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志映 작곡 「관현악을 위한 십자가상의 죽음」의 분석

        김지영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95

        The Analysis of 'The Crucifixion for Orchestra' composed by Kim, Ji-Young. The paper is an analysis of the program music, 'The Crucifixion for Orchestra' composed by Ji-Young Kim. The composer tries to express musical components (tempo, meter, beat, pitch material, rhythm etc.) and form in accordance with the religious theme (Crucifixion) The form of this orchestral piece consists of five sections (Introduction-A-B-C-Coda) and each section has its own programmatic titles (Jesus heading for Golgotha, The Cruciferous Jesus, Episode, The Death of Jesus, Prayer and Meditation) to demonstrate a narrative process. The composer makes use of hexatonic scale which consisted of augmented 4th and minor 2nd, chromatic scale, and wholetone scales, specifically, also attempts to quote Gregorian Chant in coda section to depict the religious atmosphere effectively. In sum, 'The Crucifixion for Orchestra' tells how the narrative themes can be expressed in each five sections through various musical elements. 본 논문은 김지영 작곡, 「관현악을 위한 십자가상의 죽음」에 대한 작품 분석이며, 작곡자 의도에 따른 표제음악(Program Music)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형식 및 구성요소와 부분별 아이디어 등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이 곡의 형식은 서주부-A-B-C-종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락은 예수의 골고타를 향한 행진,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 에피소드, 예수의 죽음, 기도와 묵상의 표제적 내용전개에 따라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표제적 내용은 빠르기와 박자를 결정짓는 요소가 되며, 표제인 ‘십자가상의 죽음’을 표현하기 위해 증 4도와 단 2도로 구성된 6음음계와 반음계, 온음음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결부에서 단편적으로 그레고리안 성가를 인용하여 종교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고 각 단락의 여러 가지 색채 대비를 통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십자가상의 죽음’이라는 표제적 내용이 관현악을 매체로 표현되고,특정한 형식에서 다양한 빠르기와 박자, 그리고 특정한 음고 재료와 리듬을 통해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가를 분석한다.

      • 돌을 통한 관계성의 표현 연구

        김지영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ABSTRACT Study on the Relationship Borm in Stone -On The basis of my work- Kim Ji-young Dept. of sculpture Graduate School of Sculptu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Human beings live a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purpose and means of living and living their lives.And the relationship is accidental and sometimes intentional. It is thought that the accidental relationship is formed when the water flows naturally and does not know clearly how and when th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And the intentional relationship is obviously a case in which the purpose and means are acted upon.My work begins with the fact that both of the above-mentioned relationships are in line with the nature of nature. I have noticed that it is not about trying to classify and divide something that is specific about such a "relationship," saying something is right and what is not, but about themselves. Whether it is accidental or intentional, we all learn to live through that relationship. And I want to find out why it exists as part of nature. I think it is because not only human beings but also some things in the world go further and the situation exists in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o I made a piece that is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work was completed with a single material, and the artwork that boasted all the charm alone was made, and the shape made up of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as created. This thesis is divided into 3 chapters mainly focusing on my work published in 2018.? In Chapter Ⅰ Introduction, I describe the research direction and purpose of my work and explain how to express my work. Chapter Ⅱ describes the formative expression elements of the work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work which contains the big theme of "relationship" in addition to the explanation of the "technique of Grengee" which is based on the formation background of the work and the way of expressing the work.?In Chapter Ⅲ conclusion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in terms of the work direction and the research tasks of the work that is expressed as a universal and broad topic called "relationship".

