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의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어휘력 간의 관계

        윤아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selecting infants from 18 months to 24 months and their 105 day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is to research what relationship exists among infant temperament perceived by daycare teachers,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vocabulary. This study estimated the vocabulary of the infants by using MCDI-K (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 of Bae So-Young (2003). This study estimated infant temperament perceived by daycare teachers by using 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RITQ) that Jang Jong-Yoon (2010) modified again for teachers, based on what Yoo Myeong-Hee (1990) had revised and adapted. This study estimate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by using a modified estimating tool that Hong Geun-Min (1997) revised infant programs (infant-teacher interaction) into five point scale from ‘an 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in Korea’, which Kang Suk-Hyun (1994) had made, based on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APECP). The researcher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and checklists through direct visits or mail. Depending on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by conducti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wo-sample t-test,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This research has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infants from 18 months to 24 months showed that the point of understanding vocabulary was twice as high as the point of expression vocabulary, a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The infant temperament perceived by daycare teachers was higher in order of reaction intensity and activity level, and regularity was the lowest. Indeed, this study found that daycare teachers consider that the infant temperament as expressions on reactions are strong, there is a lot of activity, and physiological cycle is relatively regular. In addition, in sensitivity of the sub elements there wa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higher in order of promoting active participation and positive interaction. Indeed, this study found that the daycare teachers consider that enough time and space could be provided to help infants actively search play space and rest and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positive interaction with the infants. Second, as researc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temperaments perceived by daycare teachers and vocabulary, the regularity among sub elements has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 understanding vocabulary, and the sensitivity has significant relations with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vocabulary and whole vocabulary. Indeed, when the infants are less susceptible to change and stimulation due to regular physiological cycle such as defecation, sleeping, and meal and their low sensitivity level, the infant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igh level of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vocabulary and total vocabulary. Third,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vocabulary, this study cannot find a significant relation. In conclusion, regularity and sensitivity of the infant temperaments perceived by daycare teachers are related to understanding and acquiring vocabulary of the infants, but teacher-infant interaction does not have relation with vocabulary acquisition of the infants.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43개소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8~24개월 영아와 그들의 담임교사 각 105명을 대상으로 영아의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어휘력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아의 어휘력은 배소영(2003)이 사용한 MCDI-K(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를 도구로 측정하였다. 영아의 기질은 유명희(1990)에 의해 수정ㆍ 번안된 것을 다시 장종윤(2010)이 교사용으로 수정한 영아 기질 설문지(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RITQ)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Asse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APECP)를 강숙현(1994)이 참고하여 만든 ‘한국판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중에서 영아기 프로그램(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을 홍근민(1997)이 5점 척도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설문지와 검사지는 연구자가 어린이집에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해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 및 표준편차,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고, 편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8~24개월 영아의 이해 어휘력 평균점수는 표현 어휘력보다 2배 정도 높았으며 남아와 여아 간의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은 반응세기와 활동수준 순으로 높았으며, 규칙성이 가장 낮았다. 즉, 교사가 영아의 기질을 반응에 대한 표현이 강하고 활동량이 많으며, 생리적 주기가 비교적 규칙적이라고 지각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위 요소 중 예민성에서 남아와 여아 간의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다.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능동적 참여 촉진과 긍정적인 상호작용 순으로 높았다. 즉, 교사들은 영아들이 능동적으로 놀이공간을 탐색하고 휴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며 영아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영아의 기질 하위 요소 중 규칙성이 이해 어휘력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즉 배변, 수면, 식사와 같은 영아의 생리적 주기가 불규칙적인 것이 이해 어휘력이 높인 것과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영아의 기질 하위 요소 중 예민성이 표현ㆍ이해 어휘력 및 전체 어휘력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즉 변화 및 자극에 대하여 영아가 덜 예민한 것이 표현ㆍ이해 어휘력이 높은 것과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셋째,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영아 어휘력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영아의 기질 중 규칙성과 예민성은 영아가 어휘를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과 관련성이 있는 반면에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영아의 어휘 습득과 관련성이 없다.

