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근·현대서양화 이해지도방안 연구 : 맥락주의 미술비평 중심으로

        김은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의 사회에 있어서 문화예술의 분야는 무한한 가치를 가지고서 우리 생활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양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수용과 전통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우리의 예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이다. 특히, 오늘날 미술교육의 포괄적인 목표는, 다매체적 표현력의 향상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미술교육은 다양하고 상충된 미적 가치를 역사적이며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게 하고, 창조적인 미적 비평능력을 가지게 한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새로운 문화에 대하여 열린 가치와 태도로서, 다양한 문화가 가지는 여러 잠재력을 이해하게 된다. 본 연구는, 현실 교육현장의 조건 속에서, 우리 미술문화에 대한 인식을 현대적 서양 미술에까지 확장시켜 우리의 것에 대한 새로운 미술적 모색을 공유해 보려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이론적 배경으로, 근·현대서양화에 관한 전개양상, 배경 사상 및 미적 의식, 더 나아가 조형적 특성에까지 이르는 문헌적 고찰을 시도했다. 또, 근·현대 서양화 학습이 가지는 학생들에게 가지는 의의를 이해하기 위하여, 맥락주의 미술비평의 개념과 방법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로는 서울지역 중학교 3학년을 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조사를 통하여 근현대 한국화 및 서양화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교육 실태 등이 분석되었다. 결과를 보면, 첫째, 학생들은 한국 근·현대 미술, 특히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회화 방식에서 벗어난 다양한 표현방법, 소재의 다양성, 특이한 재료와 기법 등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둘째, 한국 근·현대 서양화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체계적인 구성과 보완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은, 미술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서, 그림의 내용, 제작방법, 시대적 배경, 작품의 미, 작가의 순으로 흥미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주제별과 표현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관심별 유형을 조사해 본 결과, 추상과 구상화, 그리고 자연을 주제로 한 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이는 주제별로 비교적 고른 관심도이기에, 학습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주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보인다. 교사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보였다. 첫째, 교육여부, 연수를 통한 교육에 따라 인식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보여지는바, 한국 근·현대 서양화 교육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선과 확충이 필요하겠다. 둘째, 교사는 시대적 맥락과 작가에 대한 지도에 있어서 가장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그런데 반대로, 학생들은 시대적 맥락과 작가에 대해 대체로 큰 흥미를 느끼므로, 이에 대한, 수업 시수의 확충과 적절한 교수 학습자료의 개발이 시급하겠다. 셋째, 그러므로, 한국 근·현대 서양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효율적인 구성작업이 필요하다고 다시 한번 강조된다. 교과서에서는 한국 근·현대 서양화에 대한 미술사적 배경을 충분히 다루어 학생들의 관심과 이해를 더욱 불러 일으켜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런 현실 미술 교육에 대한 개선점을 맥락주의 미술비평의 관점에서 추구하고, 더 나아가, 구체적인 수업 지도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맥락주의는 예술가가 속해있는 문화와 민족의 특성을 반영해주는 만큼, 이런 맥락주의 미술비평을 통해 본 한국 근·현대서양화 이해지도는 여러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 첫째, 자신이 속한 문화에 대한 인식을 넓혀, 문화시대에 맞는 국제적인 경쟁력 있는 미술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맥락주의 미술비평은, 작가의 삶과 그의 예술을 밀접하게 연관시키기에, 미술에 대한 넓은 이해와 가치를 우리에게 부여해준다. In the modern world, art and culture deeply influence every single corner of our lives with unlimited potential values. In this situation, the art education should accommodate both western cultures and our own at the same time. The goal of it is, through various media, to introduce to the students the social functions and roles the art has in our society. Art education helps students understand diverse and even conflicting esthetic values in a social context, and it also helps them develop creative critical ability. In the process, they become willing to appreciate various values in their esthetic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ir recognition of our culture to include the understanding of modern western painting art. This will guide us to find new perspective on art and art educ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extensive reference survey has been done on historical developments, background esthetic commitment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methodology and concepts of contextualists' criticism have also been reviewed to shed new light to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For this particular study, statistical surveys also took place for the tenth-grad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ir understanding on painting arts and educational resources available to them. First, the survey shows that they have strong interest in Korean modern art and modern design. Diverse expressional method Second, they showed less interest in Korean western-style modern paintings. Systematic re-evaluation of current art-textbooks on this subject is urgently needed. Third, they showed interests in the content of the painting, creation method, esthetic value of the work, and the artists in their order of concerns. Fourth, they showed high interest in abstract painting and also in nature painting. These diverse interests from the students show that we, the teachers, also need various kinds of approaches to the subject matter. Regarding the teachers, some other key features are noticed. First, the teachers we surveyed showed different levels of interest i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in clas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training. We need to expand and improv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our own teachers. Second, their biggest difficulty in education is to present historical context of the artists they teach. However, on the contrary, student showed the greatest interest on these matters. We therefore need more educational resources on these subjects. Third, as emphasized b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western-style paintings, we need to critically re-evaluate the art textbook in use. They should be revised to reflect the historical context.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contextualists' approaches in our art education. They embraces specific historical and social contingent settings the artists happen to be in. Thus, their approaches have an important meaning and application in our educational purpose.

