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 상례 절차에 발현된 사생관 연구 : 초종 절차를 중심으로

        임성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structural background and meaning of funeral rite procedures, to consider their functions and things on which symbolism inherent in the procedures based, to analyze appearance of EumYangOHaeng Theory through the whole period of mourning, to review influence of the EumYangOHaeng Theory on funeral rites and then, to investigate ancestors' view on life and death. Funeral rite procedure prepares funeral from the whole period of mourning; disposes and lays the dead body; and, take a series of complicated process of rite to sublimate it to ancestral god later. Funeral rite procedures are responsibility and duty of survived family members who shared their life with the late precious people and finalize final departure with them and therefore, the procedures are very important ones to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courtesy and filial duty. If death comes near, they do Cheongeojeongcham; if disease is serious, they clean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they move the patient to a formal bed; and, they change clothes with official uniform or clean casual clothes with the patient head to the east under a window of northern wall. In the stage of Sokgwang and Gijeolnaegok, they wait for the patient last breath with stabling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and they can see the final breath by movement of Sinmyeon. Next, as a ceremony of inviting the soul of the dead, they perform service of Decoration Day hoping restoration of the dead to god. As the first stage of disposing the dead body, they conduct Susi and make a coffin. After Soryeonm and Daeryeom, they finalize the procedures with Balin, Geupmyo and Bangok and then, come back to their home. In the past, they held ancestors in veneration and earnestly practiced filial duty with courtesy through funeral procedures but it is quite different now. It is required to reconsider exiting simple funeral rites which only pursue convenience and reasonableness and then, to wisely keep what is to be maintained. Like the procedures to send parents or ancestors carefully, ritual service to the dead as the god of ancestor shows that filial duty has to continue even after their death. It is understood that filial duty is a virtue to be practiced not only during existence of parents but also after their death. 본 논문의 연구 배경과 목적은 상례 절차의 구조적 배경과 의미는 무엇이고, 어떻게 기능해 왔으며 각 절차에 내재된 상징성은 무엇에 기반하고 있는가를 고찰하고, 음양오행 사상이 초종 절차를 통하여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그 음양오행 사상이 상례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하고 그 속에서 조상들의 죽음에 대한 사생관을 살피고자 함이 목적이다. 상례(喪禮)란 주검만을 처리하는 과정이 아니라 죽은 자를 공경하는 마음으로 장사(葬事)지내는 의례이며, 조상신(祖上神)으로 승화(昇華)시켜 효(孝)를 바탕으로 제향(祭享)하는 인간 윤리의 근본이며 도리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상례 절차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 까지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조상의 죽음에 대해서는 효심을 담아 행해야 한다는 의식이 흐르고 있다. 상례는 초종으로부터 장례를 준비하고, 주검을 처리하고 안치하고 그 후 조상신으로 승화 시키는 제를 모시는 일련의 복잡한 과정을 지내게 된다. 죽음이 가까워 오면 천거정침(薦居正寢)을 하는데 병이 위중하면 집 안팎을 청소하고, 환자를 정침(正寢)으로 거처(居處)를 옮기며, 북쪽 벽 밑 창문 아래에 머리를 동쪽으로 하여 뉜 후 관복(官服)이나 깨끗한 평상복으로 갈아입힌다. 속광(屬纊) 및 기절내곡(旣絶乃哭)의 단계는 안팎을 안정시켜 숨이 끊어지기를 기다리는데, 신면(新綿:햇솜)을 인중(人中)에 얹어두어 숨을 거두었는지 살피는데, 신면(新綿)의 움직임으로 숨이 끊어졌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망자(亡者)의 혼(魂)을 부르는 의식으로 신(神)에게 소생(蘇生)을 바라는 마음으로 초혼(招魂)을 행한다. 매장을 하기 전까지는 망자의 육신은 빈소에 머물고 있으므로 산사람과 동일한 대접을 하기 위하여 식사 때 마다 상식을 차린다. 이것을 전(奠)이라 하고 혼(魂)이 드신다고 생각하여 의지할 수 있는 술과 음식을 받들어 올리는 것이다. 돌아가셨다고는 차마 인정하기 어려워 생시(生時)의 예(禮)로, 살아 있을 때와 같이 섬긴다는 의미에서 제(祭)라 하지 않고 전(奠)이라 한다. 시신(屍身)을 처리하는 최초의 단계로 시신이 굳기 전에 얼굴과 손발을 바로잡는 일과 피와 가스가 분출되지 않도록 풀솜이나 탈지면으로 입, 코, 귀 등을 막는 수시(收屍)를 행하고 『禮書)』에서는 발이 뒤틀리지 않고, 입이 닫혀 굳어버리면 습(襲)의 절차에서 반함(飯含)을 못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설치철족(楔齒綴足)을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호상은 목수에게 명하여 관을 만들도록 한다. “치장이라는 것은 장사를 지내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행하는 일체의 모든 행위를 말한다. 치장에서 장(葬)은 감춘다는 뜻으로 사람들이 보지 못하도록 감추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관(棺)을 곽(槨)으로 둘러싸고 흙으로 곽 주위를 흙으로 채운다. 상례(喪禮)는 주검을 처리하는 장례(葬禮)와 죽은 자를 조상신(祖上神)으로 승화시켜 묘(廟)에 안치하는 것과 제사를 지내기까지의 모든 의례(儀禮)를 포함하며, 고대에서부터 이어져 오는 것으로 조상들의 생활문화와 정신문화를 살펴볼 수 있고, 현재의 간소화 된 의례와 비교해볼 때 새겨보아야 할 중요한 의례이다. 상례(喪禮)는 이승에서의 삶을 끝내고 함께해온 소중한 사람들과의 마지막 이별을 하는 과정을 잘 마무리 하기위해 남은 자들에게 주어지는 책임이며 도리이기 때문에 예(禮)와 효(孝)를 바탕으로 치러야 하는 중요한 절차이다. 주검을 처리하는 장례(葬禮)절차와 죽은 자를 묘(廟)에 안치하여 조상신으로 승화시키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제사를 지내기까지의 모든 의례(儀禮)를 포함하는 것이다. 선조 때부터 이어져 오는 상례를 살펴봄으로써 조상들의 생활문화와 죽음을 대하는 정신문화를 살펴볼 수 있었고, 현재 많이 간소화되어 실행되고 있는 상례와 비교해서 새겨보아야 할 중요한 의례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상례의 모든 절차 속에 녹아 있는 음양오행론의 사상이 조상들의 사생관에 잘 나타내고 있다. 자연과 인간은 상호 영향을 미치는 관계이다. 인간이 지켜야하는 도리인 예(禮)의 질서도 자연의 질서인 음양오행을 따라야 할 것이다. 음양오행의 질서가 자연의 이치이고 질서이기 때문에 이러한 질서를 따르는 것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선조들의 상례를 통해서 조상을 섬기고 예(禮)를 다하고 지극하게 효(孝)를 실천하는 모습이 지금 현재와는 많이 다름이 보여 진다. 편리함과 합리성을 추구하며 간소화 되어 실행되고 있는 현재의 상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시대에 맞게 지킬 것은 지키고 지혜롭게 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유교상례의 죽음교육 적용방안 연구 : - 적합성평가와 생애주기별 죽음인식을 중심으로 -

