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대 산업유산의 시간의 개념을 적용한 울산 사택 박물관 리노베이션 계획

        이수덕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시대의 문화와 역사를 지니고 있는 건축물은 그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문화역사자산으로 가치가 있다. 도시의 브랜드 이미지에 경쟁력을 가지는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산업유산은 주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도시의 역사와 문화에 흥미를 줌으로써, 주민의 애착심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를 비롯해 유후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은 문화를 창조하고, 관광산업을 이끌어 내고 있다. 이는 지역 경제의 가치를 올리기도 한다. 이는 도시전체가 하나의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그렇기에 발전한 도시로서, 근대문화유산에 대해 큰 노력을 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국내외 산업유산의 재생사례를 다루면서 기존 산업유산 형태를 보존하고 일부 리모델링함으로써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는 경향이 있다. 문화 주도형 도시재생에는 산업유산의 활성화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산업유산 재생의 범위가 더욱 확대되었다. 이러한 확대는 궁극적으로 산업유산이 기존의 한계를 가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재생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과정에 있다. 산업유산의 사례를 살펴보자면, 근대산업의 경우 산업시설을 기반으로 재생되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지만, 2장에서 울산의 역사적 의의를 생각해보면, 사택 역시 근대 문화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다만 앞서 근대 문화 유산의 기반이 산업시설이었기 때문에 가지었던 동선 및 공간이 미흡한 것을 알 수 있다. 사택을 중심으로 부지는 집단거주민의 화합이 담겨 있다. 지역주민의 집단기억은 과거에서 현재로, 미래로 이어지는 시대정신을 접목한 문화공간으로 기능해야 한다. '근대건축물 보존 및 재활용, 구도심 활성화 기반 구축, 문화기반 구축'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문화 공간 계획 : 시간의 중첩 개념을 중심으로

        곽원철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의 도시는 급격한 산업구조의 변화를 겪으며 도심에 자리 잡았던 상당수의 산업시설들이 제 기능을 잃은 뒤에 폐쇄되거나 방치되어 흉물스럽게 보이는 공간으로 남겨져있는 경우가 많다. 도시는 점점 현대화 되어가지만 역사와 장소성은 잃어 가고 있는 것이다.즉 기능이 정지된 공간을 허물고 새 건물을 지으면 다른 기능을 담게 되겠지만 결국 어느 순간 그 역시 사라지게 되는 악순환만 반복될 뿐이다. 오래된 건물을 허물지 않고 재활용 할 수 있다면 경제적으로나 건축적으로도 가치 있는 작업이 된다. 특히 산업시설은 도시 재생의 전략으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넓은 부지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공공시설, 공원화한다면 밀집 된 도심 내에 충분한 공공공간과 녹지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최근의 흐름도 무자비한 개발보다는 건축물의 재활용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이 역사적 건축물의 재생 및 활용 방법에 대한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기존의 건물을 원형의 모습 그대로 복원하는 방법도 최근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는 건축적 박제화와 다를 것이 없다. 건축의 주 의미는 인간의 삶을 영위하기 위함에 있다. 건축은 조형이나 동상이 아닌 인간이 사용함에 따라 완성된다. 즉 적극적인 활용과 사용에 대한 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박제화 된 보존 및 활용의 방법보다는 건축의 목적 및 의미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적극적인 건축적 개입을 모색하고자 한다. 안양시에 위치한 구 유유산업 부지는 1959년 이후 50여년을 공장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제약회사의 공장으로서 한국 근대 건축을 대표하는 故 김중업 건축가가 유일하게 설계한 산업시설이다. 안양시에서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해 김중업 건축 박물관으로 리모델링을 추진하였고, 공사 진행 중 건물 철거과정에서 유적지가 발견되어 문화재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발견된 유적은 안양사의 터로 확인되었고 안양사는 안양시의 지명이 유래 된 고려 태조가 세운 사찰이다. 지하층이 없는 건물들 밑에는 유적이 남아있을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이 수직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부지는 논란을 낳고 있다. 한동안 문화재청과 건축계가 유적지의 발굴로 인하여 상반된 입장의 충돌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설계안까지 나온 상황에서도 계속되어져 왔다. 시간의 층이 존재하고 있는 장소성과, 충돌되고 있는 각 계의 입장을 고려하는 계획안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최근에서야 명칭을 변경하는 조건으로 마무리가 되어 김중업 박물관으로 2014년 3월 개장한 상태이다. 유적과 산업유산의 시간적, 공간적 가치는 분명히 크다. 다시 쓰는 것의 가치를 말해야 한다. 복원 및 보존되어 박제된 공간은 각각 과거의 시간대에 고정되어 더 이상 건축으로서의 가치는 없어지고 말 것이다. 건축은 사용자가 올바르게 사용할 때 완성된다. 다양한 시간대를 가진 장소에 현재와 미래의 의미를 갖는 시간을 한 번 더 중첩시킴으로서 각각의 기억을 중화시켜 대상지가 과거를 간직하면서도 미래의 후손들에게 남겨질 새로운 유산이 될 수 있게 재장소화 시켜야한다. 또한 안양 예술 공원의 초입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안양 예술 공원과의 연계성을 가지며 김중업 설계 건물의 재사용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가장 아래에 누적된 역사도 능동적 재생을 통하여 현재와 미래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여러 시간대가 축적된 역사적 환경 속에서 건축적 생각이 어떻게 접근되어질 수 있는지를 생각하고, 남겨진 잔재를 박제화 시키는 것이 아닌 적극적 개입을 통하여 대상지의 다양한 시간의 흔적을 현재와 미래로 투영시켜 유기적으로 공존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의 프로그램 특성 및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이다운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Modern cities are suffering from economic recessions because of the past rapid expansion and frequent occurrence of dilapidated areas and abandoned spaces. The government currently maps out plans to utilize the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old constructions which have historic values as part of efforts to resolve such problems. There were many abandoned buildings that were utilized in various new methods overseas compared to domestic cases. We need to propose consistent and developmental measure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heritage and carrying out more in-depth researches rather than keeping ourselves in tandem with the current social changes. Th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will provide good examples for demonstrating the sustainability of construction and building good environment for downtown to solve the problems of downtown. In particular, over the procedure of reusing the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and adding new functions to it, there are active moves to turn the space into more public artistic spaces through the power of culture and art. This can be a substantial amount of efforts to revitalize the city creatively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industries and cultures and will be helpful for resolving various problems from the conflict of different cultures. The "culture" and "creative experiments" applied to the space for creating art can provide differentiated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and education which can be obtained only from specific industrial areas by reflecting the context and identity of those areas. Various programs and cultural activities affiliated with the regions and art can remind people of the charms of the regions. Focusing on these aspects, I reviewed the purpose and value of utilizing the industrial heritage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methods of programs for spaces for creating art amid such a move for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ed programs and spaces for creating art that utilize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 and review the detail design methods for such spaces to apply the results of analysis and review to design projects. I expect such a study methodology to be useful for examining the structure of programs for spaces for creating art and designs of such spaces by utiliz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 which continue to be used and developed in the coming years. The case study for this research project showed that the spaces for creating art which utilize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 were not only for the artistic activities but also for the communities with various meetings and communication and rest places for people.