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유음의 인지와 발화 - 능숙도, 위치, 맥락 유무를 중심으로 -

        김윤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liquids /l/ and /r/, attempting to find which of them is perceptually similar to the Korean liquid /ㄹ/. It has been proposed by the Speech Learning Model that the more distant an L2 sound is from the closest L1 speech sound, the more learnable the L2 sound will be. This hypothesis was evaluated in this study by investigating whether Korean speakers will have more success acquiring English /l/ or /r/ because it has been assume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at the Korean liquid is phonemecally /l/. Korean learners’ proficiency, speech context, and three different word position are accounted as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Three experiments a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examines the foreign accent of Korean participants. The second one is perception experiment with two different Korean groups and the last one is production experiment with the same Korean groups. The total experimen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like the experiment with Japanese listeners(Aoyama et al., 2004),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learners’ accuracy of English liquids perception and 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 and /r/. This suggests that Korean liquid /ㄹ/ is not similar /l/ or /r/. Second, word position was important factor for Korean learners to perceive /l/ and /r/ but this factor was not significant factor for production /l/ and /r/. For both perception and production experiment, context and proficiency factors were important for Korean learners. Two experiments found that both groups of Korean learners performed better in word context than in segment and the higher proficiency was, the higher accuracy was in both contexts. * Keyword: L2, Speech Learning Model, liquid, proficiency, word position, context. 본 논문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유음 /l/과 /r/의 인지와 발화 실험을 통해 한국어의 /ㄹ/이 영어의 /l/과 /r/중 어떤 소리와 인지적으로 더 유사한 소리인지 밝히고자 한다. 영어 유음을 인지하고 발화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외국어투 측정 실험을 통해 분류된 학습자의 능숙도와 단어 내 /l/과 /r/의 위치, 그리고 문맥의 유무가 사용될 것이다. 총 세 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학습자의 능숙도를 구분하기 위한 외국어투 측정(foreign accent rating) 실험을 하였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3명의 원어민이 40명의 한국인 학습자의 발화를 듣고 외국어투 정도를 측정하였다. 3명의 원어민이 판단한 외국어투 정도에 따라 학습자들의 능숙도를 고급(10명)과 초급(10명)으로 나누었다. 두 번째는 원어민의 발화를 고급과 초급 수준의 학습자가 듣고 판단하는 인지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l/과 /r/이 포함된 단어를 듣는 단어 인지 실험과 /l/과 /r/의 분절음만 듣는 분절음 인지 실험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결과는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유음의 인지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고 위치에 따라서도 인지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문맥의 유무에 따라서도 인지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에 능숙도, 위치, 문맥의 세 요인이 학습자들의 인지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l/과 /r/의 인지 정확도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의 /ㄹ/이 영어의 /l/과 /r/ 중 어떤 소리와 인지적으로 더 유사한지는 결론 내릴 수 없다. 세 번째는 한국인의 발화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한 발화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발화한 /l/과 /r/이 포함된 단어와 /l/과 /r/의 분절음을 원어민 청자에게 들려주는 인지 실험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결과는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유음의 발화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고 문맥의 유무에 따라서도 발화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에 능숙도와 문맥 요인이 학습자들의 발화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위치에 따른 발화 정확도 차이와 /l/과 /r/의 발화 정확도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지 실험 결과와 달리 위치 요인이 학습자들의 발화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주요어: L2, Speech Learning Model, 유음, 능숙도, 단어 내 위치, 문맥

