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랭지 사계성 딸기의 생육 특성과 수확 후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황대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1. 고랭지 사계성 딸기의 품종별 생육비교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8개 품종에 대한 수확 후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는데, 가공용으로 이용되는 사계성 딸기의 품종 별 경도는 1N 이상과 당도는 6oBrix이상의 값이 요구되며 ‘Charlotte’ 품종이 1.5N 이상으로 가장 경도가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Portola’와 ‘San Andreas’ 품종을 제외한 6 종류 품종 모두 6oBrix이상의 값을 나타냈으며 ‘Albion’, ‘Charlotte’, 그리고 ‘Goha’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색도 지수인 hue angle과 chroma 값은 ‘Charlotte’, ‘Flamenco’, ‘GW-4’, 그리고 ‘San Andreas’ 품종에서는 높으며 좀 더 선명한 붉은색을 띄었다. 고랭지 지역에서 주요 수출품종으로 재배되고 있는 ‘Goha', 'Flamenco', 'Albion' 품종에 대한 재배기간중 생육특성을 비교하였는데, 상품과율은 ‘Flamenco’ 품종이 가장 좋았으며 과실수는 ‘Goha’ 품종이 가장 높고 ‘Albion’ 품종이 가장 낮았다. 국산품종인 ‘Goha’가 타 품종에 비해 고온기 화아분화 및 수량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Albion’ 품종은 내서성이 떨어져 고온기에 하고현상이 관찰되었고, ‘Flamenco’ 품종은 여름딸기 품종 중에서 내서성이 가장 우수해 고온기 기형과 발생율이 가장 낮았으며, 생산성에도 문제가 없지만 9월 이후 고온기 착과부담으로 수확량이 급감하는 경향을 보였다. 2. 고랭지 사계성 딸기의 예냉처리 효과 상온에 저장할 경우 3일이 경과되면서 8% 이상의 중량 감모율을 보인 반면, 4oC와 10oC의 저온저장은 7일 동안 2%의 중량 감모율을 보였다. 저온 저장 중에는 온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없었으나 shelf-life 기간 동안에는 9%까지 무게손실이 증가되었으며 통풍식 예냉처리가 무 예냉처리에 비해서 중량 감모율이 적었다. 곰팡이 발생은 저온 4oC 저장에서 예냉 유무에 관계없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shelf-life 기간 동안에는 3일 경과 후부터 발생 되었다. 과육의 색도는 shelf-life 기간 동안에 4oC 저장된 과실의 경우 착색이 지연되었다. 3. 모의 수출시 사계성 딸기의 유통온도 및 예냉 처리효과 ‘Goha’ 품종이 ‘Flamenco’ 품종에 비해서 2% 가량 중량 감모율이 높았다. ‘Flamenco’ 품종은 예냉처리 유무 및 상온과 저온 유통기간 동안 경도와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 변화가 없는 반면, ‘Goha’ 품종은 통풍식 예냉 및 저온유통에서 경도유지에 효과적이었다. 적정산도는 ‘Goha’ 품종에서 유통온도(P≤0.001) 및 예냉처리 유무(P≤0.05)가 적정산도에 영향을 미쳤다. 저온 유통은 딸기의 착색 및 곰팡이 발생을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예냉처리에 의해서 곰팡이 발생빈도를 낮출 수 있었다. 수출용 사계성 딸기의 8oC 이하의 저온에서는 유통기간이 4일 이상 연장되며, 차압식 예냉과 통풍식 예냉의 실시는 저온유통을 실시할 경우 효과적이었다.