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depend on the location of industrial heritage, which means that th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have implications not only by resolving constructional problems but also by reviewing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s and organizing affiliated programs to provide the art of local communities.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design methods can play major roles as spaces for creating art and communities as well, which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local people to reduce the negative public reputation about the communities due to the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take more pride in their communities. Having taken into account the factor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design methods of the spaces for creating art utilizing modern industrial heritage consistently to establish differentiated programs affiliated to local communities and enable the new programs to be integrated and utilized. 현대 도시는 급격한 성장에 따른 경제 쇠퇴를 경험하고 있으며, 유휴화 된 지역 이미지, 버려진 공간들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현재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 버려진 산업시설,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과거 건축물에 대한 새로운 활용방안을 연구하고 계획하기 시작하였다. 해외의 경우에는 국내의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유휴한 건축물에 대한 활용사례와 그 방법이 보다 더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시점에서 단순히 사회적인 변화에 맞추어 나가기보다는 근대 산업유산의 특성을 이해하고 보다 더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유휴화 된 산업유산을 재활용하는 것은 작게는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기도 하며 이와 함께 어우러져 있는 주변 도심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좋은 환경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기도 하다. 특히나 유휴화 된 산업유산을 활용해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과정에서 문화와 예술의 힘을 전제로 하여 더욱 더 공공적인 예술 공간으로 변화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각기 다른 산업과 문화가 만나 만들어 내는 창조적 도시재생의 일환이 될 수 있는 상당한 능력이며, 문화가 접해짐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술 창작공간에서 작용하고 있는 "문화”와 “창의적 실험”은 산업지역의 맥락과 정체성을 반영해 특정 산업 지역에서만 얻을 수 있는 차별화된 문화예술 경험과 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과 예술이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 문화행위는 해당 지역의 매력을 더욱더 상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주목하여 본 연구는 근대 산업유산의 활용하는 목적과 가치를 살펴보고 이러한 흐름에 맞춰 나타나고 있는 예술 창작공간이 지향하는 프로그램 특성 및 디자인 방법에 대해 파악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의 차별화된 프로그램 특성과 공간 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디자인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앞으로 계속해서 활용되고 발전되어질 근대 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의 프로그램 조직 및 공간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 사례 조사에서 보면 현재 나타나고 있는 근대 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은 단순히 예술행위만을 제공하는 장소가 아니며, 다양한 만남과 소통을 유도하는 커뮤니티의 공간을 구성하고 휴식을 위한 쉼터의 역할을 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업유산이 위치한 장소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격이 달라지는데 결국, 유휴화 된 산업유산을 활용하는 것은 건축적인 문제의 해결만으로 의미를 다하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과의 관계를 살피고 이를 연계한 프로그램을 조직하여 지역 커뮤니티 아트를 제공할 필요성을 지닌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특성과 디자인 방법은 예술창작 이외에 커뮤니티의 장으로서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지역민들에게는 유휴화 된 산업건물의 발생으로 인해 생겨나는 지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없애고 자긍심을 부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근대 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은 지역과 연계한 차별화 된 프로그램을 형성하고 기존 산업공간의 이미지에 새로운 프로그램이 함께 융합하고 활용되어 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지속적인 공간 디자인 방법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도시재생 산업유산의 공유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강박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도시산업구조의 변화와 무분별한 도시 확장으로 인해 도시에 존재하던 수많은 전통적인 산업은 경영부실, 땅값 상승, 도시환경 보호 등의 이유로 점차적으로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교외 지역으로 이전하게 됐다. 이와 같이 나날이 심각해지는 도시 쇠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재생을 통한 도시 경쟁력 확보와 도시 부흥의 발전 목표가 요구된다. 그리하여 도시산업 재생전략으로 공유가치 논의의 필요성이 구체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공유’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공유가치’는 소유한 공간, 정보, 자원을 필요한 사람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공공복지를 추구하는 공공성의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이에 따라 도시의 발전은 경제 발전, 경제 발전에 필요한 정책, 기업과 사회적 환경을 기초로 한다. 반면 산업유산은 기업의 경영 실패와 도시 이전으로 인해 형성된 도시구조의 일부이다. 산업유산의 가치를 보다 잘 활용하기 위해서 도시재생을 통한 공유가치 이론을 통해 산업유산의 가치를 해결하는 이론적 가이드라인으로서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공유가치에 대한 연구는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CSR) 및 도시 브랜드 개발 차원에만 그치고 있어 산업유산과 도시재생 및 도시 건설에 대한 응용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재생 후 산업유산은 다양한 자원, 공간, 장소, 활동 등을 공유함으로써 가치를 공유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이윤 추구에 따른 사회 공헌에 대한 사회적 책임일 뿐 아니라,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면서 경제적 수익을 창출하는 것은 폐기와 유휴 산업재생 후의 가치 구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유가치 이론을 바탕으로 공유가치와 산업유산을 연계하여 산업유산 재생에 따른 효과와 가치를 공유가치 이론을 통해 나타내며, 이를 통해 도시재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으로 도시재생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인식시키고, 기업과 주민의 참여를 유도하여 재생 지역의 활성화를 촉진함과 동시에, 산업유산 재생 이후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에 대한 잠재적 가치를 서로 다른 가치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로써 기존 정부 주도의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보다는 가치 공유 차원에서 산업유산 재생 후의 경제적 수익성을 보장하고, 참여 기업의 이익은 물론 지역 주민과 도시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하여 도시재생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재생 산업유산의 공유가치 평가지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고찰 및 분석 과정을 거쳤다. 