      • 유의어·반의어를 활용한 통합형 국어 교육 방안 연구 : 문법과 쓰기, 문법과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유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어 교육에서 유의어·반의어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학습자의 언어·사고 발달 수준에 적합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통합형 교수-학습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유의어·반의어 교육내용과 관련된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과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국어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의어·반의어 교육 실태를 살펴보았다. 교과서 분석은 유의어·반의어 학습 내용으로 제공되는 어휘 수준의 적절성과 학습 활동 문제의 적합성에 대한 검토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학교급별로 어휘의 수준에서 큰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워 현재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어휘들이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게 되었다. 또한 학습 활동은 매우 단순한 답을 요구하는 문제들의 비율이 높았으며 초등과정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여전히 중·고등과정에서 다루고 있어 학습 활동 내용의 수준과 분량이 전후 학년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어휘 및 인지 발달 단계에 적절한 통합형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여 유의어·반의어 교육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다른 영역과 쉽게 통합되기 어려운 영역이었던 ‘문법’ 영역을 ‘쓰기’ 및 ‘문학’ 영역과 통합하여 학습자가 학습한 문법 지식을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설계함으로써 그동안 명목상으로만 강조되어 왔던 ‘통합’의 가치를 재실현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법’과 ‘쓰기’의 통합형 교수-학습은 유의어를 활용한 활동으로 지나치게 반복되는 동어, 낮은 수준의 어휘를 유의 관계에 있는 어휘로 교체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글의 단조로움을 피하고 글쓴이 수준에 맞는 성숙한 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이해 어휘와 표현 어휘의 격차를 줄여 결과적으로 어휘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문법’과 ‘문학’의 통합형 교수-학습은 반의어를 활용한 활동으로 소설 작품과 연계하여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을 분석하여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후 기존의 인물과는 전혀 다른 반대의 인물을 창조해냄으로써 텍스트와의 능동적인 소통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반의어’는 인물 창조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활용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소설의 이야기와 자신의 또 다른 사고의 대립을 경험하면서 건전한 비판의식과 창의적 사고능력을 키우게 될 것이다. 국어 교육에서 어휘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특히 유의어와 반의어에 집중하여 현재 교육 실태를 살피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에 제시된 많은 어휘 교육의 방법들과는 달리 학습한 어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 점과 실제적인 통합 수업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한국어교육에서의 어휘교육 방안 연구 동향 고찰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정주안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has been away from researchers' interest for a long time. The vocabulary education was to be included in functional teaching method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grammar education. However, since the communication approach was introduced in the mid-1970s, the practical communication method attracted much atten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vocabulary education. As a result, interest in vocabulary education has increa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parate vocabulary education has been started from the end of the 1990s. In addition, research papers on ‘Ways of vocabulary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mainly in the form of journals and theses. In the mid 2000s,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participation of many researchers led to remarkabl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In this study, it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researched in terms of vocabulary for last 20 years, and to find out if there is a biased or neglected division in the study of vocabulary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make it possible to utilize it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ers interested in the field of vocabulary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only the articles that suggested 'vocabulary education plan' among the theses extracted by searching under the heading 'Study on Korean vocabulary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rough the RISS search engine were selected for final research. Section 1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discusses the study subjects and methods. In Section 2, it was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vocabulary education research, and set up a research framework by setting up research scope and examining prior research. In Section 3, after reviewing the research of vocabulary education by classifying them by period, topic, and subject and it w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flow of each item. In Section 4, the improvement points a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previous section 3,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vocabulary education plan are suggested in five directions. Finally, Section 5 summarize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and describ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위한 문화어휘 교육 연구 : 정(情)의 의미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최주원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한국어 문화어휘 정(情)의 교육이 의미론적 해석을 바탕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몇 가지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고찰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어휘란 문화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어휘를 사용하는 사회의 배경을 이해해야 습득 가능한 어휘이다. 이러한 문화어휘는 모국어 화자들의 문화와 경험의 산물로서, 문화적 요소로 인해 타 외국어로 직역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문화어휘는 그것을 사용하는 하나의 사회를 드러내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논의에 따르면 언어는 사고를 담는 그릇이다. 언어와 사고 중 무엇이 선행하는지 가리긴 어려지만, 말과 글이 사람의 가치관을 고스란히 담아낸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Humboldt(1822)는 언어와 정신 활동은 상호 밀접한 연관을 가지기 때문에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존재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모든 언어는 각각의 고유한 세계관이 있으며, 언어가 서로 다른 것은 단순히 두 언어의 소리나 기호가 다른 것이 아니라 세계관 자체가 다른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의 상이성은 소리나 기호의 상이성이 아니라 세계관의 상이성이라는 해석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한국어는 한국인의 사고가 담긴 언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한국인의 오랜 가치관과 세계관이 한국어라는 언어를 통해 표현되며, 반대로 한국어를 사용함으로써 한국인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더욱 견고해지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어와 한국인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운명을 가지고 있으며, 쌍방향적인 관계를 가진다. 