      • 중국 장쑤성(江蘇省) 난징 미술 교육에 관한 연구

        도진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development and maturity of any department stemmed from the perception and reflection of one's history, and the pedagogy of Western painting was no exception. John Dewey, a renowned American educator, said that educational history is like an experimental complex in educational science. Nanjing, Jiangsu Province, China, has been an important area of traditional Chinese education and culture since the Ming Dynasty.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Nanjing National Government, the society was turbulent. Many entrepreneurs and educators believed in the concept of saving the country by industry and educating people by education, and vigorously developed the education industry. The establishment of Nanjing Normal University was also to make up for the lack of educational teachers. Later, the establishment of Nanjing national government also made Jiangsu have political convenience, especially in Nanjing, south of the Changjiang River. The research and analysis from Nanjing, the most important area in China's education, is not only representative, but also can understand the educational development of the whole China. This thesis summarizes the relevant experience of Jiangsu painting creation and the prosperity of Jiangsu Nanjing art education, and gives an overall explanation. Taking Nanjing, Jiangsu and representative artists and works as examples,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art educ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Nanjing oil painting education, and further explores its historical influence and enlightenment. The research scope of this thesis on education is from the late Qing Dynasty (1903) to the modern period of the Nanjing area within the school system of fine arts education and educators as the research object. This thesis firstly introduces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Western painting and education in China. Today's art forms are intrinsically linked to the past art traditions. Only by fully studying the traditional cultural genes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inese art can we promote contemporary art. The reform of educational methods and the improvement of art theory system. Through the study of the history of art education, we can know how art education took place, how it formed, how to practice, and what the status of practice is. This is an important way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e existence of the phenomenon of art education, the background and foundation of its formation, the inevitability of its occurrence, etc., so as to help understand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and summarize and sort out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Chinese art educati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ing laws of our own nation can be summed up and reflected on the new possibilities of future Chinese art education in the correct way of thinking. And through the research of Nanjing art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basic teaching concept, training mode, training objectives and the scientificity and integrity of the teaching system are discussed. It focuses on the realism education of Xu Beihong, who taught in the Art Department of Nanjing Central University, and discusses Xu Beihong's art proposition and teaching concept in art education during his teaching period, as well as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this concept in the Chinese art education circle. The Department of Art of Central University introduced the system and norms of Western academic realism, implemented the oil painting art education method integrating Chinese and Western, cultivated a large number of realist talents, promoted the spread and development of early realist oil painting, and become the most influential oil painting education system and school in the Chinese oil painting industry in the 20th century. I hope to combine experience and lessons, consciously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deficiencies of the realist art education system in modern society, and provide a historical reference for the deepening and expansion of the connotation of contemporary realist Western