첫째, 연구 배경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 목적과 범위 및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며, 전반적인 연구의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아울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차별성을 논하였다. 둘째, 먼저 연구와 관련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도시재생, 산업유산, 공유가치 등의 이론적 개념에 대해 고찰하고, 전반적인 산업유산재생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고 소개했으며, 도시재생에 대한 개념과 유형, 산업유산재생 추진의 필요성을 논하고, 산업유산재생에 대한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공유가치의 개념과 발전현황을 파악하고, 산업유산 장소에서 공유가치의 필요성과 실행의 의의를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유산과 공유가치의 기본적인 소개와 연관성 및 필요성 등에 대한 자료를 파악하고, 산업유산 장소 공유가치의 평가요소와 평가 세부항목에 대한 가설을 제시했다. 셋째, 평가지표의 가치범주, 평가요소, 세부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공유가치’와 ‘산업유산’의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사한 가치의 개념을 정리 및 통합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가치범주(상위개념)을 도출하고, 평가요소(중위요소)와 세부 항목(하위항목)을 평가한 뒤 평가지표의 구체적인 프레임을 도출했다. 또한, 평가지표 개발과정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출한 평가지표에 대해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6명의 전문가 그룹에 대한 설문조사는 리커트 7점 척도를 적용하여 각 평가항목의 중요성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전문가들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했다.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도시재생 산업유산 공유가치 평가지표에서 상위계층은 4가지 가치범주, 중위계층은 10가지 평가요소, 하위계층은 22가지 세부 평가항목을 포함했다. 전문가 설문조사 평가지표 결과를 근거로 하여 1, 2차 설문조사 모두 신뢰도, 수렴도, 합의도, 타당도 검증을 통과했다. 넷째, 2018년 중국도시계획학회에서 발간한 <중국산업유산목록>, 2007년 북경 시정부에서 발간한 <북경시 제11차 5개년 기간 문화창의산업발전계획>, 2013년 중국발전개혁위원회에서 발간한 <전국 구공업기지 조정 및 개조 계획(2013-2022년)> 등 정부기관에서 인증한 자료를 토대로 중국 산업유산 재생사례에 대한 평가지표의 효용성 검증을 했다. 또한, 본 연구의 사례와 관련된 논문과 문헌을 ‘중국지망(中国知网)’을 통해 검색하여 가장 출현 빈도가 가장 높고 재생사업이 이미 완료된 산업유산의 사례를 선별했다. 분석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례의 공식 홈페이지와 인터넷 검색을 통한 분석을 진행하여 사례의 최근 상황을 파악하고, 각종 전시와 공익 활동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기준으로 선정된 북경 798예술구, 상해 8호교, 광주 태고창 부두의 3가지 사례에 대해 도시재생 산업유산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평가 및 분석을 진행했다. 다섯째, 도시재생 산업유산 가치의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현장 설문조사의 형식을 통해 북경 798예술구, 상해 8호교, 광주 태고창 부두의 3가지 사례에 대한 주민과 관광객의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총 338건의 설문조사를 배포하여 유효 설문 300건을 확보하였으며, 합리성 확보를 위해 주민과 관광객의 설문 비율은 50대 50을 유지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진행했다. 이러한 목적은 산업유산 공유가치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도와 평가를 파악하고, 도시재생사업에서 산업유산 공유가치 구축의 향후 방향과 고려 사항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공유가치’의 차원에서 도시재생을 연구하고, 도시산업유산 재생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산업유산 재생의 장소와 공유가치 이론의 연관성을 모색했다.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 산업유산의 가치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는 향후 산업유산 공유가치의 개선방안에 대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현재 중국의 산업유산 공유가치에 대한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향후 산업유산 공유가치의 개선방안에 대한 이론적 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중국의 도시재생산업에서 산업유산 공유가치의 지표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의의를 지닌다. Due to changes in the urban industrial structure and reckless urban expansion, many traditional industries that existed in cities began to gradually decline due to poor management, rising land prices, and protection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eventually moved to the suburbs. As such,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urban decline that is getting serious day by day, it is necessary to secure urban competitiveness through regeneration and develop goals for urban revitalization. Thus, the necessity of discussing shared values as a strategy for urban industry regeneration is being specifically raised. With the advent of the ‘sharing’ era, ‘shared value’ has become a concept of publicity that pursues public welfare by sharing owned space, information, and resources with those in need. Accordingly, urban development is based on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necessary for economic development, business and socia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ndustrial heritage is a part of the urban structure formed by business failures and city relocation. In order to better utilize the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t can be a means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as a theoretical guideline to solve the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through the theory of shared value through urban regeneration. However, current research on shared value is limited to corporate shared value creation (CVR) and urban brand development, so applications and research on industrial heritage,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construction are insufficient. Against this background, industrial heritage after regeneration can share value by sharing various resources, spaces, places, and activities. This is not only a social responsibility for social contribution based on the pursuit of simple profits, but also solving social problems and creating economic profits while creating social values can also be called the realization of value after disposal and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es. Based on the shared value theory, this study connects shared values and industrial heritage to show the effects and values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through shared value theory, and it is determined that various problems that may appear in urban regeneration can be efficiently solved through this study. do. On the other hand, it promotes the revitalization of regeneration areas by socially recognizing the definit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businesses and residents, while at the same time promoting the potential value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fter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with different values. can be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is ensures economic profitability after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in terms of value sharing rather than the existing government-led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and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rofits of participating companies as well as local residents and urban development.