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初等學生들의 社會福祉意識 類型에 관한 연구

        김은자 慶雲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Korean society confronts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including increasing rates of suicide and divorce as well as decreased birth rate. These social problems are associated with conditions showing the loss of humanity and social values and dissociation of family and social community. Therefore it is needed to study about the welfare awareness of social community members and this could represent the status of welfare awareness and the present system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primary schools at Daegu city,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at August, 2003 using Q methodology which provides a way to reveal the subjectivity involved in any situ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agree with the fact that social welfare services are necessary for community members. Second, students oriented to the type of "ideal social welfare" thought that social welfare services are our rights to take and were very against the notion that social welfare services could retard the willingness of working. Third, students oriented to the type of "practical and realistic social welfare" thought that social welfare is agreeable but our society has not pursued this way satisfactorily. Fourth, students oriented to the type of "sympathetic social welfare" responded that social welfare services are very necessary but the subjects of services should be others except them. Fifth, students oriented to the type of "optimistic social welfare" agreed that social welfare services are the way for expressing the equality. Sixth, students oriented to the type of "passive social welfare" responded that social welfare is acceptable but they were very against paying for high tax rates to improve welfare services. Thus, these five different patterns of social welfare awareness represented by primary school students suggests that we need to educate and inform the welfare awareness. A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should involve the followings: First, it could motivate students to understand and help each other. Second, it should contain a program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to learn the idea and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ird, it should teach students to live along with practic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o others in their communities.

      • 빈첸시오 영성의 사회복지 구현에 관한 연구 :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조중희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St.' Vincentio Association is a kind of the Christ's love practice as one of Catholic social groups. This Association is based on the St.' Vincentio's spirituality. St.' Vincentio was practicing the Christ's love, by supporting economically and spiritually, with the exact sight against the times's needs at the confused situation. Focusing on the church, christian has served on the main axis through the local community, its activities has expanded with flexibility. On the chapter 2, the root of Vincentio's service was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introduce of St.' Vincentio Association. On the chapter 3, St.' Vincentio's spirituality was studied. That was able to be learned on the basis of St.' Vincentio's works and teachings. On the chapter 4, Case studies were discussed. How St.' Vincentio's spirituality is reflected on the Vincentio's services and applied with social welfare. St.' Vincentio's have got to the heart of a new stage and supported total services economically and spiritually, on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That services were practiced on the axis of the christians in the parish and were expended to the local variable network In the cases of the poorest, the collapse of family, multicultural family and foreign worker, it is important that Vincentio's service is practiced on the basis of the Christ's love, with the wholehearted support and aids. Without being bound by a rule. The wholehearted support give a internal comfort to the those left out, give rise to hope and new will for life. The economical and spiritual support with continuous and passionate service is the St.' Vincentio's spirituality which is served in the church pursuing the Christ's love. Therefore, we suggest that St.' Vincentio's spirituality is truly in need on these days. 빈첸시오회는 가톨릭사회단체의 하나로서 그리스도의 사랑실천의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이 회는 빈첸시오 성인의 영성에 그 뿌리를 둔다. 빈첸시오 성인은 혼란한 변화의 시대상황에서 그 시대가 바라는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물질적 영적 지원으로 실천하였다. 교회를 중심으로 평신도들이 주축이 되어 교구중심의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그 활동의 폭을 유연하게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2장에서 문헌연구를 통해 빈첸시오회의 소개와 함께 빈첸시오 활동의 근원을 파악 하였으며, 빈첸시오 성인의 영성에 대해 고찰하고 빈첸시오 활동을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빈첸시오 성인의 영성이 활동 속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으며, 사회복지학적으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빈첸시오 성인의 영성의 핵심은 시대의 상황을 정확하게 간파하여 물질적 지원과 더불어 영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서 도움이 필요한 곳에 종합적인 지원이 이뤄지도록 교회를 중심으로, 즉 지역의 평신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계층으로의 네트워크를 확장시켜 활동한다는 것이다. 물질적 극빈층, 붕괴가족, 다문화 가정 및 외국인 노동자 등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볼 수 있었던 빈첸시오 활동은 사회적 틀에 얽매이지 않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근간으로 한 전폭적인 지지와 지원이 이뤄진다는 사실이다. 전폭적인 지지는 이 시대의 소외되고 도움이 절실한 계층에게 가장 큰 위로이자 사랑이며 정신적, 영적위안이 되고 그로부터 새로운 삶의 의지와 희망이 생겨나게 된다. 지속적이고 열정적인 활동을 통한 물적, 영적 지원이 그리스도 사랑실천을 추구하는 교회 안에서 사회적 틀에 얽매이지 않고, 유연하게, 도움을 필요로 하는 모든 대상에게 행해지는 빈첸시오 영성의 사회 복지적 구현이 이 시대가 진정 필요로 하는 복지정신이 아닌가 한다.

      • 노인복지 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1990년대의 노인복지 예산을 중심으로

        노무지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그 동안 우리나라는 출생율 및 사망률의 감소로 인구 고령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1960년 65세이상 노인 수는 726,000 명으로 전체인구의 2.9%에 불과하였는데 반해 2000년에 들어와 노인인구는 3,395,000 명으로 전체 국민의 7.2%가 넘는 고령화사회(Aging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 앞으로 2019년에 가면 노인수가 7314,000 명으로 전체 국민의 14.4%가 넘어 고령화 사회가 도래되면 2026년에는 노인수가 10,113,000 명으로 전체 국민의 20.0%가 넘어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로 접어들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소년기에는 빈곤·질병·고독·무위 등 4고(苦)를 겪게 된다. 따라서 노년기의 경제적 문제·건강보호·심리적 고립 및 소외·역할상실 등 노인문제는 고령화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라 보고 연구 대상으로 노인 복지 재원에 초점을 두었다. 우리 나라가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정부가 노인 복지에 대한 행정수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고 노인복지와 관련된 환경 또한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 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복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함에 열정을 다하면서 다양한 탐색을 시도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노인 복지 예산에 관한 분석하였고, 노인복지예산 결정의 요인에 대한 분석과 노인복지 예산 결정 요인에 관한 정치·행정적 분석, 그리고 노인복지 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경제적 분석·사회 문화적 분석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21세기에는 노인문제가 세계적 추세의 하나로 부상되면서 우리 나라도 당면 과제의 하나로 정부와 국민 각자가 관심과 재원확보 및 제도적 뒷받침에 총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노년기의 소득보장, 건강관리, 고독 및 소외해소, 사회적 활동 등 노후 준비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 제도와 재원의 지원 방안이 시급히 활성화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그 한 예로 예산결정요인론에 대한 일면을 고찰해보면 서구의 실증적 분석이 횡단면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진 반면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예산 및 정책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은 대부분 시계열분석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령화사회의 진전과 노인복지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횡단면적 분석 뿐만 아니라 종단면적 분석도 함께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다양한 결정요인들에 대한 분석 뿐만 아니라 그것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시대상황의 변화로 인해 전체예산에서 노인복지예산이 차지하는 비중과 복지예산의 규모가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등 노인복지정책 및 예산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열악한 노인복지의 현실속에서 아직도 수요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시행하지 못하고 있고 노인복지를 개인이나 자녀 및 가정의 책임으로 회피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이 제시한 논의는 노인복지예산이 어떠한 흐름을 보여왔고 이러한 흐름이 어떠한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는 분석을 통해 중요한 함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우선 앞으로의 노인복지예산규모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정책적 자료를 제시해주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고 다음으로는 노인복지예산 자체 뿐만 아니라 노인복지와 관련된 경제적 변수에 대한 정책적 고려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s our society is becomming an aging society, the goverment has recently emphasized the administrative demand for senior citizens welfare. In addition, the enviroment related to senior citizens will be developed in other ways unlike analyz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enior citizens welfare policy. The analysis about budget & policy - decision - facotrs in Korea is developed by western countries whereas developed by time-series analysis whereas (budget-decision-factor theories) in western countries are developed in horizontal analysis but also time-series analysis is needed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citizens society &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senior citizens welfare. Therefore, the study will be meaningful because the goverment is trying to expand the senior citizens welfare budget as a proportion of the whole goverment finance or the whole welfare budget. However, the goverment does not analyze the exact deman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the poor reality of senior citizens, and tends to transfer this responsibility to their children or family. For this perspective this study review the history (or flow) of senior citizens welfare budget & analyzes the influence-factors of this history (or flow). First of all, this study help to develop significant administration materials for senior citizens welfare budget.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ion considers the economic factors related to senior citizens as well as senior citizens welfare budget itself.

