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려전기 명주지역 석조불보살상 연구

        홍순문 능인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문화재자료 이상 등급에 준하는 고려전기 명주지역 불보살상 14점을 대상으로 하는 불보살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명주불교문화권에 대한 재조명이다. 첫 번째는 지방사학적 관점에서 고려전기 명주지역 불보살상들의 자연적, 정치적, 불교미술사적 조상 배경을 조사하고, 불보살상들의 형태와 양식적 변화 그리고 불교조각사적 의의를 탐구한다. 두 번째는 명주불교문화권에 대해 차후 보다 치밀하고 종합적인 연구를 위한 학습이다. 명주지역은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험준한 태백산맥으로 인해 사람들의 이동, 외부와의 문물교류, 문화 전파가 늦었다. 육상으로의 교통보다는 배를 이용한 해안교통이 발달하여 현재 삼척에 해당하는 실직국이 무역 중계로 성장하였다. 이를 계기로 점차 신라의 영향력 아래에 들어가게 되어 7세기 이후에는 명주는 9군 25현을 관할하는 군사, 교통, 행정, 문화의 중심도시로 성장하여 신라의 확고한 통치영역이 된다. 신라말기부터 고려전기 명주지역에서 불교미술사적 터닝 포인트(turning point)는 김주원 일가의 명주 거주(785)와 범일국사의 굴산사, 사굴산문 개창(851)일 것이다. 신라 최고 진골귀족인 김주원으로 인해 경주 지역의 수준 높은 세련된 상류계층의 고급불교문화가 명주지역에 자연스럽게 이식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사굴산문 개창인(改倉人)이자 굴산사 창건주인 승려 범일(梵日, 810-889)은 당나라 유학승이다. 이후 많은 유학승들도 자신들이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한 외래 문화를 여러 형태로 전하며 사굴산문이 전 지역과 전 계층을 아우르며 번성하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범일은 강릉 굴산사와 신복사, 동해 삼화사, 삼척 영은사 등 명주지역 주요 사찰을 창건하였다. 범일 이후에는 낭원개청이 강릉 보현사를 중심으로 조사선풍을 이어갔다. 또한 범일의 제자 두타신의(頭陁信義)가 오대산에서 암자를 세우며 사굴산문 선풍의 기틀을 마련한 것에서 오대산 월정사 역사가 비롯된다. 이후 수다사 장로 유연이 월정사의 사세를 확장하며 명주불교문화권의 중심이 오대산으로 바뀌었다할 수 있다. 이는 명주지역불교문화권의 역사는 오대산 월정사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명주불교문화권의 핵심권역은 사굴산문 중심 사찰인 굴산사지, 한송사지, 신복사지, 월정사 그리고 이와 관련된 문화유산들이다. 그러므로 명주지역불교문화권에 대한 연구와 복원의 시작은 굴산사지이고, 이는 곧 사굴산문 계승 및 수호가람이라는 오대산 월정사의 정체성 회복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조사와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이러한 여러 상황 인식이 ‘왜 고려 전기의 명주지역 불보살상인가’라는 의문으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사굴산문 개창(9세기 중엽)부터 명주지역 호족연합에 의한 지배체제(10세기 말 또는 11세기 초)까지가 명주지역 불교미술의 첫 번째 황금기가 아닌가 한다. 고려전기 불교조각 양식에는 과도기에 보이는 ‘양식의 계기성(繼起性)과 융합(融合)’이 나타난다. 조각양식은 왕조가 비록 바뀌더라도 갑자기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관성(慣性)이 있어 어느 정도 지속한다. 더욱이 935년 신라 경순왕의 자발적인 귀부(歸附)에 의해 국가 간의 합병이 이루어지며 신라 지배층들은 경주에서 개경으로 대규모 집단이주를 하였다. 이러한 고려 사회의 유연성은 신라, 백제, 고구려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문화적 수용과 융합을 이루며 고려 문화로 발전하는 힘이 되었다. 이러한 통합과 포용이 중시되는 시대적 배경은 고려 전기 명주지역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본다. 또한 고려 건국 초기 명주지역은 타 지역에 비하여 정치사회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당시 명주지역은 자생적 지방문화, 지역문화로 재해석된 중앙문화, 외부에서 새롭게 유입되는 외래문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융합하며 발전하는 문화역량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전기 명주지역 불보살상의 양식요소를 중앙양식, 지방양식, 외래양식으로 구분하였다. 중앙양식요소는 통일신라 수도인 경주 지역에서 제작된 불보살상 작품에서 보이는 사실적이고 양감이 풍부하고 힘이 넘치는 양식요소이다. 지방양식요소는 민간신앙에 익숙했던 기층민들이 경주의 선진화된 불교문화를 접하며 명주지역의 고유성을 더해서 형성한 양식으로 멋스러운 기교는 없으나 정감을 느낄 수 있는 양식요소이다. 외래양식요소는 당나라와 요나라로 오고 가던 유학승과 거란 거류민(居留民)을 통해 중국의 당말, 오대, 요나라풍과 같은 국제적 요소를 수용한 양식요소를 뜻한다. 이에 필자는 ‘중앙양식과 외래양식이 융합한 보살상, 중앙양식이 뚜렷한 불상, 지방양식이 뚜렷한 불상’이라는 세 가지 기준에 따라 14점의 불보살상을 다음과 같이 세분하였다. 중앙양식과 외래양식이 융합한 보살상은 한송사지석조보살상[국보]와 [보물], 신복사지석조보살상, 월정사석조보살상이다. 중앙양식이 뚜렷한 불상은 강릉 보광리 석조여래좌상, 양양 서림사지 석조 비로자나불좌상, 강릉 옥천동석탑재의 부조 사방불상이다. 지방양식이 뚜렷한 불상은 강릉 굴산사지 석불좌상, 강릉 굴산사 법당내 석조여래좌상, 강릉 석불입상, 강릉 송라사 석조약사여래좌상, 강릉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 삼척 고천리 석불좌상이다. 