비단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세계의 다양한 언어들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긴밀하게 상호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한국어 어휘에는 한국인의 생활습관과 가치관 등을 반영하는 것이 다수 존재한다. ‘정(情), 한(恨), 원(願), 혼(魂), 흥(興), 체면, 손맛, 감칠맛, 신명’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어휘들은 한국의 문화적 요소와 배경을 껴안고 있기 때문에 타 외국어로 직역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특히 한국인의 대표적인 정서로 가장 먼저 꼽히는 정(情)에 대해 명쾌한 설명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한국인조차 한국인의 대표 정서인 정(情)이 무엇인지 선명하게 정의내릴 수 없는 상황에서, 그것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외국인 학습자가 얼마나 될지 회의적인 시각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까지 이해해야 습득 가능한 문화어휘 정(情)의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김수현(2004: 52)와 황인교(2011: 241)을 토대로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어휘 정(情)의 교육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내포하는 문화어휘 정(情)을 결합적 어휘장과 개념적 은유를 사용하여 의미론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어휘 정(情)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 중급 학습자는 문화어휘 정(情)을 의미론적으로 해석하고 배우는 과정을 통해 정(情)을 둘러싼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한국과 한국인이라는 공동체 차원에서의 정(情)이 아닌, 각각의 개인 차원에서의 정(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 직장인 학습자의 영어 어휘학습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학습기능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 분석

        최나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직장인 학습자의 영어 어휘학습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학습기능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 분석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어휘학습과 관련해 Oxford(1990)의 어휘학습전략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국내 직장인 학습자의 학습전략사용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하나의 전략을 어휘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았고, 이들의 학습전략을 연결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학습기능을 전략과 마찬가지로 어휘를 학습하는 방법으로 간주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인 학습자들이 실제로 어휘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학습전략과 동일한 내용의 학습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 24개의 전략과 기능이 짝을 이루어 학습전략의 사용이 어휘학습기능에 대한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학습전략사용과 상, 하의 어휘학습수준이 어플리케이션의 학습기능 선호에 대해 어떻게 작용하는지 조사하였으며, 특히 이들 집단의 학습전략의 사용과 특징, 학습기능에 대한 선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사용경험 유무와 차후 직장인 학습자 집단이 어휘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어휘 학습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등을 묻고 이를 분석하여 직장인 학습자 집단의 어휘학습을 포함한 영어학습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Oxford(1990)의 학습전략도구 설문지를 본 연구의 내용에 맞게 수정해 총 50개의 전략 중 모바일 어휘 학습기능과 상응하는 각 전략항목을 선별하여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참여 인원은 국내 직장인 50명이었으며,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었다. 직장인 학습자 집단의 어휘학습전략과 어휘학습수준, 그리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어휘학습기능에 대한 관계는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 직장인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어휘학습전략은 상, 하의 학습수준에 따라 전략의 항목과 내용, 빈도가 다른 특징이 있었다. 어휘학습수준에 따라 어휘학습전략의 사용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두 변인들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관계로 나타났다. 두 번째, 어휘학습전략과 어휘학습기능은 학습자들의 어휘학습과정에서 개별적인 학습자의 학습에 효율적으로 접근하려는 동일한 목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두 변인들을 비슷한 특성을 지닌 변인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직장인 집단이 평소 사용하는 어휘학습전략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어휘 학습 과정에서 이들의 전략 사용 내용과 비슷하거나 동일한 내용의 학습기능 사용을 선호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어휘학습전략은 어휘학습기능과 유의한 관계로 나타났으며, 각 전략별 기능의 대응 관계에서 같은 영역의 전략사용과 같은 내용의 기능선호는 보상전략과 보상기능을 제외한 모든 전략과 기능이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상, 하의 학습수준에 따라 두 집단이 선호하는 학습기능과 학습전략사용에서 차이가 있었고 결과적으로 어휘학습수준과 어휘학습전략은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네 번째, 어휘학습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학습자의 학습수준에 따라 개인화된 학습(tailored learning)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상이 되는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직장인 학습자 집단을 성인 학습자 일반과 분리하여 어휘학습을 포함한 영어학습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물어보았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업무내용과 관련한 어휘의 제공과 직장인 학습자의 맥락에서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어휘 학습 과정에서 보다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 직장인 학습자들의 학습전략사용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An Analysis on Office Workers' Preference and Perception towards Mobile Application Functions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Oxford, 1990) among EFL adult learners most of whom are office workers in South Korea, and to examine whether their strategy use has any relations to the mobile application functions or not when the learners are in the process of mobile assisted vocabulary learning. Vocabulary learning assisted by mobile has been mentioned as an alternative tool for many learners, especially for the office workers since they have a very limited access to time and place compared to the other learner groups. Thus this study also aims to suggest to apply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to the mobile application functions in order to facilitate a more efficient vocabulary learning for the office workers while examining their perceptions towards the mobile application functions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With three variables - the ability level, the use of learning strategy, preferences of mobile application functions among the office worker learners,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correlations if the learners prefer to use similar mobile functions with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that they normally use in vocabulary learning process. The result appears that office workers in this research tend to use the compensation strategy