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the shared value of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In order to achieve this intended purpose, the following consideration and analysis process was carried out. First, the research background and necessity were presented, the research purpose, scope and method were described, and the overall research process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Second,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related to the study, theoretical concepts such as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and shared value were considered, and the contents of overall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were identified and introduced. Concepts and types of urban regeneration, industry The necessity of promoting heritage regeneration was discussed and a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for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was suggested. Next, the concept and development status of shared values were identified,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shared values in industrial heritage site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data on the basic introduction, relevance and necessity of industrial heritage and shared values were identified, and hypotheses were presented for evaluation elements and detailed evaluation items of shared values of industrial heritage sites. Third, in order to derive the value categories, evaluation elements, and detailed items of the evaluation index, the concepts of similar values were organized and integr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fields of 'shared value' and 'industrial heritage'. Value categories (higher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after evaluating evaluation elements (middle elements) and detailed items (lower items), a specific frame of evaluation index was derived. In addition, to ensure the objectivity and accuracy of the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process, two Delphi expert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derived evaluation indicators. The survey of a group of 16 experts applied the Likert 7-point scale to collect th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tem and the opinions of experts, and was based on the consensus of experts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In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shared value of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derived from the Delphi expert survey, the upper class included 4 value categories, the middle class included 10 evaluation factors, and the lower class included 22 detailed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t survey evaluation index, both the 1st and 2nd surveys passed reliability, convergence, consensus, and validity tests. Fourth, <Chinese Industrial Heritage List> published by the China Urban Planning Association in 2018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regeneration cases of industrial heritage in China, and <Cultural Creativity in the 11th Five-Year Period of Beijing City> published by the Beijing Municipal Government in 2007 It was based on data certifi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Industrial Development Plan> and the National Old Industrial Base Adjustment and Renovation Plan (2013-2022) published by the China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in 2013. In addition, the articles and literature related to the case of this study were searched through ‘Chinese Wish (中国知网)’ to select the cases of industrial heritage that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and had already completed re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we conducted analysis through the case's official website and internet search to understand the recent situation of the case and to understand various exhibitions and public interest activities in-depth. Based on this, evalua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evaluation index for three cases: Beijing 798 Art District, Shanghai No. 8 Bridge, and Gwangju Taegochang Pier. Fifth, based on the evaluation index of the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value,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tourists in three cases: Beijing 798 Art District, Shanghai No. 8 Bridge, and Gwangju Taegochang Pier. A total of 338 surveys were distributed to secure 300 valid surveys, and the ratio of residents to tourists was maintained at 50:50 to ensure rationality.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for reliability by applying the SPSS 23.0 program. The purpose of this is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residents for the shared value of the industrial heritage,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and considerations for building the shared value of the industrial heritage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is study studies urban regeneration in terms of 'shared value'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and the theory of shared value for urban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proje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the value of urban regeneration industrial heritage,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theoretical data on ways to improve the shared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n the future. Currently, research on the shared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n China is at a rudimentary stage. Therefore,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oretical data on ways to improve the shared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n the future. It is significant in providing guidelines for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of shared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in China's urban regeneration industry.