이처럼 동시대에 여러 도상의 불보살상들이 명주지역 각지에서 조성된 것으로 보아 당시 명주지역의 불교문화는 모든 계층에 널리 분포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교에 대한 이해와 열망이 높은 성숙한 단계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yeongju Buddhist cultural sphere through a review of 14 Buddha statues(佛菩薩像) in the Myeongju are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which is equivalent to the grade above local cultural property data. The first is to investigate the natural, political, and Buddhist art historical ancestry of Buddhist Bodhisattva in the Myeongju area of the early Goryeo Dynasty from a local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to explore the form and style of Buddhist sculpture. The second is learning for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Myeongju Buddhist afterwards. In the Myeongju area, people's movement, cultural exchanges with the outside, and cultural spread were delayed due to the rugged Taebaek Mountains that stretched from north to south. Coastal transportation using ships rather than land transportation has developed, and unemployed countries, currently equivalent to Samcheok, have grown into trade broadcasting. As a result, it gradually fell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and after the 7th century, Myeongju grew into a central city of military,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and culture under the jurisdiction of 9 counties and 25 prefectures, becoming a solid ruling area of Silla. From the end of Silla to the Myeongju area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turning point of Buddhist art history may be the residence of the Kim Joo-won family of Myeongju(785), the Gulsansa Temple of Beomilguksa, and the opening of Sagulsanmun Gate (851). Due to Kim Ju-won, the highest-ranking member of Silla, the high-quality, sophisticated upper-class Buddhist culture in Gyeongju would have been naturally transplanted into the Myeongju area. In addition, Beomil (810-889), who was the founder of Gulsansa Temple and a founder of Sagulsanmun Gate, is a monk who studied abroad in the Tang Dynasty. Since then, many Confucian monks have also conveyed the foreign culture they have seen, heard, and experienced in various forms, and Sagulsanmun would have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prosperity of all regions and classes. Beomil founded major temples in the Myeongju area, including Gangneung Gulsansa Temple, Sinboksa Temple, Donghae Samhwasa Temple, and Samcheok Yeongeunsa Temple. After Beomil, the opening of the Grand Monk Nangwon(835-930) continued its survey trend centered on Bohyeonsa Temple in Gangneung. In addition, the history of Woljeongsa Temple in Odaesan Mountain comes from the fact that Beomil's disciple, Duta Sinu(信義)i, established a hermitage at Odaesan Mountai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ageulsanmun Seonpung(禪風). Beomil founded major temples in the Myeongju area, including Gangneung Gulsansa Temple, Sinboksa Temple, Donghae Samhwasa Temple, and Samcheok Yeongeunsa Temple. After Beomil, the opening of the Grand Monk Nangwon(835-930) continued its survey trend centered on Bohyeonsa Temple in Gangneung. In addition, the history of Woljeongsa Temple in Odaesan Mountain comes from the fact that Beomil's disciple, Duta Sinu(信義)i, established a hermitage at Odaesan Mountai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ageulsanmun Seonpung(禪風). Since then,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of Myeongju Buddhist culture has changed to Odaesan Mountain as the elder Yoo Yeon-yi of Sudasa Temple expanded the history of Woljeongsa Temple. This can be seen as the history of Buddhist culture in the Myeongju area leads to Woljeongsa Temple in Odaesan Mountain. As such, the core areas of the Myeongju Buddhist culture are Gulsansa Temple Site, Hansongsa Temple Site(寒松寺地), Sinboksa Temple Site, Woljeongsa Temple, and related cultural heritages. Therefore, the beginning of research and restoration of Buddhist culture in the Myeongju area is the Gulsansa Temple Site, which is the succession of Sagulsan Mountain Gate and the restoration of the identity of Woljeongsa Temple in Odaesan Mountain called Suhogram(守護伽藍). Nevertheless, investigations and projects on this have been slow. These various situational perceptions have