      • 식물 추출물과 사람 케모카인 CCL23 가 포유동물 세포에 미치는 염증 반응과 증식 효과

        김지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63

        천연소재로부터 항 알러지, 항암작용, 항 염증 등 약물학적 특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식물들로부터의 항 염증활성은 염증에 있어 조절인자 중 산화질소 (NO) 를 생성하는 iNOS를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새로운 항 염증을 갖는 천연소재를 찾기 위하여 윤판나물 추출물을 이용해 LPS에 유도된 마우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 반응 기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PS로 염증 반응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윤판나물 추출물이 산화질소 생산량을 저해하는 효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윤판나물 추출물은 100 g/ml 농도까지 산화질소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세포 독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윤판나물 (Disporum sessile D.Don) 추출물은 대표적인 염증 반응 매개자인 iNOS와 COX-2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초기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여러 사이토카인의 mRNA양을 측정하였을 때도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활성을 보였다. 윤판나물 추출물은 LPS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한 인자인 NF-κB의 발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NF-κB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윤판나물 추출물은 아마도 염증에 관련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In an attempt to find new anti-inflammatory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rude methanol extract of Disporum sessile D.Don has a suppressive effect on inducible enzyme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inhibiting the NF-κB pathway in LPS-stimul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The cells were pretreated with the indicated concentrations of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12.5, 25, 50, and 100 ㎍/㎖) and then treated with LPS (1 ㎍/㎖). The results showed that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inhibited the LPS-induc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iNOS in macrophage RAW 264.7 cell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COX-2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by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The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and IL-6, were markedly reduced by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Moreover, Disporum sessile D.Don extract suppresse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the NF-κB subunits, which was correlated with its inhibitory effect on I-κB phosphory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porum sessile D.Don ha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by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iNOS,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acrophage RAW 264.7 cells via the NF-κB pathway.The present results show that the extract of Disporum sessile D.Don exerting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y which may prove beneficial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ag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간 케모카인 중 하나인 CCL23 (MPIF-1, MIP3, CKβ8) 는 인간 혈관 내피세포의 이동, tube 형성 그리고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에 의해서 혈관 신생을 증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전에 수행 했었던 microarray 분석에 의하면, CCL23 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전자들의 전사가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세포의 성장과 유지에 관련된 유전자가 조절 되었고, 이를 통해서 세포의 성장과 관련된 단백질의 수용체 단백질들도 증가 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CCL23 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0.1 ~ 10 ng/㎖) 표피생장인자 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 혈관 내피 세포에 CCL23 를 처리하여 EGFR 의 발현을 증가시킨 뒤 표피 생장 인자 (EGF) 를 처리하여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세포의 생장 및 생존 기작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간 혈관 내피 세포에서 CCL23 만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비처리 군에 비하여 생장에 미치는 효과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EGF 가 처리된 그룹에서는 세포의 대사 활성 및 세포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CCL23 를 처리함으로써 농도의존적으로 EGF 에 의한 세포 생장이 저해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효과는 인간 혈과 내피 세포에서 세포 사멸 (apoptosis) 가 유도되어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p21 과 p27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됨으로 인하여 G1 기에서 S 기로 진행하는 cell cycle 을 arrest 시킴으로써 일어나는 반응이라 사료된다. It has been recently reported that human CCL23 (also known as MPIF1, MIP3, or CK8) promotes endothelial cell migration and tube formation, while it has no effect on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In previous study, we conducted DNA microarray analysis to determine gene expression alterations in response to the treatment of HUVECs with CCL23 using 22,000 human genes microarray. We found that the CCL23 dependent modulation in the expression of genes represented a wide variety of functional categories including genes important in the cell growth and maintenance. Based on the micro array analysis data, we focused on up-regul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by CCL23. EGF stimulated proliferation of HUVECs, whic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of CCL23 In dose-dependent manner. EGF-stimulated phosphorylation of ERK was reduced in CCL23-treated cells, while phosphorylation of STAT1 was increased by CCL23, indicating that STAT1 is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EGF-induced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by CCL23.

