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암소설의 풍자성 연구 : 「양반전」,「호질」,「허생」을 중심으로

        정주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387

        본 논문에서는 한국문학에서 풍자의 대부라 일컬어지는 연암 박지원의 한문단편 중에서도, 작품의 구조나 기법 면에서 풍자가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한 「양반전」, 「호질」, 「허생」 세 작품을 선택하여, 각각의 작품에 나타난 풍자의 구조를 밝히고, 세 작품의 풍자 구조 속에 반영된 작가의식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연암소설의 풍자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먼저 문학과 관련된 풍자의 일반적인 성격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연암소설의 풍자양상을 풍자의 구조와 더불어서 풍자의 대상과 주체, 풍자의 방법, 풍자의 목적 등의 영역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연암의 작자의식을 고찰하였다. 연암소설의 풍자대상은 개인적 차원의 심판대상과 사회적 차원의 고발대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개인적 차원에서는 「호질」을 통해 인간의 위선과 허식을 주된 풍자대상으로 삼고 있었으며 사회적 차원에서는 「허생」을 통해 지배 계층의 무능으로 인한 빈곤과 낙후된 경제구조, 「양반전」을 통해 신선과 같은 허황된 관념이나 운운하는 양반계층의 허식적인 사고방식 등을 풍자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풍자기법의 양상은 (1) 하층문화적 언어 사용 (2) 비유적 표현의 구사 (3) 아이러니 기법의 사용 (4) 희화화된 인물의 설정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연암의 소설은 일상어와 비속어를 사용함으로써 양반의 위선과 허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비유적 표현과 아이러니, 희화화를 사용함으로써 당대 사회의 부정한 모습을 우회적으로 공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암의 소설에서는 대상을 비판하고 처벌함으로써 부정한 모습을 고발하고자 하는 파괴적인 풍자목적과 대상을 비판하고 고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정과 개량의 대상으로 형상화 시키려는 건설적인 풍자목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연암이 양반의 신분으로서 전적으로 당대 사회의 모순을 처벌하고 비판하는 것을 풍자목적으로 했다고는 볼 수 없다. 그렇다면 연암소설에 나타나는 파괴적인 풍자목적도 당대 양반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연암의 소설들은 풍자를 통하여 인간과 사회의 부정을 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교정하려 함으로써 인간사회를 보다 나은 상태로 개혁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this thesis, among the works of Yeon-Am Park Jee-Won, reputed to be a peak of Korean Literature, I chose three, <Yangbanjeon>, <Hojil> and <Housaing-Jon>, which, in the respect of not only thoughts included in the literary work, but also the satiric structure or technique, show the features of a distinguished writer's works in full extent. I clarified the satiric structure in each work and I examined how such satiric structures reflect the writer's thoughts in the situation at that time. In order to study his satiricality, first of all, I sketched out what general satire is. I, also, analyzed the satirical patterns in his novels into three dimensions : subject, method, and purpose. The subject of his satire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personal and social aspect. In personal aspect in <Hojil>, hypocrisy and affectation are the major subjects. In social aspect in <Housaing-Jon> and <Yangbanjeon>, the subject are poverty and underdeveloped economic system due to capability of the rulers, the social atmosphere replete with deceitful thoughts, the unjust employing system based on lineage, embellished fidelity of wife, and so on. There are four kinds of method in his satirical pattern: (a) common and slang expressions, (b) figure of speech, (c) irony (d) a ridiculous figure. It means that by using the common and slang expressions instead of using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he uncovered the hypocrisy and facade of the upper class, and by using figure of speech and irony he attacked the social dishonesty in an indirect way. The purposes of his satire are divided into two kinds: the purpose of accusation of corruptness by giving relentless criticism and punishment to the subjects, and the purpose of not just criticizing and accusing the subjects, but making them corrected and improved. The former has a destructive purpose but the latter a constructive one. It is not necessarily true, however, that his purpose was criticize and find fault with the discrepancy of his times. Therefore, the destructive purpose should be considered as on of the ways of revealing the aristocratic hypocrisies. In conclusion, by the satire in his novels we can see the attempt to blame unclean human and society and the ultimate purpose of making the better society by correcting it.

      • <허생전>의 작품세계와 교육적 의미

        김철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327

        <허생전>의 작자 연암 박지원의 사상은 실학의 한 주류를 이루고 있었던 이용후생(利用厚生)을 기조로 하고 있었다. 이용후생은 상공업의 발전을 기도하는 입장에서 복고적 경세치용과는 그 성격을 달리하면서 주로 선진 청 문화를 받아들여 조선말의 현실을 개혁하려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실학파의 북학주의가 시대적 북벌주의와 대립된 것도 바로 이 개혁을 저해하는 정치 현실과 이를 열망하는 이상 정신의 대결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당시의 위정자들의 상공 천시가 빚어 낸 경제적 후진성과 이에 따른 재정의 궁핍 등 빈곤 타개의 대안으로서 상품의 유통과 생산 기구의 개발을 주장했고 훈척, 권귀의 부패, 사치를 비판하고 주자학적 권위주위도 부정의 대상으로 삼았다. 농공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적극적 참여를 고취한 그의 사관(士觀)등 작가의 결렬한 실학적 이상 추구가 이 작품의 풍자 정신을 바탕으로 집약된 주체적 실리주의 이다.다. 효종대 이후 무능한 위정자들 사이에 퍼져 있어 사회적 병폐가 되어 온 사대적 북벌주의의 허위성을 폭로하고 현실적 부조리를 비판함으로써, 그의 이상을 제시하고 있다. <허생전>은 작가가 이상의 세계관에서 불완전한 현실을 보는 날카로운 풍자를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이러한 풍자를 통한 실리주의적 입장에서 볼 때 조선후기 사회가 당면한 가장 절박한 문제는 유통구조의 취약성에서 기인된 경제적 빈곤이며 이는 국내 상업의 활성화와 해외 무역을 통해 충분히 해결될 수 있다. 그런데 당시 집권층들은 이러한 절박한 대내적 경제 현실을 외면한 채 대외적인 정치적 명분만을 내세움으로써 문제 해결의 길을 스스로 막고 있다. 조선후기의 허약한 경제를 회생시키기 위해서는 주체적 실리주의로의 근본적 의식 전환을 통해 청의 발달된 문물을 적극 받아들일 필요가 있는데, 그들은 이를 거부한 채 명분주의만을 고집하고 있었다. 이는 그들에게 현실 문제를 해결하려는 진정한 뜻이 없다는 것을 말해 줄 뿐만 아니라 그들은 진정한 명분론자도 아니면서 다만 자기들의 현실적 이해를 위해 명분을 이용하고 있을 뿐이니, 그들에 의한 현실 문제의 해결은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풍자와 비판을 통한 주체적 실리주의는 오늘을 사는 학생들에게 시대 현실을 통찰하는 안목과 그러한 생각의 표현에 대한 방법을 길러준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교육적 의의 크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