painting. Start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Liangjiang Normal School in 1906, Nanjing's art education has a history of more than 100 years, but there has been no structural optimization and change in the educational philosophy, training standards, majors and curriculum settings of Western painting. Contemporary art education is not only responsible for the teaching of technical skills, but more should be aimed at improving students' aesthetic and humanistic quality. Throughout the development history of fine arts education in Nanjing, fine arts education has formed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system in the long-term development, but there is a problem of transformation from traditional to modern, and there is also a contradiction between talent training and social needs.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the history of art education in Nanjing is still very meaningful in contemporary times. Through summarization and reflection, exploring the new possibilities of Chinese art education in the future also has reference significance for the reform and development of Chinese contemporary art education. 이 연구는 중국의 장쑤성(江蘇省) 난징(南京) 지역을 중심으로 미술 교육, 특히 초기 서양화의 수용에서부터 근대 서양화 교육제도의 정착과 오늘날 미술교육의 현황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일부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의 전망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학문 분야를 막론하고, 모든 발전과 성숙은 자기 역사에 대한 인식과 성찰에서 비롯되고, 이는 서양화 교육의 경우에도 예외가 아니다. 저명한 미국의 교육자 존 듀이(John Dewey)가 교육사는 마치 교육과학의 실험실과 같다고 했듯이, 중국 장쑤성 난징은 명나라 때부터 중국의 전통적인 교육문화로 중요한 지역이었고, 이후 가장 먼저 서양의 미술교육을 받아들여 여러 선진적인 교육적 시도가 이루어졌던 현장이기도 했다. 난징 국민정부가 수립되기 전 사회가 불안한 가운데서도, 많은 기업가와 교육자들은 실업(實業) 구국과 교육육인(教育育人)의 이념을 굳게 믿고 교육 실업(實業)을 크게 발전 시켰다. 난징 고등사범학교의 창립도 교원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였다. 이후 난징 국민정부의 수립으로 장쑤는 정치적 편익을 누렸고, 특히 장강(長江) 이남의 난징 지역은 경제적 우위를 점했다. 이와 같은 경제력은 미술의 발전과 교육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했으며, 이처럼 중국 교육의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로 대표성을 띠는 난징을 연구 분석해 보면 중국 전역의 교육 발전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 서양화 및 교육발전과 장쑤 난징 미술교육의 번영에 관한 경험을 총결산하여 전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장쑤성 난징 지역과 대표 예술가와 작품을 예로 들면서 미술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난징 회화 교육이 낳은 역사적 배경과 그 역사적 영향, 전망에 대해 보다 심도 있게 탐구했다. 이 연구는 청나라 말기(1903년)부터 현대까지 난징 지역의 학제에 따른 미술교육 및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고찰하고 있다. 먼저 서양화 및 서양화 교육이 중국에서 발전하게 된 배경을 소개하였으며, 오늘날의 예술 형식은 과거의 예술 전통과 모두 내적 연관이 있음을 염두에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대 중국 예술이 가지고 있는 전통문화 유전자와 민족 특색을 충분히 연구해야만 현대 예술 교육 방식의 개혁과 예술 이론 체계의 완성을 촉진할 수 있다. 미술 교육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술교육이 중국 역사에서 어떻게 일어나고,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이것은 미술교육이라는 현상이 존재하는 원인과 그 배경과 기초, 발생의 필연성 등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나아가 미술교육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중국 미술교육의 발전적 변천과정을 총괄하여 정리해 보아야만 자기 민족의 교육적 특성과 변화 법칙을 정확히 알 수 있으며, 올바른 사고를 통해 미래의 중국 미술교육 발전에 대한 조언을 할 수 있다. 한편, 난징의 역대 예술대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교의 기본이념, 훈련패턴을 검토하고 교육목표와 교육시스템의 과학성과 전체성을 배양한다. 그 중에서도 난징중앙대학교 예술학과에서 교편을 잡았던 쉬베이홍의 사실주의 교육을 중심으로 당시 미술교육에서의 미술적 주장과 교학 관념, 이 관념이 중국 미술 교육계에 미치는 영향과 의의를 논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예술학과는 초기 예술대학으로서 서양 아카데미의 사실주의 체계와 규범을 도입하고, 중국과 서양의 융합을 통한 유화 예술교육 방식을 시행하여 많은 사실주의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초기 사실주의 유화의 전파와 발전을 추진하여 20세기 중국 유화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화 교육 체계와 학파가 되었다. 현대 예술대학의 발전 추이를 결합하여 경험과 교훈을 정리하고, 현대사회에서 현실주의 미술교육체계의 한계를 자각적으로 극복하고, 현재 현실주의 서양화 교육의 함의 심화와 확대에 대한 참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1906년 양강 사범 학당 설립을 기점으로 난징의 미술교육은 현재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고 있지만 서양화의 교육 이념이나 양성 규격, 전공학과 과정의 설치 등에서 구조적인 최적화와 변신은 없었다. 현대의 미술교육은 기법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미적·인문적 소양 향상을 목표로 삼았을 것이다. 난징 미술교육의 발전 역사를 살펴보면 미술교육은 장기적인 발전 속에서 자신만의 특징과 체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전통에서 현대로의 전환과 인재양성과 사회적 욕구 사이에서 일부 조화되지 않는 모순을 안고 있다. 온고지신(溫故知新) 난징의 미술교육 역사는 현대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으며, 총화와 반성을 통해 미래 중국 미술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굴하고 중국 현대 미술교육의 개혁과 발전에 귀감이 되고 있다.