      • 초음파 및 3차원 전산화단층영상 신장 계측치와 전산화단층영상 복부 비만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김지영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 사회에서 비만은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복부 비만은 만성 질환을 일으키는 위험 요인으로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의 유병률과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복부 비만도에 따라 신장 크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초음파의 신장 크기 계측으로 복부 비만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전주 예수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자로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178명으로 하였다. 초음파의 신장 계측치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신장의 길이와 너비를 3차원 전산화단층영상(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의 신장 계측치와 상관분석 하였고 선형계수(R2)를 산출하였다. 복부 비만도는 CT의 배꼽 주변의 횡단면에서 내장지방 면적, 피하지방 면적, 비만도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복부 비만도 간에 따라 분류한 신장 크기의 평균 비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및 Scheffe 사후 검정을 통해 시행하였다. 모든 계측 값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 하였다. 그 결과 초음파와 3D CT로 계측한 우측 신장의 길이와 너비의 상관계수는 각각 0.771, 0.563이며 좌측 신장의 길이와 너비의 상관계수는 0.808, 0.567이었다. 복부 비만도에 따른 신장 크기 ANOVA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장 지방도 간에 따른 신장 계측치의 평균은 모든 신장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피하 지방도 간에 따른 신장 계측치의 평균은 초음파 우측 신장 너비와 좌측 신장 길이, 3D CT 우측 신장 너비 계측 시 중증 비만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비만도 간에 따른 신장 계측치의 평균은 초음파 우측 신장 너비와 좌측 신장 너비, 3D CT 우측 신장 너비와 좌측 신장 너비 계측 시 중증 비만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신장 계측치와 CT 복부 비만도 간의 Pearson 상관분석 결과 내장지방 면적은 초음파 우측 신장 너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r=0.584)를 보였으며 피하지방 면적은 3D CT 우측 신장 너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r=0.249)를 보였다. 비만도에서는 초음파 우측 신장 너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r=0.421)를 보였다. Obesity has been raised as a social problem in modern society and especially abdominal obesity is known to be highly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s a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This study attempted to predict abdominal obesity with ultrasound measurements of the kidney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kidney sizes and abdominal obesity. The subjects were 178 healthy adults without underlying diseases who had a comprehensive health examination at the Health Medical Center of Jesus Hospital in Jeonju. For the reliability of ultrasound measurements of the kidney, the size of the kidney using ultrasound was compared with that of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 And the linear coefficient (R2) was calculated. Abdominal obesity was measured by CT cross-sectional image at the level of the umbilicus and divided into visceral fat area, subcutaneous fat area, visceral fat/total fat ratio. The average comparison of kidney sizes classified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was perform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rrelate all measurement value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right kidney measured by ultrasound and 3D CT were 0.771 and 0.563, respectively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eft kidney were 0.808 and 0.567, respectively. The results of kidney size ANOVA analysis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are as follows. The means of kidney measurements according to visceral fat classific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kidney measurements (p<0.05). And in case of subcutaneous fat classification, the means of kidney measurements of the severe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right kidney width by ultrasound and 3D CT, the left kidney length by ultrasound(p<0.05). In case of visceral fat area/total fat area ratio, the means of kidney measurements of the severe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kidney width by ultrasound and 3D CT (p<0.05). Pearson correlation between kidney sizes and CT abdominal obesity showed that visceral fat area w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right kidney width by ultrasound(r=0.584) and subcutaneous fat area w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right kidney width by 3D CT (r=0.249). The visceral fat area/total fat area ratio w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right kidney width by ultrasound (r=0.421).