developed into the question of "why was it the destruction of the Myeongju are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As such, from the opening of Sagulsanmun Gate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to the ruling system by the Myeongju Regional Hojok Union (the end of the 10th century or the beginning of the 11th century), it seems that it is the first golden age of Buddhist art in Myeongju. In the Buddhist sculpture styl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instrumental nature((繼起性)) and fusion((融合)) of the style" appear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Even if the dynasty changes, the sculpture style is not cut off at the moment, but lasts to some extent due to its inertia(慣性). Moreover, in 935, the merger between the countries was carried out by the voluntary nobility(歸附) of King Gyeongsun(敬順王) of Silla, and the Silla ruling class moved from Gyeongju(慶州) to Gaegyeong(開城). This flexibility(有緣性) of Goryeo society helped resolve conflicts between Silla, Baekje, and Goguryeo, achieve cultural acceptance and convergence, and develop into Goryeo culture. It is believed that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such integration(統合性)and inclusion(融合性) were important also influenced the Myeongju area culture in the early Goryeo Dynasty. In addition,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Goryeo, the Myeongju area was relatively stable politically and socially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t that time, the Myeongju area had a cultural capacity to actively accept, fuse, and develop a native local culture, a central culture reinterpreted as a local culture, and a foreign culture newly introduced from outside. In this paper, the elements of the style of Buddha statues in Myeongju are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were classified into central style, local style, and foreign style. The central stylistic element is a realistic, volume-rich(量感), and powerful(强性) stylistic element seen in Bulbosirae works produced in Gyeongju, the capital of the Unified Silla. The local stylistic element is a style formed by the basic people who were familiar with folk beliefs(民俗) by adding the uniqueness of the Myeongju area by encountering the advanced Buddhist culture of Gyeongju, and is a stylistic element that does not have cool techniques(技巧), but can feel affection(情感). Foreign element style refer to accept elements that accommodate international elements such as the end of the Tang Dynasty, the Five Dynasties, and the Jonara style through studying aboard monks and Khitan residents who were coming and going to the Tang Dynasty and the Yuan Dynasty. It was subdivided as follows. The Bodhisattva statues that combine the central and foreign styles are Hansongsa Stone Bodhisattva (National Treasure) and [Treasure], Sinboksa Stone Bodhisattva, and Woljeongsa Stone Bodhisattva. The Buddha statues with clear central style are the Seated Stone Buddha in Bogwang-ri, Gangneung, the Seated Stone Vairocana Buddha at Seorimsa Temple Site(西林寺址) in Yangyang, and the Buddha statue(窟山寺地) on all/both sides of the stone pagoda in Okcheon-dong, Gangneung. The local Buddha statues are the Stone Seated Buddha at Gulsansa Temple Site in Gangneung, Stone Seated Buddha at Gulsansa Temple in Gangneung, Stone Standing Buddha at Gangneung, Stone Seated Buddha at Songnasa Temple, Stone Seated Buddha at Cheonghaksa Temple(靑鶴寺) in Gangneung, and Stone Seated Buddha at Gocheon-ri, Samcheok(三陟). Considering that the Buddhist culture of the Myeongju area was widely distributed among all classes at the same time, it can be assumed that the Buddhist culture of the Myeongju area was a mature stage with a high understanding and desire for Buddhism.