        신여진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alking about death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life, which is the premise of death. Therefore, preparing for death must be recognized as a matter of life that must include a positive will for life. Death education requires that death be a practical education that seeks the meaning of death in the process of full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it throughout life, rather than death as a contraindication or denial. It is clear that the essence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should be a topic of our society as it leads to our own success through a correct understanding of death, and it is an important matter to be educated from an early stage. Confucian mourning will overcome the refusal to die through the universal and everyday character of the ritual, as well as the symbolic and periodic character. In addition, as a subject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t will lead to reflection on death through learning and daily ritual practice, and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death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understanding and success of death is in contact with the process of ritualization through Confucian mourning, and it is possible to practic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rough ritualization. The experience of ritualization by mourning affects the degree of awareness of death, and ritualization from a ritual point of view means tha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s been completed. We verified the validity as a subject and analyz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by life cycle. From the viewpoint of validity to death preparation education subjects and lifelong education through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tendency of mourning to be ritualized, the results of subject suitability evaluation for educational content were analyzed by ritualization, but the accessibility of mourning rituals was the highest, and mourning was ritualized. Was investigated to be low. It seems tha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approach of death through festivals, or the indirect formation of awareness of death through theories and rituals belonging to ceremonies such as Chuseok. In addition, in the nine subject suitability assessment factor analyzes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urity appears highest, followed by intelligence, formalism and orthopedicness. On the other hand, spontaneity and repetitiveness were analyzed to be the most inadequate, depending on the closed nature of the death ritual. In the analysis centered on the mourning procedure, the procedures for the wake festival and the condolence showed an even distribution in the subject suitability evalu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st prominent parts of the ritual characteristics of mourning were formalism and symbolism, as well as formalism and procedurality, and that etiquette emphasized form very much. The intellect also shows an even distribution, indicating that mourning is a very solemn ritual, unlike other rituals. The educational procedure for mourning mourning for the practice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at reflects the life cycle is through the study and participation of mourning festivals (u-je, jol-gog, bu-je, so-sang, dae-sang, dam-je, gil-je). It should be preceded by experiencing death and post-mortem ritual changes. After that, the condolences experience the empirical elements of the death ritual, and the dressing combines the death and the ritual by experiencing the daily changes due to the change of clothes. Play songs while returning, leave the hall, arrive at the graveyard, move the body, prepare for the funeral, etc. are burial-related procedures that will enable an understanding of the separatist character of death through changes in space due to death. Finally, the procedure of dying, bathing in the dead, getting dressed, tying a little clothes, tying a lot of clothes, which progresses face-to-face with death for the first time, is a procedure to directly confirm the death of the deceased and proceed, and death is near life through the death of the closest related subject. It will make you realize that it is an inevitable thing that everyone will experience. Overall, it was analyzed tha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mourning should be promoted in the order of "mourning festival ⇛ funeral procession ⇛ first final ceremony". If this is subdivided again by life cycle, the mourning ritual and condolences will be experienced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eath recognition in early childhood, and in the youth, the mourning ritual and funeral ritual will be the main participation, and then the adult. At the end of the term,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mourning procedure. The above discussion has allowed us to focus on the question of how we now understand and prepare for the prepared death. Various debates for death education will lead us to be with us to death that can make and grow life, not death equivalent to our lives. The practice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rough mourning, the courtesy of death, is a death education with an integrated perception that connects learning and morality by looking at what death education is for our emotions make it possible. Regarding the part where we could not concentrate on the plan for the practice of death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we pledge continuous research and expect further discussions in later studies. 죽음에 대한 논의는, 전제조건이 되는 삶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그렇기에 죽음을 준비한다는 것은 삶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포함한 삶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한다. 죽음교육은 금기하거나 부정해야 할 대상으로서의 죽음이 아니라, 삶을 통해 온전히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죽음의 의미를 찾는 실천적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을 요구한다. 죽음교육의 본질은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자신을 성찰에 이르게 하는 것이기에 우리 사회의 화두가 되어야 하며 이른 시기부터 교육되어야 할 중요한 사안임에 분명하다. 유교상례는 의례가 가지는 보편성과 일상성 그리고 상징성과 주기성 등을 통해 죽음에 대한 거부감을 극복하고, 죽음교육 교과로서 학습과 일상에서의 의례적 실천을 통해 죽음에 대한 성찰로 이어지면서 한국인의 정체성 확립과 연계된 죽음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죽음교육의 관점에서 죽음에 대한 이해와 성찰은 유교상례를 통한 의례화과정과 맞닿아, 의례화를 통한 죽음교육이 가능하다. 상례를 통한 의례화 경험은 죽음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의례화의 완성은 유교상례의 시각에서 죽음교육이 완성되었음을 뜻한다. 이를 바탕으로 상례의 교육기능과 죽음교육 교과목으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생애주기에 따른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실천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상례의 의례화 경향에 따른 유형분류를 통해 죽음교육 교과목으로의 타당성과 생애주기별 죽음교육의 관점에서 교육내용에 대한 교과적합성 평가결과는 의례화정도로 분석하였는데, 상중제례의 접근성이 가장 높고, 초종의례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례를 통한 죽음의 접근, 또는 설과 추석 등 경사(慶事)에 속하는 의례를 통해 죽음에 대한 인식을 간접적으로 형성하게 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죽음교육에 대한 9가지 교과적합성 평가요소 분석에서는 순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이어 진지성, 격식성과 정형성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자발성과 반복성은 죽음의례의 폐쇄적 성격에 따라 가장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례절차를 중심으로 한 분석에서는 우제와 조문의 절차가 교과적합성평가에서 균등한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제례와 조문의 행위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반복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상례의 의례적 특성이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으로는 격식성과 상징성 그리고 정형성과 절차성이 강조되어 상례가 매우 형식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진지성 역시 균등한 분포를 보여 상례가 다른 의례와는 달리 매우 엄숙한 의례임을 알 수 있었다. 생애주기를 반영한 유교상례의 죽음교육진행절차는 상중제례(우제, 부제, 소상, 졸곡, 대상 담제, 길제)에 대한 학습과 참여를 통해 죽음과 죽음이후에 대한 의례적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어서 조문은 죽음의례의 경험적 요소를, 성복은 복장의 변화를 통한 일상의 변화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죽음과 의례를 연결하여 경험하게 한다. 반곡, 발인, 급묘, 천구, 치장 등은 장사(葬事)와 관련된 절차로서, 죽음으로 인한 공간의 변화를 통해 죽음의 분리 의례적 성격의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죽음을 처음 대면하여 진행하는 초종과 습, 소렴, 대렴의 절차는 고인의 죽음을 직접 확인하고 진행하는 절차로서 가장 가까운 관계속의 대상자의 죽음을 통해 죽음이 삶의 가까이에 있으며, 누구나 경험하게 되는 필연적인 것임을 인식하게 한다. 이를 종합하면 ‘상중제례 ⇛ 장송의례 ⇛ 초종의례’의 순서로 상례에 대한 죽음교육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다시 생애주기별로 세분하면, 유아기의 죽음인식에 대한 특징을 고려할 때 상중제례와 조문을 경험하게 하고, 청소년기에는 상중제례와 장송의례의 참여를 중심으로 진행한 후 성인기에 이르러 유교상례의 절차별 교육이 진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죽음의 문제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준비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집중할 수 있었다. 죽음교육을 위한 다양한 논의는 우리의 삶과 동떨어진 죽음이 아닌 삶을 성찰하고, 성장할 수 있는 죽음으로 우리와 함께하도록 이끌 것이다. 상례를 통한 죽음교육의 실천은 우리 정서에 맞는 죽음교육이 어떤 것인가를 살펴보게 하고, 학습과 실천을 연계한 통합적 인식에서의 죽음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논의의 과정을 통해 죽음교육의 실천을 위한 방안에 집중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다짐하며, 아울러 후학들의 발전된 논의를 기대한다.