frequently between high and low level group, and their strategy us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ference of the mobile application functions when they are in the process of vocabulary learning through smartphone. All strategies - memory strategy, cognitive strategy, meta-cognitive strategy, and social strategy, affective strategy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each function on the mobile application most of which were as same as each strategy. The use of strategy and the preference of mobile application functions are distinctive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bility level of office workers in this research. For an effective exploit of mobile application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e most of respondents explained that the vocabulary topic should be relevant to their language use environments, and vocabulary learning should lead the learners to short-sentence writing practice with patterns. Also, the content for learning should be short and simple enough to understand better in their commute, and they preferred to learn vocabulary through a push alarm function. Since their language use is closely related to ESP(English for Special Purpose), the mobile application functions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lso need to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 office workers' vocabulary learning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strategy use, reflecting their learning contexts.

      • 어휘 학습 책략 연구 : 실업계 고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윤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외국어 습득에서 어휘력은 영어 학습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요즘과 같이 의사소통 식 영어 교수법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시기에는 더욱 그것의 중요성이 커진다고 볼 수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 학생들은 어휘 학습 시에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전략들을 대부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특히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경우 주어진 시간에 비해 학습해야하는 어휘의 양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어휘학습의 효율성을 보다 도모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어휘학습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어휘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어휘 책략에 관한 부분에 있어서는 많은 부분 소홀하였고, 특히 실업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어휘 학습 책략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의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어휘 학습 책략 사용 실태와 유용성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 그 두 가지의 관계를 파악한 후 마지막으로 어휘력과 그들이 실제 사용하는 어휘 학습 책략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실업계 입시 전문 학원인 J학원의 고등학교 1학년 78명을 대상으로 어휘 실력 테스트와 어휘 학습 책략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많이 사용하는 전략을 유용하다고 생각하였고, 특히나 반복적 쓰기 암기나 읽기 암기 등과 같은 단순한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반면, 문맥에서의 추론이나 어근 또는 접사의 분석과 같은 전략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학습자들이 대부분 다양한 학습 전략을 사용하지 않고 반복적 책략에 의존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다양한 책략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기 때문이라 생각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교사가 학습자들에게 반복 학습 외에 다양한 어휘학습 책략을 제시해 주고 이 중에서 학습자가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특히 책략 기반 수업의 성공은 학습자가 그 책략의 유용성을 인식할 때에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어휘 학습 책략을 지도할 때 학습자들에게 책략들의 효용성을 인식 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In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vocabulary has been assumed an important and central role. However, Korean language teachers have given little attention to English vocabulary teaching and most of the students don't use effective and systematic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However it is essential that students use thos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because they have many vocabularies they should memoriz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re usually used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what kinds of strategies the students think usefu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what is the frequency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hich Korean high school learners use and what strategies do they think are useful? Second, how are the frequency of strategies and the usefulness related each other? Third, what is the effects of applying??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for improving vocabulary power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frequency-use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ere 'test oneself with word tests', 'look up in bilingual dictionary to find the meaning of words', 'use word lists', 'written repetition', 'continue to study word over time in verbal'. Furthermore, the learners thought the following strategies were useful: 'continue to study word over time in verbal', 'confirm the meaning through dictionary after guessing the meaning', 'use it in daily life', 'guess from textual context', 'memorize the meaning through relate with their own experience'. Second, the learners were shown that they are using most of the strategies they thought useful. Finally, at the beginning of this experiment, the two groups almost had the same scores in their vocabulary ability, but at the end of this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ittle more improvement in their scores. From the investigations, we can find out some useful informations. First, students frequently use the strategies which are related with mere repetition and think they are useful. Of course, written and verbal repetitions are used by most of the students,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use variou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for the more, through the experiments, we could know that most students don't use variou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because they don't know those strategies well. Therefore, teachers should teach not only the meaning of vocabularies but also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o their students.