      • 극단 사계(劇? 四季)의 통합적 뮤지컬 배우 훈련법 연구

        이호정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6

        Musical actors must think much of integrated balance of music, acting and movement due to the nature of the genre. Therefore they should get a combined basic training to portray given characters ideally. To keep the integrated balance, first of all, the actor should possess analytical skills of theater songs and get a vocal training to convey them to the audience effectively. Secondly, a speech training should be done to deliver a line. Thirdly, an actor must have a physical training to present a play by movements. Actors would be at the risk of exposure to high level of skills if they don’t get enough training. Therefore actors must prepare proper physical training prior to this kind of play. Thus the aim of this thesis is exploring the way of training for musical actors of the Shiki Theatre Company as an integrated training program to portray various characters and plays. Firstly, to study the way of training of the Shiki Theatre Company, I translate the company’s instruction for acting, ‘The method of the Shiki Theater’ written by Asari Keita for the first time and refer i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spect closely the Company’s own independent actor training method by this translation. The training method of the Shiki Theatre Company aims to deliver a line to the audience precisely by integrated training such as physical skills, respiration training through division of beats, and the vocalization the shape of mouth using vowels. First, programs of physical training for actors are provided variously for a week. Actors get a ballet lesson as a basic training and those lessons are divided into high, medium and low according to each actor’s physical condition. Through this training, the actors’ body become well-balanced. In addition, jazz, hiphop, yoga, traditional dance, and awaking which is helpful for fitness training are provided to cover a wide variety of genres. Second, the actor training of the Shiki Theatre Company has a the respiration discipline with a division of beats. This training is done by dividing beats, controlling short or long respiration according to the proper count and repeating them. This one could lay the foundation for an actor’s vocalization, and the ability of delivering a line and controlling the pace of respiration. Third, the original vocalization training method of the Shiki Theatre Company is the vocalization the shape of mouth. Its own vocalization the shape of mouth is a repetition of vowels in the original beat respiration way. And if actors acclimatize to using vowels, then use consonants in the same way. With this training, actors can produce resonance more effectively and keep a resonant voice. Lastly, the writer studied establishing characters cases of the license musical, ‘The Lion King’ basing on the training method of the Shiki Theatre Company. For example, in case of ‘Eulogy’ of the Rafiki character,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e and emotional changes can be controlled by the beat division training. And also the character Sarabi’s lines are improved by the vowel training vocalization the shape of mouth. And finally, character Simba’s number ‘endless night’ can be used to understand emotions and change of psychology by analyzing music and lyrics with the integrated training method. I give significance in introducing the training method for musical actors of the Shiki Theatre Company to Korea and hopes this method could be a stepping stone for establishing physical balance to create one’s own character of a play as the discipline for musical actors. 극단 사계의 훈련법은 신체 훈련을 위한 다양한 트레이닝, 박자(카운트) 분할을 통한 호흡훈련과 모음을 통한 개구발성 등 통합적 훈련을 통해 관객들에게 정확한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신체 훈련을 위한 다양한 트레이닝으로 일주일 단위로 배우들이 훈련할 수 있게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기초적인 훈련으로 발레를 기본으로 하고, 레벨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뉘어 자신의 신체상황에 맞게 수업에 참여한다. 이 훈련을 통해 배우의 몸의 밸런스 균형을 잡아준다. 그 외에도 뮤지컬의 다양한 장르를 소화해내기 위해 재즈, 힙합, 탬, 요가, 전통춤, 그리고 체력단련까지 할 수 있는 어웨이킹이 있다. 둘째, 극단 사계 배우 훈련법은 호흡훈련으로 박자(카운트)를 분할하여 훈련하는 방법이다. 박자를 분할하여 짧은 호흡과 긴 호흡을 카운트에 맞게 조절하고 반복하며 훈련한다. 이 훈련 방법은 배우의 발성과 대사, 호흡의 완급 조절하는데 박자(카운트)분할이 기본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다. 셋째, 극단 사계의 훈련법은 정확한 말의 전달을 위해 독자적인 발성법으로 개구발성이 그것이다. 극단 사계의 개구발성은 먼저 모음만으로 카운트(박자)호흡법에 맞춰서 반복 훈련한다. 그런 다음 모음으로 익숙해지면 자음을 활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훈련에 임한다. 이러한 훈련으로 인해 입안의 공명감이 정착되고, 발성에 있어 공명점이 떨어지지 않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극단 사계의 훈련법을 바탕으로 라이선스 뮤지컬 <라이온 킹>의 인물들의 구축사례를 고찰하였다. 라피키의 Eulogy는 카운트(박자)분할 훈련으로 인물의 심리적 상태나 감정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 또한 사라비의 대사에서는 모음훈련과 개구발성으로 대사의 화술의 전달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심바의 넘버 endless night는 통합적 훈련법을 적용해 음악과 가사의 분석에 의한 감정과 심리변화를 분석해 볼 수 있다.

