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

        서기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성별, 대회 참여유무, 대회 입상유무, 대회 참여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대회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각 변인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여, 학교생활만족의 증진 방안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대회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중학생들에게 스포츠 활동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으로 I광역시, G광역시, 경기도 I시, 충청북도 C시, 전라남도 S시에 소재한 중학생 중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 약 510명을 선정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Cronbach’α),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였고, AMO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CFA),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각 변인(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연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회 참여 유무에 따른 각 변인(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대회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회 입상 유무에 따른 각 변인(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일부 하위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인관계, 교육환경, 사회적 지지는 비입상 집단이 입상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이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는 입상집단이 비입상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회 참여 횟수에 따른 각 변인(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연성, 체지방, 대인관계, 교육환경, 사회적 지지를 제외한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모, 학교생활 전반에서는 대회 참여 4회 집단이 2, 3회 그리고 1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스포츠 자신감, 수업 및 학습활동은 4회 집단이 1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 규칙적인 운동에서는 대회 참여 3, 4회 집단이 1, 2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근력, 지구력,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및 특별활동은 대회 참여 3, 4회 집단이 1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의 다중집단분석 결과,‘자아탄력성→학교생활만족도’의 경로에서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편‘신체적 자기개념→자아탄력성’,‘신체적 자기개념→학교생활만족도’의 경로에서는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의 직·간접효과 분석결과, ‘신체적 자기개념→학교생활만족도’의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간접효과가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교스포츠클럽대회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는 대회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각 변인의 경로에서도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회 참여 횟수와, 대회의 입상 유무는 집단 간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만으로도 자신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외부의 스트레스 또한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는 탄력성이 형성됨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만족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특히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로 인한 팀원들과의 상호관계, 협동심, 경기 내에서의 페어플레이, 스포츠맨십을 습득하게 되어, 이러한 능력들이 학교생활만족의 전이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학교스포츠클럽대회 확대 및 활성화,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중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창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교육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의표본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 중인 창원시 3개 중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6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622명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 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유무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의 모든 요인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남학생의 평균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그러나 그 차이가 자신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면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의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유무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 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학교생활만족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인 학교생활 전반, 대인관계, 수업과 학습, 교육환경, 학급규칙 및 특별활동, 사회적 지지의 모든 요인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남학생의 평균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그러나 그 차이가 학교생활 전반, 대인관계, 수업과 학습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면 교육환경, 학급규칙 및 특별활동, 사회적 지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학급규칙 및 특별활동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학교생활 전반, 대인관계, 수업과 학습, 교육환경, 사회적 지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로 인한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은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변인인 학교생활 전반, 대인관계, 수업과 학습, 교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조절효능감은 학교생활만족도의 모든 하위변인, 즉 학교생활 전반, 대인관계, 수업과 학습, 교육환경, 학급규칙 및 특별활동,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제난이도 선호는 학교생활만족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로 인한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의 향상은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변인 대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많은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에 흥미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참여하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 이천시 지역 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혜용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study is aimed at figuring out what effect the school stress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rom Icheon-si, Gyeonggi-do hav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t verifying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schoo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o do so, the study found out the main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figured out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with these variables. With its research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posals to promote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Questionnaires had been distributed to I-cheon community high school students and 51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s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285(55.8%) were male students and 226(44.2%) were female ones among research subjects; that 238(46.6%) were freshmen and 273(53.4%) were sophomore. A school record showed relatively even distribution; when it comes to the subjective level of monthly family income, 313(61.3%), a large part of the respondents, picked 'the average', followed by 'very low' with 48 respondents(9.4%) and 'very high' with 15 of them(2.9%). In terms of religion, 'no religion' accounted for the greatest part with 293 students(57.3%); graduation from high schoo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s fo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ir parents. Besides, the answer 'I have both parents' held a majority with 437 students(85.5%).