      • 장소성 개념을 도입한 폐산업유산의 복합문화공간 재생에 관한 연구 : -한·중 재생사례를 중심으로-

        화화설 상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산업 구조에 큰 변화가 생겼고 도시 구조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한국과 중국은 산업유산 폐기 및 유휴에 따른 환경오염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일부 가치가 있는 산업유산 역시 제거되거나 방치되어 사회 각계각층의 주목을 받고 있다. 폐산업유산은 근대 지역사를 직접 보여주는 물리적인 공간으로서 해당 지역 주민의 라이프 스타일과 거주 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장소다. 따라서 근대 산업화 시대의 대표적인 지역산업유산인 폐산업유산에 가치와 새로운 기능을 불어넣기 위해 폐산업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폐산업유산 유휴공간을 도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키는 것은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복합문화공간의 재생가치 활용은 쇠퇴한 산업유산의 유휴공간에 단순한 재생이 아닌, 특정한 의미와 가치가 포함되어야만 진정한 재생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 폐산업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재생가치를 극대화시키고 폐산업유산에 정체성을 부여함으로써 지역 문화와 특징을 훼손하지 않게 재생 및 개선을 추진한다면 지역 주민이 문화를 누릴 수 있게 된다. 각국이 취하는 재생 방식과 정책이 다르긴 하지만 적극적으로 폐산업유산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키는 이유는 똑같다. 디자인 측면에서 재생가치를 장소성과 결합시키면 장소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소에 대한 주민의 인정을 받을 수도 있다. 본 논문은 폐산업유산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키는 가치를 분석함으로써 복합재생공간의 ‘재생 가치’와 ‘장소성’ 간의 관계를 검증했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소성을 제고하기 위해 한중 양국의 재생가치에 부합한 평가 기준과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위와 같은 배경 및 목적 하에 다음과 같이 논문을 구성했다. 먼저 이론적인 검토를 진행했다. 폐산업유산이 형성된 과정을 정리해 폐산업유산의 개념과 범위, 이에 따른 유휴공간에 대해 설명했다. 문화공간 및 복합문화공간을 분석함으로써 폐산업유산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키는 원인과 해당 공간의 구성을 설명했다. 또한 재생문화복합공간의 가치와 특징을 소개하기도 했다. Christian N. Schulz의 장소성 이론과 Edward Relph의 장소정체성 이론을 분석하고 폐산업유산 재생 중에 나타나는 장소성의 구성 요소와 활용을 논의했다. 또한 폐산업유산 재생 중에 나타나는 복합문화공간의 재생가치에 대해 분석했다. 장소성의 형성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재생복합문화공간 가치의 측정 목표를 세웠고 ‘문화, 사회, 경제’라는 3가지 재생가치를 평가했으며 한국과 중국이 재생복합문화공간을 재생하는 현황과 보존하는 수준 및 차이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재생복합문화공간의 가치가 폐산업유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폐산업유산 복합문화공간의 재생가치와 장소성 간의 관계를 검증했다. 결과는 재생가치가 장소성에 미치는 영향, 재생가치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장소애착이 장소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장소애착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폐산업유산 복합문화공간의 재생가치가 높을수록 장소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사례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을 제고하기 위해 한중 양국의 재생가치에 부합하는 가치척도와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유럽의 성공한 재생사례를 ‘재생복합문화공간 가치 척도’와 ‘재생 디자인 개선방안’에 포함시켜 논의하기도 했다. 향후 재생 디자인하는 데에 도움을 줌으로써 폐산업유산 재생에 대한 사람들의 정체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실증 분석의 결과가 보여주듯이 한국과 중국이 폐산업유산을 복합문화 공간으로 재생시키고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합리적으로 활용한다면 폐산업유산의 재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생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을 제고할 수 있다.

      • 산업유산의 건축 재생 적합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엽평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건축의 증가에 따른 도시경쟁력 약화와 지역 경제 침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유산재생 차원에서 산업유산 유휴산업건축의 재생모델을 개발하는 평가지표 연구와 유휴산업건축의 재생에 대한 방안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국제문화유산 대표성 회의 결론과 기존 국가산업유산재생국가지도문건 및 관련 문헌의 선행연구를 통해 평가지표를 구성하는 평가요소와 세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어 델파이 조사와 AHP를 통해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평가지표의 구성요소 및 세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적 가치 관련 평가 항목 10개, 과학·기술적 가치평가 항목 5개, 예술적 가치평가 항목 10개, 사회적 가치평가 항목 10개를 산업유산 유휴산업건축 재생 평가지표로 활용하였다. 평가지표의 중요성을 분석해 본 결과, 사회적 가치나 과학·기술적 가치의 가중치보다 역사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가중치 배열을 통해 항목별 평가요소의 중요도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다음 이 같은 평가지표를 중국의 산업유산 사례에 그대로 적용해 점수를 퍼지종합평가법으로 산정하였다. 평가지표 사례를 검증한 결과 평가점수가 높은 곳은 국가급 산업유산, 평가점수가 낮은 곳은 일반 산업유산이었고, 성·시급(省市级) 산업유산은 국가급과 일반급 사이였다. 산업유산 유휴산업건축의 가치가 다르고, 지표 운용평가 시에 평가 분수가 다르며, 평가 분수에 따라 나타나는 재생항목의 특성도 달라 산업유산 유휴산업건축의 재생모델별 평가지표는 산업유산 유휴산업건축 차이를 결정하였다. 또 국가별, 성시별, 일반별 평가 항목의 중요성을 비교한 결과, 평가지표 요인을 활용해서 산업유산 유휴산업건축을 평가하여 유형별 재생모형의 가치 특성을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solve the problems of weakening urban competitiveness and regional economic stagnation caused by the increasing number of idle industrial buildings. The study develops the evaluation indicator study for the regeneration model of idle industrial heritage buildings, which from the perspective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s, and actively explores ways to regenerate idle industrial buildings. For this purpose, the conclusion of the international representative conference on Cultural Heritage and the existing national guidance documents and relevant literature review contributes to the evaluation factors and detailed indexes. The Delphi survey and AHP analysis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indicators. Through the study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detailed index of evaluation results, based on historical value evaluation project 10, five factors of scientific value evaluation project, ten art value evaluation project and ten social value evaluation project, idle industrial building renewable evaluation index as the industrial heritage. B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we found that the weights of historical value and artistic value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weights of social value and scientific value.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evaluation factors can be shown by weight arrangement. Then, the above evaluation indexes are directly applied to the case of Chinese industrial heritage to calculate the fuzzy score. The results of the case verification of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show that the industrial heritage with a higher evaluation score is the national industrial heritage, and the industrial heritage with a lower evaluation score is the general industrial heritage. The provincial and municipal industrial heritage score is between the two scores and above. The values of idle industrial heritage buildings are different, and the evaluation scores are also other in applying evaluation indicators. The additional evaluation scores reflec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on projects. Therefore,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regeneration model of idle industrial heritage buildings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idle industrial heritage buildings. In addition, the comparisons were made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items evaluated at the national, provincial, and municipal levels. The results show the valu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regeneration models. Also, they can be obtained by using evaluation index factors to evaluate the idle industrial heritage buildings at different levels.

