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심예지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대학원생이 초심 미술치료사이자 연구자로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을 완료한 졸업예정자 또는, 현재로부터 3년 이내의 졸업자를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며, 최종 6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0년 1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연구참여자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 될 때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을 통해 25개의 하위 주제와 8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질적 주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됨>, <연구방법과 대상을 구하는 과정에서 좌절을 느낌>, <어려움을 맞서기 위한 도움을 구함>, <고민하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소진과 성장을 경험함>, <논문 완성에 대한 부담과 압박이 책임감과 자신감으로 변화함>, <미술치료의 정체성에 확신을 가짐>, <인고의 과정을 겪어 만들어 낸 결과물에 성취감을 얻음>, <미술치료라는 학문을 깊이 있게 배우며 더욱 발전하고자 함>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첫째,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논문작성의 동기는 졸업과 박사과정 진학을 위한 외적 동기 외에도, 개인적 성장과 미술치료학의 발전에 기여를 위한 내적인 동기로 논문작성을 시작한다. 둘째, 미술치료학의 논문작성 경험은 인간에 대해 총체적 이해와 심리적 개념을 탐구하며 내담자를 대하는 미술치료사의 태도를 형성한다. 이 경험은 미술치료사로 자신의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셋째, 석사과정에서 논문작성 경험으로 연구를 실제에 적용하는 법을 익히고, 연구자적 태도를 형성한다. 이 태도는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원 석사학위 교육과정에서의 논문작성 경험은 보다 나은 미술치료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논문을 작성하며 연구자 또는 치료사의 두 정체성을 구분 짓기보다는 통합되어가는 과정을 겪으며 단지 논문작성 결과물에서 만의 성취감이 아닌 석사과정 전체에 대한 성취감을 느낀다. 다섯째, 논문작성의 결과물은 성취감과 더불어 자신감을 갖게 하고 지속적인 배움의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석사학위과정에서 논문작성 경험은 후속연구를 이끌어 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미술치료학의 질적인 성장과 함께 전문분야로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수행 주체로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대학원생이 배움의 주체이자 학문 후속세대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와 전문적인 미술치료사로 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체험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에 관한 체험연구는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며 논문 작성 지도를 위한 교수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experience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to write a master's thesis as a beginner art therapist and researcher. As the in-depth interviews are the key research metho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tudy, participants are recruited who are prospective graduates with their completed master’s thesis and the graduates in three years after their graduation in art therapy. The interview had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2020 to May 2021 until the data can saturate through the participants. The data analysis derived twenty-five sub-themes and eight essential themes, based on the theory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essential themes from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re as follows: <Becoming motivated to write a thesis>, <Feeling frustrated in process of finding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Seeking help in confronting difficulties>, <Experiencing exhaustion and growth in the process of agonizing and exploring>, <The burden and pressure of completing the thesis transforms into responsibility and confidence>, <Acquir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process of suffering>, <Being confident in the identity of art therapy>, <Being develop further by learning the study of art therapy in depth.>.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can summarize into five subjects. First, the thesis study begins not only with external motivation for the graduation degree and to the futher doctoral studies but also with internal motivation for their personal growth and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to the theory of art therapy from their first motivation of personal experience of the heals in art therapy. Second, writing papers in art therapy explores the holistic 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concepts of human beings and forms an attitude of art therapists toward the client. This experience helps to solidify one's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Third, knowing how to apply the studies in practice from writing a thesis experience in master coursework and making the researcher’s attitude. This attitude then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earcher’s identity. Fourth, the experience also helps ones to grow into a better expert in art therapy. It goes through a process of integration in between as a researcher and a therapist rather than separating into two different fields. Thus it makes to feel the success not only from the result in one’s thesis but also from the master coursework itself. Lastly, the master’s thesis gives a sense of achievement as well as one’s confidence and makes motivation for constant learning. In addition, this experience helps to bring out the follow-up research, and it will attribute the field of art therapy to qualitative growth and will contribute to firm up into specialties. This study places significance on that one graduate student in art therapy has experienced the process to grow up as the next research generation and a professional art therapist. Furthermore, this research basis on the master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thesis writing helps to understand them in their perspectives and provide a reference for teaching methods to guide these writing.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94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광주·전남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분석