      •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상근간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조선미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seek and suggest the plan of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full-time social workers and furthermore maximize the set goal achievement by determining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 of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factor of the full-time Social Workers on the job satisfaction of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full-time Social Workers. The research project for this is as follows. Firstly,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full-time social workers is examined, secondly,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full-time social worke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factor and job satisfaction are identified, and thirdly,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full-time social workers and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 on job satisfaction is determined. To find the answer to the problem of the research, self-report questionnaires have been sent, using electronic mails, to 93 full-time social workers of the 84 domestic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for 9 days starting from 29th September 2010, of showed 81.7% collection rate, the primary results achie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case of the objectiv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full-time social workers, two or more of full-time social workers, full-time social workers working in separate offices, fast initial employment time, and full-time social workers who receive the salary of the 7th standard local public servants suggested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wed high job satisfaction. Secondly, in the case of the subjectiv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full-time social workers, work autonomy, institution, compensation, care from the direct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workers all were identified to have an effect, but from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work autonomy showed meaningfulness statistically. Thirdly, in the case of personal factors of the full-time social workers, it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is an organization that does not have the appearance of an official organization and solves the present pending issues of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through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networking type by inducing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nd people, so wise alternatives need to be suggested through more systematic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full-time social workers. Firstly, the establishment of legal institutionalization on the management of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is required, and the treatment and location system of the full-time social workers need to be realistic. Also, the name change and the qualification of the full-time social workers need to be strengthened, and with the systematic job training for the full-time social workers, a higher clear scale monitoring needs to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qualification and skills of the full-time social workers, and try to between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domestic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installation centric part responsibility organization. Through this, the chain of former and current works of the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full-time social workers is broken, and by managing the pivotal role of the public and people in the community through long service, the set goal of community social workers association will be able to be smoothly implemented.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조직 환경 요소와 상근간사의 개인특성 요인이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 종사하는 상근간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상근간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설치 목적 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및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상근간사의 직무만족 수준을 살펴보고, 둘째,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상근간사의 조직 환경 및 개인특성요소와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며, 셋째,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상근간사의 조직 환경과 개인특성요소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과제의 답을 얻기 위해 전국의 84개 시군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상근간사 93명에게 2010년 11월 29일부터 9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81.7%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상근간사의 객관적 조직 환경의 경우, 2인 이상의 상근간사가, 별도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상근간사가, 최초 상근간사를 채용시점이 빠를수록,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한 지방공무원 7급 기준의 급여를 받는 상근간사가 높은 직무만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상근간사의 주관적 조직 환경의 경우, 업무자율성, 기관, 보수, 감독의 배려, 동료와의 관계 모두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다중회귀분석 결과 업무자율성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근간사의 개인적 요소의 경우, 자아존중감, 통제위치,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모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의 차이는 자아존중감, 통제위치,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관변단체로의 외형을 가지지 않고 공공과 민간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네트워크형 조직 구조를 통해 당면한 지역사회복지의 현안을 해결하는 조직으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상근간사들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현명한 대안들이 제시되어야 한다. 먼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에 관한 법률적 제도화의 확립이 요구되며, 상근간사의 처우 및 위치 체계가 현실적이어야 한다. 또한, 상근간사의 명칭 변경 및 자격이 강화되어야 하고, 상근간사를 위한 체계적인 직무교육과 더불어 보다 명확한 척도를 통한 모니터링이 실시되어 상근간사의 자질 및 기술이 향상되어야 할 것이며, 보건복지부와 시군구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대표조직이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상근간사의 이?전직의 고리를 끊고 장기근속을 통해 지역사회 내에 민간과 공공의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설치목적을 원활히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조해영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현장실습생들이 현장실습을 통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그 증상은 무엇인지, 그 수준은 어떠한지,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조사한다. 또한 실습생들이 실습 시 받는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현장실습의 효과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체계적인 실습교육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남, 여 학생으로서 사회복지현장실습과정을 마친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증상을 살펴보면 전체 스트레스 증상이 보통이상으로 실습생들이 실습을 통해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신체적 증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심리적 증상, 행동적 증상 순이었다. 둘째, 독립변인과 전체 스트레스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개인요인 중 성별이, 실습요인 중 교육환경, 역할모델, 업무부담, 전문지식 및 기술, 대인관계가 전체 스트레스 증상과 정(+)의 상관관계를 유의미하게 보였다. 셋째, 전체 스트레스 증상의 하위범주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신체적 증상에서는 개인요인 중 성별, 사회복지전공 만족 여부가, 수퍼비전요인 중 수퍼비전 횟수가, 실습요인 중에는 업무부담,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행동적 증상에서는 개인요인 중 성별이, 수퍼비전요인 중 수퍼바이저의 경력이, 실습요인 중 업무부담,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심리적 증상에서는 개인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으며 수퍼비전요인에서 수퍼바이저의 경력이, 실습요인에서 업무부담, 전문지식 및 기술, 대인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체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 본 결과, 개인요인에서는 성별과 사회복지전공 만족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복지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전체 스트레스 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요인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습요인에서는 업무부담과 대인관계가 전체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업무부담과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전체 스트레스 증상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의 스트레스 증상을 낮추어 체계적인 실습교육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습생들의 스트레스 증상을 낮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실습을 실시하는 기관에서는 실습활동에 대한 계획과 함께 실습을 행하는 실습생의 개인요인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개인의 특성에 따른 실습지도를 실시해야 한다. 이러한 실습지도를 통해서 실습생의 스트레스가 낮아진다면 보다 효과적인 실습성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습생에게 지나치게 많은 업무가 부여된다고 인식됨에 따라 그에 따르는 스트레스 증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보다 질적인 교육을 실시하게 하기 위해 실습이 시작되기 이전에 실습생과 수퍼바이저가 충분한 의견절충을 통해 적정한 실습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실습수퍼바이저의 자격요건 권고안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권고안에 따르면 실습수퍼바이저의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이어야 하는데 조사결과 3년 미만인 경우가 있었다. 