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逼眞의 구현을 통한 정신성 표현 연구

        류형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인물화’의 본질에 대한 두 가지 근본적 사유로부터 시작한다. 첫 번째는 사실(寫實)에 대한 사유이고, 두 번째는 사의(寫意)에 대한 사유이다. 첫 번째 인물화에서 사실의 중요성이 강조된 것은 ‘초상화’이다. 대상의 외형적 모습은 물론이고 그의 성정(性情)과 인격이 고스란히 드러나지 않으면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다. 그래서 그것에 대한 근거로 제시된 것이 ‘이형사신(以形寫神)’이다. 즉 본질을 형(形)과 신(神)으로 나누어 볼 때 비가시적 ‘정신(神)’은 가시적 형(形)을 빌리지 않고서는 드러낼 수 없다. 그러므로 이후에 창작의 방법론으로 제시된 것이 전신사조(傳神寫照)이다. 다음으로 두 번째 사유는 사의(寫意)와 인물화에 대한 관계 설정이다. 동진의 고개지로부터 주창된 ‘전신사조’는 처음엔 창작에 있어 하나의 방법론으로 제시되었다가 점차 비평론으로 확대되어 이후 새로운 시각으로 인물화를 바라보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전신(傳神)이란 ‘이형사신(以形寫神)’에 입각하여 대상의 정신(精神)을 화폭에 고스란히 전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 사조(寫照)를 말하는 것이며 이것은 관조(觀照)를 통해 대상을 통찰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것은 대상의 정신(精神)뿐만 아니라 ‘화가’의 주관을 통한 ‘관조’가 되므로 화가의 주관 즉 의식도 자연스럽게 ‘창작’에 관여하게 되어 화가의 ‘의지’가 반영된 인물화라 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전신사조 이후의 인물화는 엄밀히 말해 대부분 ‘사의화(寫意畵)’라 해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전신의 개념은 차츰 대상의 정신보다 화가의 의지가 중요해 짐과 함께 ‘인물화’ 뿐 아니라 ‘산수화’와 ‘사물화’에도 적용되어 그 범위가 확대되어 발전해간다. 본 논문은 위의 두 가지 사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연구자의 작품세계를 통해 드러난 정신성의 실체를 규정하고 ‘동양화론’을 통해 논증해 보고자 한다. 형신론(形神論)을 시작으로 이형사신(以形寫神), 전신사조(傳神寫照), 천상묘득(遷想妙得)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과 연구자의 작품제작 과정의 비교를 통해 이론적 토대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자의 인물화를 사의적 인물화라 규정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과거 도교와 불교의 성인들을 그려놓은 도석인물화와 관념화된 미의 상징으로서의 미인화를 통해 그 가능성을 짚어보고 작품분석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한다. 도석인물화는 실재 인물을 소재로 하였지만, 그 인물의 외형적 사실성보다 내면적 성격이나 인격 또는 학식 등의 상징성에 중심을 둔 인물화였다. 외형의 닮음(形似) 보다 정신의 닮음(神似)에 주안점을 둔 인물화였다. ‘미녀화(美女畵)’ 계통의 인물화도 실재 인물을 소재로 했다는 점에서는 도석인물화와 공통점이 있지만, 그 인물의 내재적 ‘성정’이 아니라 감상자들의 심상에 내재한 관념적 상징성을 표현한 작품이었다. 즉 대상의 정신(神)이나 화가의 정신(神)도 아닌 감상자의 관념에 의한 핍진성의 발현이 목적이었다. 이것은 한편으론 마치 사람을 그린 인물화가 아니라 산수화나 자연 경물을 그릴 때 요구되는 자연관(감상의 대상)에 의지한 심미의식을 인물화에 적용한 예가 되어 결국, 인간을 자연과 같이 대상화했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하지만 인물화에서 일호불사 편시타인(一毫不似 便是他人)과 같은 엄격함에서 조금은 자유로운 신여물유(神輿物遊)의 가능성을 열었다. 근대화 과정에서 중국 중심의 화론과 화풍이 격변하는 정치적 변화와 맞물려 서양미술과의 융합기를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동양적 서화개념이 미술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계기가 마련된다. 연구자는 ‘인물화’에서 주요 소재를 선택할 때,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그리기 좋은 사람’이고, 다른 하나는 ‘그리고 싶은 사람’이다. 우선 ‘그리기 좋은 사람’은 외형적 심미감을 중심으로 보편적 ‘미’의 기준으로 그려지게 되고, ‘그리고 싶은 사람’은 내재적 심미감을 중심으로 개성적 ‘미’의 기준으로 그려지게 된다. 이처럼 인물의 선택에 있어 외적인 요인과 내적인 요인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듯 그리는 방법에서도 두 가지 특성을 고려하여 다룰 필요성이 제기된다. 첫째 ‘그리기 좋은 사람’의 경우 대상의 외적 영역에서의 충실한 묘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때 드러나는 신(神)은 외재적 ‘조형미(造形美)’이다. 둘째 ‘그리고 싶은 사람’의 경우는 연구자의 내재한 ‘심상’의 표현을 위한 은유적 구성과 상징적 이미지들의 활용을 통해 확보된 내재적 ‘사의미(寫意美)’가 그 신(神)에 해당한다. 허구의 사항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정도를 ‘핍진성(逼眞性)’이라 한다면 위 두 가지 유형에 따라 외재적 핍진성과 내재적 핍진성으로 구분해서 사용하게 된다. 핍진(逼眞)의 본질은 표현물의 내용이 ‘실재처럼 보인다.’ 또는 ‘실재같이 느껴진다’라고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이유를 수식하는 내용적 개연성이 필연적으로 동반된다. ‘~처럼 보인다’의 경우 보편적이며 가시적 개연성에 관한 내용이 동반되어야 하고, ‘~같이 느껴진다’의 경우 암묵적 관습과 내재적 일관성의 확보가 먼저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수긍의 정도와 기대치가 반영되어야 성립된다. 연구자의 인물화는 연구자의 심상을 표현한 사의적(寫意的) 인물화라 해야 할 것이다. 우선 대상의 인물을 그릴 때 현존하는 실재 인물을 그리며 사실적 표현 즉 견진적(見眞的) 시선으로 대상의 외형에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한다. 그리고 인물의 표정이나 손의 모습 또는 의상과 색, 다음으로 배경으로 쓰이는 관상용 식물들의 배치나 활용 등을 부가적으로 이용해서 연구자의 감성과 의지를 연출해 낸다. 연구자의 작품에 주로 사용되는 감성적 의지는 다음과 같다. 처음으로 몸(身)에 관련된 감성적 기억이다. 희열이나 고통, 환희, 경멸, 굴욕, 죄책감 등 연구자의 몸과 관련된 감성적 기억들을 말한다. 이러한 기억들은 성장기의 연구자가 몸과 관련해서 각인된 감성의 규칙들을 차용된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하므로 새롭게 발현을 유도하는 일련의 작업을 말한다. 다음으로는 현실(現實)에 관한 일상적 시선에 관한 표현들이다. 연구자의 시선과 차용된 인물의 시선을 교차시키는 작업으로 일종의 타인의 시선에 의해 자신이 모습을 유추해보는 과정을 시각화한 작품들이다. 마지막으로 상상(想像)이나 환상(幻想)에 관한 것이다. 상상은 위에서 말한 두 가지 몸(身)에 관한 기억들과 감성들의 조합 또는 현실에 대한 ‘시선’과 기억 속의 화훼(花卉) 등 대부분 연구자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시각화된 기억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다만 그 기억들의 원래 자리가 아닌 가상의 공간에서 재배치된다는 것일 뿐 사실(事實)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환상(幻想)은 그렇지 않다. 실제로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설명할 수 없는 기체나 액체 그리고 식물형상의 문양 등의 표현들이 이것을 설명한다. 독립적인 의미는 없지만 다른 조형들과 함께 구성된다. 연구자의 인물화는 사실적 표현 즉 핍진(逼眞)한 묘사의 구현을 통해 사의적(寫意的) 감응 즉 관념적 핍진(逼眞)성을 유발하는 구조임으로 사의적 인물화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의(意)는 기억 속에 내재하는 감성의 기억들이며 그 기억들과 연결된 감성적 감각들은 연구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의 구조를 이루는 실체들이다. 그러나 하나씩 들여다보면 한낱 기억의 조각에 불과 하지만 표현의 대상을 만나 구체적 형상을 이룰 때, 마치 블록완구와 같이 그 조합의 유형으로 대상이 형상화되는 것과 함께 화가의 정신성도 형체를 드러낸다. 이것을 전신(傳神)으로 해석하며 형상화된 화가의 정신성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중국 근·현대 수묵인물화에 관한 연구