      • 中國 隨代 菩薩像 硏究

        차윤정 弘益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5

        雲閏石窟 初期窟에서 나타나는 초기의 보살상은 인도식 도티, 바람에 날리듯 어깨 위로 떠 있는 천의, 서역과 인도의 영향이 합쳐진 원통형 보관 등을 특징으로 하는 西方風 보살상이었다. 그러나 이 西方風 보살상은 雲閏石窟 第5 . 6窟을 거쳐 北魏期 龍門石窟을 지나며 服制뿐만 아니라 그 장식 의장이나 조형 감각 등에서 완전히 중국화되어 지배적인 보살상 양식으로서 중국 전역에 나타나게 되었다. 東 . 西魏代 이후 南朝 梁을 통해 인도 . 동남아 양식이 유입되면서 東 魏는 주로 인체의 양감을 표현하는데 주력하여 상반신 探形 보살상을 造成 하게 되었고, 그 뒤를 이은 北齊는 상반신 探形 보살상과 전통적인 보살상 형식의 절충적인 성격을 가진 보살상 형식을 창안해했는데, 이는 隋代까지 계승되어 河北 지방의 특징적인 보살상 형식이 되었다. 西魏와 北周는 인체의 양감 표현보다는 인도계 諸 의장 요소들을 받아 들여 전통적인 형식의 보살상에 이들 인도계 의장을 채용하여 장식화 경향 을 높여가는 쪽으로 나아��있었다. 그 결과 隋代 殃西 지방에서는 인도계의 長掛를 전통적인 X자형 영락과 결합시켜 변형 . 발전시킨 영락 장엄과 長掛만을 착용하는 영락 장엄이라는 두 가지 형식의 영락 장엄이 성립 되어 隋代에 유행하게 되는 이중 U자형 천의와 함께 殃西 지방 보살상의 특징적인 의장 형식을 보여주게 되었다. 한편 隋代 山西 지방에서는 전통적인 보살상 형식에 鬼面 大僞 垂飾을 채용한 보살상, 山東 지방에서는 세속 복장을 채용하는 등 변화가 많은 의장에 腰帶 수식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보살상, 河南에서는 諸 장식적인 의장 보다는 北齊代 이래로의 인체의 양감 표현에 치중한 보살상 타입이 성립되어 전개 . 발전되었다. 이들 諸 지방의 보살상은 隋代 後期에 이르기까지 인도계 보관의 전면적인 채용을 제외하면 의장 등의 형식적인 면에서는 통 일적인 양상을 거의 보여 주지 않지만, 각 지방 나름대로 전반적인 장식화 경향, 양감 표현에 대한 관심의 증가라는 면에 있어서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인다. 陝西의 수대 後期 보살상에서 三曲 자세를 취하는 등 선진적인 면모가 나타나긴 하나 玄奬이 귀국하면서 유입된 새로운 인도 양식의 유입되면서 각 지방에서 전개되던 지역적인 隋代 보살상 형식은 종말을 고하게 되었다. The bodhisattvas from the early caves of Yungang were in Western styles wearing an Indian dothi, a shawl hanging on a shoulder, and a cylindrical diadem. These Western-style bodhisatavas became dominant styles in terms of costume and jewelry types and figurative styles in the early 6th century China. During Eastern and Western Wei dynasties, new styles from Indo and South Eastern Asia were introduced. As a result, the bodhisattva of Eastern Wei dynasty developed the voluminous expression of bodies, and made the statue, whose upper-half body is nude. In Northern Chi, an eclectic style which combined traditional bodhisattvas with the half-nude bodhisattvas flourished, which later became the most distinctive bodhisattvas of Hebei region. The bodhisattvas of Western Wei dynasty and Northern Zhou accommodated the costume and jewelry types of Indian style instead of the voluminous expression of bodies and became more decorative due to such Indian costumes and decoration. Therefore, two distinct ha ̄ra types developed in Shaanxi region during Sui dynasty,' the first was bejeweled with the mixed type of U-shaped Indian string and X-shaped h a ̄ra, the second is bejeweled only with U-shaped string. These two types constituted the distinctive styles of the bodhisattvas from Shaanxi region along with U-shaped shawl, which were popular during Sui dynasty. The bodhisattvas from Shanxi were traditional in style, but had ha ̄ra with jade plaque sets and monster masks. The bodhisattvas from Shandong wore various costumes and jewelry types even including secular costumes and pendants. The bodhisattvas from Henan were richer in the voluminous expression of bodies than in the decoration, which started from Northern Chi. Although they did not show the homogeneous element in terms of forms except for the wearing of an Indian diadem, they shared similar interests in decorative tendency and voluminous expression. The later Bodhisattavas from Shaanxi region during Sui dynasty highly developed even showing tribanga positions. Such distinctive regional developments in the local area disappeared with returning of Xuanzang who transmitted new Indian Styles to China.