실습수퍼바이저에 대한 기본적인 자격요건은 보다 양질의 실습을 실습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에 사회복지현장실습생을 양성하는 기관에서는 실습에 관련된 기본적인 체계를 갖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 실습을 시행할 때 실습생에게 제공하는 수퍼비전이 지나치게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은 적정한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적정한 수준의 수퍼비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수퍼바이저에 대한 분명한 업무와 역할에 대한 명시를 통해 세부적인 업무가 규정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 experienced by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ts symptoms and levels, and the factors affecting stress symptoms. It is also to seek the systematic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outcome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by efficiently managing the stress that students in the practicum undergo during the training. With this aim, the study targeted 20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have majored in social welfare studies and completed social work field practicum, in four-year colleges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It was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SPSS WIN 17.0 program, and then, it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a descriptive analysis, a t-test, ANOVA,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into the stress symptoms of the research targets, all stress symptoms were over the normal level, and students in social work filed practicum were found to feel stress during the social work practicum. When reviewing these symptoms by each sub-category, physical symptom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nd then, psychological symptoms and behavioral symptoms followed. Second, when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ire stress symptoms, gender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 role model, role sharing,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practicum factors,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entire stress symptoms. Third, when looking into the factors affecting by sub-category regarding the entire stress symptoms, in physical symptoms, gender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f social welfare studies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number of supervisions among the supervision factor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job burden among the practicum factor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Meanwhile, in behavioral symptoms, gender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a supervisor’s career among the supervision factors, the job burde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um fa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psychological symptom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individual factors while a supervisor’s career among the supervision factors, and the job burden,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um factors appeared to be significant. Lastly, as a result of discovering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entire stress symptoms through a regression analysis, gender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studies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women were found to be higher in entire stress symptoms than men when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studies was low. In supervision factors, there appeared to be no significant result, but in practicum factors, the job burde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be affected variables to the entire stress symptoms. That is, the higher the stress level about the job burde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higher the entire stress symptom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tudy may propose the following plans for improving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by reducing the stress symptoms of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acy of social work practicum, the stress symptoms of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should be lowered. With this goal, it is recommended that agencies which perform social work practicum should offer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with more accurate information, along with plans about social work practicum curricula. Provided that the students’ stress may be reduced through these training programs, there would appear to be a more effective outcome. Second, as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perceived they are given too many jobs, their stress symptoms went up, accordingly. Hence,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perform the quality education more than quantity, it is recommended that training curricula be made through exchanging opinions between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nd a supervisor before the beginning of training. Third, there were some cases that failed to meet the requirements as a social work practicum supervisor of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 social work practicum supervisor is required to have over 3 years of work experience, but the research result found that there were some supervisors with fewer than 3 years of work experience. Their basic qualifications are to offer more quality social work practicum to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Accordingly, agencies that cultivate students in social work field practicum would be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be prepared with the basic system related to training. Fourth, when social welfare agencies provide, supervision given to students in the practicum should be offered on an appropriate level, which is not excessive or insufficient. In order to offer such an adequate level of supervision, the support of these agencies should be taken as a priority. To be more precise, the detailed positions should be defined through the elucidation of the clear duties and roles of a supervisor.

      •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처전략,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대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혜연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mprove function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is the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competent and sound manpower. Unlike other fields, social workers' role are very important because social welfare service is provided by interaction with a person or family in trouble and social workers. Recently, It is the negativ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that a rising problem in respect of social manager's effective job performance and the management of competent and sound manpower. The social workers as a middle manager have carried out central roles in the social welfare center, but they also have suffered from stresses because of abundant and unfittable works. Finally, although social workers have been in central position, they have been going through a variety of role conflict and role conflicts connected with occupational stresses with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 effective job performance with organization. So, it is worth to find the effects of role conflict on occupational stresses and to find coping strategies for middle managers to release occupational stresses. Accordingly, in this study, I find the level of social workers' role conflict in social welfare center and to make practically certain of the effect of role conflict on occupational stresses. In addition, this study supposed to find what results will be given rise to by the choice of a cop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level of role conflic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strategies to manage negative results of occupational stresses. This study is carried out as follow: First, this study look into the level of the middle manager's role conflict,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in social welfare center. Second, this study also look into the middle-line workers' personal background and organizational feature, role conflict, use of coping strategy, self-esteem, social support will bring what results. Thir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role conflict of middle managers' personal background and organizational featur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role conflict of managers and use of coping strategie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ole conflict of managers and self-esteem,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ole conflict of managers and occupational stress. For this purpose, I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52 local social welfare cen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ole conflict which middle managers recognize is average, and the level of role self-esteem is higher than average. In additi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is higher than average figure and the level of the co-worker's social support is higher than that of superior. The level of the result of occupational stresses lower than average in psychosocial symptom, and that of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higher than average. Second, it is shown that number of superior, interaction term between role conflict and externalizing strategy accounted for 16.9% of variance in the psychosocial symptom. Third, it si shown that externalizing strategy, self-esteem, interaction term between role conflict and self-esteem, interaction term between role conflict and support of superior accounted for 23.5666% of variance in the job satisfaction. Fourth, it is shown that the established history of the center, role conflict, externalizing strategy, avoidance strategy, support of the superior accounted for 12.136% of variance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the connotation for coping strategies to lesson middle managers' occupational stress is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the investigation and preventive measures of middle managers' occupational stres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ocial welfare center. In order to provide faithful social service with clients in local area and raise efficiency and efficacy in case of carring work. Second, it makes low the level of the role conflict because the role conflict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 result of the occupational stress. It should be systemized conferences among departments in order to activate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Third, when social workers experience role conflict, conversation with superior and co-workers and subordinates or counseling or meeting is more effective than strategies to lower professional stress. Fourth, the organization to take the possibility of should provide the opportunity to lower psychological symptom caused by occupational stress and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ifth,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worker's self esteem, it should be provided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identity in the occupational area.