      • 일본 극단 <사계> 운영 시스템 연구 : 장기 투자 마케팅을 전략을 중심으로

        우영하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5

        2006년 하반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한국 공연계의 가장 큰 화두는 일본 극단 <사계>의 본격적인 한국시장 진출과 그에 따른 뮤지컬 시장의 판도 변화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2006년 10월28일 샤롯데 극장. 뮤지컬『라이언 킹』). 그건 단순히 일본의 대형 공연물이 들어온다는 의미를 넘어서, 자본력과 기술력, 그리고 무시 못 할 그들의 조직력이 한국 공연 시장에 상륙한 다는 데에 있다. 글로벌 시대에 이미 예외가 아닌 한국공연 시장에서 그들과의 조우는 어쩌면 필연에 가까운 일이고, 반드시 우리 공연계가 넘어서야만 할 과정일 것이다. 그러기에 우린 먼저 그들을 정확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고, 또한 그건 반드시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창조적 계기가 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54년이라는 거대한 역사를 가진 일본의 극단 <사계>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더불어, 흔들림 없는 조직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는 세계에 유래가 없는 그들만의 독특한 제작 및 운영시스템을 포괄적으로 분석해 보는 데 있다. 8개의 전용극장을 중심으로 하루 평균 8개의 동시 공연과 일본 내 최대 12개 지역 동시 공연이 가능하고 연간 매출이 2천억 원을 상회하는 초대형 규모인 극단 사계의 조직과 시스템은 그들의 반세기 역사만큼이나 오랜 장기적이고 기획적인 투자와 조직 구조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이미 대형 뮤지컬 한 편 당 제작비 규모가 한국의 대형 블록버스터(blockbuster) 영화 제작비를 뛰어 넘는 그들의 자본과 공연규모는 이제 뜻으로 모이고 예술로 표현한다는 의미를 넘어, 사업적 경영이라는 또 다른 차원의 예술조직임을 의미한다. 작품별 프로듀서 시스템이 일반적인 서구의 구조와는 전혀 다른 독특한 역사와 조직 구조를 지닌 체 그들만의 방식으로 오늘 날의 성과를 이루어낸 극단 <사계>의 시스템을 분석해 보는 것은, 아직까지도 다양한 구조적 실험을 하고 있는 한국의 뮤지컬 제작 및 운영 시스템에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할 수도 있음이 분명하다. 어떤 개인의 단체나 조직을 중심으로 제작되는 한국과 일본의 공연 제작구조는 뮤지컬이라는 대형 공연물의 제작과 운용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점차 대형화 되고 전문 조직화 되어가고 있는 뮤지컬 공연 제작과 운용의 유용하고 현실적인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선 우리보다는 앞선 미국의 브로드웨이나, 영국의 웨스트엔드, 일본의 극단<사계>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앞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한국의 공연제작 구조와 유사한 토대에서 발전해 서구의 대형 뮤지컬을 활발하게 제작 운용하는 일본의 극단 <사계>의 기본 시스템에 대해서 분석하고 한국의 현실적 방안들을 제안해 본다. It is no overstatement to say that the hottest topic in Korean performance circle that has become the talk of all since the latter half of 2006 is Japanese theater <Shiki>'s making inroads into Korean market and subsequent change in the status of musical market (Charlotte Theater. Oct. 28, 2006. Musical『Lion King』). It means not just the grand Japanese performance work of art, but capital, technical as well as their non-negligible organizing capacity set foot in Korean performance market. In this global era when Korean market faces boundary dismantlement without exception, encountering with them is probably inevitable, and it must be the course that Korean performance field should undergo. We, therefore, need to have an accurate grasp of them, and it should serve as a creative opportunity for better tomorrow.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the objective analysis on the Japanese theater company <Shiki>, which has 54 years of gigantic history, and to offer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peculiar production and operation system of the company, which has been steadily advancing based on unwavering systematizing talent. Their production cost limit per grand musical already exceeded that of general Korean film, thus meaning their capital and performance scale is beyond just gathering under certain cause and expressing in the form of art and now signifying they belong to a whole new level of artistic body, or enterprise management. <Shiki> made the current level of achievement with peculiar history and organization structure, namely, their producer system by each work of art is entirely different from general structure of the West. It is obvious that analysis on the system of theater company <Shiki> might present new direction for musical production and operation system of Korea, which is still making a various structural experimentation. Because Korea and Japan have performance production system under which production is made mainly by certain private body or organization, there is limitation, to some extent, in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grand performance work of art. In order to deploy useful and practical system in musical performance production and operation, which is becoming bigger and professionally systematized, analysis and study on advanced Broadway of the US, West End of Great Britain, and theater company <Shiki> of Japan should be preceded. The present study will analyze the basic system of Japanese theater company <Shiki>, which has originated from the base similar to Korean performance production system and now actively products and manages Western grand musical, and will suggest practical methods that could be adopted in Korea.

      • 막스 리히터(Max Richter)가 재작곡한 <사계> 음악 분석 연구 : 비발디의 <사계>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정예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4