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each variable, the averag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research subjects turned out 3.04 which was about an intermediate level. Furthermore, stress from school proved 2.36 on average. The school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beyond the intermediate level on the basis of 4 points. In particular, stress from studying was highest. Lastly, the average social support was 3.47, which means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 themselves given a little greater social support than the intermediate level. Third, the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school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showing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decreases when school stres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it turned out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increases as social support increases. It means stress from school is an important factor that reduce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s a meaningful resource that increases school life satisfaction. Finally,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schoo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high school students who think they are getting a lot of social support can moderate the result that a high level of school stress hinders school life satisfaction. Such research findings lead to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for theoretical implications, considering that an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has been carried out to make up for the vulnerability of the region's financial ability, such an effect also has influence on the subjective income level of the respondents. In a reality where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from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this result is the meaningful data for such research. In addition, since few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argeting adolescents from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schoo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tudy is meaningful as a remarkable precedent research in dealing with follow-up studies. Moreover, the study lay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enhance school life satisfaction even with a high level of school stress, by provid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social support. With regard to practical implication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school and social support that affect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making it possible to apply it at school, and in presenting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case of intervention in high school matters, based on the aspects related to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bove all, the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can make high schools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reconsider their policy towards social worker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이천시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가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주 효과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가 이들 변인 사이에 나타내는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얻어진 연구결과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이론적 제언 및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구대상은 이천시 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51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들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자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285명(55.8%), 여자가 226명(44.2%)이었고 학년은 1학년이 238명(46.6%), 2학년이 273명(53.4%)이었다. 학교성적은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냈고 주관적 가족 매월 소득 수준의 경우 보통이 313명(61.3%)으로 가장 많았는데 매우 낮은 편이 48명(9.4%)으로 매우 높은 편인 15명(2.9%)보다 훨씬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종교는 종교 없음이 293명(57.3%)으로 가장 많았고 부모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조사대상자와 부모님과의 상태에 대한 응답으로 부모님이 두 분 다 계신다는 응답이 437명(85.5%)으로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각 변수의 수준을 측정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학교생활만족도 평균은 3.04로 중간수준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스트레스 평균은 2.36으로 드러났다. 변수가 4점 척도임을 고려해 볼 때, 고등학생들의 학교스트레스는 중간정도 이상의 수준으로 보였다. 특히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 평균은 3.47이었는데 이를 통해 고등학생들은 중간 수준보다 약간 더 많은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학교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생활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의미 있는 자원임을 파악했다. 넷째,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갖았다. 즉, 고등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생각할수록 학교스트레스가 높다하더라도 이로 인해 학교생활만족도가 저해되는 결과를 완화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로부터의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함의로는 도농복합시 추진배경이 지역 재정능력의 취약성을 보완하고자 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영향은 조사대상자들이 생각하는 주관적 소득 수준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농복합시 지역청소년의 특성을 밝히는 데 연구가 미흡한 현실해서 이에 대한 탐색적 자료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도농복합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밝힌 연구가 매우 적은 현실에서 이에 대한 후속연구를 다루는데 주목할 만한 선행연구로 의미를 가진다. 