      • 韓國西洋畵에 있어서 日本의 影響에 關한 硏究

        김종욱 全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 서양화는 초기 유입부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출발하였다. 그것은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던 朝鮮 美術 展覽會와 초기 해외 유학파들에 의해서 수용되었던 서양화가 일본을 媒介로 하여 일방적으로 유입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일본 식민지 잔재는 현재까지도 일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것이 한국 회화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 서양화의 변천과정과 초창기 한국의 서양화가들이 받아들인 일본식 서양화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 영향이 우리화단에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인식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일본의 서양화는 카톨릭 전파를 위한 종교화나 의식에 사용되었던 제단화의 기법을 일본인이 배우기 시작하면서 江戶시대에 양풍화로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본격적인 양화연구는 1861년 蕃書調所내에 畵學局이 설치되면서부터였다. 그러나 일본에 인상주의적인 기법의 외광 표현이 전해지면서부터 근대 일본 서양화의 발전이 시작되었다. 일본에 인상주의 기법이 전해진 것은 黑田淸輝의 프랑스 유학을 통해서였다. 그의 화풍은 프랑스의 살롱화가였던 Raphael Collin에 의해서 형성되었는데 Collin은 고전적인 사실기법에 인상파의 표층적인 기법을 절충한 작풍을 가진 살롱화가였다. 黑田淸輝틀 중심으로 하여 결성된 '白馬會'는 '明治 美術會'의 舊派틀 압도해 나갔으며 일본의 文展을 비롯하여 각종 공모전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東京美術學校의 교수로 초빙되는 등 일본화단의 중심이 되었다. 1910년을 기점으로 우리 한국의 서양화가들이 度日하게 되고 일본의 아카데미즘이 되었던 절충적 인상주의를 이식하게 되는데 처음 우리의 화가들이 유학했던 학교는 東京 美術學校였다. 東京 美術學校는 초기 한국 서양화의 형성과 많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그것은 조선 미술전람회의 심사위원이 동경 미술학교를 중심으로 선출되었고, 초창기 한국 서양화가들의 대부분이 東京 美術學校에서 미술을 배움으로 해서 당시 동경미술학교의 교수들의 화풍이었던 절충적 인상주의 기법이 한국에 이식되었던 것이다. 일본인 교수들의 영향은 김관호의 <해질녘>과 <호수>를 비롯하여 이마동·심형구·김인승 등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일본인 교수들의 영향을 받아 자신들의 화풍을 확립하였던 화가들이 민족의 현실을 무시한채 새로운 방향의 모색이 없이 현실에 안주하는 길을 택함으로써 朝鮮美術 展覽會와 大韓民國 美術展覽會를 통해서 한국 서양화의 아카데미즘으로 정착되었던 데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때 우리는 한국 서양화에 만연된 일본적 특성을 파악해나가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우수한 한국적 미감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법론적인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맹목적인 반일 감정을 내세우기보다는 유럽으로부터 직접 문화를 흡수하면서 그들의 미감에 맞게 형성된 일본의 서양화의 본질을 이해하는데서 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며 일본과는 다른 환경에서 형성된 한국 고유의 미의식을 전통의 현대화라는 방법을 통해서 현대적 조형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The Western-style painting of Korea should set out in the involving of many problems. That is because the chosun Art Exhibition which had been put into practice with a line a chain in a culture policy and the Western-style painting that adopted by the early study-abroad faction flew in and made a unilateral deployment through Japan. That the vestige of Japanese imperialism is the real situation, which is acting on a main cause of the impeding of the painting development.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grasp of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Western-style painting of Japan and the nature of Japanese style of the Western-style painting accepted by the early Korean painters and recognize how does it affect our painting circle. The Western-style painting of Japan has known by people in the general Japonic practicing of the techniques of the Arts. Painting used for a sacred picture or a ceremony to disseminate Catholicism. There were norma1 investigations on Western-style painting begin with setting up an academic office of arts in Hansyotyou from 1861. The development of Japanese Western-style painting, however, was from the outer light represented by the techniques of impressionism in Japan. Japanese technique of impressionism was through Seiki Kovroda who had been studying in French. He has a drawing pattern built up by Rephael Collin, a saloon painter of French that was making a compromise with the real techniques of Classicism. The White Horse Group that was organized around Seiki Kovroda was surpassing the conservative 'Meisi Art Group' and playing an central ole for all contests including The Cultual-Exhibition, invited as professor, and so on. As the Korean painters of Western-style went to Japan, they learned the eclectic impressionism that became the academism of Japan, and the then school which was by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was Tokyo Art School. It had a correlation with the early forming of the Western-style painting of Korea, in which case the committee of Chosun Art Exhibition was elected around the Tokyo Art School, inasmuch as most of the early Korean Western-style painters took lessons in Arts. There were the techniques of an eclectic impressionism consisting of the professors' painting-style of the Tokyo Art School, which was grafted in Korea. The effects of Japanese professors would be traced to Lee Ma-Dong, Shin Hyung-Gu and Kim In-Sung's works including the Kim Kwan-Ho's works named "Sunset" and "Lake". But the problem more basic than them was that the Western-style painting was fixated into that academism through the Chosun Art Exhibition and the Korea Art Exhibition, with the selection of the way to have a comfortable reside in the reality without groping for new direction in no account taken of racial reality. From that view point, we should have a grasp of Japanesque characteristic diffused in the Western-style painting of Korea and should prepare a methodological basis for the developing of excellent aesthetic senses of Korea, which is to start from the nature of Japonic-style painting, absorbing a direct culture from Europe rather than standing up a blind anti-Japanese feeling, and that may be the way that we acquire a contemporary plasticity through the traditional present painting with the forming of aesthetic senses peculiar to the Korea in the surroundings different from Japan.