      • 초등학교 영어 어휘 능력 평가 모형 개발

        박진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등학교 어휘 평가는 교육과 평가의 관련성, 평가가 갖는 학습 자극제로서의 긍정적인 역할, 그리고 어휘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그 필요성이 충분히 인정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영어 어휘 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장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91명)을 설문 조사하여 어휘 평가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어휘 평가는 형성평가 위주로 실시되고 있으며, 어휘 평가의 난점으로 대부분의 교사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의 언어 영역에서 적절한 어휘 평가 문항의 다양한 예시를 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를 통해 어휘 평가를 제작할 때 가장 시급한 점은 적절한 평가 모형의 제작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타당하고 신뢰도가 높으며 실용성이 있는 어휘 평가 모형의 개발을 위해 어휘 선정의 기준과 어휘 평가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해 보고, 평가 모형 개발 원칙을 세우기 위해 평가의 삼대 요소인 타당도, 신뢰도, 실용성을 논의하였다. 위에서 살펴 본 현장 어휘 평가의 실태 분석과 어휘 평가의 이론적인 논의를 반영하여 초등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어휘 평가 모형을 다음과 같은 원칙 하에 개발하였다. 첫째로, 어휘가 개별적으로 가지는 사전적인 의미보다는 어휘가 제시되는 맥락, 상황 속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도록 하고, 둘째로, 학생들에게 심리적인 부담감을 줄이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어휘를 유추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는 문항을 제작하고, 셋째로, 내용어와 기능어를 적절히 배분하여 평가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이해어휘와 표현어휘를 골고루 반영하여 다양한 언어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평가가 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본 평가의 실시 전에 예비 평가를 실시하였다. 예비 평가를 실시한 이유는 연구자가 미처 깨닫지 못한 평가의 미비점을 발견하고, 보다 양질의 평가 모형으로 만들기 위해서였다. 예비 평가 분석을 통하여 몇 가지 개선점을 발견하였는데, 첫째로, 문항간의 시간 간격에 좀 더 충분한 여유를 두어야 하는 점, 둘째로, 적정한 양의 어휘 제시의 필요성, 마지막으로, 그림 등의 단서 제공을 통한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예비 평가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예비 평가와 동등한 본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본 평가는 실제 초등영어 교육 현장에 투입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내용타당도, 안면타당도, 구인타당도 및 영국 캠브리지 대학의 영어 평가 연구소에서 만든 YLE와의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 모두 유의미하였다. 또한 검사·재검사 신뢰도 이외에, 검사문항의 동질성과 문항 내적 합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분신뢰도를 구하였는데,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으로서의 언어교육을 위해 초등 영어 어휘 평가의 실시가 활성화되기를 바라고, 그러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어휘 평가 모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vocabulary test of Primary English.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necessity of vocabulary tests in primary English and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on primary teachers' opinions about vocabulary tests. The second chapter concludes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of making the vocabulary tests, and the third chapter provides the procedures how the vocabulary test model is developed. The model is focused on the testing of vocabulary comprehension in context rather than the spelling discrimination in words. In the fourth chapter, two types of vocabulary tests, YLE and the tests which the present researcher made, were administered to 322 prim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es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wo vocabulary tests correlated positively, and the model of vocabulary tests which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sufficiently valid in content validity, face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his study showed reliability in test-retest and split-half analysis. Additionally this study proved to be practical. This study demonstrates some practical examples of how to develop a vocabulary test of primary Englis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ovides a general framework for vocabulary tests of primary English. The models of vocabulary tests in primary English need to be constantly developed so that students can use vocabulary within the contexts.