      • 대절 처리가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icana) 식재 후 바이오매스, 맹아발생 및 목재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초기 식재 시 높이를 3가지로 다르게 대절 처리(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하여 식재한 이태리포플러(Populus euramericana) 묘목의 식재 2년 후 바이오매스 생산량, 맹아발생, 목재펠릿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처리구별로 수고와 흉고직경의 변화를 비교하고, 지상부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2013년에 수확된 개체에 대해서는 맹아발생에 따른 가지 수, 건중량 등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바이오매스 생산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원인으로 6월과 10월에 수목의 적응능력(수관활력도, 잎피해도, 적응지수), 7월과 9월에 생리적 특성(광합성, 엽온, 광색소함량)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향후 목재펠릿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량, 연간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냈다. 지제부 대절 처리구는 무대절과 1m 대절 처리구의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들을 보였다. 수확 후 1년 동안 생장한 포플러의 맹아발생은 1m 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활발하고, 무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처리구별로 잎피해도는 10월의 경우 거의 비슷하고 수관활력도는 1m 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지제부 대절 처리구는 6월과 10월 두 시기에 잎피해도와 수관활력도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어 생장여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적응지수 또한 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광합성률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7월에 1m 대절, 무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9월에 무대절, 1m 대절, 지제부 대절 처리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엽록소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엽록소의 함량이 낮아지는 9월에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대체로 많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리구별 이태리포플러의 함수율과 발열량은 대부분 1급 기준을 만족하며, 무대절 처리구의 수목이 1m 대절 처리구 수목에 비해 함수율이 낮고, 발열량이 높아 연료로 쓰기에 더 좋은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포플러의 회분과 질소 함량은 수목 부위별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주가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피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회분과 질소 함량이 높았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biomass production 2) to investigate the sprout production and 3) to provide the basic wood pellet quality information of Populus euramericana. This study had three different cutting sizes treatments (Un-coppiced, 1m height-coppiced and ground coppiced seedlings). The Populus euramericana plantation had been established in Saemangeum, Gimje, Korea which is reclaimed coastal area. Height,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biomass, capacity of adaption (leaf and crown damage), adaptation index,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photosynthesis, leaf temperature and chlorophyll content), number of sprout, moisture content and net calorific value had been investigated. The order of height, DBH, biomass and annual biomass growth were as follow: un-coppiced > 1m height-coppiced > ground coppiced seedlings. The highest production of number of sprout production had been shown in the 1m height-coppiced treatment. On the contrast, Un-coppiced seedlings showed the lowest number of sprout production. Leaf damage showed the similar score on the all the treatments. Crown damage was the best in the 1m height-coppiced seedlings in October. However, ground coppiced seedlings showed the highest leaf and crown damage both in June and October measurements. The order of the adaptation index were as follow: un-coppiced > 1m height-coppiced > ground coppiced seedlings. Photosynthetic rates and chlorophyll content showed different trends both in July and September measurements. In July, the highest photosynthetic rate showed on the 1m height-coppiced seedlings. Moisture content and net calorific value of Populus euramericana qualified class 1 of the standard for wood pellet. Especially, un-coppiced seedlings showed the best quality, highest net calorific value and lowest moisture content for the wood pellet. Ash and nitrogen content showed large variation on the part of tree body. Main branch showed the highest ash and nitrogen content.

      • Chlorhexidine 적용이 근관와동내 axial dentin에 대한 resin core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관치료한 치아에서 부적절한 수복은 근관계의 재감염을 일으켜 예후를 감소시키게된다. 근관치료한 치아를 컴포짓 레진으로 수복시 상아질에 접착하고 파절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은 있지만 시간에 따라 결합력이 약화내어 지속성이 제한되는 것이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Chlorhexidine은 레진-상아질 결합 감소를 억제하여 결합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관와동 내에서 Chlorhexidine 적용여부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발거된 대구치를 대상으로 치수강이 노출될 때까지 치관부를 제거하고 백악-상아질 경계에서 2mm 하방으로 치근부위를 제거한 후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치수강벽을 편평하게 삭제하였다. NaOCl을 40분간 치수강 내에 적용한 후 Chlorhexidine 적용 유무와 bonding system에 따라 다음의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1) Priming; (2) CHX15sec+rinsing+priming; (3) Etching; (4) Etching+CHX15sec+rinsing 처리를 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그룹1과 2는 Conxtax (DMG, USA)를, 그룹 3과 4는 Adper Single Bond 2 (3M ESPE, USA) 도포 후 Luxacore (DMG, USA) 를 사용하여 근관와동을 충전하였다. 각 실험군의 절반은 즉시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 나머지 절반은 10,000회 열순환 후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시행하였다. Three-way ANOVA, Two-way ANOVA,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이용하여 95% 유의 수준으로 통계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열순환 전 미적용군과 비교시 Chlorhexidine 처리시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2. Chlorhexidine 적용시 열순환 후 미적용군에 비해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감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각기 다른 Bonding system을 적용하였을 때, 두 system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근관와동에 CHX(15sec)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Bonding system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pulpal wall에 산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 접착시스템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비슷한 이유를 증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CHX 적용 후 산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 접착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형태학적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hlorhexidine with different resin systems on microtensile bonds strength (μTBS) to dentin in endodontic cavities. Flat dentinal surfaces with endodontic cavities in 40 molar teeth were bonded with self-etch adhesive system, Contax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Adper Single Bond 2 after: (1) Priming(Contax); (2) Chlorhexidine(CHX) 15sec + rinsing + priming + (Contax); (3) Etching(Adper Single Bond 2); (4) Etching + CHX 15sec + rinsing(Adper Single Bond 2). Resin composite build-ups were constructed with Luxacore(DMG, USA) using a bulk method and polymerized for 40s. For each condition, half of the specimens was immediately submit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half of them was submitted to thermocycling of 10,000 cycles between 5°C and 55°C before tes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ree-way ANOVA test, two-way ANOVA test, one-way ANOVA test, Independent t-test at a siginificance level of 95%. Chlorhexidine pre-treatment did not affect the bond strength of specimens tested at the immediate testing period, regardless of resin categories. However, after 10,000 thermocycling significant bond strength reduction was found in no CHX treatment group, both self-etch adhesive system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in vitro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2% chlorhexidine 15s application proved to preserve the durability of hybrid layer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2.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in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total-etching system and self-etching system when they are applied to pulpal wall dentin