      • 月精寺 藥王菩薩像 硏究

        김광호(다정)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5

        오대산 월정사에는 본래 탑 앞에 석조 보살상이 있었는데, 지금은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안치되어 있다. 이 상의 圖像的특징은 높은 寶冠을 쓰고서 오른쪽 무릎을 꿇고 앉아 두 손을 가슴 앞에서 맞잡고 무언가를 잡고 있는 모습이다. 이 상은 고려시대의 우수한 조각술을 그대로 보여주는 美感이 매우 좋은 아름다운 보살상이라 고려 중기의 미술을 대표할 만한 조각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런데 그 동안 이 상의 존명은 일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불려 왔다. 필자는 이 상의 존명을 밝히는 것이 이 보살상 조성의 중요한 의미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고, 그 결과 약왕보살상으로 비정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 근거는 우선 문헌으로 본다면 고려시대에 활동한 閔漬가 이 보살상을 ‘藥王菩薩’像으로 표현한데다가, 조선시대 후기의 고승 正訓역시 약왕보살이라고 묘사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여러 경전에서도 이러한 형태를 약왕보살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형태 면으로 보면 더욱 이 월정사 보살상이 약왕보살임을 확신하게 된다. 각종 경전의 變相圖에는 월정사 보살상과 거의 일치하는 상들이 표현되어 있는데 많은 경전에서 이 보살 을 藥王菩薩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부처님을 향하여 꿇어 앉아 燒身공양을 하거나 향로를 받든 모습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시대배경과 약왕보살 신앙 관계 고찰에서는 고려시대의 문화사를 정리해보고 法華經의 영험과 함께 보현행원을 추구하는 수행적인 경향이 만연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약왕보살의 소신공양이 현실에서도 일어났었던 기록들도 찾아보았다. 중국과 고려시대에 실제로 행해졌던 소신 공양의 기록들은 당시에 약왕보살이 사람들에게 얼마나 강하게 인식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월정사 보살상 및 동일계열 보살상으로는 양식 면에서 인근의 한송사지 보살상 2구와 신복사지 보살상을 중심으로 개태사 공양석불, 법주사 희견보살상, 화엄사 공양상 2구, 고흥 용산리 석조보살좌상 등이 類似한것으로 분석해 보았다. 또한 이에 따라 월정사 보살상과 다른 類似像들의 樣式분석을 통해 제작 시기의 선후관계도 정리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를 통해 월정사 보살상의 彫刻史的의미는 작지 않음을 살펴보았다. 양식적 특징과 함께 藥王菩薩이 가지는 신앙적 의미를 조명해 보았다. 월정사 보살상의 양식적 특징은 고려불교 조각의 양식적 다양성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높은 寶冠이나 신체에 베풀어진 다른 여러 裝飾등에서 중국 遼代佛像양식과 비교되는 부분들이 많으며 월정사 탑에서 발견되는 遼代의 유물들도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월정사 보살상의 신앙적 의미와 더불어, 필자는 이 논문에서 월정사 보살상을 藥王菩薩로 比定할 수가 있었다.

