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문재(Suaeda glauca) 고사체 주변의 토양, 식생, 게 활동의 공간적 변이 : 소래습지생태공원을 사례로

        이한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078

        염습지 생태계는 해수의 지배적인 영향, 빠른 물질 순환 주기 및 서식 생물들의 짧은 생활사 등이 특징인 생태계로, 다른 생태계에 비해 구성 요소들은 단순한 편이지만 그것들이 외부의 영향을 받아 변화를 겪는 빈도는 더 높은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태계 경관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그런 가운데에도 해당 생태계에 서식하는 식생이나 게 등의 생활사보다 오래 남아있는 어떤 구성 요소가 있다면 그로 인해 주변 경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국내 염습지 생태계에 자생하는 식물 종 중 나문재의 경우 다 자란 성체의 높이가 1.5m까지 자라기도 하며, 자라는 과정에서 줄기는 목질화되어 1년생 초본임에도 그것이 죽은 이후에 바로 분해되어 사라지지 않고 원래의 자리에 남아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고사체가 된 개체 중 일부는 수년간에 걸쳐 같은 자리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그 경우 주변 식생이나 게 등의 동물들의 생활사보다 긴 시간에 걸쳐 염습지 생태계에 있는 것이므로 존재하는 동안 주변의 생태계 경관에 어떤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나문재 개체가 죽기 이전에 그것과 영향을 주고받던 토양, 다른 식생, 게의 활동이 그것이 고사체가 된 이후에 그 주변에서 어떤 분포를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나문재 고사체가 존재하는 곳은 그 주변부에 비해 식생 피도가 낮고, 게 활동의 흔적은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여러 토양 성질 또한 고사체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나문재 고사체가 생명으로서의 기능을 잃었더라도 물리적 영향은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것이 고사체가 존재하는 지점과 나지와의 생태적 경관의 차이로 이어진다는 원인이 된다고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향후 염습지 생태계 연구에 있어 식물 고사체가 높은 밀도로 존재할 경우 그 영향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나문재(Suaeda glauca Bunge)의 무기원소 및 지방산 함량에 관한 연구

        김송전 명지대학교 대학원 1977 국내석사

        RANK : 232030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lue of Namunjae as substitute food and analyse the minerals and fatty acids. Namunjae samples was collected at, west sea side, pori, Kyunggi province, from May 1 to May 15, 1977.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the rat was fed on Namunjae supplemented with first limiting amino acid, methionine and cystine, the growth rate was higher than when it was fed on Namunjae alone. 2. When the rat was fed on Namunjae supplemented with amino acids, Vitamins and minerals, the growth rate was about the same as it was fed on Namunjae supplemented with amino acid. 3. Namunjae contains palmitic acid 38.84%, and essential fatty acid, linolenic acid 26.27% and linoleic acid 17.82%. 4. Namunjae contains minerals, Ca 269.4 mg%, Fe 93.5 mg%, p 89.5 mg%, Mn 9.42 mg%, Zn 2.28 mg%, Cu 0.94 m%.

      • 염생식물 나문재의 염농도에 따른 생장 및 생리적 특성

        김지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015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 inorganic ion and amino acid content characteristics in a halophyte, Suaeda glauca, under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for cultivating in the reclaimed land. S. glauca was cultivated under 0, 50, 100, 200, 300 and 400 mM NaCl concentrations with Hogland nutrient solution. To evaluate growth response under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plant height and number of branches, dry weight, Fv/Fm value, and photosynthesis rate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inorganic ion contents and amino acid in part of plant were evaluated.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NaCl for plant growth were 50 mM. The plant growth were gradually decreased in the concentration ranged from 100 to 400 mM. As increasing of NaCl concentration, Na ion was increased, but K, Ca, Mg ions were decreased in the plant. The amino acid contents in the different parts of the plant were varied due to NaCl concentrations. Among the amino acids, proline was known as an osmoticum, which content was exceptionally high at 50mM of NaCl concentration, and gradually increased as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The Fv/Fm value as an indicator of photosynthesis efficiency showed the highest at 50 mM. When the Fv/Fm value was observed for sudden changes of salt concentration, the value increased temporarily at 3 hours after changing treatment both low (0, 50, 100 mM) to high (200, 300, 400 mM) and high to low concentrations of NaCl. The net photosynthesis showed the highest at 50 mM, and increased temporarily like the Fv/Fm value. As the result, although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NaCl for the growth of S. glauca was 50mM, the plant seem to adapt in a variety of salt environments in view of the changes in Na ion and proline contents as an osmoticum and photosynthetic response to changes of salt concentrations.