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mprove function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is the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competent and sound manpower. Unlike other fields, social workers' role are very important because social welfare service is provided by interaction with a person or family in trouble and social workers. Recently, It is the negativ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that a rising problem in respect of social manager's effective job performance and the management of competent and sound manpower. The social workers as a middle manager have carried out central roles in the social welfare center, but they also have suffered from stresses because of abundant and unfittable works. Finally, although social workers have been in central position, they have been going through a variety of role conflict and role conflicts connected with occupational stresses with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 effective job performance with organization. So, it is worth to find the effects of role conflict on occupational stresses and to find coping strategies for middle managers to release occupational stresses. Accordingly, in this study, I find the level of social workers' role conflict in social welfare center and to make practically certain of the effect of role conflict on occupational stresses. In addition, this study supposed to find what results will be given rise to by the choice of a cop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level of role conflic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strategies to manage negative results of occupational stresses. This study is carried out as follow: First, this study look into the level of the middle manager's role conflict,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in social welfare center. Second, this study also look into the middle-line workers' personal background and organizational feature, role conflict, use of coping strategy, self-esteem, social support will bring what results. Thir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role conflict of middle managers' personal background and organizational featur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role conflict of managers and use of coping strategie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ole conflict of managers and self-esteem,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ole conflict of managers and occupational stress. For this purpose, I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52 local social welfare cen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ole conflict which middle managers recognize is average, and the level of role self-esteem is higher than average. In additi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is higher than average figure and the level of the co-worker's social support is higher than that of superior. The level of the result of occupational stresses lower than average in psychosocial symptom, and that of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higher than average. Second, it is shown that number of superior, interaction term between role conflict and externalizing strategy accounted for 16.9% of variance in the psychosocial symptom. Third, it si shown that externalizing strategy, self-esteem, interaction term between role conflict and self-esteem, interaction term between role conflict and support of superior accounted for 23.5666% of variance in the job satisfaction. Fourth, it is shown that the established history of the center, role conflict, externalizing strategy, avoidance strategy, support of the superior accounted for 12.136% of variance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the connotation for coping strategies to lesson middle managers' occupational stress is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the investigation and preventive measures of middle managers' occupational stres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social welfare center. In order to provide faithful social service with clients in local area and raise efficiency and efficacy in case of carring work. Second, it makes low the level of the role conflict because the role conflict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 result of the occupational stress. It should be systemized conferences among departments in order to activate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Third, when social workers experience role conflict, conversation with superior and co-workers and subordinates or counseling or meeting is more effective than strategies to lower professional stress. Fourth, the organization to take the possibility of should provide the opportunity to lower psychological symptom caused by occupational stress and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ifth,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worker's self esteem, it should be provided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identity in the occupational area.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향상을 위해 특히 중요한 것은 유능하고 건강한 인력의 확보와 유지이다. 다른 분야와는 달리 사회복지 서비스는 문제를 가진 개인이나 가족과 사회복지사의 인간적인 상호작용이라는 수단을 통해 진행되기 때문에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사회복지사의 효과적인 역할수행 및 건강하고 유능한 사회복지사 인력의 유지와 관련하여 가장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직무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들이다. 특히 사회복지관의 효과적인 업무수행과 관련해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은 중간관리자들인데 이들은 복지관내에서 중첩되거나 상반되는 업무수행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결국 지역사회복지관의 중간관리자들이 조직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다양한 종류의 역할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역할갈등이 직무스트레스로 연결되는 것은 결국 조직의 효과적인 업무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들의 역할갈등의 정도와 역할갈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중간관리자가 조직내에서 역할갈등에 의한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처기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갈등 수준을 알아보고, 역할갈등이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역할갈등 수준에 따른 대처전략의 선택이 직무 스트레스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여 대처전략의 적절한 사용으로 직무스트레스의 부정적 결과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의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 결과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심리·생리적 증상과 조직적 차원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결과의 영향요인으로 조사대상자의 개인적·조직적 특성, 대처전략,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를 사용하였다. 이와 함께 역할갈등과 개인적·조직적 특성, 대처전략,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각각의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역할갈등 및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알아본다. 둘째,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개인적 배경 및 기관의 특성, 역할갈등, 대처전략의 사용,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역할갈등과 개인적 배경 및 기관의 특성, 역할갈등과 대처전략의 사용, 역할갈등과 자아존중감, 역할갈등과 사회적 지지 각각이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연구하기 위해 서울지역 52개 지역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들이 인지하는 역할갈등의 수준은 보통수준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중간보다 훨씬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상사의 지지보다는 동료의 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결과의 수준은 심리·생리적 증상의 경우 중간보다 조금 낮았으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수준은 중간보다 더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심리·생리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사의 수와 역할갈등과 외재화의 상호작용변수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16.9%였다. 셋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외재화전략, 자아존중감, 역할갈등과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변수 및 역할갈등과 상사의지지의 상호작용변수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23.566%였다. 넷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립년도, 역할갈등, 외재화전략, 회피행동전략, 상사의 지지가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12.136%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위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이 지역사호에서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를 충실히 제공하고, 사업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업수행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와 이에 대한 예방책들이 지속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들의 역할갈등 수준을 낮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선 조직적인 차원에서 부서간 업무조정 및 중간관리자들이 상호 의사소통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부서간 회의를 정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업무과중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 결과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장기적으로는 정책적인 차원에서 사회복지관의 인력확충과 예산지원 확대 등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가 역할갈등을 경험할 때 외재적인 보상에 대한 인지적 재평가로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낮추려는 전략보다는 상사 및 동료, 부하직원들과의 직접적인 대화나 상담, 회의를 통해 문제상황을 해결하려는 직접적인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직무스트레스 결과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넷째, 기관 차원에서 중간관리자에게 지속적이고 지지적인 수퍼비전의 기회를 제공하여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생리적인 증상을 완화시키고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다섯째, 사회복지사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직업영역에서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들이 필요하다.