      • 산업유산 보존을 위한 문화적 정체성 활용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 일신방직공장을 중심으로

        김영화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 세기가 채 되지 않는 짧은 근현대 역사 동안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변화 및 경제발전과 함께 일제강점기와 광복이라는 다양한 경험을 겪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우리들의 삶과 함께했던 많은 산업유산들은 낡고 버려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졌으며 경제논리에 밀려 많이 소실되었다. 비슷한 변화를 먼저 겪었던 유럽을 포함한 선진국들은 산업유산을 역사의 증거물로써 바라보는 관점이 확산되었으며 이는 가치를 재인식하기 위한 학술적 연구와 함께 도시의 고유 콘텐츠로서 활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 점차 우리나라 또한 우리들의 삶과 함께 해온 유산이라는 인식으로 접근하려는 움직임이 증가되었으며,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관련 제도가 정비되고 사업들이 시행되었다. 문화재청에서는 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라는 제도를 통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유산들을 보존하고자 하였으며 서울시에서는 문화재로 등록되지 않은 유산 중 미래가치가 있는 유산을 대상으로 보호하고자 하는 제도를 수립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근현대 건축물을 대상으로 외부 보존과 내부 수리를 통해 다른 기능으로 활용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업으로 재건된 많은 유산들과 공간들은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기능변경이나 문화적 정체성을 보존하는 등 다양한 활용방안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소수의 유산들은 산업유산 보다는 관광아이템으로 전락하여 본래 지니고 있는 역사적 가치나 문화적 의의를 고려하지 않은 운영과 활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더군다나 제도적 보호를 받지 못하거나 사각지대에 위치한 산업유산들은 여전히 방치되어 있으며 소실 및 노후화가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산재된 산업유산을 발굴하고 적절한 활용방안을 강구하는건 산업유산의 의미를 되새김하고 지속가능한 보존이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제도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지만 향후 미래유산으로서 가치가 충분한 산업유산에 주목하여 역사‧문화적 가치를 연구하고 실제 지속가능한 보존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유산은 지역 역사의 증거임과 동시에 지역민의 삶이 함께 얽혀 문화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지역 고유의 콘텐츠로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어 보존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와 그 이후 급격히 변화된 사회는 산업 변화와 혼란을 야기시켰고, 반강제적으로 형성되었던 산업들은 광복 이후에도 경제활동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당시 건축을 포함한 유산들은 역사를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증거물로서 의의가 매우 크다. 이러한 사유로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근현대 산업인 방직산업을 대표하는 유산인 일신방직공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일신방직공장을 산업유산으로 보존해야 하는 가치연구와 함께 관계, 운영, 확대, 지속, 연계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산업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사례들을 대상으로 활용실태와 성격, 가치에 대해 분석하여 가치보존과 지속가능한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공간을 중심으로 조성한 사례와 문화적 정체성을 활용해 보존한 사례로 구분하였다. 각 사례들이 활용되고 있는 현황과 특성들을 분석한 뒤 일신방직의 향후 보존방안에 대해 재구성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최근 지자체를 중심으로 산업유산이나 근현대 유산들을 대상으로 보존하기 위한 지자체 조례 및 사업들을 구상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나 아직 실질적인 제도 마련이나 방안 수립은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정권 교체나 담당자의 잦은 변경은 기존 진행되던 업무가 지연되거나 단발성으로 종료되버리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근현대 산업유산들이 공통적으로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을 일신방직을 통해 찾고, 보다 지속가능하고 지역정체성 보존과 지역민 참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일신방직과 같은 산업유산이 역사의 흔적과 동시에 지역 고유의 콘텐츠로서 보존되기 위해서는 먼저 소유자의 권리보존 방안을 위한 제도가 개선되어야 하며 지역민을 대상으로 해당 유산에 얽힌 스토리텔링, 자료 수집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역사·문화콘텐츠로서 교육적 활용 등이 연계되어야 산업유산이 가치를 온전히 보존하면서 지역 고유 문화콘텐츠로 활용 가능하다. 이는 지역 산업역사와 유산의 미처 정리되지 못했던 이야기들과 자료들을 재정리하는데 기여해 지역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산업유산공간의 문화적 도시재생에 따른 효과성 연구

        QIN ZHIYAN 한세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21세기에 접어들어 산업구조가 변하면서 용도 폐기된 산업시설을 문화공간으로 재생하는 문화적 도시재생 프로젝트가 급격하게 부각되었다. 중국의 경우 1978년 개혁개방을 계기로 산업의 고도화와 함께 사회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도시의 변화와 성장, 문화 패턴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2000년대 접어들면서 산업유산 보호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산시성의 경우 중국 내에서도 폐 산업시설이 가장 많은 곳으로 알려져 있지만 활용사례는 그다지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산업유산 재활용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와 기술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문화예술분야의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산시성(山西省)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유산공간의 문화적 도시재생에 따른 효과성을 분석해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산업유산공간의 문화적 도시재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한국을 비롯한 해외의 산업유산 활용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실증연구방법으로 중국시민을 대상으로 산업유산에 대한 인지도와 방문 경험, 산시성 3개 도시의 산업유산 도시재생 사례를 도시별로 2개씩 선정해 만족도와 인식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도시문제 전문가, 예술가, 관료 등 산업유산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시성 산업유산의 문화적 도시재생에 따른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지역특성 반영’으로 국내외 성공사례에서 제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산시성 각 도시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해 개발할 필요가 있다. 