        노문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수묵인물화는 중국화 중에서 매우 특수한 장르이다. 전통 인물화는 최초의 출현부터 원·명·청 시대의 쇠퇴에 이르기까지, 그 다음의 20세기 수묵인물화의 전개는 굴곡과 변화가 많은 과정이었다. 중국 회화의 발전사는 끊임없이 발전하였으며, 외래 사조의 침투에도 불구하고 좌절하지 않았다. 근·현대 중국 인물화와 근대 이전 중국 수묵인물화가 크게 다르다. 그것은 원래 전통적인 인물화에는 그간 축적된 사상, 기법 등이 함축되어 있고, 당대 수묵인물화에는 "외사조화(外師造化), 중득심원(中得心源)" 이기 대문이다. 본 연구는 중국 수묵인물화를 3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중국 근대수묵인물화 전개이다. 중국 근대수묵인물화 시기는 1919년 5월 4일 5·4운동부터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까지로 본다. 2단계는 중국 현대수묵인물화 전개Ⅰ이다. 중국 현대수묵인물화Ⅰ시기는 1949년 10월 1일부터 1976년 문화대혁명까지다. 3단계는 중국 현대수묵인물화 전개Ⅱ이다. 중국 현대수묵인물화Ⅱ 시기는 1978년 덩샤오핑(鄧小平·등소평)의 개혁개방(改革開放)부터 지금의 현시대에 이르고 있다. 연구자가 수묵인물화를 세 시기로 나눈 이유는 큰 사회적 변화가 있었고, 이러한 시대적 변혁은 수묵인물화가에게도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 세 시기의 수묵인물화가들의 사상 또한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 시기의 수묵인물화에 표현되었던 인물 계층이 서로 다르고, 이를 응용한 회화 기법도 달랐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생각 의 차이에 주목하고자 한다. 또한 세 시기의 화가들의 작품 분석을 통해서 '외사조화, 중득심원'이 중국 수묵(水墨) 인물화에 미치는 역할과 영향을 연구했다. 1단계 시기에 5·4운동은 중국 근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운동이다. 이 운동은 중국에서 마르크스주의(馬克思主義) 사상을 지식인들이 노동자 농민층에게 전파하기 시작했다. 5·4운동은 1919년 5월 4일 베이징에서 발생한 학생 위주 시민참여 애국운동으로 일본 침략에 반대하는 주요 사상이 바탕이었다. 5·4운동은 중국 공산당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다. 반공자(反孔子),반유가문화(反對儒家文化), '전반서양화(全盤西洋化)'를 주창하는 운동이다. 중국의 전통문화 분야에서 존재했던 모든 문화 형태와 내용을 부정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중국인들의 사상은 봉건적인 유학 사상에서 마르크스주의 사상으로 바뀌게 되었다. 즉 중국 근대 수묵인물화가가 표현했던 문인은 농민·공인·노숙인(露宿人) 등 생활 속 인물로 바뀌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근대 수묵인물화는 주로 서양 사실주의를 배우기 시작했고 문인화(文人畫)를 버렸다. 2단계 시기는 중국 사회주의가 확립된 시기다. 중국공산당은 마오쩌둥(毛澤東·모택동) 사상을 중국공산당이 지도하는 사상으로 확립했다. 중국공산당의 제7번 당 대표대회는 마오쩌둥 사상을 정식으로 공산당 당 규약에 포함시켜 마오쩌둥을 핵심으로 하는 1세대 지도 집단을 형성하였다. 중국의 수묵인물화가들은 농민, 노동자라는 두 계급을 많이 표현하기 시작했고 지도자에 대한 창작 탐구도 시작됐다. 3단계 시기는 중국 사회주의가 확립에서 건설에 이르는 시기이다. 1978년 12월 공산당 제11기 3중전회(三中全會)는 덩샤오핑(鄧小平·등소평)의 지도자 역할을 확립했다. 당 중앙은 중국의 기본 국정에 기초해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국가 발전의 중심을 경제 건설로 옮기고 사상을 해방하여 생산력을 발전시키는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개혁개방이란 중화인민공화국이 덩샤오핑의 지도 체제아래에서 1978년 12월에 개최된 중국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회 전체회의에서 제안되었던 것으로, 그 후 시작된 중국 국내 체제의 개혁 및 대외 개방정책을 일컫는다. 이 현대화 국가 정책은 오늘날까지도 중국 공산당 집권의 가장 중요한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정치가 개명함에 따라 중국의 경제 발전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또한 서양 예술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서양화의 입체파, 구성파 등이 중국 미술계에 첫 선을 보이며 큰 반향을 일으키게 되었다. 중국 예술가들은 짧은 시간에 시야를 넓히고 다양한 예술작품을 보는 만큼 이 시기 문예정책과 사회 분위기는 중국 문예사상 해방의 중요한 전제조건이자 필요조건이었다. 서양의 현대적 예술 유파의 유입은 변화를 촉진하는 외적 요인이 됨에 따라 중국 화가들은 창작의 주체로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앞으로 새로운 미술사조와 회화 양식이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된 것이었다. 미술은 전통과 개혁의 끊임없는 충돌에서 발전하고 변화한다. 근·현대 중국 수묵인물화의 등장은 현재 중국 예술 영역에서 주목받을 만한 예술사적 현상이다. 20세기 중국의 중요 사건에는 중국 수묵화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었던 만큼 정치·사회·문화 사상의 격변(巨變)은 중국 수묵화가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많았다. 수묵 인물화를 어떻게 창작할 것인가는 매 시기 예술가의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외사조화, 중득심원"은 중국 예술의 핵심 문제와 중국 근·현대 수묵 인물 화가의 작품의 중요한 구별 표지(標誌)이다. 20세기 수묵인물화의 변혁은 중국 미술사에서 가장 중대한 사건이었다. 근·현대의 중국 수묵인물화에 대한 연구는 중국 수묵인물화에서 내재된 문화적 유전자, 미학사상, 조형의식, 그리고 필묵형식의 영향 등을 깊이 연구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근·현대의 수묵인물화가 형성된 배경을 연구하면서 민족의 전통을 중시하는 것까지 체계적으로 모색하고 분석하는 것도 아우른다. 본 연구는 '외사조화(外師造化), 중득심원(中得心源)'을 사용하여 중국 근·현대 수묵 인물화가 수묵 인물화의 대해 창작과 발전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분석함으로서 20세기 수묵 인물화의 대표 작가와 발전 과정, 그리고 내재된 시대적 특징을 깊이 연구하였다. 또한 예술작품을 분석을 통해서 동양예술의 핵심정신을 어떻게 현대중국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Ink-wash figure painting is a special kind of Chinese painting. Traditional figure painting declined in Yuan, Ming and Qing Dynasties (1271-1912) and flourished in the 20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ink-wash figure painting is tortuous, while Chinese painting and landscape painting developed constantly and have never been invaded by foreign thoughts. The differences also can be found between modern Chinese ink-wash figure painting and that before modern times, because the modern one ignores composition, thought, and techniques of the traditional figure paintings . This paper divides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k-wash