      • 구례 화엄사 각황전 三佛四菩薩像 연구

        신지아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89

        본 연구에서는 1703년 작 구례 화엄사 각황전 삼불사보살상의 구체적인 조성배경 및 주체를 밝혀내고, 도상이 가진 의문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작품을 조성한 승려 장인 집단인 색난파의 전 시기에 걸친 양식을 검토하며 각황전 삼불사보살상이 그 흐름에 있어 위치한 자리를 재조명해보았다. 화엄사는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주불전인 대웅전보다 더 큰 외형을 가진 각황전에는 1703년 작 각황전 삼불사보살상이 그 규모에 걸맞은 모습으로 봉안되어 있다. 보기 드문 칠존의 형식으로 석가불, 다보불, 아미타불의 불상과 문수, 보현, 지적, 관음의 보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왕실과 관련된 불사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화엄사의 특수한 후원 배경 속에서 작품은 숙종의 왕비인 인현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를 뒷받침하듯 발원문에는 왕후의 본관인 여흥 민씨를 중심으로 당대 사대부 집안 인물들이 서로 관계하고 있음을 새롭게 밝혀냈다. 이를 둘러싸고 있는 사상적인 현상에 대해서도 후대의 기록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작품은 비로자나의 화신으로서 불보살이 강림한 것이다. 즉 영산회 의식집인 『오종범음집』의 도상을 차용했지만 이를 화엄사상으로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대치된 도상인 지적보살에 대해서는 명확한 이유를 발견하지 못했지만 당시 호남지역 속 일련의 흐름이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함께 시사했다. 각황전 삼불사보살상을 만든 색난파의 작품은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에 걸쳐 얼굴을 중심으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네모난 얼굴과 가늘고 긴 눈, 이마에서 돌출되어 있는 코 등이 공통이지만, 1703년을 기점으로 이전과는 다른 미감을 보인다. 따라서 실제적인 조성에 있어 색난보다는 다른 인물의 영향이 크게 미쳤음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고 이에 승려 장인 일기를 꼽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각황전 삼불사보살상은 색난이 가진 절대적인 영향력과 함께 조각승 개인의 일부 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details of how the items in the subject came to be built and who played a lead role in their construction in 1703. It also checked questions about the items. In addition, it reviewed patterns of works adopted by Monk Sculptor Saengnan(色難) and his followers, who made the items, throughout their career and shed light anew on the position taken by the items in the flow. Gakhwangjeon Hall is larger than the Daeu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at the foot of Jirisan Mountain. The items in question are enshrined in Gakhwangjeon Hall, occupying an adequate space. The seven-in-one statue which is rare is composed of Buddha images including Shakyamuni(釋迦佛), Prabhutaratna(多寶佛), and Amitabha(阿彌陀佛) and bodhisattva images such as Manjusri(文殊菩薩), Samantabhadra(普賢菩薩), Pratibhanakuta(智積菩薩), and Avalokitesvara(觀音菩薩). The items in question were most likely built to pray for the repose of the departed soul of Queen Inhyeon(1667-1701), the wife of King Sukjong(reign 1674-1720), at the temple, where Buddhist worship service was continued for the Royal Family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Royal Family. It has been newly disclosed that a relevant written prayer says something ab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the noble families including Min of Yeoheung’s Clan where the queen belonged. This study checked the relevant records left by later generations about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items in question. The items indicate the incarnation of Vairocana, i.e., advent of bodhisattva. They borrowed the images of Ojongbeomeumjip(五種梵音集), a Buddhist ritual guide related to Youngsan-Hoe(Shakyamuni Preaching the Lotus Sutra at Vulture Peak, Gijjhakuta Hill), but understood them as part of Hwaom(Avatamsaka philosophy). As for the image of Pratibhanakuta facing the items in question, this study still got ambiguity to find the clear reason but assumed that a certain flow in Honam region might have had an impact on it. The works of Saengnan and his followers who made the items in question display slight changes in shapes, particularly the faces, betwee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Overall, the shapes adopted by them were rectangular faces, thin and long eyes, noses protruding from the forehead, etc., but their appearances differed from before, i.e., beginning 1703. Accordingly, this study saw the ne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the influence on another person, perhaps Ilgi(一機), aside from Saengnan on the actual production of the items in question. In such respect, the items in question are works from which we can feel Saengnan’s absolute influence, along with patterns of individual monk sculptors.