산업유산공간을 창작공간이나 관광 중심공간, 복합문화공간 등 어느 유형이 적합한지 시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도시 전체의 문화적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산업유산공간을 문화적으로 재생하여야 한다. 역사적 가치가 있는 산업유산공간을 상업성 중심으로 개발하면 시민들로부터 외면받고 자원이 낭비될 가능성이 크므로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을 조성하는 한편, 예술창작과 예술향유, 서비스 공간이 함께하는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해 자생력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산업유산공간 활용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무분별한 부동산 개발 위주의 상업성 개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업유산의 문화적 활용에 관한 법규를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현재 중국 각지에서 일어나는 산업유산의 재생에 대한 비전가 목표가 새롭게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산업유산공간의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이 도시의 랜드마크로서 지식습득 위주의 문화예술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교육공간으로 재정으 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수요자인 시민 중심의 설문조사로 산업유산공간의 일반적인 효과성과 발전방안을 도출하긴 하였으나 설문조사 참여자들이 산업유산의 문화적 도시재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문화주체인 예술가들의 의견 수렴이 미흡해 심도있는 연구결과를 얻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유산공간의 활용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도 부족함을 느낀다. 후속연구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산업유산의 관광자원화 방안 연구’, ‘산업유산공간의 문화적 도시재생 모델 개발 연구’,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구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등을 제안한다.

      • 산업유산의 문화예술공간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 전략 연구 : 상하이 홍방(紅坊) 창의 산업지구를 중심으로

        천단단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서양과 일본에서 탈산업화사회에 들어선 도시는 경제 구조조정으로 인해 도시경제의 불경기와 도시인구 감소 등의 곤경에 빠졌다. 도시에서 지역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낙후되고 쇠퇴된 구도심지역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 경제, 문화, 복지, 환경 등 분야를 다방면으로 다시 부흥시키려고 하는 것이 도시재생이다. 도시재생은 역사적 건축물을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회복할 뿐만 아니라 공간 설계와 개조를 통해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재생과정을 통해 도시의 활력을 높이고 도시 종합적 경쟁능력을 향상시키면서 도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 이는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재개발인 물질적 개선과 제고의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민과 커뮤니티의 기능까지 함께 회복시키기 위한 사업이고 도시의 산업공간에서 문화예술공간으로 변화시켜 활성화시키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갈수록 중시되고 있는 산업유산은 역사문화가치, 사회경제가치, 과학가치, 건축심미가치 등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재생의 거점으로써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에 따라 이에 대한 효과적인 공간 활용전략과 활용방향이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상하이는 중국 근대 가장 중요한 산업도시 중 하나이며 개혁개방 후에 발전이 가장 빠르고 가장 활력이 있는 도시 중 하나이다.20세기 80,90년대에 상하이시에서 “제3차 산업을 우선적으로 발전시키고 제2차 산업을 적극적으로 조정하며 제1차 산업을 안정하게 높인다.”라는 발전 방침을 세웠다. 상하이 도시경제의 변화, 산업구조의 조정과 도시건설의 발전에 따라 전통공업이 나날이 쇠퇴하고 있었다. 전통공업이 가졌던 낡은 공장과 낡은 창고가 도시 곳곳에 널려 있었고 점차 가치를 잃게 되었다. 새로운 상황에서 많은 근현대 산업건축과 산업유산의 보존, 개발과 재활용은 도시재생 과정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이다. 낡은 공장과 낡은 창고는 상하이 근대사 산업문화의 유물이며 상하이 도시의 역사 문맥이다. 그러므로 산업유산에 합리적인 개발과 활용은 도시재생전략 중에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하이 산업유산의 상징이 되어온 “홍방(紅坊) 창의산업지구”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문화예술공간 활용의 도시재생 전력분석을 통해 홍방(紅坊) 창의산업지구는 각각 단계의 발전을 전면적으로 분석하고 홍방 창의산업지구의 특정, 문제점과 성공 요인을 지적한다. 향후 산업유산의 문화예술공간 활용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발전방향과 추진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상하이 도시 명함”이라고 불리는 홍방은 상하이에 값어치가 있 는 공간을 제공해 준다. 홍방이 십년 동안 좋은 공공 분위기를 형성하였고 도시문화와 예술에 가치를 더하였다. 토지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해 강제적으로 심는 토지개발보다 홍방이 이미 양호한 문화자원을 축적하였기 때문에 미래 이 핵심가치를 되도록 보존하고 이어 가야 한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홍방이 두 번째 개조에 문제를 겪고 이삼 년 안에 휴관하겠지만 미래에 문화, 상업, 사무를 융합한 상하이 룽챠오 센터에 대한 기대가 크다. 홍방의 문화와 사회가치는 상하이 발전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홍방 모델”과 홍방 십년 경험에 대해 계속 연구하고 검토한 필요가 있다. 