      • 어휘접근법 기반의 어휘지도가 초등영어 어휘 활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혜연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효과적인 영어 어휘 학습법으로 어휘와 어휘간의 결합을 통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제시한 Lewis(1997)의 어휘 접근법(Lexical Approach)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적용한 어휘지도가 초등학교 학생들의 어휘 활용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 부천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개의 실험반을 구성하고 교육과정 안에서 배정된 시간을 활용하여 10주간, 주 2회씩 어휘 접근법을 활용한 어군 중심 어휘 지도와 개별 어휘 중심의 어휘 지도를 하였다. 이후 학생들의 인지적인 어휘 기억력과 함께 어휘를 상황에 맞추어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어휘 활용 능력을 사전, 사후, 지연검사를 통하여 측정하고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지와 교수일지, 학습자 인터뷰를 활용, 학생들의 영어 흥미도, 학습 참여도, 영어 자신감과 함께 영어 활용 태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접근법을 활용한 어군 중심 어휘 지도를 실시한 실험반 1과 개별 낱말 중심의 어휘 지도를 실시한 실험반 2는 학생들의 어휘 기억력과 어휘 활용 능력 면에서 실험 처치 직후인 사후 검사에서는 두 집단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5주 뒤 실시한 지연 검사 결과, 실험반 1 이 실험반 2에 비하여 학습했던 내용에 대해 훨씬 잘 기억하고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어군 중심 어휘지도가 4학년 학생들에게 단기간의 효과보다는 장기적으로 어휘를 기억하고 활용하는데 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둘째, 정의적 영역 사전-사후 검사에서는 학습 참여도, 영어 자신감, 영어 활용 태도는 두 반이 서로 비슷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영어 흥미도에서는 실험반 1과 실험반 2의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어군 활용 어휘 지도법이 학생들에게 어휘 지도 방법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지도 방법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어휘접근법에서 제시한 어군 중심 쓰기지도는 실험반 1의 학생들의 흥미도, 참여도, 영어 활용 태도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으나 자신감은 단기간에 향상 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개별 낱말 중심의 다양한 쓰기 활동은 실험반 2의 학생들의 영어 쓰기 자신감을 향상시켜 전반적인 영어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4학년 학생들의 어휘 쓰기 지도는 어군보다는 개별 낱말 위주의 지도가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어휘지도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 영어 어휘지도에서 어휘접근법을 활용한 어군 중심 어휘지도와 개별 낱말 중심 지도는 서로 보완할 수 있는 협력적 방법으로 다양한 활동 방법을 적용한 활동지의 개발과 공유가 필요하다. 둘째, 어휘 지도는 학생들의 학습 요구와 수준을 파악하고 지도할 때 높은 효과를 보이므로 지도 전에 학생들의 특성을 알아보고 어휘 지도 방법을 계획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과 준비 자세가 필요하다. 교사의 이러한 노력은 학생들의 어휘 학습에 있어 인지적 발달과 함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영어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한·일 일간신문에 나타난 어휘의 사회문화적·언어학적 특징 연구 : 사회면을 대상으로

        오영경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nalyses vocabularies in the society section of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collected five days per week for a total of 120 days from January to June 2012, and categorizes them according to parts of speech, word-formations, and word species. It identifie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and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ir vocabularies, classified by semantic categories, according to word list by semantic principles (1964). Especially the society section is assessed as appropriate data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aspects between Korea and Japan, because it deals with the issues of the day. In the first chapter, it describes the aim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and the research method. The Previous studies referred to an study on vocabularies in newspapers and an article dealing with vocabularies from a social perspective. In particular, Song(2003) referred to the methodology for the classification of vocabularies by semantic categories, and Lee(2011) adopted the methodology for the categorization of vocabularies according to parts of speech, word-formations, and word species to his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the headlines of newspaper articles between Korea and japanese, collected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categorized, and then the vocabularies for this study were extracted. The vocabularies were classified by semantic categories through word list by semantic principles. Specifically the vocabularies were classified into nominal, verb class, adjective-adverb-adnominal class, and conjunction-interjection class, and their semantic categori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class, were used to identify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ies usage in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In the third chapter, the extracted vocabularies were categorized by the number of total words and that of individual words, and then classified in to parts of speech, word-formations, and word spec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arts of speech in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the word-formations