나아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여, 학교스트레스가 높더라도 이를 통해 학교생활만족도를 고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 가능한 이론적인 기반으로 의미를 가진다. 다음으로 실천적 함의는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도출하여 이를 학교 실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과 관련된 양태를 파악하여 그것을 근거로 고등학생들에게 개입 시 유의할 점이 무엇인지를 제시해주었다는데 의미를 가진다. 무엇보다 도농복합시 고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정책적 재고(再考)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정체감 연구 : 어머니 양육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한숙 가톨릭대학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탐색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정체감에 체계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 5, 6학년으로 전라북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31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아정체감 측정도구로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연구자가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요인 분석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영애(1995)의 아동용 양육행동 척도를 재요인분석하여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한 김문정(2004)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의 선행연구와 USA Group Noel-Levitz(2003)의 연구, Missouri School Improvement Program(MSIP)에서 제시한 평가내용을 참고로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을 감안하여 강윤정(2005)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구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t-test와 ANOVA, 사후검증(Scheffé), Pearson의 상관분석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자아정체감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 국적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중국인 어머니를 둔 아동의 자아정체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필리핀 어머니를 둔 아동의 자아정체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관련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성별과 국적에 따라 살펴본 결과, 모두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개별 영향 변인으로 남아는 거부·제재를 여아는 학교생활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어머니 국적에 따라서는 중국인 어머니를 둔 아동은 개별변인으로는 학교생활만족도에서, 일본인 어머니를 둔 아동은 거부·제재에서, 필리핀 어머니를 둔 아동은 허용·방임 변인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d a purpose to present the comprehensive grasp of variables that influence a sense of self-identity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variables of social demographic backgrounds, child-perceived maternal mother's behaviors, and children's satisfaction levels with school, it inquired into the traits of the children.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10 elementary students with grades from the fourth to sixth, currently enrolled in North Jeolla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s a self-identity measurement tool, Korean Self-identity Test developed by A-Chung Park(2003) was utilized. As for measuring the child-perceived maternal mother's behaviors, Moon Jung Kim's scale which verified the validity of Young Aye Park's(1995) mother's Behavior Scale for Children by re-analyzing its components was used. To investigate children's satisfaction levels with school, the Yoon Jung Kang's(2005) scale was acquired; the scale takes th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field into account and refers to the evaluations presented in prior studies at home, and the studies of USA Group Noel-Levitz(2003) and MSIP(Missouri School Improvement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16.0 version. The reliability, frequencies, percentil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measurement instrument were calculated, and t-test, ANOVA, Scheffé's posttest,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a sense of self-identity by sex and grade of children of the familie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y nationality of mothers; specifically, children with Chinese mothers show the highest cohesion of self-identity whereas those with Filipino mothers had the lowest one. Secondly. it was found that a correlation exists among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maternal mother's behaviors, children's satisfaction levels with school, and self-identity in children of the families. Thir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ve effects children's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maternal mother's behaviors, and satisfaction levels with school have on their senses of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 sex of children, and nationality of their mothers, all the domain of maternal mother's behaviors i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m. As for individual variables, it was reported that boy's rejection·discipline/reprimand mother's behaviors was affected sense of self-identity, in the order hands girl's satisfaction levels with school was affected. Variables affecting the self-identity in children of the families by nationality of mothers were investigated. But in the light of individual categories of mother's behaviors, some differences were found by mother's nationality. For those with Chinese mothers, it was reported that a sense of self-identity was affected children's satisfaction levels with school. Japanese mothers, it was reported that rejection·discipline/reprimand mother's behaviors was affected sense of self-identity. Filipino mothers, unlike the other two groups, only the approval·neglect mother's behaviors were distinctively affecting the children's self-identity.