      • 구화와 수화사용 청각장애중등학생의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비교

        김윤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 Comparison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in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Written by Kim, Yun-hui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Bang, Myong-Ye, Ph. 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in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identity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On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5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and 6 special classes located in Seoul, Daegu, Chungbuk, and Jeonbuk. Data collected from 46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36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 identity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was statistically more positive than tha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Second,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sign language and students with hearing disabilities using oral languag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ett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 words : hearing disabilities, oral languag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self-identity, sign language, special classes, special schools

      • 유아의 체형연구 및 3D 아바타 가상착의를 활용한 길 원형 개발 : 만 3~5세 유아를 중심으로

        김윤희 원광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re were several reasons that have recently provoked difficulties in infant wear industries: high-end, segmentation, polarization and SPA brands due to low birth. In order to overcome and activate the conditions this paper was written to give infant wear industries basic data by using recent measures for babies, creating avatars which reflect analysis of body types, applying virtual garment systems and developing bodies patterns of infant wears. Studying targets were three to five year old babies who have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with growing big and small muscles and interest in wears by thinking that wears are identical to themselves. Firstly, this paper made a survey to figure out domestic working conditions of product development from 7 infant wear businesses. The majority of targeting ages of the businesses were one to five and the KS or their own standards were used for body measures to produce patterns. Most businesses used bodies patterns and produces the patterns which divided male into female from two ages. Both dummy and live models were used for wearing evaluation but no company has then used virtual garment programs. In the case of infant wears virtual garment programs with avatars are necessary to be used in practical affairs in order to decide uniform wearing evaluation as physical growth or difficult maintenance in postures of models lead to inappropriate fitting. Secondly, direct measuring systems were used to 426 babies for applying recent body measures in order to produce bodies pattern of infant wears. Measuring items totaled 50. Babies were classified into male and female in order to find out body characters. As a result, male babies showed 7 through factor analysis. Explanation occupied 79.2% of the total factors which point out a body's horizontal and vertical sizes, shoulder shapes, belly and hip shapes, head size and thickness and chest shapes. Results analyzed for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for somatotype classification. Somatotype 1 was a body who is tall and has drooping shoulders and round waist, chest and hip. Somatotype 2 was a body who has the largest width and circumference, soaring shoulders, thick chest and flat waist and hip. Somatotype 3 was a body who is shortest and thinnest. Somatotype 4 was a body who is tall and has long lower body and developed and muscled chest. Results to analyze conditions for steps about the groups showed that there were high contributions about axilla height, head breadth, head length, head circumference, left shoulder inclination angles. In the case of female babies six factors were extracted from analysis results and explanation occupied 71.77% of the total factors which point out a body's horizontal and vertical sizes, circulart deformation rate, shoulder shapes, head size and circumference. Results analyzed for groups were divided into four for somatotype classification. Somatotype 1 was a body who has the shortest and smallest horizontal and vertical sizes. Somatotype 2 was a body who has drooping shoulders and long lower body compared with body height. Somatotype 3 was a body who is tall and has long upper body and drooping shoulders. Somatotype 4 was a body who is tall and has long lower body and drooping body. Results to analyze conditions for steps about the groups showed that there were high contributions about right shoulder inclination angles, stature/head height, neck breadth, hip depth/hip breadth, chest breadth, waist height, waist depth/waist