figure painting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of modern ink-wash figure painting, from May 4, 1919 to October 1, 1949, whe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founded. The second stage, period I of contemporary ink-wash figure painting, is from October 1, 1949 to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76. The third stage is the period II of contemporary ink-wash figure painting, from Deng Xiaoping’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in 1978 to now. The researcher divides the ink-wash figure painting into the three periods because the society of which has undergone great changes, and the thoughts of which have also influenced the painters. We have noticed that the figures depicted by the painters of the three periods are different in class, so the painting techniques of these figures are different, and the ideas expressed by painters are also differ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in these three periods,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ink-wash figure painting influenced by the thought of “draw artistic inspiration from both within and without mind.” The first stage i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movement in modern Chinese history. Marxist thoughts began to spread in China from then on, and intellectuals began to spread Marxist thoughts to workers and peasants. The May Fourth Movement was a patriotic movement which took place in Beijing on May 4th, 1919, with students as the mainstay and citizens participating. The May Fourth Movement prompted the birth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main ideas of this movement are anti-Japanese aggression, anti-Confucius, anti-Confucian culture and advocating “total Westernization”, which negates all the cultural forms and content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For example,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was criticized fiercely during this period. Chinese people’s thoughts began to change from feudal Confucianism to Marxism. Modern Chinese ink-wash painters began to change from expressing literati to expressing vagrants. Modern ink-wash figure painting was influenced by western realism and abandoned literati painting. The second stage is the period when Chinese socialism was establishe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PC) took Mao Zedong Thought as the leading thought of China, and Mao Zedong Thought was officially written into the Party Constitution at the Seventh Congress of the CPC. The first generation of leadership with Mao Zedong as the core was formed, and they unified the whole country and the whole party ideologically. Chinese ink painters began to depict a large number of peasants and workers. At the same time, they also began to explore the depiction of the Chinese leaders. The third stage is the period from establishment to construction of Chinese socialism. Deng Xiaoping’s leadership was established at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Eleventh Central Committee of the CPC in December 1978. Based on China’s basic national conditions, the CPC Central Committee with Deng Xiaoping as the core has taken important decisions, shifting the focus of national development to economic construction, opening the mind, liberating and promoting the productive forces. Reform and opening-up is a policy combining reform in China and opening-up to the outside world. It was began to implement at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Eleventh Central Committee of the CPC in December 1978. This modernized national policy is still the most important thought of the CPC until today. With the increasing openness of Chinese politics, China’s economy is developing faster and faster. Chinese people are paying more and more attention to western art. The cubism, constitutionalism and futurism of western painting made their debut in Chinese art circles and had a great impact. Chinese artists have broadened their horizons and seen various works of western art in a short time. The literature and art policy and social atmosphere in this period are the important premise and necessary condition for the libera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art. The influx of western modern art schools were the external factor tha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Chinese literature and art. Chinese painting artists began to think about how to depict based on their own thoughts and emotions, which ha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new artistic thoughts and painting styles in the