      • 사회복지법인의 재무건전성 연구

        권규상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인간은 공동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하여 인간의 욕구에 반응하고 사회적인 노력과 활동으로 인간의 삶의 안정을 획득하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현대사회에 만연한 무한경쟁과 끝없는 인간의 욕망이 불러온 사건의 영향은 세계경제에 커다란 타격을 주었고 시장은 정부의 개입과 납세자들의 세금으로 경제를 지탱해야 하는 상황으로 번지고 있다. 복지에 대한 정부의 예산은 삭감되고 실직자들의 생활은 붕괴되며 주택보유자들과 투자자들의 꿈이 사라지는 등의 대가를 오랫동안 치르게 될 것이라는 예견들과 점점 고갈되어가는 재정 속에서 각 국가들의 사회보장제도의 근간들이 위협당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사회보장시스템에서 활동하는 기독교 복지법인들은 지속적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지기 사명을 요구받는 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부자들은 자신의 기부금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법인이나 단체에 관심을 가질 것이며 더욱 투명하고 효율적인 운영보고를 기대하게 될 것이다. 운영의 효율성이 높고 목적사업에 많은 자원을 사용하는 비영리단체를 선호하고 지속적인 투명성과 그에 따른 투명한 보고를 원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운영의 효율성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방만한 운영으로 문제를 초래하는 단체와 법인은 기부자의 합리적인 선택의 기회를 낮출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존폐의 문제에 처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2009년 사회복지지출이 경상 GDP대비 10.38%를 기록하는 등 2012년 사회복지예산이 연간 전체국가예산의 약 29%를 차지하는 상황에서도, 사회복지법인의 경영현황을 비교할 수 있는 재무비율의 평균치를 산출하거나 제시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 객관적으로 공인된 자료의 부재와 학문적 시도가 없었던 사회복지분야에서 공시된 사회복지법인들의 결산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재무비율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인의 평균재무비율을 산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사회복지법인의 재무활동 요인들을 단계적 선택방식(stepwise)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재무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재무요인들을 탐색적으로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기독교분야에서 펼쳐지는 기독교복지의 노력이 이웃사랑 실천에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 연구하여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된 사회복지법인들의 재무적 투명성 제고와 복지경영에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개혁주의신학에서 표방하는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오직 그리스도(Solus Christus), 오직 믿음(Sola Fide), 오직 은혜(Sola Gratia),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도 ‘오직 믿음’을 강조한다고 해서 이 믿음이 행함을 배제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하고, 우리의 믿음에 행함을 추가하여 우리의 구원을 이루려는 것도 잘못이지만 “행함이 없는 믿음”에 머물러 있음을 합리화하거나 스스로 만족할 수 없다고 설명하고 그리스도의 생명을 우리의 삶 가운데 나타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장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한 것이다. 예수님께서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막 10:45) 그리고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요 12:24)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도 먼저 예수님을 본받아 철저히 낮아지고 그리스도의 은혜와 십자가의 고난을 생각하며, 예수님을 본받아 이웃을 위해 희생하고 섬기는 삶을 생활화하여 성경에서의 가장 큰 계명인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에 순종하여 구제와 봉사활동에 적극 동참하는 청지기 사명을 잘 감당하는 기독교복지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부보조금과 후원금으로 조성된 기금들을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로 행정의 공공성을 확립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투명하고 정직한 기독교복지법인의 모습을 간직해야 한다. 이러한 신뢰성과 투명성의 회복은 기독교복지법인 뿐 아니라 종교기관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이 넘는 사람들이 종교 활동을 하고 있지만 종교기관이 소유한 재산에 대한 정보는 물론 헌금이나 기부금등의 수입과 지출에 대한 내용이 적절하게 공시되지 않는 현실에서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사회복지법인을 포함한 모든 공익법인과 비영리조직의 리더십에 신선한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익법인 중에서 자산규모 10억 원 이상의 사회복지법인을 대상으로 국세청 공익법인공시 시스템에 발표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중심으로 재무비율을 분석하였다. 경영학이 기업신용평가의 근간으로 사용하는 재무비율분석을 적용하여 사회복지법인들의 재무건전성을 파악하였으며, 그 이론적 틀은 영리조직에서 개발된 경영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1991년 이후 투크만, 장, 트루셀, 그린리, 키팅 등에 의하여 개발된 비영리조직 재무분석 지표를 참조하고, 현삼원의 분석모델과 미국의 Chari Abstract A Study about Financial Soundness for Social Welfare Incorporations Kwon, Kyu Sang Department of Christian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Human beings respond to their desires to pursue the common happiness and make efforts to acquire the security and stability of life with social efforts and activities. However, infinite competition prevalent in modern society and the influence of incidents resulted from human desires have made big impacts on the world economy, and the market cannot be maintaine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government and economy is heavily dependent on taxes that citizens pay. Government budget for welfare is cut off, the life of the unemployed is destroyed and dream of home owners and investors disappear. The base of social welfare system of various nations may be threatened because of insufficient funds. Christian welfare foundations and incorporation operating in this social welfare system are demanded to keep their calling or vocation of stewardship to provide people with high quality services continuously. Donors will pay attention to associations or foundations that use their funds most efficiently and expect more transparent and efficient operation reports. They will prefer non‐profit foundations which operate highly efficiently and use most resources to proper purpose businesses. Therefore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showing remarkably insufficient efficiency in operation or causing problems because of reckless management may reduce the opportunity of donors to make a reasonable choice and in the long run they may have the issue of maintenance or abolition. In the circumstances that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was recorded as 10.38% of GDP in 2009 and the social welfare budget in 2012 occupies approximately 29% of total national budget,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study calculating or presenting the mean value of financial ratios that enable us to compare the management statu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ccordingly, this article tried to calculate the average financial ratios of domestic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ased on their Financial Statements in social welfare field that did not have objectively certified materials and academic trials. It was also tried to analyze stepwise selection method of financial activity facto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to identify the financial factors influencing the financial stability. Additionally, it was tried to lay the foundation stone for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transparency and welfar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stablished based on Christianity by studying the material implications of Christian welfare on the practice of neighborly love. This article points that it is wrong if we think the faith (Sola Scriptura) excludes practices although Sola Scriptura, Solus Christus, Sola Fide, Sola Gratia, and Soli Deo Gloria in Reformed Christianity emphasizes ‘Sola Scriptura’ and we cannot rationalize or be satisfied with the stay in “Faith without actions” although it is also wrong to get resurrected by adding actions to our faith. It is very timely to address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shows the life of Christ in the middle of our lives. As shown in “For even the Son of Man came not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Mark 10:45) and “Truly, truly, I say to you, unless a grain of wheat falls into the earth and dies, it remains alone; but if it dies, it bears much fruit”(John 12:24), we should practice Christian welfare by lowering ourselves just like Jesus, thinking the grace of Christ and his sufferings on the Cross, making it a habit to sacrifice ourselves and serve for neighbors, obeying the biggest commandment in the Bible such as ‘Love God and your neighbors’ and participate in reliefs and services. Consequently, we need to preserve the status of transparent and honest Christian welfare organizations that have the public nature of administration by managing government subsidy and people’s contributions rationally and systematically and do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he restoration of reliability and transparency is very important task not only to Christian welfare organizations but also to other religious organizations. The efforts to improve the situation will give fresh influence on leadership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clud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present situation that income such as donations and contributions and expenditure are not revealed in details as well as asset and possessions of religious organizations although more than half of the citizens are involved with religious activities. In this study, financial ratios were analyzed based on Balance Sheets and Income Statement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ith more than 1 billion won of assets out of public service corporations in Korea posted on Public Service Corporation Public Notice System of National Tax Office. Financial stabilit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as identified by applying financial ratio analysis which the discipline of management uses the base of corporate credit evaluation, and management analysis methods developed for profit organizations were used as theoretical frame. Referring to non‐profit organizations’ financial status analysis indexes developed by Tuckman Howard, Chang Cyril F., Truessel John, Greenlee, Keating after 1991, analysis models by Hyun Sam Won and the methods of Charity Navigator in USA, we have investigated financial sound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analysis area was divided into Rational Management, Financial Stability and Management Activities and 15 analysis indexes were set for each area. Average financial ratio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ere calculated and it was investigated if there were organizations with unusualness or area to im