breadth, head length, hip depth, left shoulder inclination angles,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depth. Thirdly, avatars for male and female babies were made by MakeHuman 1.1.0, the average value for babies to evaluate virtual garment systems. Fourthly, virtual garment was evaluated by using studying avatars to develop bodies patterns. Existing bodies patterns consisted of three bodies patterns from infant wear textbooks and one from infant wear businesses and were evaluated by the CLO 3D 4.1 program after the design. Questions for the virtual garment evaluation were composed of 22 and the bodies patterns which had the best evaluations designed male and female babies bodies patterns. The results for male babies showed that there were short about waist back length), armhole depth and shoulder length whereas the The results for female babie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big about ease amount of chest circumference. Side lines inclined to the front and ease amount of waist circumference was big in both male and female babies. The final bodies pattern demonstrated that both male and female babies's side lines moved back by 1cm but male babies'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by 1cm on the back side lines while female ones' waist circumference cut by 1cm on the back side lines and back center lines. The results for male babies showed that waist back length was 0.5cm longer that female and armhole depth was 0.5cm longer that female whereas shoulder length was 0.3cm longer that female. The results for female babies demonstrated that ease amount of waist circumference was 0.5cm shorter than male. The above corrections marked better evaluations than studying bodies patters in the final ones and were chosen as the final bodies pattern for baby wears. 최근 저출산으로 인한 고급화, 세분화, 양극화, SPA브랜드의 진출로 인하여 유아복 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복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유아의 최근 계측 자료를 이용한 체형 분석과 유아의 체형 특성을 반영한 아바타를 형성하여 가상 착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유아복의 길 원형 개발을 통해 유아복 업체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대근육과 소근육의 발달과 더불어 활발한 신체 활동뿐만 아니라 의복과 자신을 동일시하여 의복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는 시기인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유아복 7개 업체의 제품 개발 분야의 업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업체들의 주 판매대상 연령은 1∼5세였으며 패턴제작을 위한 신체 치수는 KS규격이나 자체 규격을 사용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업체에서 길 원형을 사용하였으며 2세부터 성을 구분하여 패턴을 제작하였다. 착의 평가는 더미와 라이브모델을 같이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업체는 없었다. 유아복의 경우 피팅 모델의 신체 성장과 피팅 시 자세 유지가 어려워 정확한 피팅을 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아바타를 활용한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실무에 활용하여 획일적인 착의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유아복의 길 원형 제작을 위한 최근의 신체 계측치 적용을 위해 직접계측 방법을 이용하여 총 426명의 유아들의 신체를 계측하였다. 계측항목은 총 50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유아들의 체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남아 여아 각각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남아의 경우는 요인 분석 결과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설명력은 총 변량의 79.2%로 신체의 수평 크기, 신체의 수직크기, 어깨 형태, 배와 엉덩이 형태, 머리 너비, 머리 두께, 가슴 형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체형 유형화를 위한 군집분석 결과 유형을 4개로 분류하였다. 유형 1은 키가 크고 어깨가 처지고 숙인 형태의 허리·가슴·엉덩이가 둥근 체형, 유형2는 너비·둘레가 가장 크고 어깨가 솟은 가슴이 두껍고 허리와 엉덩이가 납작한 체형, 유형3은 가장 키가 작고 마른 체형, 유형4는 키가 크고 하체 길이가 길며 가슴이 발달하고 젖힌 체형으로 나타났다. 분류된 유형의 단계적 판별분석 결과 겨드랑높이, 머리너비, 머리두께, 머리둘레, 왼쪽어깨경사각도 5개 항목에서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는 요인 분석 결과 6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설명력은 총 변량의 71.77%로 신체의 수평 크기, 신체의 수직크기, 체간 편평률, 어깨 형태, 머리 길이, 머리 둘레 요인이 추출되었다. 체형 특성을 유형화하기 위한 군집분석 결과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1은 신체의 수평·수직크기가 가장 작고 왜소한 체형, 유형2는 키에 비해 하체 길이가 길고 어깨가 솟은 둥근 체형, 유형3은 키가 크고 상체가 길며 어깨가 처지고 숙인 체형, 유형4는 키가 크고 하체가 길며 젖힌 체형 체형으로 나타났다. 분류된 유형의 단계적 판별분석 결과, 오른쪽어깨경사도, 키/머리수직길이, 목너비, 엉덩이두께/엉덩이너비, 가슴너비, 배꼽수준허리높이, 허리두께/허리너비, 머리두께, 엉덩이두께, 왼쪽어깨경사각도, 머리둘레, 가슴두께 항목에서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상 착의평가를 위한 아바타의 형성은 MakeHuman 1.1.0로 유아의 계측 평균값을 이용하여 남아와 여아의 연구 아바타를 형성하였다. 넷째, 길 원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아바타를 이용한 가상 착의 평가를 하였다. 기존 원형은 유아복 교재의 원형 3개, 업체의 원형 1개로 총 4개의 제도방법에 따라 설계 후 CLO 3D 4.1 프로그램으로 가상 착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착의평가 문항은 총 2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착의 평가 결과 항목별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원형의 제도법을 적용하여 남아와 여아의 연구원형을 설계하였다. 연구 원형을 가상 착의 평가한 결과 남아는 등길이, 진동깊이, 어깨길이에서 짧다고 평가되었고 여아는 가슴둘레 여유량에서 크다고 평가되었다. 또 옆선의 경우 앞으로 치우친다고 평가되었고 허리둘레여유량에서는 남아와 여아 모두 크다고 평가되었다. 최종 길 원형의 제도에서는 남아와 여아 모두 옆선을 뒤쪽으로 1cm이동하였으며 허리둘레 여유량에서는 남아의 뒤옆선에서 1cm를 줄이고, 여아는 뒤옆선과 뒤중심선에서 각각 1cm를 줄여 남아보다 1cm를 더 줄여주었다. 남아의 경우 등길이는 여아보다 0.5cm길게 하고, 활동성을 위하여 진동깊이를 여아보다 0.5cm 길게 하였고 어깨길이는 0.3cm더 길게하였다. 여아의 경우는 가슴둘레 여유량을 남아보다 0.5cm작게 제도하였다. 이상과 같이 수정한 결과 최종 길 원형에서 연구원형보다 좋은 평가 점수를 나타내어 최종 유아 길 원형으로 제시하였다.