near future. Art develops constantly in the collision between tradition and change. The appearance of modern Chinese ink-wash figure painting is an art history phenomenon that attracts much attention in Chinese art circle. Chinese painters have participated many important events in China in the 20th century. The great changes in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thought had a great influence on Chinese painters. How to create ink-wash figure painti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rtists in each period. The core issue of Chinese art is the thought of “draw artistic inspiration from both within and without.” In the 20th century, the change of ink-wash figure painting is the most important event in Chinese art circle. The study of modern Chinese ink-wash figure painting is helpful to deeply study the cultural gene, aesthetic thought, modeling consciousness and the painting skills. The systematic analysis of modern Chinese ink-wash figure painting with the thought of “draw artistic inspiration from both within and without” can correctly guide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ink-wash figure painting. Therefore, this paper will make an in-depth study of the representative painters, development process and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of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rt works, this paper also observes how the core spirit of oriental art is reflected in modern Chinese art works.

      • 신체표현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인물화에 미치는 영향 : 제 7차 미술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은경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신체표현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신체개념을 인식하고, 인물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5명의 정신지체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미술교육과정에 의한 신체표현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회기별 인물화에 나타나는 신체적 형태 특징과 항목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제 7차 미술교육과정에 의한 신체표현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인물화 지능검사의 지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실시시간은 2005년 6월부터 9월까지 신체표현프로그램의 하나의 동일주제를 매주 화, 금요일 2번 반복 학습하는 것을 1회기로, 총 30번 15회기를 실시하며 매 회기 소요시간은 약 40~50분 정도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그린 인물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회기별 인물화에 나타나는 신체적 형태 특징과 항목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신체표현 훈련프로그램은 인물화 지능검사의 점수를 상승시켰다. 본 연구 결과 제7차 미술교육과정에 의한 신체표현훈련이 학생들마다의 미세한 차이는 있었지만 정신지체학생의 인물화에 영향을 미쳤다. 인지적사고에 문제가 있는 정신지체학생이라도 꾸준한 반복학습과 체계적 학습지도는 학습의 수행에 큰 도움이 되었으며, 앞으로 유지와 일반화를 위해서 지속적인 인지학습에 대한 미술표현활동에 관한 연계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For recognizing the body concep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how to affect the figure painting to the students, the study was done with 5 students who have mental retardation. In this study, we questioned some problems below. First, What are the changes of body-shape features and each item every session? Second, how does body-expression program affect students’the figure painting intelligent test? The experiment period of this study is from June to September 2005. A session is composed of the same subject of the body-expression program and the students learned the same subject of the body-expression twice a week every Tuesday and Friday. Therefore, all of the experiments give 15 sessions and 30 times to the students. The required time in each session is about 40~50 minute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after inspecting the figure painting, we can look at the changes body-shape feature of the painting and of each item every session. Second, body-expression program improved the score of the intelligent test of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was perform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s that it was a great help to the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having a problem of acknowledgment. So the Body-expression program by 7th curriculum affected the students’ figure painting with tiny different level. We should improve the program connected to activity of art-expression in order to maintain and generalize of the effectiveness of Body-expression program to the figure painting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인물화 감상을 통한 수업 지도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한유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술 교육은 학생들이 시각적인 표현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조형적으로 창조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가르치는 예술의 한 과정으로, 미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서 