      • 나문재 종자의 Priming 처리가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성필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1996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germinability of Suaeda glauca by seed priming. Before the priming treatments,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germination was confirmed to test the primed seeds. This seed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at 20℃ in the range of 5~35℃. For priming, the sterilized seeds were immersed in the distilled water, KNO3 solution (50, 100, 150, 200mM), KH2PO4 solution (50, 100, 150, 200mM), and PEG 8000 solution (-0.3, -0.6, -0.9, -1.2MPa), depends on 3 temperatures (15, 20, 25℃) and 3 treatment durations (1, 3, 5 days). As a result, the priming method using -0.6 MPa PEG 8000 at 15℃ for 5 days was the most effective, in which the seeds germinated 92.7% enhanced by 25.4% compared to the raw seeds. Then, for the dehydration of the primed seed, the optimum temperature (under RH range of 20~44%) was tested in the range of 5~50℃ with 5℃ interval. As a result, dehydration at 10 to 15℃ (under RH 40~42%) was the best without diminishing physiological viability. Comprehensively, the primed seeds dehydrated at 10~15℃ showed 90.7% of germination, 89.3% of vigor, 2 days of MGT (mean germination time), 590 of PI (promptness index), and 46.6 of GPI (germination performance index), which enhanced 23.4% in germination, 32% in vigor, 262 in PI, 33.8 in GPI, and shorten 3.3 days in MGT compared to the raw seeds. Also, the primed seeds showed higher performance of germinability under various salinity conditions than the raw seeds. 본 연구는 종자 프라이밍을 통해 나문재의 발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라이밍 처리 조건을 시험하기 전에 나문재 종자의 적정 발아온도를 5~35℃ 범위에서 확인하였다. 온도에 따른 나문재 종자의 발아는 5℃에서 49%, 10℃에서 55%, 15℃에서 63%, 20℃에서 67%, 25℃에서 42%, 30℃에서 31%, 35℃에서 11%가 나타났으며, 20℃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프라이밍 처리는, 멸균된 나문재 종자를 증류수, KNO3 용액(50, 100, 150, 200 mM), KH2PO4 용액(50, 100, 150, 200mM), PEG 8000(-0.3, -0.6, -0.9, -1.2 MPa)에 처리기간(1, 3, 5 일)과 온도(15, 20, 25 ℃) 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하여 발아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15℃에서 5일동안 -0.6 MPa PEG 8000에 침지시킨 나문재 종자가 프라이밍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프라이밍 종자의 발아율은 92.7%로 무처리 종자보다 25.4%가 향상되었다. 이후 프라이밍 종자의 건조는 5~50℃ 온도범위(상대습도 20~44%)에서 5℃ 간격으로 건조하여 발아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프라이밍 종자는 10~15℃ (상대습도 40~42%)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생리적 활력의 감소가 거의 없이 가장 우수하였다. 종합해보면, -0.6 MPa PEG 8000용액에 15℃에서 5일 동안 프라이밍 한 종자를 10~15℃ (상대습도 40~42%)에서 건조 하였을 때 발아율은 90.7%, 발아세는 89.3%, 평균발아일수는 2일, 발아속도지수는 590, 발아균일지수는 46.6으로 무처리 종자와 비교하였을 때, 발아율은 23.4%, 발아세는 32%, 발아속도지수는 262, 발아균일지수는 33.8 향상되었고, 평균발아일수는 3.3일 단축되었다. 또한 프라이밍 종자는 다양한 염분 조건에서 무처리 종자보다 더 높은 발아능력이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