        본 연구는 1725년 이탈리아 작곡가 비발디가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와 2012년 영국 작곡가 막스 리히터가 재작곡한 <사계>를 비교해서 분석하여 새로 재탄생된 곡의 음악적 특징을 연구하고 ‘재작곡’ 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또한 현재 영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작곡가 중 한 명인 막스 리히터에 대해 국내 학술 자료가 미비하여, 음악의 분석에 앞서 작곡가 막스 리히터의 생애와 음악 활동 및 음악 성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흔히 클래식 음악은 과거의 음악으로서 인식되고 현재와 부합되지 않는다고 여긴다. 물론 현재 문헌적으로 남아있는 모든 클래식 작품들이 당대에는 시대의 조류와 사상 유행에 입각한 최첨단 현대음악이었겠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태초의 신선함과 생명력, 생동감을 잃어버리고 과거의 유물로 전락되어버린 경향이 있다. 과거의 명작들이 현대의 흐름과 니즈(needs)에 맞게 재창출된다면 과거와 현대를 잇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여 지금 시대의 사람들도 즐기고 공감하는 음악이 될 것이라고 여긴다. 일부 음악가들이 설명하는 재작곡의 개념은 기존의 음악에서 아주 약간의 상징적인 요소만 남겨두어 새로 재탄생 시킨 오리지널 작곡이다. 이렇게 재작곡된 음악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비발디의 <사계>와 막스 리히터의 <사계>의 총 12곡의 악보를 비교하여 선율과 화성, 구조적인 부분들의 변화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악장이 제각각 다른 방식으로 재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발디의 음악에서 아주 일부의 선율만 사용하여 반복, 확장하는 방식과 원곡의 상징적인 선율을 사용하면서 새로운 화성 진행과 선율, 주법 등을 추가하는 방식, 원곡과 다른 박자를 주거나 하모닉스 화음 군을 넣어 곡의 분위기를 바꾸는 방식 등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재작곡된 막스 리히터 <사계>의 분석을 통해 재작곡의 개념과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21세기 현대음악은 지나친 독자성의 추구로 대중들의 취향과 괴리가 큰데, 이런 익숙한 고전의 명작들을 현대의 양식에 맞게 재탄생하여 고전음악을 대중들과 연결시킬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여긴다. 그러므로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과거의 명작들이 현대 기술과 양식에 부합되게 재탄생하는 흐름이 이어 나가길 바란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violin concerto <Four Seasons> composed by Italian composer Vivaldi in 1725 and <Four Seasons> recomposed by English composer Max Richter in 2012 to stud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reborn song, and examining the concept of ‘recomposition’. In addition, since domestic academic data on Max Richter, one of the most active composers in the UK, is insufficient, prior to the analysis of music, the composer Max Richter's life, musical activities, and musical tendencies were investigated. Classical music is often perceived as the music of the past and is considered inconsistent with the present. Of course, all the classical works that remain in the literature at the time were cutting-edge modern music based on the trends and ideological trends of the time, but over time, the original freshness, vitality, and liveliness have been lost and tended to be reduced to relics of the past. If the masterpieces of the past are recre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 and needs, it is believed that it will connect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present a new vision, making music that people of today can enjoy and sympathize with. The concept of recomposition, described by some musicians, is an original composition that has been recreated from existing music with only a few symbolic elements left.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recomposed music, a total of 12 scores of Vivaldi's <Four Seasons> and Max Richter's <Four Seas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emphasis on changes in melody, harmony, and structural par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l movements were reconstructed in different ways. In Vivaldi's music, he used a method of repetition and expansion using only a small part of the melody, and he added new harmonic progression, melody, and playing method while using the symbolic melody of the original song. In addition, techniques were used to change the mood of the song by giving a beat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ong or adding a group of harmonic chords. Through the analysis of Max Richter's <Four Seasons>, which was recomposed in various ways,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recomposition were examined. In the 21st century, contemporary music has a large gap with the public's criterium due to the excessive pursuit of originality. I consider it one of the ways to connect classical music with the public by recreating these familiar classic masterpieces in a modern style. Therefore, I hope that the trend of recreating masterpieces of the past in accordance with modern technology and style will continue more actively in the future.

      •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사계의 뮈토스 연구

        김정효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4

        본 연구에서는 신화원형 비평에 기반하여 노스럽 프라이가 제시한 서술 형식인 사계(四季)의 뮈토스(mythos) 유형을 고찰하여, 이 사계의 뮈토스가 김유정 소설 속에 어떻게 유형화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노스럽 프라이가 제시한 사계의 뮈토스는 시간적 순환의 개념으로 서사 양식을 구분하며 이 개념에서는 자연순환적이고 재생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그리고 프라이가 소설을 희극, 비극, 로맨스, 풍자 및 아이러니의 서사 양식 4가지로 구분하고 이를 6가지의 양상으로 유형화한 것을 점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다룬 노스럽 프라이가 제시한 사계의 뮈토스의 순환 과정을 김유정 소설에 대응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사계 중 첫 번째인 봄의 뮈토스인 희극의 양상은 김유정 소설에서는 「봄․봄」에서 가장 잘 드러나 있다. 여기에서는 결혼을 쉽게 승낙하지 않는 상황을 조성하여 결혼을 훼방 놓는 장인의 방해 상황이 있었지만 점순이가 혼례를 시켜 달라고 말하라는 한마디가 주인공에게 반전을 일으키는 기제가 되어 장인과 싸움을 벌이고 화해를 조성하는 원인이 된다. 이는 희망과 긍정적 메시지를 전하는 희극의 양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름의 뮈토스인 로맨스 양상을 대표하는 김유정의 소설로는 「두포전」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작품에서는 두포의 죽음이라는 소멸의 과정으로 죽음․사라짐․부활의 과정을 통해 사랑의 감정이 살아나는 재생의 과정이 드러난다. 가을의 뮈토스인 비극은 상승의 단계에서 하락의 단계로 옮겨가는 것으로서, 김유정의 소설 「만무방」, 「두꺼비」 등이 이를 보여 주는 대표적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체로 사회생활에 눈이 어두워 순진하고 어리숙한 인물들로서, 독자들은 이러한 바보형 인물을 통해 연민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이 가을의 뮈토스에서는 무지함으로 말미암은 이 주인공들의 비극적인 상황을 잘 보여 준다. 그리고 겨울의 뮈토스인 아이러니 및 풍자는 대상을 공격하는 풍자의 시선보다는 비극적 상황을 이끄는 아이러니적인 작품이 대부분을 이룬다. 김유정의 소설 작품으로는 「안해」, 「노다지」, 「따라지」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주인공들은 지극히 인간적인 인물이 등장하며, 인물들의 환경이 비극적 상황에서 부조리하고 아이러니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인물들이 숙명적인 운명 속에서 비극적 가난의 생활환경을 벗어나고자 하지만 가난은 극복하기 어려워 다시 가난으로 되풀이되는 부조리한 상황을 보여 준다. 본 연구는 김유정의 소설 작품을 프라이의 사계의 뮈토스 이론에 적용하여 유형화함으로써 인류 보편적으로 지닌 4가지의 서사 양식이 김유정의 소설 작품에 대체적으로 잘 나타나고 있음을 고찰해 보았다. 이와 같은 시도는 김유정 소설이 한국문학에서뿐만이 아니라 세계문학의 서사 양식의 유형화에 일부분 기여할 수 있다는 단서를 찾을 수 있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고전 문헌의 장미 속(Rosa spp.) 식물 한자명 사용 분석