함양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 아래 현재의 교육 과정은 미술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표현과 감상 영역에 중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실질적인 미술 교육은 표현 영역 위주의 학습에 치중되어 왔으며 감상 영역은 자연히 알게 되는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미술 교육의 균형있는 지도 과정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그런 면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장르의 주요한 부분인 인물화 감상을 통해 작품에 대한 미적 가치와 감상에 대한 흥미를 신장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좀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감상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특히, 회화의 많은 장르 중에 인물화를 택한 이유는'사람 또는 사람의 행위를 주제로 한 그림'인 인물화가 인류 문화의 역사와 시작을 같이 하였고, 인간의 삶을 모티브로 하여 그들의 외형적인 삶의 양식과 고유의 정신 문화를 담아내기 때문이다. 인물화를 통해서 우리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적응하며 변화된 그 시대의 정신 세계와 삶의 모습 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회화에 대한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많은 학생들이 풍경화나 정물화에 비해 인물화를 감상하고 표현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의 다양한 인물화 감상을 통해 학생들이 인물화에 대해 좀 더 친근하고,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7차 교육과정에서 주당 2차시 수업 시수를 갖는 9학년(중학교 3학년)이며, 감상 교수학습 지도안의 구성은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동양과 서양의 인물화를 시대별로 감상하도록 하여, 총 6차시로 작성하였다. 인물화 작품 선정의 분류는 시대별로 나누었다. 우선 17세기에서 20세기로 정한 이유는 동·서양 각각의 회화가 가진 고유한 재료와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부터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 현대까지 미술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판의 선정은 교과서에 실린 작품을 위주로 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 7종 미술 교과서 감상 영역이 서양의 작품을 위주로 다루고 있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았고, 이를 보완하고자 동양과 서양의 인물화에 대해 같은 수의 작품을 제시하였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한 동양의 작품을 감상할 기회를 제공하며, 나아가 동양과 서양 회화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감상 교수학습 지도안의 내용은 시대적 배경을 제시하여 미술의 문화와 배경을 이해하도록 하고, 다음으로는 작가 설명, 작품 설명으로 학생들에게 미술 작품이 지니는 의미를 파악하게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모둠별 토론을 통해 재료의 성질, 표현 방법, 작품에 대한 느낌 등을 공유하여 감상 기록지를 작성함으로서 인물화 감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감상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의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지도안을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은 이전보다 적극적인 감상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가 미술 감상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미술과 교육 과정의 감상 영역에 대한 교육적 효율성을 높여 생활에서 미를 향유하며, 나아가 미술 문화를 이해, 계승, 발전시키는 주체로서의 학습자를 위한 노력과 연구가 더욱더 구체화되고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Art education is a process of improving one of the life in a well balanced manner through creative expressions of various personal feelings and thoughts. For this purpose, contemporary art education mainly focuses on the artistic expression and the artistic appreciation of various art forms. However, in its real practice, the artistic appreciation is rarely regarded as the core; it has been regarded as a by-product of the artistic expression. And I believe a well balanced art education between the artistic expression and the artistic appreciation is very much necessary. In this particular sens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imulate students interests in the artistic appreciation through the appreciation of various types of portraits. This research focuses on portrait for the following two reasons: (1) portrait has its roots in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therefore, it is understood as to contain analogous contexts of human history; (2) the student survey reveals that students feel less uncomfortable in appreciation of landscape or still-life than that of portrait. Research subjects are 9th grade (3rd grade in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two art class sessions per week. And this research suggests the structure of six class sessions that will entail the chronological analysis of various portraits from 17th to 20th centuries. The target portraits are selected from 17th to 20th centuries, where they exhibit unique materials, characteristics and various forms of expression techniques. Also the research aims to avoid the mistakes of the current textbooks, which mainly suggest Western arts, by suggesting the equal number of oriental portraits and western portraits. This attempt should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a well balanced art education. True, the subsequent empirical research also revealed that this approach is meaningful in terms of changing attitudes of students, and improving the perception of the artistic appreciation.