      • 초등학교 빙상종목 참가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김민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빙상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들 변인 간 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 빙상스포츠 참여의 긍정적 효과를 조망하고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으로 빙상스포츠 종목에 활용 가능한 심리 및 사회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 아이스링크를 이용하는 초등학생 중 쇼트트랙 스케이팅과 피겨스케이팅 참여자 300명으로, 3개월 이상 운동 참여 경력이 있는 4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남녀학생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불성실 응답 등을 포함한 24명의 자료를 제외한 276명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 6문항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22문항, 자아존중감 24문항, 학교생활만족도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처리는 SPSS 21.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응답자 일반적 특성 확인을 위한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계수 산출 및 가설검증을 위한 결과분석으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자아존중감의 경우 가족존중감과 학교존중감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학년생보다 4, 5학년생이 가족존중감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교생활만족도는 학습활동 및 규칙, 교사와 친구관계 만족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습활동 및 규칙, 학교행사 만족에서 6학년생보다 4, 5학년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목에 따른 차이로, 학교생활만족도 중 학습활동 및 규칙에서 피겨스케이팅 참여 학생이 쇼트트랙 스케이팅 참여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가족, 학교, 사회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신체적 자기효능감 중 인지된 신체능력이 학습활동과 규칙, 학교행사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자아존중감 또한 학교생활만족에 정적 영향을 주었는데 그 중 학교존중감과 학습활동 및 규칙 만족, 가족존중감과 교사와 친구관계 간 인과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국내 빙상스포츠 수요가 점점 증가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건강을 위한 운동으로서의 일차적인 의미를 넘어 빙상 종목과 사회 심리학적인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초등학생의 빙상 스포츠 교육의 의의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네트형 경쟁 학교스포츠클럽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재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네트형 경쟁 학교스포츠클럽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자는 네트형 경쟁 스포츠 종목의 프로그램 활용과 수업전략을 근거로 하여 학생들이 네트형 경쟁 스포츠 종목의 재미를 느낌으로서 스포츠 시간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가운데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네트형 경쟁 스포츠 종목에 참여한 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35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40부를 제외하였으며, 연구의 결과 분석에 최종적으로 사용된 설문지는 총 310부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재미요인 14문항, 수업몰입 13문항, 학교생활만족도 9문항,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문항으로 총 3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응답 결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형 경쟁 학교스포츠클럽의 재미요인은 수업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형 경쟁 학교스포츠클럽의 재미요인은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트형 경쟁 학교스포츠클럽의 수업몰입은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재미요인이 높아지면 학생들은 행동의식일치, 과정통합, 내용몰입, 자기 목적적 몰입과 같은 고차원의 몰입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곧 학교생활만족도에 전이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 강사들은 네트형 경쟁 스포츠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재미를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해야 한다. 학교스포츠클럽 강사는 학생들의 수업몰입을 높여 학교생활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강사들은 학생들의 수준차 및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팀을 구성해야 하고, 경기 규칙의 변형, 경기장 크기의 축소, 놀이 측면을 강조한 변형 게임 등의 다양한 노력을 통하여 학생들의 긍정적인 정서를 끌어내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정서 경험은 네트형 경쟁 스포츠클럽에 참가하는 학생들의 재미요인과 수업몰입을 높여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며 궁극적으로 유년기 시절의 스트레스 해소 및 평생 체육의 토대가 되어 학생들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un factors of net-type competitive school sports clubs on class immers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rough this, the instructor aims to provide an educational effect on sports time by feeling the fun of net-type competitive sports based on the program utilization and teaching strategy of net-type competitive sports. Among middle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study selected first, second, and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et-type competitive sports activities as a population, and 350 samples were sampl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them, 40 copies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310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39 questions, 14 questions for fun factors, 13 questions for class immersion, 9 questions for school life satisfaction, 3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 Likert 5-point scale was used to maintain consistency in the response results.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used SPSS 26.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un factors of net-type competitive school sports clubs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immer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un factor of net-type competitive school sports clubs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lass immersion of net-type competitive school sports clubs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when the fun factor increases, students experience high-level immersion such as behavioral consciousness matching, process integration, content immersion, and self-purpose immersion, which spreads to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as a positive effect. Therefore, school sports club instructors should relieve stress by allowing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through fun through net-type competitive sports. In addi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perceive technology improvement and competence by presenting appropriate tasks and using positive feedback suitable for their individual level. Through this, school sports club leaders should continue to seek ways to induce school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students immersion in classes. Specifically, school sports club instructors should form team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level differences and development stages, and try to draw positive emotions from students through various efforts such as changing game rules, reducing the size of the stadium, introducing part-time rather than scoring. Thi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will positively affect school life satisfaction by increasing the fun factors and class immers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net-type competitive sports clubs, and ultimately improve students quality of life by relieving stress in childhood and lifelong physical education.