      • 상례언해≫의 어휘 연구

        김진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상례언해≫의 어휘를 면밀히 검토하여 정확한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근대 국어 어휘사 연구에 도움을 주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조선시대 상례(喪禮)에 관한 내용을 모아서 언해하여 만든 책인, ≪상례언해≫를 대상으로 한다. 먼저 서지사항에 대한 연구를 제외하면 아직까지 ≪상례언해≫에 대한 분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언어 현상 연구, 특히 어휘 연구는 당시의 언어 모습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하며, 문헌 자체의 국어사적 가치를 드러내는 연구이기도 하다. ≪상례언해≫는 풍부한 어휘와 표기, 음운 그리고 문법 등 이전 시기 한국어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문헌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조선시대 상례에 관한 내용으로 다른 문헌에는 잘 보이지 않는 상례와 관련된 어휘가 많아 어휘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 상례 제도의 상세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인접 학문 영역의 연구에 소중한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상례언해≫ 이본들 중 필사본과 목판본, 방각본, 신식활자본1, 신식활자본2를 대상으로 이들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상례언해≫에 쓰인 어휘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옛말 사전류에 등재되어 있는 어휘,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 사전에 등재되어 있더라도 의미 파악이 잘못 되었거나 사전에 잘 나오지 않는 희귀어 등으로 나누어 어휘를 살펴보았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논문에서 다룬 ≪상례언해≫ 이본 다섯 가지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필사본과 신식활자본1의 경우 어휘 표기가 조금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언해 양상에 별다른 차이가 없고 목판본과 방각본의 언해양상이 같다. 신식활자본2는 위의 본들과는 다른 언해양상을 보인다. 둘째, 기존의 옛말사전에 새롭게 등재해야 할 어휘로는 ‘간지런’, ‘비싯’, ‘사우나’, ‘어우름’, ‘질(質)’, ‘쇄(殺)’, ‘모(冒)’, ‘사(髽)’, ‘서견(舒絹)’, ‘이금(侇衾)’, ‘수락’, ‘저락’, ‘핫이불’ 등이 있다. 셋째, 형태나 의미 분석을 새로 할 만한 어휘로는 ‘결’, ‘녛’, ‘앗다’, ‘줍푸려’, ‘임(袵)’, ‘오(襖)’, ‘은정(銀釘)’, ‘’ 등이 있다. 넷째, 옛말사전류에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지만 ≪상례언해≫의 용례를 추가해야 할 어휘로는 ‘단(袒)’, ‘면(免)’, ‘슉’, ‘견양’, ‘멱건’, ‘멱목’, ‘몸픠’, ‘부(附)’, ‘삭장’, ‘저장’, ‘곡하다’, ‘진애하다’ 등이 있다. 이 문헌의 어휘 연구는 근대 한국어 어휘 연구와 나아가 근대 한국어 사전 편찬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grasp language situations of Sangryeeonhae, particularly making a virtue of necessity in modern Korean word research with investigating vocabulary thoroughly and understand the exact meaning of it. This thesis is aiming at Sangryeeonhae, which is a book done by gathering content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s Sangrye(喪禮). Firstly, this poses the research’s necessity, because there are not many analysis done for Sangryeeonhae. The study of language phenomenon, especially the research of word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ose days language figure and also to reveal the Korean’s historical value in the literature itself. Sangryeeonhae is a high valued literature, which shows an extensive vocabulary, phoneme and grammar of previous period’s Korean feature. Additionally, it is very noticeable because it contains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lexicon research with contenting The Joseon Dynasty period’s Sangrye, which it cannot be found easily in other studies. Also, because this shows the use of a word through example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Sangrye’s system in detail, it may be an important point for adjoining learning fields. Among Sangryeeonhae, this compares and analysis the manuscription, wood book, block book, new-style type printing book1 and new-style type printing book2 and figures out the words used in Sangryeeonhae. Also, examined conscientiously about the words which are existing and not existing in old word dictionaries, wrong word meanings if it has been recorded and rare vocabulary. Will conclude with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Sangryeeonhae’s five different version,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ith the cases of manuscripiont and new-style type printing book1, there are not much differences except aspects of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wood book and block book’s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is similar. new-style type printing book2 shows different conditions with the above copies. Secondly, there are vocabulary which has to be included in existing in old word dictionaries and those are ‘간지런’, ‘비싯’, ‘사우나’, ‘어우름’, ‘질(質)’, 쇄(殺)’, ‘모(冒)’, ‘사(髽)’, ‘서견(舒絹)’, ‘이금(侇衾)’, ‘수락’, ‘저락’, ‘핫이불’ Third, words which has worth to be researched of the from and meanings are ‘결’, ‘녛’, ‘앗다’, ‘줍푸려’, ‘임(袵)’, ‘오(襖)’, ‘은정(銀釘)’ Forth, it has been recorded on old word dictionaries, but word of ‘단(袒)’, ‘면(免)’, ‘슉’, ‘견양’, ‘멱건’, ‘멱목’, ‘몸픠’, ‘부(附)’, ‘삭장’, ‘저장’, ‘곡하다’, ‘진애하다’ has to be newly included in Sangryeeonhae. This literature's word research will be a big chance for further studies of modern Korean word examination.