      •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지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단절균형이론을 이용한 경상북도 23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배은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방분권 이후 지방자치제의 도입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지출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단절균형이론을 사회복지학에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점증주의 영향 요인이 너무 커서 다른 설명변수의 영향력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던 한계를 극복하고, 이 이론을 통해 현 지방정부의 급변하는 복지정책 환경의 변화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지출 결정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지방분권 시대에 재정분권을 위한 대응방안을 함께 논의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23개 시․군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1997년부터 2010년까지의 세출예산 데이터를 활용해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 등 계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실시 결과 사회복지지출비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전년도사회복지지출비율, 국민기초생활수급자비율, 등록장애인비율, 1인당 지역내총생산, 재정자립도, 1인당 지방세부담액, 지방선거 실시여부, 지방선거투표율로 나타났다. 지방정부 사회복지지출 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대부분의 선행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전년도사회복지지출비율의 점증주의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절균형이론을 통해 5가지 단절의 기준을 정립하여 지방정부 사회복지지출비율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단절Ⅰ의 경우 단절유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등록장애인비율,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방선거 실시여부, 지방선거투표율, 분권교부세 실시여부로 나타났다. 단절Ⅱ의 경우 단절유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등록장애인비율, 1인당 지역내총생산, 재정자립도, 지방선거 실시여부, 분권교부세 실시여부로 나타났다. 단절Ⅲ의 경우 단절유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등록장애인비율, 재정자립도, 지방선거유무, 분권교부세 실시여부로 나타났다. 단절Ⅳ의 경우 단절유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노령인구비율, 등록장애인비율, 재정자립도, 지방선거 실시여부, 자치단체장 소속정당(한나라당), 분권교부세 실시여부로 나타났다. 단절Ⅴ의 경우 단절유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등록장애인비율, 재정자립도, 지방선거 실시여부, 분권교부세 실시여부로 나타났다. 모든 단절 유형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등록장애인 비율, 지방선거실시여부, 분권교부세 실시여부 변수이다. 단절 유형이 Ⅴ인 경우를 제외하고 등록장애인비율, 지방선거 실시여부의 경우 값이 증가할수록 단절일 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단절 유형이 Ⅴ인 경우를 제외하고 분권교부세를 실시할 경우 단절일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등록장애인수는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복지수요의 성격을 갖고 있다. 등록장애인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음에도 사회복지지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은 지방정부의 장애인복지에 대한 인식과 투자가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치단체 담당 공무원을 중심으로 장애인복지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하며 이들의 노력이 예산편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장애인복지예산 할당제와 같은 의무조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선거를 실시할 경우 지방정부 사회복지지출이 단절일 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지방선거가 있을 경우 복지정향보다는 개발정향의 정책을 따라가기 쉽다. 또 선거비용을 자치단체가 직접 부담을 하기 때문에 선거가 있는 해에는 상대적으로 사회복지지출비율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자치단체장이 총선과 대선을 출마하기 위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는 경우는 법률로써 피선거권 행사에 유보기간을 적용하는 등 제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분권교부세 실시 후 단절일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권교부세 실시 이후 사회복지지출이 대폭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재정분권 이후 중앙정부에서 부담하는 분권교부세 부담액에 비해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하는 지방비 부담액이 증가하고 있어 재정자립도가 낮고 사회복지 수요계층이 많이 분포하는 경상북도 자치단체의 경우 사회복지지출 증가는 자치단체에 재정적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다. 지방정부의 실질적인 재정분권을 위해서는 사회복지분야 만큼은 분권교부세가 보통교부세의 성질이 아닌 보조금의 형태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factors to examine the effect of local autonomy system since the local decentralization.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s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incrementalism with punctuated equilibrium theory and to take a countermeasure for fiscal decentralization in local decentralization age. Data from 1997 to 2010 focused on twenty-three (city, county) local governments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was selected for this study. For statistical analy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ratio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to total expenditure at the previous year, the recipient ratio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the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per person, the self-reliance ratio of local finance, the local tax amounts per person, whether local election hold or not, voting rate of local elec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 ratio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to total expenditure at the previous year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and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 To conduc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 five punctuation standard was decided by the previous research.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case of punctuation standard Ⅰ, the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per person, whether local election hold or not, voting rate of local election, whether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hold or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the case of punctuation standard Ⅱ, the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per person, the self-reliance ratio of local finance, whether local election hold or not, whether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hold or not have a impact on the ratio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the case of punctuation standard Ⅲ, the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the self-reliance ratio of local finance, whether local election hold or not, whether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hold or not show an impact on the ratio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the case of punctuation standard Ⅳ, the ratio of senior citizen to total population, the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the self-reliance ratio of local finance, whether local election hold or not, party of a local government head(the grand national party), whether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hold or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the case of punctuation standard Ⅴ, the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the self-reliance ratio of local finance, whether local election hold or not, whether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hold or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All of punctuation standards have common independent variables, that is the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whether local election hold or not and whether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hold or not. If it is excepted the case of punctuation standard Ⅴ, punctuation probability show low as price of the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whether local election hold or not increase. On the other hand, punctuation probability shows high as price of whether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hold or not increas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as analysi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reveals a character of welfare demand as social economic factor. As the ratio of registered disabled increase every year, social welfare expenditure doesn't increase rapidly and the result indicated that it is insufficient recognition and investment on the disabled welfare of local government.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cognition of a local public official and to adopt the quota system for the disabled welfare budget. Second, punctuation probability shows low as price of whether local election hold or not increase. An election year, it is easy to follow developmentalism than welfarism. Also,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pay the cost of election, the ratio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an election year will decrease. So it is necessary to postpone exercising the local government head's electoral eligibility as law, if he run for president or the National Assembly with uncompleted remaining term of his. Third, punctuation probability indicated high after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hold. The result show that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crease after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hold. After the fiscal decentralization,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tax amounts of the local government increase more than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 case of local governments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it is possible to bring financial pressure because of a low self-reliance ratio of local finance and many social welfare demands. 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by a form of grants than general grants in case of social welfare.