      • 미용실 네이버 예약서비스가 혁신저항 및 수용형태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 경기대학교 한류문화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industry and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people are able to manage their schedules more efficiently.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Time Business',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ime ut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servation systems' to support it.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of Technology (UTAUT) to examine the impact of Naver's reservation service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acceptance, and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ervation service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reservation system to improve sal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and academic materials for salon marketing strategies by identifying better service quality and problems in the reserv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 total of 305 subjects were surveyed, with the highest proportion being female, the highest proportion being in their 30s, and 226 (74.1%) having graduated (or attended) university. 174 (57.0%) were employed as office workers, and 97 (31.8%) earned less than 200 to 300 million won per month. The most common payment method used was NAVER PAY, with 122 (40.0%) respondents using 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tion (β=.30, p<.001), effort expectation (β=.16, p<.05), social influence (β=.21, p<.05), and facilitating conditions (β=.36, p<.001) have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when using reservation service for beauty salons. Second, when using reservation service for beauty salons, facilitation condition (β=.18, p<.05) and acceptance intention (β=.77, p<.001) have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behavior. Third, we tested whether innovation resista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to adopt and adoption style and found that when innovation resistance is low, the positive effect of intention to adopt on adoption style is relatively high, but when innovation resistance is high, the effect of intention to adopt on adoption style is relatively low. Fourth, the mediation effect test confirmed that acceptance inten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xpectations,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and adoption style. On the other hand, acceptance intention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ffort expectancy and acceptance style. Fifth,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behavior of beauty salon reservation servi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increase, it means that acceptance intention increases. Among them, facilitating condition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Second, since performance expectation is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in the form of acceptance, it is necessary to clearly present the services that can be received through the use of Naver Reservation Service to customers and make customers accept Naver Reservation Service for beauty salons in anticipation. Third, since intention to accep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pattern of NAVER Reservation Service for customers with low innovation resistance, efforts should be made to lower the barriers to entry for potential users who have high expectations and are considering using NAVER Reservation Service for positive perception. 디지털 산업의 발전과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인해 사람들은 자신의 스케줄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시테크(Time Business)’라는 개념이 등장하며 시간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예약 시스템’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실 네이버예약서비스가 혁신저항 및 수용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적용해 연구를 진행하여 미용실 예약서비스 품질 개선과 미용실 예약시스템 이용률을 높여 매출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보다 나은 서비스 질과 예약제 시스템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미용실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정보와 학문적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결과, 조사대상자는 총 305명이며, 여성이 199명(65.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30’대가 가장 높았으며, 학력은 대학교 졸업(또는 재학)이 226명(74.1%)으로 대부분이었다. 직업은 회사원 174명(57.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월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 97명(31.