and the abbreviated forms were examined. The combining forms of loanblends were also examined to investigate the usage of word species. Therefore, the result that contrasted the vocabularies between daily newspapers in Korea and Japan shows that the nominal of the middle items in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study frequently mentions the name related to an event in Korean daily newspapers through 1.20 ware・nare. In the items of 1.21 kajoku in Korean daily newspapers, the vocabularies related to family appear in various forms on articles. And the items of 1.22 aite・nakama is an example that shows that foreign tourists has increased recently due to the Korean Wave. The items of 1.58 seimei suggests that Korean daily newspapers reflect the phases of the time of Korea which the suicide rate of Korea is number one among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countries. In the items of 1.28 doumei・dantai, Japan has more articles associated with individual than group in comparison with Korea. The vocabularies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appear on Japanese daily newspapers in the items of 1.38 shigoto. In verb class, Both Korea and Japan have so many overwhelmingly vocabularies associated with death than positive vocabularies in 2.58 nama・seiiku. In adjective-adverb-adnominal class, Korean newspapers variously use adjective-adverb-adnominal class associated with time in the items of 3.16 jishi. And they also use they also use temporal adverbs that represent momentary processes more than Japanese newspapers. In parts of speech, both Korea and Japan overwhelmingly use noun and verb. In word-formation, Japanese has more flexible ability of word-formations than Korean when it composes a compound word. And in word species, the use of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meaning comprises more than half proportion of the use of the wor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And foreign words also show a similar aspect, but the rate of use of loanblends in Japanese newspaper is approximately more two times higher than in Korean newspaper. Consequently, this study did not achieve a satisfactory result due to the short research period of the target newspapers. However, if we chronologically extracts vocabularies of articles in various fields, future study will be expected to be helpful to simultaneously identify the sociocultural tendencies of both Korean and Japanese and to investigat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본고에서는 2012년 1월-6월까지의 매월 5일분씩 총 120일분의 한·일 일간신문 사회면의 기사에 나타난 어휘를 대상으로 품사별, 어구성별, 어종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양언어의 언어학적 특징을 밝히는 한편, 『분류어휘표』(1964)를 통해 의미분야별로 나누어 사회문화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신문 사회면의 경우 당시 화제가 되었던 사건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일 양국의 사회문화상을 이해하는데 적절한 재료라 판단된다. 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의 의의 및 목적, 선행연구, 연구방법을 정리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신문 어휘를 다룬 연구와 사회적인 관점에서 어휘를 다룬 논문을 참조하였다. 특히 송(2003)에서는 의미분야별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참고로 하였고, 李(2011)에서는 품사별, 어종별, 어구성별을 분류하는 방법론을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조사대상이 된 한·일 양국의 기사제목을 주제별로 나눈 후, 추출된 어휘를 분류어휘표를 통해 의미분야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명사류(体の類)’, ‘동사류(用の類)’, ‘형용사·부사·관형사류(相の類)’, ‘접속사·감탄사류(その他類)’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 유의차가 발생하는 의미분야를 토대로 당시 한·일 양국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밝혀내는데 주력하였다. 3장에서는 추출된 어휘를 전체어수와 개별어수로 나눈 후, 품사별, 어구성별, 어종별로 분류하였다. 한·일 일간신문의 품사별 유사점 및 상이점을 살펴보고, 양언어의 어구성 및 축약형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일간신문에 나타나는 어종의 사용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혼종어의 혼합유형을 알아보았다. 이상, 한·일 일간신문 사회면에 나타난 어휘를 대조해 본 결과 사회문화적 특징 연구에서는 중간항목의 ‘体の類(명사류)’에서는 ‘1.20 われ・なれ’을 통해 한국의 일간신문에서 사건과 관련된 인물의 이름을 자주 언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1 家族’의 항목에서는 한국의 경우 가족과 관련된 어휘가 다양한 형태로 기사에 출현하고 있으며 ‘1.22 相手․仲間’의 항목에서는 최근 한류열풍으로 인해 외국관광객이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1.58 生命’의 항목에서는 한국 일간신문의 경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한국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8 同盟․団体’의 항목에 일본이 한국보다 개인보다는 단체와 관련된 기사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1.38 仕事’의 항목에서는 일본 일간신문의 경우 건설과 관련된 어휘가 등장하여 동일본대지진의 복구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用の類(동사류)’에서는 ‘2.58 生·生育’의 항목에서 한·일 양국 모두 긍정적인 어휘의 등장보다 죽음과 관련된 어휘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相の類(형용사·관형사·부사류)’에서는 ‘3.16 時’의 항목에서는 한국 쪽이 다양하게 시간과 관련된 형용사·부사·관형사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보다 순간적인 진행을 나타내는 시간부사의 사용이 많았다. 품사별에서는 한·일 양국 모두 명사와 동사에서 압도적인 사용양상을 보였다. 