앞으로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참고할 수 있는 산업유산의 문화예술공간 재활용의 사례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ave entered post-modern society. Due to urban economic restructuring, many cities get into trouble of economic recession and depopulation. Urban regeneration is a process where regenerate and revive in many ways . Such as economy, culture, welfare, environment and so on. In order to restore economic and endow new values to declining old city or area .Urban regeneration can recover and reconstruct historical buildings reasonably and endow new functions to city by space design and reconstruction. Besides, it also can enhance urban vitality , economic power and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ity through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Nowadays, urban redevelopment is more than material development, it also includes recovery function of urban residents and community. Moreover, it is also a strategy which turns city’s industrial space into art and culture space. Increasing focus on industrial heritage not only ha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social-economic values, scientific vales, architecture aesthetics values, but also gets more and more attention as a important content of Urban regenera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ut forward the flexible usage strategy and direction of industrial heritage. Shangha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al cities in modern China, it is also one of the most fastest growing and dynamic cities after reform and opening-up. In 1980s Shanghai proposed development guideline that give priority to the development of tertiary industry, adjust secondary industry actively and enhance primary industry stably. Traditional industries are declining day by day, old factories and old warehouses of traditional industries spilled everywhere and lost values gradually. Therefore, the protection, development and reuse of many modern industrial architecture and industrial heritage become a problem we are facing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Old factories and old warehouses are industrial cultural heritage of Shanghai modern history and historical context of Shanghai. As a result, the reasonable development and reuse of industrial cultural heritage is important content of Urban regeneration. This paper selects Red Town which symbolizes industrial cultural heritage of Shanghai. By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reuse of industrial heritage’s culture and art space, analyze the development of Red Town in various stages comprehensively and indicate the features, problems and reason’s for the success of Red Town. Thereby comes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s development direction and strategy by reuse of industrial heritage’s culture and art space. Red Town is called “Shanghai City Card” which provides valuable space for Shanghai. Red Town forms a good public atmosphere in ten years and it also provides a valuable supplement for city culture and art. Compared with behaviors of land development that implant culture by fore in order to increase land values, Red Town has accumulated good cultural resources and it’s necessary to continue and save the core values of Red Town. Due to various problems, Red Town is facing second transformation and currently maintain the state of closure for a couple of years at meantime. But we also look forward to Shanghai Rongqiao center which gathers culture, business and office work in the future. Culture and social value of Red Town has a expansionary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hanghai, so it’s necessary to study “Red Town model” and 10 years’ expensive. We hope that Red Town become excellent reference case about reuse of industrial heritage’s culture and art space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in the future. 近年來,歐美國家和日本進入後現代化社會,由於城市的經濟結構調整,城市陷入經濟不景氣和人口減少的困境。城市再生就是為了恢復城市經濟和賦予落後衰退的老城區新的功能,從社會,經濟,文化,福祉,環境等多個角度進行再生再造。城市再生不僅能合理地恢復和再造歷史建築,通過空間設計和改造賦予城市新的功能。還能通過再生的過程,可以提高城市的活力和經濟實力,促進城市的可持續發展。現如今進行的再開發,已經不僅僅是物質上的開發,還包括恢復城市居民和社區的功能,也是將城市的工業空間轉變為文化藝術空間的一種策略。 日益受到重視的工業遺產不僅具有歷史文化價值,社會經濟價值,科學價值,建築審美等價值,而且作為城市再生的一個重要內容,受到越來越多的關注。所以有必要提出工業遺產的活用戰略和活用方向。 上海是中國近現代最重要的工業城市之一,也是改革開放后發展最快最具有活力的城市之一。20世紀八九十年代上海市提出了優先發展第三產業,積極調整第二產業,穩定提高第一產業的發展方針。隨著上海城市經濟的變化,產業結構的調整和城市建設的發展,傳統產業日益衰退,然而傳統產業的老工廠舊倉庫散落在城市各處,也漸漸失去了價值。所以許多近現代的工業建築和工業遺產的保存,開發和再利用成為了城市再生過程中需要直面的問題。舊廠房和舊倉庫是上海近代史工業文化的遺產,也是上海城市的歷史文脈。因此對工業遺產合理的開發和利用是城市再生戰略中的重要內容。 本篇論文,選取了象征著上海工業遺產的紅坊創意園區。通過對活用文化藝術空間進行的城市再生戰略研究,全面分析紅坊在各個階段的發展,並指出紅坊的特征,問題點及成功要因。從而得出通過利用工業遺產的文化藝術空間的可持續發展的城市再生的發展方向及促進方案。 被稱作上海城市名片的紅坊創意園區給上海提供了有價值的空間。紅坊在這十年裏形成了良好的公共氛圍,也對城市文化和藝術提供了有價值的補充。 比起那些為了增加土地價值而硬性植入文化的土地開發行為比起來,紅坊已經積累了良好的文化資源,未來也要繼續保存延續它的核心價值。由於各種原因紅坊面臨的第二次的改造,同時也將維持兩到三年的休館狀態。但是對未來集文化,商業,商務于一體的上海融橋中心也是充滿期待。紅坊的文化和社會價值對上海的發展有促進作用,以後對“紅坊模式”和紅坊十年的經驗也有繼續研究和探討的必要。希望未來不僅僅是中國,紅坊也能夠成為其他國家活用工業遺產的文化藝術空間的參考事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