        장중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2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현재에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은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기존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 및 전반적인 분석과 통계, 체계적인 목록의 미비로 연구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중 필요한 논문 목록을 찾고자 할 경우 학위 논문에 따른 적절한 통계자료가 없음으로 논문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장르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논제 분석을 통하여서 여러 각도로 논문의 연구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문헌의 목록 및 기초적인 정보자료를 제공하려는 뜻에서 이 논문의 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의 교육현황, 교육목적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논문을 14개 장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1983년부터 2002년까지 제출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들을 장르별 분석, 학교별 장르분석, 장르별 논제의 접근 경향분석을 각각의 표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전공의 논문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새롭고 선진적인 논문들이 끊임없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서 본 논문의 자료를 참고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논문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더 나아가 음악 연구자뿐만 아니라 음악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참고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며, 우리나라 논문 분석자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Whole countr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al education student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research direction set by existent music pedagogy master's thesis tendency and general analysis and figure, unpreparedness of systematic list at research process of master's thesis in present that new research about musical education is happening abuzz. Specially, there is difficulty this to find treatise data that there is no suitable statistical data by thesis in case wish to find necessary treatise list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refor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established subject of this treatise in intention to make out list by genre, and offer list and basic information data of basic literature so that can grope research direction of treatise by several angles through subject analysis. First,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ducation purpose Second, divid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course treatise by 14 genres and examined contents that is the details Third, Kwangju Cholla-nam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es that is submitted from 1983 to 2002 presenting result that analyze genre analysis, school analysis, access tendency analysis of genre subject each tables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pedagogy treatise tendency analyze. It is desir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superintendence of the degree thesis related to music education shall become the good information data for Gwangju Jeonnam music education circles. In order for our music pedagogy field to be hardened as an academic learning, our study attitude should be progressive and creative to new theories, and ceaseless study and effort to study on the ultra-modern theories of foreign countries so that they can be ours. When such efforts continue, our music pedagogy shall hvae a firm foundation.

      •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2003~2007)

        여하나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교육대학원에서 발표된 음악교육전공자들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집하고, 그 연구동향을 밝히려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전국의 교육대학원과 각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전공의 운영유무를 조사하여, 국회전자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해당 음악교육전공의 논문 2,488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음악교육론, 음악교육심리, 교육과정 연구 및 교과서 분석,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육공학, 교수법 및 지도방안 연구, 음악 기초능력 교육, 가창교육, 기악교육, 창작교육, 감상교육, 국악교육, 유아음악교육, 방송 및 대중음악 활용 교육, 음악교육 관련 기타 연구, 음악문헌 및 연주법 연구 등, 크게 총 16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 각각의 영역내에서 유사한 주제의 논문들을 묶어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과 기악교육 영역의 논문이 전체 영역에 대해서 각각 18%와 15%의 높은 비율을 보였다. 특히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영역에서는 교과서 분석이 80%를 차지해 같은 연구내용이 지나치게 중복됨을 보였다. 이와 극단적인 상반된 경우로, 음악교육 평가 영역의 논문은 전체의 1%에 지나지 않아 음악교육 평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 교육대학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연구가 아닌 일반 음악대학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음악문헌 및 연주법에 대한 연구가 전체연구의 7%나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은 균형적이라기보다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고, 음악교육전공의 논문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주제의 논문들도 적지 않게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음악교육전공자들이 이러한 결과들을 참고하여 균형적이고 발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2003년-2015년 K대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강지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research trends of master's thesis of lifelong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 universit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of research subject, target and method. The total number of dissertations was 102 based on the period from 2003 to 2015. An analytic frame of 11 specific research subjects wa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revi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HRD was the most popular and activated area in recent years. Second, Workers and adult learners were mainly investigated as the research target. Third, the most applied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survey based on questionnaire. Overall analytical result showed tendencies that researches were concentrated on certain research subject, target and method. In conclusion, som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This research gives an implication for post researchers to design their researches.

      • 러시아어 중급 회화 교수법

        나탈리, 바란치코바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6

        본 석사학위청구논문에서는 말하기 학습과 관련한 주요 교수 방법 연구가들의 저술이 개관되어 있고, 한국 학습자들에서 나타나는 말하기 학습의 특징이 지적되어 있으며, 중급 수준의 학습 단계에서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러시아어 교육의 현대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인 대학생들의 말하기 학습에서 생기는 실수를 감안하고 그런 실수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이론 부분에서는 언어 활동의 한 형태로서의 말하기, 학습 목표로서의 말하기, 기존의 말하기 학습 방법, 그것의 장단점, 말하기 학습에서 나타나는 애로 사항 등을 검토하였다. 이 논문의 실습 부분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의 말하기 학습에서 발생하는 애로 사항이 제시되어 있고 한국 학습자들에서 중급 수준 말하기 학습의 수업이 제시되어 있다. 본 학위논문의 주제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말하기 학습에서는 러시아의 주요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외국어(특히 외국어로서의 러시아어) 학습 방법의 주요 명제에 입각해야 한다. 2. 말하기 학습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고려하고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 3. 말하기 학습에서 한국 학습자들의 특징을 고려해야 한다. 이론 자료를 실제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말하기 학습의 의사소통 성격의 연습문제의 목표가 정해졌다. 2. 언어활동의 수법만을 포함하는 말하기 학습의 수업 내용이 정해졌다. 3. 활용된 의사소통적 성격의 연습문제 속에 혼잣말과 대화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이 정해졌다. 4. 한국인 학습자 속에서 중급 수준의 말하기 학습의 수업이 제시되었다. 전체적으로 본 학위논문은 주어진 연구 주제를 충실히 규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