      • 韓國近代 西洋畵家 硏究, 1930-1948 : 吳之湖, 李仁星, 金周經, 李快大를 中心으로

        김지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6

        이 논문은 우리나라 근대서양화가들인 吳之湖, 李仁星, 金周經, 李快大의 회화에 관하여 1930년대와 격변의 혼란기였던 1945년 8월 15일부터 1948년경의 해방시기까지를 시대적배경으로 설정하여 연구 조사한 글이다. 1909년 高羲東의 일본유학으로부터 시작된 서양화가 '신미술'로서 한국에 도입되기 시작했을때 그것은 서구로부터 직접 도입된 것도 또한 서구의 '근대회화'를 수용한 것도 아니고 일본으로부터 받아들이는데서 비롯됐다. 일제치하(1910∼1945)라는 한국의 시대적 상황하에서 한국의 서양화가 식민본국인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인상파 등 새로운 미술사조조차 '高羲東'은 물론 '金觀鎬' '李鐘禹' 등 서양화 도입기의 선각자들에게는 아무런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였으며, 서양화라는 새로운 기법의 경험 이외의 것으로 상승작용을 하지 못했다는 역사적 사실은 어느 측면에서의 접근도 명쾌한 것이 될 수 없는 것이다. 한일합방 전후한 시기에 일본으로 건너가 서양화를 전공한 高羲東, 金瓚永, 金觀鎬 등의 선구적인 양화가들이 형성기에 미술수업을 받은 동경미술 학교의 화풍은 明治 26년(1893) 10년간의 프랑스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黑田淸輝(1866∼1924)의 양식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리하여 동경미술학교 졸업생들이 주축을 이루었던 우리나라 초기 서양화단은 黑田淸輝風의 외광파-아카데미즘(Acadamism)으로 일색을 이루게 되었던 것이고, 蘇展은 이 화풍을 권장하여 선전하였고 따라서 서구의 문화를 받아들여 민족미술의 발전을 도모하는 길은 철저히 차단됐다. 일본의 식민지 잔재가 우리 미술양식 또는 작가의식에 남아있는 것을 구체적으로 지적해 내는 일은 매우 힘들고 미묘한 작업일 것이며. 어떤 의미에서 일본의 영향은 우리의 독자적인 근대미술 형성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1930년대의 우리나라 서양화단은 일제 식민지 기간 중 가장 활발한 그룹활동과 진보적인 조형사상이 대두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시기에 蘇展과 協展은 출품작들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여전히 화단의 중추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동경미술학교 출신의 화가들로 구성된 東美會와 在日洋畵家들의 白蠻洋畵會가, 그리고 1935년에는 收日會(이후 牧時會로 개칭)·新美術家協會가 각각 결성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부터는 일제의 대륙침략전쟁의 단행과 태평양으로 확대시킨 전쟁으로 인하여 한국에 있어 그들의 식민지 예속화 정책이 한층 더 강화됨으로 인하여 화단활동 역시 위축되기 시작하는데, 1936년 協展의 중단은 그 상징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937년의 중일전쟁으로 야기된 사회적 불안 속에서도 민족의식을 표방한 白牛會(이듬해 在東京美術家協會로 개칭)가 결성되기도 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인상주의 이후의 서구 모더니즘이 적극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함으로써 한국 현대서양화의 기조를 이루고 있으며, 具本雄·李仲燮 등을 중심으로 하는 야수파적인 경향과 金煥基·劉永國 등을 중심으로 하는 추상파적인 경향의 2대조류가 그것으로 1920년대의 몇몇 화가들이 구미각국의 미술계와 접촉했지만 그들의 시각적 경험이 후진적인 우리 화단에 별반 자극을 주지 못한 데 비해 일본을 통해 받아들인 서구의 모더니즘은 화단에 새로운 시각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 다양한 서구 모더니즘의 유입이 활발하였고, 인상주의적 화풍이 작가에 따라 개별적인 조형사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던 1930년대에 吳之湖는 동양철학의 사유성을 내재한 자신의 미학을 바탕으로 사물에 담겨진 생명과 응축된 에너지의 발산을 광휘에 찬 색채로 구사함으로써 독자적인 조형성을 보였고. 金周經은 吳之湖와 같은 회화사상을 갖고 자연대상물들을 생명을 가진 유기적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광선을 '신비로운 빛'으로 해석하여 이를 독특한 색채로 표현하여 吳之湖와는 또다른 차원의 작품세계를 전개하였다. 또한 서구의 근대적 회화영역을 체득한 결과라고 보기에는 미약하나 나름대로 그것을 주체적으로 소화 발전시켜 한국인의 정서와 애환이 깃든 독특한 회화양식으로 전개시켰던 李仁星, 李快大 등 우리 근대서양화단에서 이들의 회화사적 의미는 매우 깊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of the Korean modern painters such as Oh Ji Ho, Lee In Seoung, Kim Joo Kyung, Lee Quai Dai is focused on the 1930's and the liberated period (1945. 8. 15∼1948) when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messed with a rapid change and confusion in relation to Japanese Occupation. Even though the western oil painting was introduced to Korea by Ko Hee Dong's abroad study to Japan in 1909, it wasn't the direct recipiency of western modern painting from the West but from Japan. It seems to be difficult that the Korean oil painting was get out of the Japanese influence in the historic circumstances of Korea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1910∼1945). Even 'Impressionism', one of the new trends of art couldn't pay attention to such pioneer painters mentioned above as Ko Hee Dong, Kim Kwan Ho, Lee Jong Woo, etc. It means that the trend of art wasn't important fact to them during the period when the oil painting was introduced to Korea. Therefore it isn't be able to analogize a clear explanation with any various approach from the historic fact that impressionism couldn't be ascended to catch an interesting and worthy concern, it was only a way of the western painting as a new visual experience.