        김소영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3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osa spp. record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through its representative Chinese names such as Jangmi, Sagye, Wolgye, and Maego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ts called appearance period, petal color, growth type, blooming period, and matter of having scent. In the results of searching the Korean Classical General DB, the Chinese name Jangmi was described 74 times in 33 types of horticulture-related classical literatures while the Chinese name Sagye was described 30 times in 23 types of horticulture-related classical literatures. The Chinese name Wolgye was described eight times in seven types of horticulture-related classical literatures while the Chinese name Maegoe was described 23 times in 13 types of horticulture-related classical literature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lassical literatures, the classical literatures that mentioned Rosa spp. the most were ‘Sagajip’ by Seo, Geo-Jeong, ‘Dasansimunjip’ by Jeong, Yak-Yong, ‘Baekdamsijip’ by Gu, Bong-Ryeong, ‘Imhapilgi’ by Lee, Yoo-Won, and ‘Heodangbaekjip’ by Seong, Hye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osa spp., regarding the Chinese name Jangmi, the representative pedal color was yellow. As a fragrant and climbing Rosa spp. which was blooming in spring, it meant a plant different from the general rose in the present. In case of the Chinese name Sagye, the representative pedal color was red. It must be pointing out Rosa spp. which was fragrant and blooming throughout the year. Regarding the Chinese name Wolgye, the representative pedal color was red. As an ornamental plant through pot-planting, it must be pointing out Rosa spp. with no fragrance, blooming in spring. In case of the Chinese name Maegoe, the representative color was red. It must be pointing out Rosa spp. which was fragrant and blooming in spring.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hinese names of the plant shown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were changed in accordance with authors and appearance period, which could cause difficulties in the plant identification through classical literature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more researches and correct identification of diverse plants. 본 연구는 한국 고전 문헌 속에 기록된 장미 속(Rosa spp.) 식물의 대표적 한자명인 薔薇, 四季, 月季, 玫瑰의 특성을 고전 문헌 속에 기술된 내용을 바탕으로 등장 시기, 화색, 성장 형태, 개화시기, 향기 유, 무 등으로 각각 지칭하는 식물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한국고전종합DB 검색 결과 한자명 薔薇는 정원 식물 관련 고전 문헌이 33종으로 기술된 빈도는 74회, 한자명 四季는 정원 식물 관련 고전 문헌 23종, 기술된 빈도 30회였으며 한자명 月季는 정원 식물 관련 고전 문헌이 7종, 기술된 빈도 8회, 한자명 玫瑰의 정원 식물 관련 고전 문헌은 13종, 23회의 기술 빈도를 나타냈다. 