      • 喪禮의 社會構造的 意味와 機能에 關한 硏究

        강동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funeral rituals is social theme in the meaning of how to take care of the deceased in social systems, and a culture in the meaning of how to take care of the funeral rituals. This study tries to make clear the connections between society, culture and funeral rituals. The Korean traditional funeral rituals originated from Confucianism ruling ideology system in the start of Chosun Dynasty. The Confucianism in that times was adopted to convert the social consciousness of Koryeo Dynasty to that of Chosun Dynasty. In that times, lots of people had a view of the world from Buddhism, Shamanism and Taoism. The ruling classes had wanted to change it with a new conceptions, Confucianism. The funeral culture by this Confucianism idea had humanistic character, but did not bring further progress as it was intrigued with excessive formalities and empty vanity. The most important ritual is funeral in Confucianism. The book of Confucianism is filled with how to deal with the dead, manage the ceremony and construct the cemetery. The ruling classes in that times governed national people, controled the mind of them through funeral rituals. After all, the ruling classes accomplished to build a new and stable social stru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In general, funeral rituals is a mechanism to socialize the participants of the funeral rituals. get rid of struggles between of them, strengthen solidarity among of them. And they present religious rest from the fear of death, and the out look of the world. The functions of funeral is systematically symbolized in funeral rituals in Korea. The ceremony of funeral is filled with these symbols. The symbols are understood in the aspects of participants and social structure. The participants of funeral in Korea are consisted of family, blood relatives, regional society. But the rituals are supervised by the family, especially the eldest son of the deceased. women are excluded from the rituals. Regional society have roles to overcome the departing grief and to return to normalcy. In the aspect of social structure, the funeral ritual are symbolized with time and space structure. In the structure of time, the dead is separated from actual life, and then combined to ancestors. In the structure of space, the living dead on the ground is transformed to the spirit of ancestor. In the Confucianism, ground means life, underground means death or ancestors, sky means God or king. The symbols of time and space is very unique and characteristic in Korean funeral rituals. they represent characters of the Confucianism and Yin and Yang, the cosmic dual forces. In the aspect of Ideology, Korean traditional funeral rituals represented familism and the hierarchy of social status. The status was originated from the birth. But these days, the familism and the hierarchy of feudalistic status have been collapsed, and changed to economic classes and personnel. Korean funeral rituals was more seriously regulated by the practice than any other rites in Korean society, but traditional Korean values began to change by the background of realistic movement starting from the industrialization. But Korean funeral culture should succeed the spirit of politeness and courtesy. Also, for the constant development of funeral rites culture, the reform of national consciousness to eliminate the almighty principle and convenience oriented funeral rituals culture is needed most of all. Death reveals the most central social processes and cultural values. Death is a catalyst that, when put into contact with any cultural order, precipitates out the central beliefs and concerns of a people Korean funeral culture have begun to change the hardware but the software have not, anyway. The symbolic system of Korean funeral rituals should be re-organized by new value systems of consciousness. The social structures has compelled to change, build and create new culture of funeral.

      • 喪禮儀式과 襲服에 關한 考察 : 朝鮮時代 國喪과 庶人喪을 中心으로

        張美善 명지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論文은 朝鮮時代의 喪禮儀式과 喪禮儀式에 나타난 襲服에 관하여 考察하였다. 먼저 朝鮮時代의 喪禮儀式節次를 알아보고, 그 喪禮儀式에 나타난 襲服을 염습단계를 통하여 알아보았는데 國喪과 庶人喪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服飾은 인간의 정서를 반영하고 감정을 표현하여 주는 중요한 문화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평상복과 다르게 儀禮에 착용되는 儀禮服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지는데, 이러한 儀禮 중에서도 喪禮는 인간이 거치는 마지막 通過儀禮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그 의미가 무거운 만큼 절차 또한 정밀하고 대규모로 치러진 朝鮮時代의 喪禮儀式節次와 襲服에서 그 時代의 인간으로서의 도리와 사회·문화적 차별성이 동시에 표출된다. 이렇게 그 時代의 喪禮儀式節次와 그 節次에 나타나는 복식이 當時代의 衣生活을 반영하는 것은 죽음의 세계에서도 현세와 같은 衣生活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來世思想에 기인하는 것으로 喪禮儀式 전반에 걸쳐서 나타나므로 喪禮儀式節次와 그 節次에 나타난 服飾을 살펴봄으로써 當時代의 衣生活을 알아볼 수 있다. 따라서 本 論文의 硏究目的은 朝鮮時代의 喪禮儀式節次와 襲服에 관하여 고찰하여 봄으로써 朝鮮時代의 衣生活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朝鮮時代의 喪禮儀式節次와 襲服을 考察하기 위하여 朝鮮時代의 文獻을 위주로 사용하였다. 그 사용된 문헌은 國喪은 《國朝五禮儀》를 위주로 알아보았고, 庶人喪은 朝鮮時代의 대표적인 禮書인 《喪禮備要》를 위주로 하여《四禮便覽》《正文公愼終錄》《忠文公愼終錄》《廣禮覽》《韓山李氏愼終錄》《金叔當朝鮮裁縫全書》 등이다. 本 論文의 硏究 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喪禮儀式節次는 그 성격상 初終前段階, 初終段階, 斂襲段階, 發靷段階, 脫喪段階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朝鮮時代의 國喪節次와 庶人喪節次는 대부분의 과정이 동일하나, 庶人의 상례절차가 임종의 처음인 초종에서 시작하는 것에 비하여 조선시대의 국상은 보다 복합적이어서 왕의 유언을 받드는 고명의 절차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국상은 군신의 관계와 국가의 위신, 타국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하는 공식적인 행사로서의 儀禮節次가 生者와 大行의 通過儀禮 과정 중에 간간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둘째 國喪과 庶人喪에 나타난 襲服을 보면 그 신분의 상하에 따라 稱數의 차이가 있었고 國喪은 國喪으로서의 권위를 드러내는 상징적 의물이 첨가되었고 그 외의 염습의는 織物의 種類와 色으로써 그 상하를 구별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rehend about the funeral ceremony of Chosun dynasty and the dress of a dead body prepared for burial ; a shroud. First of all, study the funeral ceremony procedure and shroud in dressing the deceased for burial procedure both general and national mourning. Costumes has important cultural function that reflects human emotions. Formal costumes, especially funeral ceremony is the last formal ceremony for the human being so, it's meaning is more important and procedure also. Detailed large scale funeral ceremony procedure and the shroud in Chosun dynasty is expressed social, cultural difference, and propriety of human being in that period. People thought that when they died, they has the same clothing in heaven (thinking of the world after death) so, costumes in funeral ceremony and it's procedure reflects the clothing in Chosu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learning the costumes in Chosun dynasty by consideration from the funeral ceremony procedure and shroud. To study the funeral ceremony and shroud in Chosun dynasty, mainly using the references about courtesy like <Kukchoryeii> <Sangryebiyo> <Saryepyeonram> <Jeongmoonkongjinjongrok> <Choongmoonkongjinjongrok> <Kwangryeram> <Hansanyisij injongrok> <Kimsookdangchosunjaebongjeonseo> and so fo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cedure of the funeral ceremony is classificated 'before the whole period of mourning', 'the whole period of mourning', 'washing and clothing the dead', 'the departure of a funeral from home for the burial', and 'expiration of the period of mourning'. It is almost identical general and national except the first procedure of national mourning in Chosun dynasty is obedience the king's last will. Courtesy formalities of national mourning consider relationship to lord and vassal, other countries and nation's prestige so, it includes more formal procedure in that ceremony. Second, the shroud of both general and national mourning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and color of fabric according to one's social status. National mourning ceremony appending symbolic material for representation of the authority of national mourning.