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the Korean progressive artists such as Ko hee dong, Kim Chan Young, Kim Kwan Ho had taken art lessons at Tokyo Art School in Japan.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tyle of painting of the art school of Tokyo is the style of Kuroda Seiki(1866∼1924) who had come back to Japan after his 10 year art study in France. Then the world of the early western oil painting artists composed of the graduates of Tokyo Art School was mainly involved 'Pleinairism' & 'Academism' of Kuroda Seiki, and Chosun Art Exhibition promoted and recommended this painting style. Being isolated from the western culture was an obstruc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 at all. It is too difficult and complicated to point out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from the style of Korean Art and the spirit of Korean artists in detail.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influence of Japan wa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art. In 1930's, the world of western oil painting in Korea had the most vigourous activity of art group and a progressive theory of the formative art was begun to be appeared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In this period Chosun Art Exhibition and Exhibition of Western Painting Association were on the leading position with the rapid increase of group or private exhibitons. There were also Dong Mi Association composed of Tokyo Art School and Paik Man Yang Hwa Association of Korean artists of oil painting in Japan. And Mok Si Association (changed this name to Mok II Association later) and New Atists Association were organized in 1935. Japan had carried out an aggressive war to the Chinese and intensified it to the Pacific late in 1930's. By this fact, their policy of colonization & subordination on Korea was getting stronger. It had an effect on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art world begun to be shrinked, the discontinuance of Exhibition of Western Painting Association was the symbolical example of it in 1936. Despite of the social unrest caused by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in 1937 Baik Woo Association (changed the name to Association of Korean Artists staying in Japan the next year) was organized with stand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this period 'Modernism' after 'Impressionism' began to be accepted positively and it formed the basis of the Korean modern art. There were two different trends of art in Korea, one was the tendency of 'Fauvism' which Koo Bon Woong and Lee Joong Seop were interested in and the other was the tendency of 'Abstract Painting' of Kim Hwan Ki and Yoo Young Kook. Even though several artists of late in 1920's tried to get in touch with the art world of western countries, their visual experiences couldn't give enough stimulus to the backward art world of Korea. On the other hand, it was remarkable that the 'Modernism' accepted from Japan had shown a new vision to the Korean art world. Especially the inflow of western 'Modernism' became active and 'Impressionism' became the formative ideas of art according to artists individually in 1930's. Then Oh Ji Ho showed his unique farmativeness by commanding the diffusions of the life and the energy condensed of objects with his splendid colors, it was based on his own aesthetics with thinking of the oriental philosophy with same thoughts of art as Oh Ji Ho's, Kim Joo Kyung recognized the nature is the organic existence having its own life and interpreted that a light is mystic. Therefore he could unfold his art world in his own characteristic colors different from Oh Ji Ho's. Lee In Seong and Lee Quoi Dai are also important on the history of the modern art world of Korea. It couldn't be suitable to be understood like that it was the result of comprehending the art world of western countries, especially oil painting, but they digested and developed it, and expanded to the characteristic painting style having joys and sorrows of Koreans at last.