고전 문헌 분석 결과 장미 속 식물을 가장 많이 언급한 고전 문헌은 서거정의 ‘사가집(四佳集)’, 정약용의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구봉령의 ‘백담시집(栢潭詩集)’과 이유원의 ‘임하필기(林下筆記)’, 성현의 ‘허백당집(虛白堂集)’이었다. 장미 속 식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한자명 薔薇는 대표적 화색이 노란색이었으며 덩굴성이고 봄에 개화하는 향기를 가진 장미 속 식물로 판단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명 장미와는 다른 형태의 식물을 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자명 四季는 대표적 화색은 붉은색이며 연중 꽃이 피고 향기가 있는 장미 속 식물을 지칭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자명 月季는 식물은 대표적 화색은 붉은색이고 분재로 관상이 가능하고 봄이며 꽃이 피는 장미 속 식물을 지칭했던 것으로 판단되고 한자명 玫瑰의 대표적 화색은 붉은색이며 봄에 꽃이 피고 향기가 있는 장미 속 식물을 지칭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장미 속 식물의 한자명 중에 고전 문헌에 가장 먼저 나타난 장미 속 식물은 12세기 중기의 한자명 四季였으며 가장 최근에 기술되었던 장미 속 식물은 한자명 薔薇였다. 고전 문현에 가장 많이 기술된 장미 속 식물은 한자명 薔薇였으며 장미 속 식물을 가장 많이 기술한 문체는 詩로 나타났으며, 고려시대 12말, 13말, 14초기, 조선시대 16중, 18중기에는 장미 속 식물의 언급이 없었다. 장미 속 식물이 가장 많은 언급이 있었던 시기는 고려 13중기, 조선 15말, 16초, 17초기 근대 19말기였다. 현전하는 ‘비해당사십팔영(匪懈堂四十八詠)’은 최항, 신숙주, 서거정, 김수온, 성삼문 등 다섯 사람의 작품으로 그 중 한자명 장미(薔薇)에 대한 작품은 ‘만가장미(滿架薔薇)’, 한자명 사계는 ‘사계화(四季花)’라는 제목으로 전해지고 있다. 작품에는 본 연구의 화색, 성장 형태, 개화시기에 대한 기술이 있으며 본 연구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만가장미(滿架薔薇)라는 제목에 만가(滿架)가 이미 덩굴성 임을 나타내며 김수온의 작품에는“亂英黃爛漫”에서 황(黃)으로 화색은 노란색을 나타내고 최항의 작품에는“淸馥可人須醉賞”이라 하여 복(馥)에서 향기가 있음을 나타냈다. 신숙주의 작품에는“春深始綻黃金姿, 繞架長條浥露垂.”라 하여 춘(春), 황금(黃金), 가(架)에서 개화 시기는 봄이고 화색은 노란색이며 성장 형태는 덩굴성 임을 나타내고 있다. 서거정의 작품에는 “一年春事到薔薇, 滿架離披不自持. 幾陳淸香煩蝶使,”라 하여 춘(春), 가(架), 향(香)으로 개화 시기는 봄, 성장 형태는 덩굴성이며 향기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비해당사십팔영(匪懈堂四十八詠)’의 ‘만가장미(滿架薔薇)’에서의 장미는 화색은 노란색이며 개화시기는 봄이고 성장 형태는 덩굴성이며 향기가 있는 장미 속 식물 임을 나타내므로 본 연구의 결과와도 같았다. ‘사계화(四季花)’에 대한 시에는 김수온의 시에 “爾獨四時容,…葩含節後紅,…”에서 “四時”라 하여 사계절의 개화시기와 “紅”이라 하여 붉은색이라는 화색을 나타냈고, 최항의 시에는 “櫻脣尙有臙脂暈,…敷排三百六旬看,..”에서 앵(櫻), 연지(臙脂)로 화색은 붉은색을 삼백육순(三百六旬)으로 365일 피는 꽃으로 묘사했으며 신숙주는 “丹萼盈盈貫四時”라 하여 담(丹)은 붉은색의 화색을 사시(四時)는 사계절의 개화를 묘사하였고 성삼문은 “봄, 여름, 가을, 겨을에 핀 사계와 함께 늙겠다”고 하여 사계절 꽃이 개화함을 알렸으며 서거정도 “ 怜渠占得四時開”라 하여 사계절 꽃이 핀다는 것을 묘사하였다. ‘비해당사십팔영(匪懈堂四十八詠)’의 사계화는 붉은색의 화색을 가지고 사계절 개화하며 덩굴성은 아닌 장미 속 식물 임을 나타내고 있어 본 연구의 결과와 같았다. 한자명 장미薔薇, 四季, 月季, 玫瑰를 모두 기술한 고전 문헌은 없지만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은 薔薇, 月季, 玫瑰를 ‘백담문집(栢潭文集)’은 薔薇 四季, 月季를 ‘사가집(四佳集)’은 薔薇, 四季, 玫瑰를 ‘임하필기(林下筆記)’는 薔薇, 四季, 玫瑰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고전 문헌에 쓰인 식물의 한자명이 저자, 등장 시기 등에 따라 지칭하는 식물이 변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고전 문헌을 통한 식물 동정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식물에 대한 올바른 동정 및 고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沙溪 金長生의『大學辨疑』硏究