      •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장미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초등학생 276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척도, 자아존중감척도, 학교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76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SPSS/WIN 18.0을 이용해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만족도 및 하위영역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만족도의 모든 영역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 및 하위영역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건강성보다는 낮지만 학교생활만족도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해본 결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 가족의 영향력이 자기 자신의 영향력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하위영역만족도인 교우관계만족도, 교사관계만족도, 학습활동만족도, 규칙준수만족도, 학교행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교우관계만족도에선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거의 차이가 없는 반면, 교사관계만족도․학습활동만족도․규칙준수만족도․학교행사만족도는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보다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분석하면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가족건강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이 자아존중감 임을 볼 수 있다. 가족건강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일차적 사회집단인 가족생활에서 습득된 적응 능력이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사료되며, 가족의 건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상담활동도 중요하지만 더불어 학부모를 대상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건강한 가정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초등학교 학생의 지도와 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생이해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

        문성환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전반적인 행동유형 분포를 알아보고,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아동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전체적인 행동유형은 어떤 분포를 나타내는가?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성별, 교직경력에 따라 행동유형은 어떤 분포를 나타내는가?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행동유형에 따라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담임교사 189명과 담임교사 학급의 아동 6명씩, 총 1,134명의 아동이며 사용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 사용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DiSC 행동유형 검사 도구는 미국의 칼슨 러닝사가 인간행동 유형을 진단하기 위해 1972년에 개발하여 1994년에 수정한 것으로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유용한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DiSC PPS(Personal profile system)이다. 그리고 아동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김진용(1989)이 사용한 바 있고 도상철(1982)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 검사로 연구에 이용했던 것을 손순자(1993)가 초등학교 고학년에 맞도록 수정하였고, 원진욱(2006), 권주련(2012) 등이 사용한 것을 현재의 교육과정에 맞게 용어를 몇 가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DiSC 행동유형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 교직경력에 따른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담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아동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유형 검사지의 빈도분석을 한 결과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의 DiSC 행동유형 분포는 사교형, 안정형, 신중형, 주도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성별, 교직경력에 따라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한 결과 성별에 따른 행동유형 분포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행동유형 분포는 남교사는 신중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교사는 사교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른 행동유형 분포는 1~4년 경력 교사의 경우에는 사교형, 5~9년 경력 교사의 경우에는 안정형, 10~14년 경력 교사의 경우에는 사교형, 안정형, 신중형이 같게 나왔고, 15~19년 경력 교사의 경우에는 사교형과 신중형, 20~24년 경력 교사의 경우에는 안정형, 25년 이상 경력 교사 경우에도 안정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행동유형에 따라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한 결과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행동유형에 따른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 하위 요소 모든 면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사교형과 안정형의 행동유형을 나타내는 담임교사의 학급 아동이 주도형과 신중형의 행동유형을 나타내는 담임교사의 학급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더 높은 학교생활만족도 점수를 나타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아동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다양한 유형에 대해 연구한 것과 달리 직접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연구대상이 되어 전반적인 DiSC 행동유형 분포를 알아보고, 담임교사의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서 교사와 아동간의 관계 개선과 아동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초등교사 양성 교육기관인 교육대학교에서부터 대학생들의 행동유형 검사를 통해서 그들에게 적절한 수업을 구성하고 적용함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황수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 교육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두 곳에서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와 개별 면담을 통해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정체감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일반적 특성, 학교생활만족도, 자아정체감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58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배포한 설문지 가운데 응답이 불성실한 18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는 254부를 사용하였다. 개별 면담은 서울 A학교와 경기 B학교 각 5명씩, 총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면담 질문은 음악에 대한 태도, 생활의 변화, 음악적 향상, 활동 지속 여부와 동기의 네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이 학교생활만족도 전체(t=5.335,p<.01) 및 모든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학생이 자아정체감 전체(t=4.808,p<.01)와 주체성,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 친밀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학교생활 만족도와 자아정체감은 하위요소들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 10명을 개별 면담한 결과 ‘음악에 대한 태도 변화’에 대해 음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는 응답과 전공을 희망하게 되었다는 응답을 보였으며, ‘생활의 변화’에 대해 스트레스 해소, 교우 관계의 긍정적 변화, 생활 태도의 긍정적 변화가 생겼다는 응답을 보였다. ‘음악적 향상’에 대해서는 박자감과 리듬감, 독보 능력과 초견 능력, 청음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답했으며, ‘활동 지속 여부와 동기’에 대한 물음에는 면담 참여 학생 모두 앞으로도 계속 참여할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그 이유로 취미생활 지속, 악기에 대한 즐거움, 전공 희망, 합주의 즐거움 등을 들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방과후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은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으로서 적극 권장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