      • 중학교 미술교과의 감상영역에서 이야기가 있는 서양화 감상 지도방안

        전화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3

        본 연구는 감상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미술 감상을 이해하고, 감상교육의 실천으로서 교육방법의 다양성을 열어두고자 ‘중학교 미술교과의 감상영역에서 이야기가 있는 서양화’를 중심으로 감상지도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오늘날 미술교육에서 무엇보다 감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표현중심으로 진행되는 교수-학습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감상교육의 적극적인 교수를 위한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Ⅱ장에서는 미술 감상 지도를 위한 이론적 고찰로, 감상의 개념정의를 통해 감상의 의미를 파악하고 감상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 교육에 있어서 감상활동의 동기유발을 의도하였다. 또한 다양한 감상지도 방법을 소개하고 미술과 교과서의 감상 영역을 살펴봄으로 이야기가 있는 서양화 감상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 의한 감상활동은 감각과 지각을 통해 미적안목을 향상시키고 대상의 가치를 발견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학교 밖, 실생활에서 그 가치를 더욱 발견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감상 방법으로는 심미적 감상, 비평적 감상, 역사적 감상이 있으며 활동형태에 따라 토론법, 관찰법, 모의 미술관법, 문예법, 제작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감상 영역을 살펴보면 미술사와 미술비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양미술의 흐름에서 미술의 화두는 신화와 종교 및 역사의 재현으로 이와 같은 소재를 모티브로 제작된 작품이 주를 이룬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양한 감상지도 방법과 미술교과서의 감상영역을 분석한 결과 가장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모색하여 ‘이야기가 있는 서양화 감상 지도방안’을 제시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Ⅲ장에서는 이야기가 있는 서양화 감상교육을 더욱 구체화 하였으며, 그 내용으로는 이야기가 있는 서양화 감상교육의 의의를 소개하고 미술 교과서의 감상 영역에서 도판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주제를 신화와 종교, 역사로 크게 분류하였다. 그리고 신화, 종교, 역사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소개하고 감상방법을 모색하였으며 이 장에서는 교과서 이외의 작품들을 추가 제시함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을 쉽게 이해하고 연계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Ⅳ장에서는 실제적으로 지도안을 작성하여 이야기가 있는 서양화 감상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는데 프로그램은 각 주제별로 1개의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야기가 있는 서양화 감상 지도방안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에 담긴 이야기를 앎으로써 작품에 대하여 흥미를 갖고 감상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며 표면적으로 들어나 있지 않은 작품속의 이야기를 통해 내용과 의미를 새롭게 인지할 수 있다. 둘째, 작품에 표현된 인물의 표정과 몸짓을 의미 있게 바라볼 수 있으며 자신에게 이입하여 감정을 더 풍부하게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상황을 자연스럽게 상상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으며 표현활동으로도 이어나갈 수 있다. 셋째,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구성해 나감으로써 단순히 그림을 보는 행위보다 앞 뒤 문맥에 맞게 이성적이고 논리적으로 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으며, 그 과정 속에서 언어 유창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야기의 구성은 작품을 오래 기억하도록 도와준다. 넷째, 신화와 종교, 역사는 다양한 세계문화와 인류문화를 가지고 있어 교육적, 문화적, 사회적 가치를 얻을 수 있으며 통합적인 교육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감상지도에 대한 결과 분석이 아닌 지도 방안 제시라는 제한점을 안고 있어 다양한 감상법 중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 하나의 감상방법으로써의 의미를 가지며, 이야기가 있는 작품을 감상할 때 학생들이 감상에 더욱 흥미를 느끼고 즐거움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감상지도방안으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 한국 서양화에 있어서 누드화에 대한 연구 : 1910~1940년대를 중심으로