        김현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95

        이 논문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65378;대학변의&#65379;에 나타난 해석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사계의 경서(經書)해석의 시각은 의문을 통한 선유설에 대한 묵수적(墨守的) 태도를 지양하는데 있다. 그리하여 후대의 제설, 즉 대전본(大全本) 소주설(小註說) 및 우리나라 제유(諸儒)의 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주자(朱子)의 설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진행하였다. 그는 이러한 시각으로 경서를 해석하여 &#985172;경서변의(經書辨疑)&#985173;를 저술하였다. 그 중 변의(辨疑)의 양상이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 &#65378;대학변의&#65379;로써, 아래와 같은 해석의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다른 경서의 주자 주석(註釋)을 인용하여 &#985172;대학장구(大學章句)&#985173;의 주(註)를 해석하는 이주해주(以註解註)의 해석 방식을 동원하여 주자주(朱子註)를 심층 분석하고 있다. 둘째, 주자의 본의(本意)와 다르다고 보는 대전본(大全本)의 몇몇 소주(小註)를 비판하는데 많은 비중을 둠으로써, 이전 경학가들의 주석(註釋) 태도와 변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셋째, 주자의 본의와 다르다고 여겨지는 제유(諸儒)의 설에 대해서 율곡(栗谷)의 설을 많이 의지하여 비판하였다. 그리하여 주자의 설을 더 명징(明澄)하게 드러내 밝히려 하였다. 이러한 사계의 &#65378;대학변의&#65379;의 해석이 우리나라 경학사(經學史)에서 가지는 의미는 주자주(朱子註)의 심층 분석과 본격적 소주비판을 통해 주자의 설(說)을 심화 시켰으며, 주자(朱子)의 만년(晩年) 정론(定論)을 확립하는 초석을 놓았고, 퇴계(退溪)와 율곡(栗谷)의 성리학적(性理學的) 견해 차이가 그들의 문인(門人)들에 의해 더욱 견고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lanation appearing in「DaeHakByeonEui(大學辨疑)」written by Sa Gye(沙溪), Kim Jang Saeng(金長生). Through proposing a question, the interpretation about Chinese Classics(經書) given by Sa Gye is adhered to that given by SeonYouSeol(先儒說). Then by exploring the future Confucian scholar's various theories, including the theory of SoJuSeol(小註說) in DaeJeonBon(大全本) and those of many Confucian scholar's, he(Sa Gye) profoundly investigated Chu-taz(朱熹)‘s theory and wrote 『GyungSeoByeonEui(經書辨疑)』 sharing much of Chu-taz's view. The rest of「DaeHakByeonEui(大學辨疑)」shows the aspect of ByeonEui(辨疑) better than the others and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in the interpretation: The first, it analyses Chu-taz's notes profoundly by borrowing Chu-taz's notes in the other Chinese Classics and the interpretation way of LeeJuHaeJu(以註解註) to explain the notes of 『DaeHakJangGu(大學章句)』. The second, there is a different condition from the notes of those who study the scripture by giving a great deal of weight on criticizing some SoJu(小註) in DaeJeonBon(大全本), which is different from Chu-taz's original purpose. The third, based on YoolKok(栗谷)'s theory many Confucian scholars' theories are considered to be different from Chu-taz's original purpose. The significance of DaeHakByeonEui's interpretation in the history of GyungHak(經學) in our country is that it strengthens Chu-taz's theory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Chu-taz's notes and through a full-scale criticism on SoJu and lays a foundation for building up an established theory in Chu-taz's later periods, and we can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oegye(退溪) and YoolKok(栗谷)‘s opinions based on Sung Confucianism is getting stronger and stronger by their followers.

      • 일본 현대 뮤지컬 형성 과정의 고찰 : 노, 가부키에서 극단 사계까지

        박은희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76

        한국 뮤지컬의 현재와 앞으로의 나아갈 바를 예측해 보기 위하여 뮤지컬의 아시아 유입에 있어서 우리보다 일찍 받아들인 일본 뮤지컬의 형성 및 발전 과정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일본의 전통연희인 노와 가부키의 노래와 춤과 연기라는 형식에서 뮤지컬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런 전통 연희의 영향은 서구의 레뷰들과 융화하면서 대중연예로 발전하여, 여성들로만 구성된 상업적인 가극단 다까라즈카 의 창출로 이어졌다. 전후 초기의 제극 뮤지컬로 현대적 개념의 ‘뮤지컬’이란 이름이 생겼으며,1951년 공연된『모건 오유키』는 일본 창작 뮤지컬의 시초가 되었다. 1963년 극단 토호를 시작으로 브로드웨이의 뮤지컬이 유입되면서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일본 뮤지컬은 스타 시스템의 극단 토호와 앙상블 시스템의 극단 사계를 주축으로 한 라이센스 뮤지컬과 70년대 브레히트의 음악극 수용과 반브로드웨이적 성향으로 인한 <음악좌>,<후루사또 캐러반> 등의 창작 뮤지컬의 양상을 보이며 발전해 왔다. 뮤지컬 수용에서 우리보다 앞선 일본은 세계적으로 독특한 형태인 다까라즈카의 형성과 세계적 수준의 기업 체제를 가진 극단 사계의 성장이라는 성과를 가져왔지만, 창작 뮤지컬의 개발에 있어서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stitution and definition of Japanese Musical, in the historic point of view. From the result of this review, we could reflect the current Korean Musical performance and its future. I found the elements, song, dance and acting, of the musical from the Japanese traditional show as Noh and Kabuki. These Japanese traditional shows were reconciled with western Revues, and it became commercial and popular show as Takarazuka which was composed entirely women actresses. After the War, the early Emperor Theatre Musical gave birth to the Musical of modern concept. The emperor theatre musical,『Morgan Oyuki』which was performed in 1963, was the first one in Japanese original musical. In 1963, theatre To-Ho introduced the Broadway musical and it accelerated the Japanese musical. After that event, the Japanese musical was divided these two large categories. The one was License Musical and the other was Japanese Original Musical. The License Musical was leaded by To-Ho which operates with Star-system and Shiki which operates with Ensemble-system. And the Japanese Original Musical was developed within Onggakuza and Hurusato Caravan. These two shows comes from the introduction of 70's Brecht Music-added-play and anti-Broadway inclination. In the case of introduction the genre of musical, Japan was earlier than Korea. Although they made some unique form as Takarazuka and large industries of musical performance, it shoud be need to take any solution about their orignal performance as we did.