      • 현행 喪禮儀式에 나타난 喪服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윤은영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통 상례문화는 19C 말 개화기를 맞이하여 서양의 문물이 유입되고,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지나치게 과장된 예식(漣式)으로 취급되면서 20C 초 일제(日帝)의 의례준칙에 따라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특히 1980년대 이후부터 병원 장례식장에서 장례를 치르는 관행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가족에 의해 이루어졌던 상례문화가 점차 전문 장례업체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전통 상복은 제작업체의 생산방식과 상업성으로 인하여 형태가 변형되고 품목에 있어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전통을 무시한 채 무엇이든 간소화하려는 인식은 잘못된 것이며,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들이 경시되고 도외시되는 현실 속에 본연(本然)의 전통 상복을 보전하는 일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 상복을 고문헌 중심으로 살펴보고,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현행 상례의식(喪禮儀式)과 상복착용에 관한 현대인의 의식(意識)을 인구통계학적변인에 따라 알아보고, 제작업체·병원 장례식장·전문 장례식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복의 품목, 형태 및 치수, 소재, 가격 및 제작방식 둥을 조사하여 전통 상복에서 현행 상복에 이르기까지 변화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문제와 전통 상복을 보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행 상복의 실태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복의 품목은 남자 상복인 중의, 남녀 통용 상복인 교대가 사라지고, 여자 상복의 두식류(頭飾類)는 베수건(스카프) 하나로 대신하고 있었으나 베수건마저도 구비한 장례식장이 한 군데도 없었다. 그리고 굴건제복을 입을 때 받쳐입는 옷으로 평상복을 대신하는 등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 생략되기도 하고 혹은 필요 없는 품목이 포함된 경우가 많았다. 상복의 명칭은 각 장례식장마다 일관되지 않은 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남자 상복인 굴건제복의 경우는 제복, 6수 삼베, 마포 상복이라 하고, 여자 상복인 치마저고리를 마포 한복, 하이블이라 하여 소재를 상복의 명칭으로 대신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며, 행전을 행건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명칭의 변화와 소별은 명칭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점과 종사자들의 전문적인 교육 부족, 무관심의 결과라 생각되었다. 그리고 상복의 형태가 변형되고, 치수는 획일화된다는 점이다. 이는 제작업체에서 기본적인 자료나 정보가 없이 상복을 제작하기 때문에 생긴 현상으로 전통상복을 제작한다는 제작자의 자부심과 전통에 대한 의식결여가 문제점이라 생각된다. 또한 치수 획일화는 제작할 때 시간절약과 옷감 절약을 위한 제작업체의 편의주의와 상업주의에 의한 것으로 이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었다. 상복의 소재는 6수 삼베로 마(麻)성분이 없고 면과 화학사가 섞여 제작된 것을 사용하며, 이는 삼베처럼 보이기만 거칠게 직조하여 염색한 후 가공하여 풀을 먹인 것이었다. 그러나 포장지에는 6수 삼베100%(낙면7수)로 표기되어 실제로는 삼베가 아니면서 삼베라는 이름으로 소비자들에게 판매되고 있었다. 6수 삼베는 낙면(落綿)이라는 찌꺼기 천을 사용하기 때문에 좋지 않은 냄새가 났고, T/P는 현수막이나 어깨띠를 만드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화학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태웠을 때 환경오염이 우려되었다. 다음은 상복을 제작하는 방식의 문제이다. 수(手)제작 보다는 기계제작이 주를 이루고, 제작자들이 편의를 위해 등솔기와 진동솔기를 없애 한 장으로 하거나, 치마는 6~8폭을 잇지 않고 1폭으로 구성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복의 제작은 수제작의 한계와 제작업체의 상업성에 의해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대량생산을 위해 수제작은 불가능해졌고 제작자들이 제작 방법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상황에서 제작에 참여함으로서 상복의 형태가 변형되어 사람들에게 입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행 상복 실태에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여 전통 상복을 보전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례법률의 궁극적 목적은 상례의식(喪禮意識)의 허례허식을 일소하고 낭비를 억제하자는 것이었으나 본 목적과는 다르게 전통성을 상실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적절한 의례정책이 제시되지 못했다고 생각되며 일반인들이 새로운 의식(儀式)을 쉽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정의례에 관한 정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현대인들의 의식(意識) 조사에 따르면 상례 시 전통 상복 혹은 전통에 근거한 상복을 입겠다는 의식이 높지만 실질적으로 착용 형태를 보면 검은 양장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상례라는 의식(儀式)이 갑자기 닥치는 상황이므로 당황하고 경황이 없어 장례식장의 권유나 편리함으로 검은 양장을 입게 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현행 상례의식이 전문 장례업체에 맡겨져 행해질지라도 전통 상례의 의미를 지속하는 한도 내에서 상례를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상복의 품목, 명칭의 정립과 더불어 우리나라 전통 상복을 근간으로 한 사례편람을 기본으로 제작자들이 알기 쉽도록 형태와 제작방법 둥에 대해 기초적인 자료 제공이 될 수 있는 지침서를 마련함이 시급하다고 본다. 또한 표준체형에 대한 치수를 도입하여 표준형을 기준으로 그 보다 작은 체형과 큰 체형을 감안한 치수 세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장례관련 교육기관에서 장례업체 종사자들에게 전통 상례문화와 전통 상복의 품목, 명칭, 착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고유의 명칭과 착용법을 일반인들에게 정보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상복의 소재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 중 한지를 이용한다면 기능적이면서 저렴하며, 상복을 착용하고 나서 태웠을 매 환경에 무해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부분 상복의 원사와 직물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는데 한지로 대치 할 경우 많은 수입대체효과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Western culture during modernization of the end of 19th century and Japanese Colony of the early 20th century made Korean funeral rites much changed. Especially since 1980 funeral rites has performed funeral agencies rather than by family. Traditional funeral rites has been specialized while it has been transformed and commercialized. It can not said that traditional mourning garments must be worn today. But the spirit and cultural asset of traditional funeral rites should be well conserved and inherited. Now traditional mourning garments as well as funeral process would be simplified without consideration on their own spirit. It is quite important that traditional mourning garments should be preserved in modern times that culture assets are taken lightly. This study suggest how to preserve traditional mourning garments against problems caused in much simplified and commercialized modern mourning garments. It refers old documentary records. Questionnaire is done in order to inquire the moderns' thought on funeral rites, field study is done in order to research items, shapes, sizes, material and manufacture methods of the mourning garments in the funeral agencies. Problems researched are as follows. In items of the mourning garments, Jungui for male and Gyodae have not worn and only Scarf (Hemp towel) for female head ornament is worn. But the Scarf can be hardly shown in almost Funeral agencies, Junguijeoksam becoming to Gulgeonieibok is hardly worn because it is not prepared in funeral agencies. Common garments alternate junguijeoksam. Must-including items are often missing while unnecessary ones commonly used. Item names of the mourning garments are not unified and different in each funeral agencies. For instance "Gulgeonjeibok" are often named "Jeibok", "6-su Hemp", or "Mapo Mourning garments", "skirt and Jeogeori" named its materials, "Mapo Hanbok" or "Hyble", and "Haengjeon" named "Haenggeon". They are caused by poor educated funeral agencies and lack of interest. Shapes of the mourning garments are transformed and unified. Because manufacturers of the mourning garments produce them without information and data of traditional mourning garments and the artisanship to realize traditions. Timeserving and commercialized trend is transforming traditions. The mourning garments are manufactured not with hemp but with cotton mixed with chemical textiles. "6-su Hemp 100%" is written as material on packing paper but any hemp is not included. It just sells with the name of "Memp" without Hemp. Now "6-su HemP" is actually made of waste Cotton and smells bad. Another material, T/P, includes chemical textiles and sure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in burning. Ready-made mourning garments are widely used rather than hand-made ones. Back center seam and Armhole seam are not shown and skirt is made of one strip of material only for easy manufacture and mass production. That is, it is impossible that the mourning garments are made by hand in order to mass production, manufacturers produce mourning garments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So it can transform them. Here are methods to preserve traditional mourning garments against problems. First, purpose of the Simplified Family Rite Standards is to remove artificial manners and unnecessary waste. Now it can not introduce proper funeral rites and traditional spirit is gone or transformed. It is necessary to build reasonable spirit on Funeral Rites in the Simplified Family Rite Standards. Second, the moderns prefer traditional mourning garments according to questionnaire but they actually wear black suits. They have no time to mind traditions in confusion and black suits are recommended almost funeral agencies for convenience. In order to inherit spirit of traditional funeral rites, the moderns would be learn funeral manners. Third, it is urgent to make guide to supply how to manufacture mourning garments and related information with cases considering traditional mourning garments. And their sizes should be subdivided. Forth, Funeral Agencies should be educated on traditional funeral rites, its garments,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in Funeral-related organization. Fifth, mourning garments should be developed of new material. Among materials, Hanji features high functionality, reasonable price and no environmental pollution in burning. And it sure bring substitution effect against textiles imported from China.