      • 인물화검사를 통한 아동의 불안 연구

        김옥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Handler의 인물화 속에 있는 불안 지표(anxiety index)를 기준으로 하여 인물화를 통한 불안 정도와 Sarason 등(1960)의 일반불안 정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인물화를 통한 불안과 일반불안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인물화를 통한 아동의 불안 연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아동의 인물화를 통한 불안 정도는 일반불안과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아동의 인물화를 통한 불안 정도 및 일반불안 정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아동의 인물화를 통한 불안 정도 및 일반불안 정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아동의 성별 및 인물화를 그리는 순서에 따라 인물화를 통한 불안 정도 및 일반불안 정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있는 D초등학교의 1학년에서 6학년 학생 총 586명(남학생 307명, 여학생 279명)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인물화를 통한 불안은 한 아동이 그린 두 장의 인물화를 본 연구자에 의해 수정된 Handler의 불안지표(anxiety index)를 기준으로 개별 측정하였으며, 일반불안은 Sarason 등의 일반불안 척도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 일원변량분석, t-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인물화를 통한 불안 정도와 일반불안 정도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다. 그러므로 인물화는 아동의 불안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2. 아동의 인물화를 통한 불안 정도는 3학년과 1학년 4학년과 1학년간에 불안 정도의 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학년의 불안이 가장 높다. 그러므로 아동의 불안 정도는 학년간에 동일하게 해석할 수 없다. 3. 아동의 인물화를 통한 불안 정도는 여자 아동보다 남자 아동이 높다. 그러므로 아동의 불안 정도는 성별간에 동일하게 해석할 수 없다. 4. 인물화를 그린 순서에 있어서 자신과 반대의 성을 먼저 그린 아동의 인물화를 통한 불안 정도 및 일반불안 정도는 1, 2, 4, 5, 6학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3학년 남자 아동의 경우에는 반대의 성인 여자상을 먼저 그린 아동이 동일한 성인 남자상을 먼저 그린 아동보다 불안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 anxiety evaluated using DAP test and general that suggested by Sarason et al.(1960) in accordance with Handler's Anxiety Index and clarify differences in the two types of anxiety of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ir grade and gender, ultimately verifying the validity of DAP-based research on child anxiety.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made the following hypotheses. Hypothesis 1. Children's anxiety measured using DAP is correlated with their general anxiety. Hypothesis 2. Children's anxiety measured using DAP and general anxiety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ir grade. Hypothesis 3. Children's anxiety measured using DAP and general anxiety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ir gender. Hypothesis 4. There are differences in children's anxiety assessed using DAP and general anxiety in accordance with their gender and sequence of the figure painting.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researcher surveyed 586 students(307 boys and 279 girls) in their 1st to 6th grades at D elementary school in Buk-gu district, Busan. Measurement devices used here included the researcher's modified version of Handler's Anxiety Index, which measured the anxiety of individual children evaluated with DAP, and Sarason's General Anxiety Scale measuring the subjects' general anxiety.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Pearson's Coefficient, One-Way ANOVA and t-test. Based on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would make the following conclusions. 1. Children's anxiety revealed through DAP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ir general anxiety. This indicates that DAP is useful in child anxiety measurement. 2. Children's anxiety found in DAP test is highest in those in their 3rd grade.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anxiety exists between children in their 3rd and 1st grades, and between those in 4th and 1st grades. This means that children's anxiety level is impossible to be generalized irrespective of their grade. 3. Anxiety measured using DAP is higher in male children than female ones. Thus children's anxiety level cannot be generalized, regardless of their gender. 4. In case of children who first drew a person of the opposite sex in figure painting, their anxiety found in DAP test and general anxiety were not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ir grade, or 1st, 2nd, 4th, 5th and 6th grades. But male children in their 3rd grade who first drew a girl in the opposite sex were higher in the two types of anxiety than those who first draw a boy in the same sex.

      • 인물화에서 휴식과 정화에 대한 표현 연구 : -본인의 공필인물화 작품을 중심으로-

        설우향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resting and purification expressed in figure painting. Based on the history, expressive purposes and traditional figure painting techniques of Oriental figure painting, the researcher analyzed the theoretical development and expressive methods of her own works. Both in the Orient and Occident, figure painting have reflected the history, culture, and ideology of each perio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Oriental figure painting have undergone various changes and developments according to the societal character and ideology of the times based on Transmitting the spirit. Following and inheriting the tradition, they accepted the Western aesthetics and formativeness after the introduction of modern paintings. They have pursued diverse changes based on the traditional drawing techniques and theories. The researcher used the drawing theories and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figure painting as her formative means in her works by keeping them in mind, in which process she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the expression of forms and gods with regard to the internal spirit and purification of figures and felt a need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Korean figure painting. Specifically, she focused on the figure painting theories and traditional figure painting techniques of the Orient and examined the methods of expressing figures in modern paintings. Another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ultivate and develop her own original creative abilities. The study first covered