      • 社會福祉法人 設立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設立要件과 節次를 中心으로

        金萬俊 아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의 현대국가들은 국민의 복지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고령화의 급속한 증가, 핵가족화 및 도시화의 진행에 의한 가족 및 지역사회의 부양능력 저하, 국민의식의 다양화 등에 의한 국민의 사회복지에 대한 욕구의 증가와 다양화를 들 수 있다. 그 동안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 서비스는 민간부문의 사회복지법인을 중심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권위주의적이고 관료주의적인 행정체계로 인하여 미약한 재정지원과 과도한 규제가 뒤따라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가 어려웠다. 이처럼 사회복지법인은 불합리적인 법규정과 행정절차에 의하여 법인설립의 절차가 까다로와 적절히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법인이 합리적으로 설립되기 위해서는 설립과정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찾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사회복지법인의 운영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기존의 연구도 법학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요건과 절차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고찰을 통해서 법인의 개괄적 내용을 살펴보고, 사회복지법인의 개념·특성과 사회복지법인관련 법규를 살펴보았다. 둘째,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요건으로는 출연재산, 정관작성, 주무관청의 허가에 대해서 살펴보고 허가신청, 처리절차, 법인 설립 허가 후 조치사항과 같은 설립과정을 고찰하면서 현장 실무대표자들과의 면담도 함께 다루었다. 셋째, 위에서 고찰한 사회복지법인의 설립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출연재산, 정관작성, 준칙주의에 의한 법인설립 그리고 법인의 지도·감독으로 나누어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서술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현장 실무를 보완하기 위하여 법인대표자(실무자) 및 법인업무 담당공무원과의 면담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로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법인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정관의 작성, 주무관청의 설립허가, 설립등기 등 세가지 절차가 필요하다. 이 세가지 외에 사회복지법인은 사회복지사업의 목적을 위하여 재산이 중심이 되는 법인이므로 법인이 설립의 요건을 갖춤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먼저 법정자산을 확보하는 것이 선결문제인데 이러한 설립과정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출연재산의 귀속시기이다. 출연재산의 귀속시기에 관한 민법 제48조는 물건 변동에 관한 대원칙인 성립요건주의(민법제186조,제188조)와 지시채권의 양도에는 증서의 배서·교부(민법제508조)를, 무기명 채권의 양도에는 증서의 교부(민법제523조)를 성립요건으로 하는 채권양도에 관한 원칙과의 관계에 있어서 곤란한 해석상의 문제를 제공하고 있으며, 학설도 대립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형식주의(민법제186조)라는 법에 근거없는 복잡한 기교적인 이원체제를 창안하여 재단법인의 법률관계가 획일적이지 못하고 불명확하다. 이원적으로 해석한 대법원판례는 재단법인의 설립과 그 기능의 혼란을 야기시킨다. 둘째, 정관작성상의 문제로 정관준칙은 획일적이고 사회복지법인의 자율성을 해할 우려가 크다. 그리고 정관에서 필요적 기재사항인 총칙중에서 명칭은 복지서비스의 대상이 일반적이고 포괄적임을 감안하여 어느 특정의 종교, 회사, 개인에서 그 명칭을 따오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임원과 이사회에 대한 문제에서 먼저 이사의 문제점으로, 이사의 인원수에서 실질적인 의결을 하는데 있어서 현 정관준칙에 의한 최저인원 5명은 부족한 인원이다. 그리고 현행 사회복지사업법에서는 사회복지법인의 구체적인 활동을 하는 임원에 있어 법인의 업무를 집행할 이사나 이사의 사무집행을 감독할 감사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강제적 제한 규정이 없으므로 사회복지법인의 운영에 있어 다소 효율적이고 비합리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여지가 많은 것이다. 감사의 문제점으로는 업무감사에 대해서 일관성있게 합의된 규칙이 없으며 일정한 감사실시규정 등의 정관상에 기재되어 있지 않아 감사의 실효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업무의 효과성등에 대한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리고 사회복지법인이 정한 정관에 이사회의 요의결사항의 구체적인 범위가 모호하고 이사장의 전결사항의 구체적인 범위내용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다. 셋째, 허가절차에 대한 문제점으로 허가절차에 있어 처리기간이 너무 짧아 형식적이고 주무관청의 일선 담당공무원도 비전문성과 지속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허가주의에 의해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을 제한할 경우 민간의 사회복지참여를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는 첫째, 출연재산은 사회복지법인의 설립허가시 또는 설립자의 사망시에 당연히 법인에게 귀속한다고 해석하는 다수설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며, 향후 일관성 있는 법 해석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둘째, 정관을 작성할때는 이사나 감사의 기능을 강화하고 이사회활성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작성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에 있어서는 법률이 정하는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는 당연히 법인이 설립되는 준칙주의를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준칙주의를 채택하므로서 발생하는 조직 내 부실한 점은 법인설립 후 지도·감독으로 보완할 수 있도록 지도·감독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도·감독은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이 실시 할 때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을 위와 같이 개선함으로서 민간의 사회복지에 대한 참여를 적극 권장할 수 있으며, 활발한 민간참여는 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In 21 century, modern country is interested in people's welfare. It is due to decrease of support capacity of family or local society caused by rapid increase of ageing people, the trend of nuclear family and promotion of urbanization and increase and diversity of people's desire for social welfare caused by diversity of people's consciousness. Until now on, Korean social welfare has rapidly grown on the basis of private social welfare corporation but it was hard to induce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due to timid financial assistance and heavy regulation caused by authoritarian and bureaucratic administration system. Social welfare corporation was not properly operated due to particular process of corporation foundation caused by unreasonable regulation and administrative process. To establish social welfare corporation reasonably, we have to find problem and consider improvement method through considering foundation process. But the study on the oper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insufficient and that existing study has a character of law so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survey required condition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the problem of proces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method to solve problem. The context of this paper is like follow: First, it surveyed general context of corporation,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regulation concerned to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rough considering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Second, for required condition for founding social welfare corporation, it surveyed contributed asset, preparation of statute, permission of competent authority, considered foundation process like application for permission, transaction process and management after permission of corporation and handled interview with representatives of practical affairs. Third, it surveyed the method to solve problem appeared in above foundation process of corporation through classifying it into contributed asset, preparation of statute, foundation of corporation according to standard and guidance and supervision of corporation. In study method, it used descriptive metho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erformed interview with representative of corporation and public service personnel in charge of foundation of corporation to supplement actual affair of field at the same time. The problem and improvement method from the result of this paper was like follow: Three processes like preparation of statute, permission of competent authority and registration of foundation are necessary to establish social welfare corporation. Besides them,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asset-based corporation for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business so insurance of legal asset is previous question for meeting required condition for foundation of corporation. Problems appeared in the foundation process are like follows: First, the time to return contributed asset. Provision 48 of the Civil Law concerned to the time to return contributed asset is providing existence condition basis, the broad principle about change of object (Provision 186 and 188 of Civil Law) and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le about transfer of bond that requires endorsement and grant of bond when transferring order bond (Provision 508 of Civil Law) and grant of bond when transferring bearer bond (Provision 523 of Civil Law). Theories about this problem are also confronted. Relative law of corporation is not uniform but unclear because complex and technical dual system was created regardless of external Formalism (Provision 186 of Civil Law). Dually-interpreted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gives confusion to foundation of corporation and its function. Second, due to problem on preparation of statute, standard of statute is not uniform and is apt to destruct