어구성에서는 합성어를 구성할 때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유연한 조어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어종별에서는 한·일 양국 모두 한자어와 고유어의 사용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외래어의 경우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한편, 혼종어에서 일본이 한국보다 약 2배 이상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대상 신문의 조사기간이 짧고 조사대상의 범위가 좁다는 문제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는 얻지 못했지만, 향후 년도별로 다양한 분야의 기사면의 어휘를 추출한다면 양언어의 사회문화적인 경향을 밝힘과 동시에 언어학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 그림 어휘사전의 제작 및 활용이 초등학교 영어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공경호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어휘 학습방법의 차이가 초등학교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은 초등학교 6학년으로 구성된 3개의 집단으로 되어있는데 단순·암기식 어휘 학습집단인 통제집단과 그림을 활용하는 집단 및 그림사전 제작·활용 집단인 실험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총 3주동안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실험 이전에 집단간의 영어 능력치와 어휘 능력치를 알아보기 위해 진단평가와 실험에 사용할 어휘를 가지고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또한 정의적 태도 영역의 변화도 이번 연구에 중요한 목적이기에 설문지를 실험 전·실험 후 두 번에 걸쳐 똑같은 문항지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매 차시 학습한 어휘를 단기테스트로 어휘 습득률을 평가하였고 매 차시 2주후에 지연 어휘평가를 실시하여 집단간의 어휘습득률과 어휘학습방법의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세 집단간의 단기 어휘평가의 점수는 좋은 편이며 높은 어휘 습득률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가 있었고, 단기·지연 평가의 평균값의 차이는 그림사전을 활용한 실험집단의 평균값의 변화폭이 가장 작았고 안정적이었으며 p값의 유의수준도 1·2·3 차시 모두 0.05 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의적 영역인 태도면에서 살펴보면 세 집단 모두 사전 설문보다 사후설문에서 다소 평균값이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림 활용 집단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어 휘에 대한 관심도는 유의미하게 태도적 변화가 일어났는데 그림 사전 활용 집단은 어휘에 대한 관심도만 유의미적인 태도적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암기식 어휘 학습 집단은 두 영역 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었다. The primary goal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enable learners to communicate successfully. Vocabulary knowledge is a crucial element of effective communication. However, most Korea English students depend on memorizing words without knowing how to properly use them. Therefore, students feel that word study is difficult, boring and uninteresting. School lessons have become far way too one sided and memorizing in English class has become more and more fun. Perhaps this phenomenon may be due to lack of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by instru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king and using picture dictionarie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3 six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traditional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one group only used pictures and one group made and used picture dictionaries. Two different vocabulary post-tests were administered : one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 and the other two weeks later. In addi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e experimental subjects' usefulness rating of the picture dictionaries and their opinions about making and using them were also examined via in-depth questionnair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on the immediate post-test. Making and using picture dictionaries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mediate vocabulary retention. Second, the two experimental groups di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delayed post-test. It was also found that the picture dictionary making and using activity was more effective than simply memorizing words with the pictu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making and using the picture dictionary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retaining newly learned words in the long-term memory. Third, the results of the attitude questionnaire revealed that a traditional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aking and using experience of learning material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s' attitud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king and using picture dictionaries has positive effects not only on vocabulary acquisition, but also on a student's attitude towards vocabulary learning. This suggests that activities of making and using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used in class to promote learners' active vocabulary learning. Additionally the picture dictionary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inside and outside of class. Learners should be encouraged to use their own images to create picture dictionaries for more meaningful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