the objectives and methods of the research that were the backgrounds of the researcher's works and found an issue in the increasingly lost value of resting as the modern society was obsessed with goal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reating a work were then examin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purification and healing as resting based on them. The study raised a need for people to recognize the deadly influences of poor resting and sleeping and emphasiz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resting. Secondl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cepts of figure painting used in her creative expressions and sought after realistic figure expressions in her works to make them represent modern people. After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cesses and drawing theories of Oriental figure painting by the periods, the researcher conducted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of gongbi figure painting and searched for her own creative approaches. Finally, the researcher analyzed her own works based on the findings, depicting the internal psychology on life and resting of modern people in need of resting based on her first-hand experiences with resting and purification. The resting process involving real experiences was depicted through storytelling based on the forms of figures and daily objects with the purification and emotional state from the act of resting expressed in visible forms. Based on the spiritual world of figures according to the drawing theories analyzed above, the researcher reinterpreted her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society according to her own creative direction by pursuing different expressive purposes from the old traditional figure painting. The emotions aroused in the purification process were also considered as part of the human inside and spirit. Conducting the present research, the researcher had in-depth thinking about her own works by examining theoretical topics and concepts and obtained theoretical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creative techniques. This study will help to further explore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expressive methods for figures' emotions and spirits in works and propose new directionality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works. 본 논문은 인물화로 표현된 휴식과 정화에 관한 연구로 동양인물화의 회화사와 표현 목적, 전통인물화법을 기초로 하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작품의 이론적 전개와 표현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물화는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역사와 문화, 사상 등을 반영하고 있다. 동양의 인물회화는 전신사조(傳神寫照)를 바탕으로 시대의 사회성격과 사상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해왔다. 전통의 답습과 계승 아래 현대 회화에 이르러 서양의 미의식과 조형성이 가미되어 전통화법과 화론을 기초로 한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게 된다. 본인은 화론과 전통 인물화의 기법을 염두에 두고 본인의 작품 형성의 조형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물의 내면의 기운과 정화에 대해 형(形)과 신(神)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우리의 전통 인물회화의 이해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러기 위해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동양의 인물화론과 전통 인물화법에 초점을 맞추고, 현대에서의 인물 표현 방법을 모색하는 것으로 본다. 또한 본인의 독창적인 창작 능력의 배양과 발전시키기 위한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첫 번째로 본인의 작품 형성 배경이 된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현대사회가 추구하는 목적만을 향하고 점차 상실되어가는 휴식의 가치에 대해 문제로 삼았다. 이에 근거하여 휴식으로의 정화와 치유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작품 형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연구한다. 빈약한 휴식과 수면의 치명적인 영향을 바로 알고 휴식의 필요와 중요성에 대해 고찰한다. 두 번째로는 본인 작품 표현에 사용된 인물화에 대한 개념에 대해 연구한다. 현대인의 모습을 대변하기 위해 작품 속 사실적인 인물 표현을 지향했다. 동양인물화의 시대별 전개 과정과 화론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공필인물화의 특징과 기법에 대해 연구하고 작품 제작 방법을 모색한다. 세 번째로는 위의 연구를 기초로 한 본인의 작품분석에서는 직접적인 경험으로의 휴식과 정화를 바탕으로, 휴식을 필요로 한 현대인의 삶과 휴식에 대한 내면심리의 모습을 작품의 대상으로 하였다. 인물과 일상적인 대상물의 형상을 빌려 현실의 경험이 비롯된 휴식 과정을 스토리텔링 하였고, 휴식이라는 행위를 통해 얻어지는 정화와 감정 상태를 가시적인 형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앞에서 분석한 화론을 통해 인물에 대한 정신세계를 바탕으로 하되, 기존 전통인물화의 표현 목적을 달리하여 본인의 작품 방향에 맞춰 현대사회의 시각으로 재해석한다. 정화되는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감정 또한 인간의 내면과 정신을 이루는 일부분이라고 생각했다. 본인은 연구를 통해 이론적 주제와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본인 작품에 대하여 심도 있게 사유할 수 있었고 작품의 기법 발전연구를 위한 이론적 지식을 획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작품 속 인물의 감정과 정신에 대한 표현방식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고, 앞으로의 작업 발전을 위하여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발판이 될 것이다.

      • 道釋人物畵에 관한 硏究 : 朝鮮時代를 中心으로

        홍원표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朝鮮時代에 제작된 道釋人物畵를 중심으로 그 사상적 배경·유형과 圖像을 분류,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드러나는 조선시대 道釋人物畵의 時代的 變化過程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道釋人物畵의 作畵 배경이 되는 道敎의 思想과 佛敎의 禪思想은 東洋에 있어서 철학·예술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道敎의 사상을 담은 神仙圖는 不老長生하는 상서로운 신선의 모습과 그 事蹟을 묘사한 人物畵로서 不老長生과 現世 壽福의 염원을 비는 종교적 성격에 그 기반을 두고, 佛敎의 頓悟의 修行을 바탕으로 해서 이룩된 禪思想의 禪宗畵는 禪의 이념과 그에 관련되는 소재를 다루며, 그림의 방법으로는 사색의 집중과 그 마음의 울림에 따라 전체적으로 파악한 대상과의 교감을 통한 후 자신의 意境을 卽時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주로 禪師들의 수양방법의 하나로 그려졌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을 갖고 있는 조선시대 道釋人物畵는 다른 회화장르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전통 양식을 토대로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과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되었다. 특히, 중국으로부터는 水墨의 사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唐 吳道子의 白描法를 비롯하여 唐末, 五代 貫休·石恪과 宋代 李公麟 그리고 梁楷, 牧谿로 이어지는 뛰어난 道釋人物畵家들에 의해 완성된 화풍이 전해지면서 부터였다. 唐末, 五代 때의 貫休나 石恪의 水墨的 道釋人物畵의 羅漢圖들이 고려시대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梁楷의 減筆體와 같은 宋代의 晝風이 고려시대 道釋人物畵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傳來된 道釋人物畵는 朝鮮時代에 들어오면서부터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양식과 도상, 표현기법 등에서 한국적 색채를 떤 개성적인 화풍으로 발전되었다. 