      • Ástor Piazzolla(편곡 Desyatnikov)의 Las Cuatro Estaciones Porteñas 연구 : : 역사적, 분석적, 연주기법적 관점에서

        최재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2018 국내박사

        RANK : 247659

        독주 바이올린과 현악합주를 위한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사계>(Las Cuatro Estaciones Porteñas)는 데샤트니코프(Leonid Desyatnikov, 1955~)가 크레머(Gidon Kremer, 1947~)에게 위촉을 받아 만든 곡으로, 피아졸라(Astor Piazzolla, 1921~1992)의 탱고 5중주를 위한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사계>를 새로운 악기 구성으로 편곡한 작품이다. 본 논문은 피아졸라의 원곡인 탱고 5중주 형식의 작품과 데샤트니코프의 편곡인 바이올린 콘체르토 형식의 작품이 가지는 밀접한 연관성과 편곡의 독창적인 음악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작곡가의 의도에 가까운 연주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탱고의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예술가였던 피아졸라는 탱고의 바탕 위에 재즈와 클래식 음악의 요소를 조화롭게 결합시켜, 전통적인 탱고에서 자신만의 색채를 가미한 누에보 탱고(Nuevo Tango)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였다. 이로써 그는 20세기 클래식 음악계에 새로운 혁신가로 입지를 굳혔다. 한편 데샤트니코프의 바이올린 협주곡 형식의 <사계>는 누에보 탱고의 음악 스타일을 고수하면서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의 유명한 <사계>(Le Quattro Stagioni)의 악구들을 기발하게 인용하였다. 데샤트니코프의 편곡으로 완성된 피아졸라의 <사계>는 독주 바이올린의 화려한 기교와 카덴짜의 확장, 현악기들의 다양한 음향효과와 음악적인 강렬함, 그리고 독주 바이올린과 현악합주 사이의 조화와 긴장감까지 관중들에게 성공적으로 선사하였다. 본 논문은 원곡과 편곡의 음악적 비교와 객관적인 분석, 그리고 작곡가와 편곡자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문헌적인 연구와 연주 기법을 철저하게 다룬다. Based on Argentine composer Astor Piazzolla(1921-1992)’s <Four Seasons of Buenos Aires>(Las Cuatro Estaciones Porteñas) for tango quintet, Leonid Desyatnikov (1955~ ) made his new arrangement of <Four Seasons of Buenos Aires>(Las Cuatro Estaciones Porteñas) for solo violin and strings, by the commission of Gidon Kremer (1947~ ). This thesis not only concentrates on the intimate correlations between Piazzolla’s tango quintet and Desyatnikov’s violin concerto, but it also explains the creative musicality of Desyatnikov’s arrangement and the performance technique, close to the composer’s musical intention. The world-renowned artist of the tango music, Piazzolla harmoniously combined jazz and classical elements into his tango-spirited musicality and created a brand-new musical genre named Nuevo Tango,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tyle of tango music. Thereby, Piazzolla established his position as a musical innovator of the classical music society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On the other hand, Desyatnikov adhered to the musical style of Neuvo Tango in his violin concerto, Las Cuatro Estaciones Porteñas and ingeniously quoted musical phrases that belong to the famous masterpiece, <Four Seasons>(Le Quattro Stagioni Op.8, No. 1-4), composed by Baroque composer Antonio Vivaldi. Piazzolla’s Las Cuatro Estaciones Porteñas newly arranged by Desyatnikov successfully presents a brilliant technique of a solo violinist, an expansion of the cadenza, various sound effects and, musical intensity between the strings, not to mention the collaboration and the tension, created by the solo violinist and the ensemble. This thesis thoroughly covers musical comparison and objective analysis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arranged works, along with the literary research and the performance technique in which one can possibly understand composer’s musical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