      • 葬禮式場 從事者의 喪禮服에 關한 認識 硏究 : 대구·경북지역 중심으로

        김혜경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mposition of mourning dress used in funeral halls in Daegu·Gyeongbuk area and funeral hall employees' recognition of mourning dress, and examine their influence on the culture of mourning dress, and to present a desirable mourning dress that is appropriate to the modern times and does not lose the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of traditional mourning dress. I have conducted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and field work as to the form and composition of mourning dress, and made a survey about funeral hall employees' recognition of mourning dress. I propose an ideal composition of the mourning dress for men as a suit with white or hemp Durumagi, and that for women as a white or black Chima Jeogori or Western style dress with a cotton or hemp Baeja. Since Durumagi i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outer wear for men, and Baeja is a representative mourning dress element except for Daesujanggun though Baeja has undergone many changes in form, I think that the two are appropriate. I select white, the color for traditional mourning dress, which has been worn from the ancient pre historical age, and want to limit the material to the natural apparels of cotton or hemp.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400 employees from 42 hospital affiliated funeral halls and 2 special funeral halls in Daegu, and from 55 hospital affiliated funeral halls and 8 special funeral halls (in August 2006).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have been processed by SPSS 12.0 through percentage,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on the funeral hall employees' recognition of mourning dress are as follows. 1. Recognition of the procedure of the funeral ceremony As for the recognition of the procedure of the funeral ceremony, the employees recognized it in the level of M=2 (don't do so), which means that they are not acquainted with the funeral procedure. 2. Recognition of preparation by funeral halls The whole score of the funeral procedure in and preparation of mourning dress by the funeral halls is an average of 2.29, which means that the level of preparation is low. 3. Recognition of mourning dress The level of their recognition of mourning dress was M=2(don't do so), which means that the employees did not well acquainted with the compositions and wearing methods of traditional and modern mourning dresses, and terminologies. 4. Level of satisfaction with funeral hall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funeral halls is M=2(don't do so) with an average of 2.59 from the scale of 5. Whereas the role of funeral hall employees appeared to be important in selecting mourning dress as they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customers' acceptance of their suggestions about mourning dress in funeral ceremony consul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funeral halls is not satisfactory. 5. Recognition of mourning dress selection The general level of recognition of traditional mourning dress is M=2(don't do so) with an average of 2.42, which means that they had low recognition of the selection of traditional mourning dress. The intention to rent mourning dress (M=2.0) is lower than the intention to provide oneself with mourning dress (M=2.99), which means that they had a relatively low level of recognition of renting mourning dress. There wa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selection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mourning dress in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of selecting traditional mourning dress (M=2.4167) was higher than that of selecting modern mourning dress, which means that the levels of recognition and selection of traditional mourning dress is the higher. 6. Evaluation of mourning dress usage The evaluation of mourning dress usage was M=2(don't do so), which means that the evaluation of mourning dress usage was low. To conclude, the funeral hall employees who are supposed to provide information including component and form, how to dress, terms of the mourning dress appeared to be generally low in the level of their recognition and so therefor it is shown that there is a lack of role function as a information provider for the mourning dress.

      • 전통 상례의 제수에 관한 연구 : 안동지방을 중심으로

        조민숙 安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traditional ceremonies of mourning is the general term for the several ceremonies throughout three years after death. They consist of Maejang (burning under the ground), Sosang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death), Daesang (the second anniversary of a death), Damje (a memorial service held in two months after the second anniversary of a death), Gilje (a memorial service held in the 27th month after death), and Talsang (expiration of the period of mourning). Ye-Seo says that the ceremonies of mourning are composed of eighteen procedures. There have been a lot of records and studies on the procedure of the ceremonies of mourning, while, the study and arrangement on the food for those ceremonies were relatively sho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s for the ceremonies of mourning. In Andong area, the things needed in the traditional ceremonies of mourning are as follows. 1. During the period of the ceremonies of mourning, Damje (29.2%) showed the most food-prepared ceremony and the second is Pyeongtoje (23.8%), and the next is Balinje and Daesang. 2. The incidences of preparing for Sajasang was few and far between (37.8%) and the trace is gradually becoming dim. The items for Sajasang are three bowls of rice, rice wine, three pairs of Jipsin and Myeongtae. 3. In clothing dead body, most of people put the soaked rice in the water into a dead body's mouth and some people put the coin, also occationally, a few people used a bead. 4. Most people said that the items for Jeon (a kind of meals offered to the deceased before the funeral rites) are candlesticks, incense, and Daegupo when the perform. 5. Sansinje is a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a mountain. There are two types of fruits used. One way cut the top and the bottom of fruits, and the other way doesn't. According to general talkings, not to cut the top and the bottom of fruits means that the god is different from people. 6. Most of the oldest son (54.8%) prepared for the things needed in Peongtoje. The next was the oldest daughter (23.8%) 7. For Sakmang (memorial rites held on the first and 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 basically Sangsik is offered. In addition to a lot of rice cake, some rice wine and fruits are prepared for the service. 8. Most of people prepared for rice and soup to treat condolers. This means that offering meal is to show the politeness. In addition that, there are rice wine, dried dishes, Pyeonyuk (slices of boiled meal ) and rice cake. 9. During the ceremonies of mourning, the main foods for the religious service were rice, soup and plain noodle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kinds of things like rice cake, fruits, rice wine and so on. In conclusion, the period and procedure of the ceremonies of mourning has been simple in sympathy with the times. And most of people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ceremonies. In Andong area, however, there are a few head family that are trying to preserve the existence of the traditional ceremonies of mourning. They constantly do their best to treat condolers. Of course, excessively complicated procedure and a lot of foods, according to the ceremonies of mourning, must be set right. But we will have to try to succeed to the basic spirit, that is, serving ancestors.