道釋人物畵는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그려졌으며, 道釋人物畵의 類型으로는 道敎的 내용의 群仙慶壽蟠桃會圖·群仙慶壽圖·波上神仙圖·神仙圖·壽星圖가 있으며, 佛敎的 내용의 達磨圖·禪機圖·羅漢圖등의 다양한 類型의 양식을 형성하고 있다. 각 類型은 그 內容에서 中國 道釋人物畵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 초·중기에는 中國의 影響을 크게 받고 있는 반면 조선 후기에는 조선 초·중기에 성립된 類型을 답습하면서도 圖像·樣式에서는 현격히 韓國的인 독자적 화풍을 낳았다. 조선 초기에는 浙派的 특징이 반영된 士大夫畵家 姜希顔에 의해 道釋人物畵가 고려시대에 이어 조선 초기로 계승이 되었고, 조선 증기 道釋人物畵는 조선 초기의 확립된 浙派畵風을 계승하면서 새로운 화풍을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데에 보다는 前代에 확립된 전통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는 데에 치중했다. 조선 중기에 金明國과 韓時覺 같은 畵員들은 道釋人物畵家로서 일본에까지 그 명성을 떨쳤으며, 조선 후기 道釋人物畵風의 창의성 구현과 같은 질적 발전을 다지는 중보적인 역할을 하였다. 조선 후기 道釋人物畵는 尹德熙, 沈師正, 金弘道, 金得臣 등을 비롯하여 많은 화가들에 의해 그려졌다. 특히, 金弘道를 정점으로 道釋人物畵는 樣式·型式·內容的인 면에서 독창적인 韓國的 畵風을 이루었다. 따라서, 조선후기는 韓國的인 道釋人物畵의 傳統이 성립된 시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金弘道의 등장 이후 道釋人物畵는 많은 變化를 겪게 되었고, 當代와 後代의 직업화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조선 말기에도 道釋人物畵의 전통은 계승되었으나 전대의 전통이 답습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충분히 활용하지는 못하는 매너리즘 적인 화풍이 엿보였다. 본 논문은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변모·발전한 道釋人物畵에서 傳統書法 繼承의 필요성과 外來文化의 영향으로 歪曲된 현대 화단에 독자적인 우리의 화풍이 정립되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his thesis classifies and analyze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type of Zen Buddhism Figure in Choseon period. Through this, the thesis inquires into a historical process of development of those painting in that time. The ideas of Taoism and Zen Buddhism, which are resources for Zen Buddhism Figure, heavily influenced the Eastern's philosophy and art. A Painting of Taoist hermit, which incorporates the idea of Taoism, is the portrait describing eternal youthful auspicious hermit and its trace. It is based on the religious attribute to wish eternal youth and good fortune in the real world. Meanwhile, a religious painting of Zen idea, which has a root on ascetic exercises by a sudden realization of Buddhism, deals with a doctrine of the Zen and its matter. This Painting's method is to express a painter's intention immediately after through the sympathy with an object wholly understood by the way of contemplative attention and its echoes in one's mind. It is also drawn as a kind of hermit's ascetic training. Like other kind of paintings, the Zen and Buddhism Figure standing on these philosophical backgrounds is not only built on the traditional style, but also has developed along the diverse stimuli and influences from outside. Especially, it is since the completed style of painting made by brilliant painters of Zen Buddhism Figure such as Gwan Shu or Dan Ke in the Woo and late Tang period and Lee Gong Ryn, Liang Kai and Mu Shi in Song Period was transmitted, including a white-describing-method by Woo Dau Zie in Tang period when the use of an indian ink was actually adopted to Choseon. It is presumed that Gwan Shu or Dan Ke's Zen Buddhism Figure influenced something on the paintings of Kory period and the Song's painting style like brush-lightening-method of Liang Kai affected the Zen Buddhism Figure of that time. In this way, the transmitted Zen Buddhism Figure developed into a characteristic painting style with Korean hue in its mode, figure and expressing method, escaping from the influence of China. Zen Buddhism Figure was drawn throughout whole Choseon period. It can be divided as two kinds by the type. As the paintings on Taoism, there are the painting of a Taosit hermit group crouching under a peach tree for bliss of longevity, the painting of a Taosit hermit group for bliss of longevity, the painting of Taoist hermit on the waves, the Taoist hermit painting, the painting for bliss of longevity, etc. With regard to Buddhism, Da-Mo painting, Zen spirit painting, and Luo-Han painting are counted. Each type seems to have closely related to China's Zen Buddhism Figure in its concept. However, the type formed in the late stage in Choseon created a unique Korean style in its figure and mode, though it followed that of early and middle stage when it was affected by Chinese style. In the early period of Choseon, Zen Buddhism Figure succeeded from Korea period to Choseon by a nobility painter, Hee An Kang whose painting reflected river-flowing-method. The Zen Buddhism Figure in the late period of Choseon focused on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 established in a previous stage rather than acceding to the river-flowing-method built in the early period and accepting a new style from China. In the middle period of Choeson, the painters of academy like Myoung Kuk Kim and Si Gak Han had their prestige even in Japan. They also played a role as mediators that led the development in the painting's quality, realizing the creativity of Zen Buddhism Figure in the late period of Choeson. The Zen Buddhism Figure in the late period of Choseon was created by numerous painters such as Duck Hee Yoon, Sa Jung Shim, Hong Do Kim, Deuk Shin Kim, etc. Especially, it achieved an orthodox style of Korea in mode, form and concept with Hong Do Kim, who stood at the apex of it. Therefore, it is the late period of Choseon when the tradition of unique style of Korea's Zen Buddhism Figure realized. After the Hong Do Kim, Zen Buddhism Figure went through a lot of changes and affected the professional painters of Song stage and its later one. Even if the Zen Buddhism Figure was succeeded to the late period of Choseon, it just showed the tendency of following of a previous stage so that remained as mannerism style, not making fully use of the previous one. Considering the procedure of the study mentioned above,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wo ways: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change and development in Zen and Buddhism Figure painting, which can fit into the Korea's historical situation. In addition, this thesis tries to prospect the direction of such development so that our unique painting style can take place within the contemporary world of artists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