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결제방식은 네이버페이 122명(40.0%)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미용실 네이버예약서비스 이용시 성과기대(β=.30, p<.001), 노력기대(β=.16, p<.05), 사회적영향(β=.21, p<.05), 촉진조건(β=.36, p<.001)은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 네이버예약서비스 이용시 촉진조건(β=.18, p<.05), 수용의도(β=.77, p<.001)는 수용형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저항이 수용의도와 수용형태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혁신저항이 낮을 때는 수용의도가 수용형태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혁신저항이 높을 때는 수용의도가 수용형태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매개효과 검정결과 수용의도는 성과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과 수용형태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수용의도는 노력기대와 수용형태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이 미용실 네이버예약서비스 수용형태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이 커지면 수용의도도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 촉진조건이 수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되었다. 둘째, 수용형태에서 가장 영향이 낮은 요인은 성과기대 이기 때문에 네이버예약서비스 이용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명확히 고객에게 제시하고, 고객이 기대하여 미용실 네이버 예약서비스를 수용하게 만드는 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네이버 예약서비스 혁신저항이 낮은 고객은 수용의도가 수용형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긍정적인 인식을 위해 기대감과 이용을 고려하는 잠재적 이용자들의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아동상담에서의 부모통찰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지영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아동상담 현장과 부모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모용 통찰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통찰을 몇 개의 수준으로 분류했던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통찰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을 명확하게 밝히고 각 구성요인들의 하위요인을 분류하고 그에 맞는 문항을 선정하여 부모의 통찰 수준을 평가할 때 객관적이고 명확한 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우선 통찰과 관련된 문헌고찰과 기존의 통찰수준과 관련된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전문가 집단의 간담회 과정을 통해 통찰을 인지적 통찰, 정서적 통찰, 행동변화의 3가지 구성요소로 나누었다. 각 구성요소들은 하위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인지적 통찰은 「부모-자녀관계 지각」, 「자녀문제 원인 이해」, 「관련성 인식」, 「반복성 인식」을 포함하며, 정서적 통찰은 「나의 원인 및 책임 수용」, 「정서적 경험 체험」을 포함하며, 행동변화는 「문제해결적 태도나 계획 설정」, 「변화된 행동의 지속성」의 하위요인들을 포함한다. 하위요인들을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 집단(상담심리 전문가 5명, 놀이치료사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설문지를 통하여 문항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수정된 문항을 다시 전문가 집단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조사를 위한 58문항을 선정하였다. 이 중 행동변화의 1요인의 명칭을 문항의 특성에 따라「문제해결적 태도나 계획 설정」에서 「문제해결적 태도 및 행동변화」로 수정하였다. 예비조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사는 미취학 및 초등학생 자녀 중 아동상담을 받고 있는 부모 69명을 대상으로 본 척도의 1차 개발된 58문항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적 통찰 중 「반복성 인식」의 하위영역은 삭제하였는데, 문항의 내용이 어려워 부모들이 충분히 그 의미를 이해하도록 문항을 만들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한 1차 문항의 각 문항과 영역 총점 간 상관 및 신뢰도를 고려하여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문항을 수정 및 삭제하였다. 본조사는 서울, 경기 및 충청도 지역에 사는 미취학 및 초등학생 자녀 중 아동상담을 받고 있는 부모 380명을 대상으로 2차 개발된 60문항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60문항 중에서 역문항이 아님에도 다른 문항들과 역상관을 보이는 정서적 통찰의 6문항을 제외한 54문항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서 추출된 11개의 요인 중에서 그 의미와 뜻이 비슷한 문항을 다른 요인에 함께 묶은 후 최종 8개의 요인을 부모통찰 척도의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3개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인지적 통찰은 3개 하위요인에 20문항, 정서적 통찰은 3개 하위요인에 14문항, 행동변화는 2개 하위요인에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중 정서적 통찰 2문항은 행동변화로 행동변화 2문항은 정서적 통찰로 바뀌었다. 따라서 부모통찰 척도는 3개 구성요소 8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54문항에 대해 AMO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인지적 통찰은 적합도 지수를 높이기 위해 3문항을 삭제한 후 분석결과 GFI .90, NFI .83, CFI .88로 수용할 만한 적합도 지수의 기준인 .80을 넘고 있으며, 절대적합도 지수인 RMSEA도 .07로 제시되었다. 정서적 통찰 14문항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GFI .89, NFI .87, CFI .90으로 수용할 만한 적합도 지수의 기준인 .80을 넘고 있으며, 절대적합도 지수인 RMSEA도 .09로 제시되었다. 행동변화 20문항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GFI .88, NFI .86, CFI .90로 수용할 만한 적합도 지수의 기준인 .80을 넘고 있으며, 절대적합도 지수인 RMSEA도 .07로 제시되었다. 최종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인지적 통찰 .85, 정서적 통찰 .89, 행동변화 .92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통찰의 3개 하위 요인에서 「자녀의 문제와 관계를 탐색」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79, 「 문제의 원인에 대한 이해」하위요인의 신뢰도는 .71, 「부모 문제와의 관련성」하위요인의 신뢰도는 .85로 나타났다. 정서적 통찰의 3개 하위요인에서 「긍정적 시각으로의 변화」하위요인의 신뢰도는 .83, 「책임 및 원인 수용」하위요인의 신뢰도는 .86, 「부정적 정서의 경험」하위요인의 신뢰도는 .77로 나타났다. 행동변화에서 「태도 및 행동변화」하위요인의 신뢰도는 .91, 「변화된 행동의 지속성」하위요인의 신뢰도는 .82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양육효능감 척도와 부모양육태도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통찰 영역은 두 척도와 5% 유의수준에서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정서적 통찰 영역과 행동변화 영역은 1% 유의수준에서 높은 상관을 보여 척도의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통찰에 관한 선행 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상담 과정에서 요구되는 부모통찰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둘째, 현장 전문가의 의견과 내담 부모들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