self-control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e name of corporation among general rules, required entry in statute has not to be named after certain religion, company or individual while considering that target of welfare service is general and wide. Among problems of executive and board of direction, first of all, in the problem of board of direction, minimum number of person to make actual decision according to present standard of statute, 5 persons are insufficient. Because there is no compulsory regulation to insure specialty for director to execute affair of corporation and inspector to inspect director's execution in present welfare business law, ineffective and unreasonable oper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possible. The problem of inspection is that it is hard to insure actual effect of inspection because there is no consistent regulation about inspection of affair and constant inspection performance regulation is not mentioned in statute. The evaluation on effect of affair was almost not performed. Specific range of decision-making by board of director in statute defined by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vague and the regulation about specific range of chief director's decision is not clear. Third, the problem of approval process is that relative public servant of competent authority is lack of specialty and durability due to short management period in the process of permission and citizen is hard to participate in social welfare business when restricting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by permission basis. The improvement methods for these problems are like follows: First, in contributed asset, theory of majority interpreting that it is reasonable to return contributed asset to corporation in case of permission of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founder's death and consistent interpretation of law is required in future. Second, it has to be prepared for reinforcing director and inspector's right and encouraging activation of board of director when preparing statute. Third, when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meets required condition of law, it is reasonable to select standard basis founding corporation. Fourth, for the weak point happened from selecting standard basis, guidance and supervision have to be reinforced to supplement the weak point with them after founding corporation. Those guidance and supervision will be effective when public servant in charge of social welfare business who has specialized knowledge performs it. Through improving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 like above, it is possible to actively encourage citizen's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business and active citizen's participation will play important role for increase of social welfare.

      • 都農 複合地域 住民의 社會 福祉 意識 調査 : 용인시를 중심으로

        문종원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의 사회문화적 변동사항을 대도시의 인근지역인 도농복합시의 사회복지 의식은 어떠한가를 조사 연구하기 위하여 설계된 논문이다. 그러므로 연구의 목적을 도농복합시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찰해 보고 도농복합시 농협이용 고객의 사회복지 의식 조사를 통하여 도농복합시의 지역 농업협동조합의 사회복지 서비스와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복지 정책 수립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점은 도농복합시의 사회복지 욕구가 다양하나 그에 대한 사회복지 기관의 수가 적고 전문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나 활동이 부족하고 공적 사회복지 서비스 역시 기초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 의식 조사에서 나타난 점을 요약하면, 첫째, 사회복지 예산의 부족(68.5%)을 지적했고, 장애인 고용촉진법 및 퇴직제도의 모순(72.3%)을 지적했다. 둘째, 빈부의 격차가 심하다(60.7%)는 의견이 나왔으며, 실직자의 고용기회가 없음(57.3%)을 지적하고 있다. 셋째,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제도에 관한 인지도의 질문내용에서는 의료보험 통합방향(60.7%)을 인지하고 있으며 산재보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장애인 고용정책, 영유아복지, 노인복지 서비스 등에는 인지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지역 농협의 역할에 관한 조사에서는 예금·대출과 생필품 구입, 농민의 영농지원, 지역주민의 생활 및 문화교육장으로 인식하고 있어 대체적으로 농협에 대한 이미지가 좋게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 변인에 따라 2 검정을 실시한 결과 사회복지관에 대한 인식, 자원봉사 경험, 사회복지 정책 인식, 국민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인식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도농복합시의 지역농협의 사회복지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농복합시의 사회문제와 지역주민이 겪고 있는 사회복지 욕구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이에 기초한 지역복지 계획을 수립해야 될 것이다. 둘째, 도농복합시에 위치한 지역 농업협동조합에서 얻은 수익금은 지역에 환원해야 한다는 원칙 아래 농협과 지역 주민의 공동참여로 지역 사회복지 발전에 공헌해야 할 것이다. 셋째, 도농복합시의 사회복지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에 있는 농협 상호간 유기적인 관계와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교환, 사회복지 서비스의 공동관계망을 구축하여 공동으로 지역 복지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 ine the social and cultural fluctuation items in recent Korean society and the welfare con sciousness of the urban-rural con solidated city which is nearby area of the metropoli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urban-rural con solidated city an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the welfare service, program and establishment of welfare policy of the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through investigation about welfare consciousness of customer using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As a result from this study, the desire for welfare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is various, but the number of welfare in stitution about that is small. And special welfare service and activity isn't sufficient, and the public welfare service also stays the basic level. And the summery from the investigation of welfare consciousness is as follows. First, it pointed the shortage of welfare budget(68.5%) and the contradiction about the acceleration of employment law for the disabled and the retirement system (72.3%). Second, the opinion that there was a trem endous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60.7%) was showed, and it pointed out that there was no chance of employ ment(57.3%). Third, in the questionnaire of recognition about Korean welfare system, it recognized the direction for unification of medical insurance(60.7%), and it was showed that the degree of recognition was low in in dustrial disaster in surance, people's basic livelihood assurance system, employment policy for the handicapped, welfare for the infant, welfare service for the aged, etc. Fourth, in the investig ation about the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s role, it was showed as an image about the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on the whole because they recognized it as a depositloan, purchasing the necessaries of life, a farmer's agriculture support, the inhabitant's education field for life and culture. Fifth, as a result of executing χ^(2) verification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it was showed significantly in the aspect of recognition about welfare center, experience about voluntary support, recognition about welfare policy, recognition of people's basic livelihood assurance system. As a result from the study above, the suggested point for groping the direction of dev elopm ent about the welfare at the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are as follows. First, we have to measure objectively the social problems of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and desire for welfare which the inhabitants suffer, and then regional welfare plan on the basis of it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and the inhabitants have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regional welfare with their joint participation on a basis that they have to return earnings, which is made from the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located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to the community. Third, for developing the welfare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they have to develop and operate the regional welfare program together after constructing the organic relations betwee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located in the community, changing welfare program and constructing joint relations network of the welfare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