      • 근현대 상례제도와 상례복식의 문화변동 연구

        김윤희 韓國學中央硏究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은 근현대 상례문화가 인륜을 지키는 도덕적 실천이라는 정신적 가치와 더불어 경제적 효율성을 고려하는 의례로 변모된 것에 관심을 두고, 서구적 근대화가 시작되는 조선말 고종 재위부터 의례법이 시행되고 있는 현재까지를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합리화 · 간소화를 지향하는 정부의 의례표준안과 제도적 영향 · 의식의 함양에 따라 변모된 상례복식을 통해 상례문화변동을 고찰하였다. 상례는 영령에 대한 존숭의 뜻을 갖고 정성을 다하여 마지막 효도를 행하는 예식으로 중요시되어, 󰡔주자가례󰡕로 전래된 이후 근대사회에 이르기까지 관습으로 지속된다. 근대시기 허례허식 폐지 등 효율적인 의례를 추진하기 위해 구습타파를 실시하며 정신문화적 관행과 미래지향적인 정책이 상충되었으나, 문화의 발전과 윤리의식의 제고로 인해 의례의 자율성이 인정되고 또한 개인적 · 사회적 가치관이 전환됨에 따라 점차 간소해지고 있다. 이에 근현대 의례제도의 시행배경 · 정책방향 · 당대의 평가 등을 분석하고, 애도를 상징하며 상례문화의 가시적 변동이 나타나는 상례복식은 옷[服]인 상복(喪服)과 표상물[裝]인 상장(喪章)으로 유형에 따라 구조화하며, 사회장과 국가장 등의 공적 장례를 통해 제도의 실행유무를 검토해보았다. 논문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으로 상례는 마지막 도리로 인식되어 귀천을 가리지 않고 최대한 예의를 갖추려 하였는데, 근대의 시대적 환경으로 인해 점차 마땅히 해야 할 도리에서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데 목적을 두는 의례로 성격이 변화되었다. 또한 근대사회조성을 위해 서구식 위생관념이 도입되면서 시신처리방법이 강조되었고, <의례준칙>(1934)은 오복제도를 근대식 상례기간으로 변환하여 장일 기한을 4등급으로 구분하여 5~14일로 설정하였고, 광복이후 교통과 기술의 발달과 간소화에 따라 <의례규범>(1957)부터 3일장 한가지로 통일된다. 특히 상례기간은 상복을 착용하는 복상(服喪)과 마음으로 근신하는 심상(心喪)으로 분리되며, 매장 이후 일정기간 상복을 착용할 수 있는 집상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상복(喪服)은 시대상과 제도 변화에 따라 전통상복 일원구조 →한복 · 양복 · 화복 삼중구조 → 한복 · 양복 이중구조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전통식 굴건제복은 최초의 근대의례제도인 <의례준칙>(1934)부터 규제를 실시하지만, 1973년 개정된 <가정의례준칙>에서 허례허식으로 구분된 의례 6가지를 금지(의례6禁정책)하며 강력한 단속을 실행한 이후 급속히 줄어들며, 남자 상주와 복인의 복장이 동일해진다. 남녀별 상복 양식은 양복 수용의 시기와 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여성은 1970년대 양장의 점진적 확대와 한복이 예복으로 성격이 변화되며 평상복과 의례복 구분이 가능해지는데, 의례복인 상복에도 영향을 미쳐 오늘날까지 여성의 한복식 상복 착용 비중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색상은 양복이 흑색으로 유지된 것과 달리 한복은 백색과 흑색이 혼용된다. 흑색 상복은 일제시대 색복장려운동과 백의의 비위생성 등에 연원하지만 당시 지식인들도 이에 동조했다는 점에서 주목되며, 광복 직후 일상복의 서구화로 인한 서구식 상례문화인 흑색 도입으로 상례 색채 인식에 변화가 나타난다. 셋째, 상장(喪章)은 1895년 제복의 서구화로 의례복과 관복이 일원화 되면서 길사와 흉사를 구분하기 위한 표식으로 나타나며, 착용 위치에 따라 팔에 두르는 완상장(腕喪章)과 가슴에 부착하는 흉상장(胸喪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착용 대상자는 근대시기 신분과 복장에 따라 관(官)의 예복인 양복에는 완상장, 민(民)의 예복인 화복과 조선복에는 나비매듭 흉상장[蝶形胸喪章]으로 구분하였으나, 광복이후 일제식 신분제도 탈피 · 일상복의 양장화로 인해 망자와의 가족관계와 성별에 따라 착용을 구분하게 된다. 초기에는 양복을 착용하는 복인(服人)이 완상장을 주로 착용하지만, 1973년 의례6禁정책으로 상주와 복인의 차림이 동일해지면서 점차 완상장은 남자상주의 독점적인 상장으로 성격이 변화되며 동시에 흑백의 단일색상에서 줄무늬 형태로 변모된다. 한편 접형흉상장은 <가정의례준칙>(1963) 이후 공식적인 상장으로 자리매김하여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나, 제도 상 규정된 상장 이외에도 동심원형태[同心圓形] · 직물형태[布形]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상례문화변동을 제도와 복식 두 축으로 설계하여, 근현대 의례제도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상례복식의 변화를 유형별로 구조화함으로써 제도와 실례의 연관성 및 현행 상례복식의 연원을 분석하려 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funeral since modern times through the system and clothing. The funeral of the traditional era was regarded as an ambassador of humanity as a moral practice of maintaining the nation and family. But since modern times are a turning point in social culture, there is a change in funerals. Therefore, the changes in the funeral were arranged through the ritual system. Based on this, the components of funeral attire are considered cultural history according to the times. The research period i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king Gojong(1863~1907) to the present day and it divided into three stage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ritual system, the public awareness, and the direction of policy. Funeral clothing is also structured by dividing it into clothes and symbols―the name is 'Sangbok(喪服)' and 'Sangjang(喪章)'. The modern family rite has been officially established since the 1930s. The policy is focus on abolishing empty ceremonies and simplifying ri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Governor-General of Korea(朝鮮總督府) controlled the people by reflecting imperialist views. In particular, the institution establishes modern rules―Uiryejunchik(儀禮準則)― for wedding, funerals, and ancestral rites in over-quota delivery of war preparations. Thus, the traditional funeral costume ‘Gulgunjebok(屈巾祭服)’ is prohibited, and the car is used instead of the bier(喪輿).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government staged a movement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based on the frugality. However, since the Korean War, life has become more difficult, so the government has been forced to deal with clothing and food problems and to revive the economy. Meanwhile, the reform of the rites was led by the Ministry of Socia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7,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enacted a new era ‘Uiryegyubeom(儀禮規範)’, taking into account the customs and etiquette of developed countries. In 1961,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Headquarters(再建國民運動本部), along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established the 'Pyojunuirye(標準儀禮)'. In 1969, the ‘Gajeonguiryejunchik(家庭儀禮準則)―Family rite standards―’ that were subdivided into laws, Behaviour Act , enforcement ordinance and regulations will be enacted to eliminate waste and false etiquette. However, due to the lack of enforcement, the revision in 1973 added coercion and punished violations of the prohibition law(儀禮6禁). As the economy began to stabilize in the late 1980s, legal regulations were weakened, and now individual diversity was recognized and the category of rites was expanded, including the coming-of-age celebration and birthday parties over 60. Funeral clothing allows descendants to have a pious mind, and because they are of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 procedure, they can identify the form and process of consciousness. First, funeral clothes ‘Sangbok(喪服)’ can be structured in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ystem. King Gojong of the Joseon Dynasty is a single structure by traditional dress, and changes in dress by Gulgunjebok and procedure occu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nbok, Western-style suits and Japanese clothes coexist. and the new style funeral clothes(新式喪服) that combine them are popular.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here are two types of clothing-Hanbok and Western-style suits―. The controversy over the color of funeral clothes continues and mostly uses black suits. Secondly, 'Sangjang(喪章)' appear as symbols of modern funeral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wear, it can be divided into 'Wansangjang(腕喪章)’ worn on the arm and 'Hyungsangjang(胸喪章)' attached to the chest. 'Sangjang' also show changes in color in black and white, such as ‘Sangbok’, and the wear target category expands. An accessory to the traditional Sangjang is a tear wash that ties to the left breast and it led to wearing black fabric on the ches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Independence, hats 'Dugeon(頭巾)' and armbands 'Wansangjang' became representative of Sangjang worn by immediate family members, and ribbon style 'Hyungsangjang' and white flowers have become common symbols worn by all who mourn for death. In summary, this study examines modern family rites by dividing the two axes of ritual culture into systems and clothing. It has cultural history significance to interpret the flow of funeral culture that is practiced today by comprehensively looking at funeral ceremonies and studying funeral costumes by type.

