화해가는 분위기를 느꼈고 중화로의 교화를 유도했다. 시문에 익숙하지 않은 일본인에게도 시문을 보내어 文을 통해 소통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은 당대인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던 것이면서도 조태억이 속한 소론계의 일본 인식과 맥을 나란히 하는 것으로, 적개심과 이적관을 유지하면서도 일본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조태억이 실제 체험한 일본은 훌륭한 자연 경관을 지녔고 앞선 제도 등 좋은 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었으며 文에도 관심을 보이는 나라였다. 이에 기본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지녔던 조태억은 일본에 대한 이해와 인정의 범위를 넓히고 그들에게 한 발짝 나아가 포용하려는 대일관을 보였다. 비록 중화주의나 화이관에서 탈피하거나 실학적 태도로 일본을 배우는 것에까지 미치지는 못했지만 일본에 대한 열린 자세는 선구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의 연구들은 대체로 위항 문사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지만 정사였던 조태억도 문화교류의 일면을 차지했으며 대일관에 있어서도 상당히 포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조태억 개인에게 있어서는 사대부로서 경직되지 않은 대일관을 지닌 인물이었다는 점에 그의 사행문학 연구에 의의가 있다. 한편으로 사행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홍세태·신유한 및 여항의 문인들과 함께 사행문학이 심화를 이루는데 초석을 다졌다는 것에 조태억 사행문학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