      • 韓國의 消費者保護運動의 機能 增大方案에 관한 硏究

        김윤희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Centering arou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a pioneer, turning to the Mono-Capitalisam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n automatic control action of the cost decid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liberalistic economy got lost, and even in the business relations of Both the enterprise and consumer the hypothesis, so-called, coexistence in the compatitive order was almost driven to a situation which was not in common use in the actuality, as the market control by a monopoly enterprise became chronical in the business circle, and gereto te problem of the consumer protection started to appear as a realistic social issue. Accordingly, in this thesis, the author intended to grope for the function increase plans of my country's consumer protection movement in the aspects of consumer, consuming public, enterprise, legal and administative sides, and the conclusion is as follow: The consumer protection movement of my country having achieved an advanced economy should be sublimated and be made progress as a social movement strengthening the position and rights & interests of the consumer, the economical weak, and as social cleanup movement to remove the distrust trend prevailed over among the producers and consumers, as a solemn movement of human rights taking the basic right expansion of the human beings on the premise against the trend disregarding the human life, and as economical movement aiming at rationalization of the consuming life. Finally we should keep a fact in mind that an enterprise depends on the consumers with its success and failure, and further the government should incline her actual concern to the consumer protection in a dimension of the national prosperity emerging from the one-sided policy of precedence of enterprise, and the consumer should obviously recognize a fact that no one keeps the rights and interests that they themselves would not protect with care.

      • 문화소비형태에 따른 축제 관객 참여도 연구 : 대중음악 축제를 중심으로

        김윤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공연예술을 구매하고 관람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관람객들의 소비형태에 대한 접근을 통하여 국내 대중음악축제의 참여도를 파악하고자 연구되었다. 최근 많은 논문에서 다양한 분야의 소비자들의 소비형태를 탐색 해 오고 있다. 하지만 대중음악축제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의 지출규모와 행동에 대한 연구 정보가 드문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공연예술을 향유하는 소비자들 중 페스티벌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20대 중반 ~ 40대 중후반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16년 8월 16일부터 2016년 9월 9일까지 구글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중 172부가 회수 되었고 조사내용에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된 22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150부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18.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빈도, 백분율과 같은 기술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사항에 따른 대중음악 페스티벌 관련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문화소비형태에 대한 이해를 도와 대중음악축제 관객의 소비 성향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