      • 일본의 신장제(神葬祭)에 관한 연구 : 미에현(三重県) 미즈야(水屋)신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조아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한국에서 연구되어 있는 일본의 상례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불교식 상례이다. 물론 실제로 일본에서는 불교식 상례 이외에 기독교식, 신도식, 천리교식 등 다양한 종교로부터 영향을 받은 상례문화가 공존하고 있다. 필자도 히몬야 하지메(碑文谷創)의 『신 · 장례식의 작법(新 · お葬式の作法)』에서 신도식 상례 풍속이 있다는 글귀를 보기 전까지는 여느 한국인들처럼 ‘신사에서는 출생 및 성장의례를, 사찰에서는 죽음의례를 관장할 것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일본에서 신도식 상례가 불교식 상례에 비해 낮은 비율로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신도식 상례에 관한 연구가 드문 점에 기인하여 신도식 상례인 ‘신장제(神葬祭)’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신장제란 신장(神葬), 신도장제(神道葬祭)라고도 불리며, 신도적 생사관을 지닌 신도가(神道家)들에 의한 신도식의 상례를 말한다. 에도(江&#25144;) 시대 막번 체제에서는 데라우케(寺請) 제도를 만들어 서민들이 천주교를 비롯한 여러 종교나 종파를 믿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모든 사람들에게 사원의 단가(檀家)인 것을 증명하도록 요구하였고, 상례 또한 불교식으로 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신직(神職) 중에서 고유한 신앙을 의식하고, 막부의 ‘쇼샤 네기 간누시 핫토(諸社 &#31152;宜 神主 法度)’의 조문을 내세워 신직의 신분으로 상례를 행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근대 이후에는 극히 일부이기는 하지만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신장제를 행하게 되었다. 장(葬)과 제(祭), 즉 장례식과 그 이후의 영제(&#38666;祭)를 합쳐서 신장제라고 하며, 그 호칭이 반드시 통일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자료를 통한 신장제의 정의와 역사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그 성립과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변화양상을 개괄하였고, 실제로 신장제를 집행한 적이 있는 일본 미에현(三重&#30476;) 마쓰사카시(松阪市)에 위치한 미즈야(水屋) 신사를 방문하여 그 의례절차와 제구, 참여인력 등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일본의 일반적인 상례의 사례는 아니지만 다양한 상례문화 중의 한 영역을 차지하면서 그 나름의 상례문화를 생성 및 유지하고 있는 신장제가 왜 대중화되지 못했는가에 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본 논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1장에서 연구목적 및 방법과 선행연구 및 연구범위를 밝혔다. 2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미즈야 신사의 신장제를 분석하기에 앞서서 신장제의 성립 및 변천 그리고 가토 다카히사(加藤隆久) 편(2007)이 정리한 대표적인 신장제의 의례절차를 전의(前儀 ), 본의(本儀), 후의(後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나타난 고유한 상례의 모습을 통해 신장제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한 신장제가 민간에 널리 행해지게 된 것은 메이지(明治) 이후의 일이다. 에도 시대에는 일부 신직들이 데라우케 제도 속에서 독자적인 신도의 상례를 추구하려는 운동을 일으켰지만 불교 측의 반대로 인정되지 않았다. 3장에서는 실제로 신장제를 집행한 적이 있는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소재한 미즈야 신사를 방문하여 그 절차와 제구, 참여인력 등의 역할을 미즈야 신사의 신장제가 촬영된 영상자료와 인터뷰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영상자료를 통해 살펴본 신장제 의례절차 중 귀가 기요하라에를 제외한 천령제, 통야제, 고별식, 귀가제의 의례절차와 가토 다카히사 편(2007)에 정리된 동일한 의례절차를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미즈야 신사와 가토 다카히사 편(2007)의 천령제, 통야제, 고별식, 귀가제의 의례절차는 거의 비슷한 순서로 진행되며, 사용되는 제구, 동원되는 참여인력도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의례절차의 차이점을 분석해 본 결과, 미즈야 신사의 신장제 의례절차가 가토 다카히사 편(2007)의 신장제 의례절차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간소화된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차이점을 분석해 본 결과, 신장제 의례절차의 다양성 및 비체계성을 엿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일본의 일반적인 상례의 사례는 아니지만 다양한 상례문화 중의 한 영역을 차지하면서 그 나름의 상례문화를 생성 및 유지하고 있는 신장제가 왜 대중화되지 못했는가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신장제가 대중화되지 못한 대표적인 요인의 첫 번째는 게가레 사상이다. 일반적인 신도의 청정한 이미지 때문에 신사에서는 죽음의례, 즉 부정한 의례는 집행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의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두 번째는 불교식 장례식의 일반화이다. 불교식 장례식이 에도 시대에 데라우케 제도에 의해 일반화되었고, 그로 인해 장례식과 조상제사를 불교가 독점하게 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세 번째 요인은 체계화되지 못한 신장제의 의례절차에 있다. 지역별 신사별로 신장제의 의례절차가 다른 제 의례에 비해 정비되어 있지 않고 다양하게 산재되어 있어, 신도식 상례에 대해서도 정확한 정의를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문헌자료를 통해 지금까지 생소했던 신장제의 역사와 대표적인 신장제 의례절차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신장제를 집행한 적이 있는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미즈야 신사를 방문하여 그 의례절차와 제구, 참여인력 등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대표적인 신장제 의례절차와 미즈야 신사의 신장제 의례절차를 비교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신장제의 비대중화 요인에 대해 고찰해봄으로써 일본에서 신장제가 불교식 상례에 비해 낮은 비율로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신장제에 관한 연구도 극히 드문 것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앞으로도 이 연구를 발전시켜 나가면서 일본의 일반적인 상례문화인 ‘불교식 상례’를 비롯한 일본의 제종교의 상례문화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