        장미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775

        누드가 예술적 가치로서 현대 미술에 중요한 과정으로 존재하고 있지만 한국의 근·현대 미술에 있어서 누드화에 대한 연구가 빈약한 실정이다. 한국에 서양화가 들어온지 1세기가 지나가고 있는 오늘날에도 누드화에 대한 거부감이 잔재한다는 것은 우리의 잘못된 시각과 편견 탓도 있지만 한국 미술에 있어 누드화의 전통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랜 세월을 이어오던 전통적, 도덕적, 윤리적 문제를 간과할 수는 없었고 조선시대의 유교사상에 젖어있던 당시 사람들에게 누드화는 상당한 충격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1910년대에 일본을 통해 유입된 서양화는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인 고희동과 최초의 누드화가로써 김관호를 기점으로 한국 서양화의 정착과정과 초기서양화 도입시 일본인 화가들의 한국에서 활동도 다루어졌다. 서양의 누드화에 대한 개념과 역사를 통하여 1910~1940연대를 중심으로한 한국 누드화의 정착과 누드화 도입시 일반인들의 다양한 시각을 통하여 누드화가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를 연구하였다. 한국의 서양화의 흐름으로는 인상파(자연주의, 향토주의), 아카데미즘(사실적, 관학파적), 표현주의(야수적, 추상)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누드화에 나타나는 성향을 주로 아카데미즘과 표현주의에서 작품들을 찾아볼 수 있다. 아카데미즘의 누드화로서 대표적인 화가로 김관호, 이인성, 이종우, 김인승, 오지호, 도상봉 등을 들 수 있고, 후기 인상주의와 야수주의 및 표현주의 성향의 작가들로는 구본웅, 서진달, 임군홍, 나혜석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대부분의 초기 누드화는 6.25 동란 전까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누드화 역사를 발굴해야 할 시점에 있다. 19세기 서양의 시대적 상황에서 나타난 인상주의나 아카데미즘이 일본을 통해 들어옴으로서 한국 식민지시대 이후 미술계에 자생적이고 창조적 양식의 경향이 아닌 대부분 일본을 매개체로 간접 수용된 양식이었다. 따라서 일본 화가들의 작품활동과 작품경향도 비교 연구되었다. 비록 표현방법이나 양식이 일본 서양화 범주에 젖어 있었으나 한국 회화 역사상 의미 있는 일이며 해방과 더불어 일본 화풍에서 벗어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초의 누드화가 그려진 이래 하나의 새로운 예술영역을 구축하고 정착시켜 놓은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여 한국 누드화가 발전하여 온 것을 연구, 분석하였다. In spite of the weighty artistic value the nude picture has gained in the process of contemporary fine arts, the studies on the nude in the near modern and modern era in Korea have been rather poor. It is due partly to our odd view and prejudice against the nude picture and partly to its short tradition in Korean fine arts world that there still exists some veto on the nude even after one century has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painting in Korea. Nude pictures were really a great shock to the people who, soaked deep in the Confucianism of the Chosun Dynasty, saw them first and couldn't turn their faces away from the traditional, moralistic, and ethic issues associated with it. The Western paintings were initially conveyed to Korea via Japan by Go Hi Dong and Kim Gwan Ho, the first nude painter of Korea and settled down with help of Japanese painters who were active then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nude painting was introduced and accepted through varied prisms by the mass and settled especially around 1910-1040, in Korea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ualization and history of nude painting in the Western world. The major trends of Western painting in Korea may be divided in impressionism(naturalism, localism), academism(realism, bureaucracy), and expressionism (Fauvism, abstractionism). The characters of nudism can be particularly seen, among others, in the works of academism and expressionism. Among the major nude painters involved in academism are Kim Gwan Ho, Lee In Sung, Lee Jong Woo, Kim In Seung, Oh Ji Ho and Do Sang Hang. The painters inclined to represent the school of postimpressionism, Fauvism and expressionism include Gu Bon Wung, Seo Jin Dal, Lim Gun Hong and Na Hye Seok. Since there remain little works of early nude pictures before the Korean War, time has already come to approach the nude pictures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It is true to say that spontaneous and creative styles are not significantly found in Korean fine arts circles especially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because most trends of impressionism or academism, products of the timely situation in the 10th century, were received indirectly via Japanese medium. This is why the trends and activities of Japanese painters and their works are also compared and investigated in this study. It is, however, historically meaningful to be able to find, from the moment of the liberation, and attempts to get rid of the Japanese style and category of Western paintings our painters were involved in till then. In sum, this study tries to search and analyze the progress of Korean nude painting by introducing the works of those who have sought after and contributed to constructing and cultivating a new artistic genre since the first nude painting was drawn in Korea.

      • 韓國 近代 西洋畵의 時代的 狀況 -1900년에서 1945년을 中心으로-

        천현수 淑明女子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759

        1900年代에 外國文物을 접하게 되며 시작된 우리나라 西洋畵의 흐름은 近來에 와서 多角的인 側面으로 硏究되고 있지만 모든 硏究의 기초가 되는 文獻的 資料의 정리와 蒐集이 未備한 실정이다. 印象派 등 새로운 美術思潮조차 ‘고희동’은 물론 ‘ 김관호’·‘이종우’ 등 西洋畵 導入期의 선각자들에게는 아무런 중요한 意味를 부여하지 못하였으며, 西洋畵라는 새로운 기법의 經驗 이외의 것으로 上昇作用을 하지 못했다는 歷史的 事實은 어느 側面에서의 接近도 明快한 것이 될 수 없는 것이다. 本 論文에서는 1900年頃부터 일제의 식민통치가 끝나는 1945년까지로 한정하여 韓國 近代 西洋畵의 時代的 狀況 속에서 西洋畵의 導入과 흐름, 그에 따르는 特性과 그 時期에 탄생한 西洋畵家들의 作品과 背景 등을 본인 나름대로 分析 整理해 보았다. 지나온 時代가 混亂스러웠던 만큼 남아 있는 歷史의 記錄이나 作品이 만족할 만큼 충분치는 않으나 韓國 近代 美術史에 대한 檢討의 必要性을 느끼고 韓國 近代 西洋畵에 史的인 接近을 해보려는 데 本 論文은 그 意味를 두었다. The stream of western styled paintings which had been faced and begun at the beginning of 1900's is studied now at various points, but there are unsatisfied researches and arrangements of literatures for the base of its study. The historical facts that the impressionist school and even a new art school showed no significance to the pioneers such as Go Hi-dong, Kim Kwan-ho, Lee Jong-woo in the days of introducing the western styled pictures and it didn't effect further except that it was a creterion of new painting techniques that is western styled paintings cannot give any clear approach at any sides. In this thesis, from 1900's until 1945 when. colonial days was over, the introduction and the stream of Korean modern styled pictures under those historical situations and concomitant characters and the surroundings and the works of western styled artists who rose up in that times are analyzed and arranged. So far as confused the past days, there are not enough data satisfied, bu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tried to approach historically to the Korean modern history of western styled pictures from the need of examin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