      • 高麗前期 江陵一帶 石造菩薩像 硏究

        권보경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743

        Goryeo dynasty had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Song(宋) and Liao(遼) in the early period. Throughout this diplomacy, Goryeo accepted culture of two nations including Buddhist culture. Goryeo had interested in the exchange with Buddhist culture of the Liao. Because this historical background, Buddhist sculpture of Goryeo included the Song style, the Liao style, and Goryeo style. This paper makes four Bodhisattva an object of this study located in all over the Gang Neung district such as Bodhisattva excavated at Hansongsa temple site, designated National Treasure No. 124 and Treasure No. 81, offering Bodhisattva in Shinboksa temple site, and Bodhisattva in Woljeongsa temple. First of all in iconography these four figures are based on the Lotus Sutra. According to Dongyoogi(東遊記), two figures of Hansongsa temple site are Manjusri(文殊) and Samantabhadra(普賢). The figure designated National Treasure No. 124 holds a lotus branch, the figure designated Treasure No. 81 seizes a jewel bead. Therefore the former figure is regarded as Manjusri, the latter is considered as Samantabhadra. The figure of Shinboksa temple site and that of Woljeongsa temple are the pagoda front offering Bodhisattva. These two figures are regarded as Bhaisajyaraja(藥王菩薩). Belief related to iconography is based on the Lotus Sutra. Manjusri, Samantabhadra and Bhaisajyaraja are the important Bodhisattva in Lotus Sutra. This Sutra is supposed to be transmitted in Three Kingdoms period. After this period, a study on this sutra had been continued. Cheontae Order of Goryeo period was formed based upon the Lotus Sutra. However, before the foundation of Cheontae Order, monks of Beoban Order had studied this sutra and Cheontae. Beoban Order became the foundation of Cheontae Order. Temples of this order was located in Wonjoo, Yeongwol, Yeojoo, Choongjoo. These regions are close to Gang Neung, so there is possibility to transmit Cheontae thoughts. The two figures of Hansongsa temple site, the figure of Shinboksa temple site, and that of Woljeongsa come under the influence of Liao style. The cylindrical crown, necklace, shaping of nose, pedestal are the concrete proofs. The cylindrical crown had been the popular form as a crown of Bodhisattva. Also the nobility put on this type coronet. This crown from is seemed to be accomplished in Xia Huayansi(下華嚴寺) sculptures. Necklace with floral design also have to do with figures in Xia Huayansi. It is said that the face of these four figure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soft face of all over the Gang Won province. However, the sharp nose and eyebrows has relation with that of Liao style. Especially the bridge of the nose depicted like line, the wings of the nose engraved in intaglio are very close to the Liao figures. In the way of join the circular disc of low part of figure is fitted in the groove of the pedestal. The pedestal consist of upper part with upright lotus, octagonal middle part, and low part with downright lotus. And there is a round groove on the surface of the pedestal. This composition and the way of join seem to accept the way of the Liao. Considering many sides such as volume, balance, and formalization, these four figures are seemed to be made the two figures of Hansongsa temple site, the figure of Shinboksa temple site, that of Woljeongsa in order. The making times is assumed after the middle 11th century considering situation like the foundation of Cheontae Order and influx of Liao Tripitaka. But the figure of Woljeongsa is supposed to be made at the early 12th century due to formalization and sarira reliquary. The making times of four figures proves other statues located in Gang Won province.

      • 高麗 梵鍾의 佛像·菩薩像 出現에 대한 硏究

        황유정 東國大學校 文化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740

        At the era of the Koryo Kingdom, Buddhism was prosperous as a state religion and more metallic handicraft works were produced than any other times. The paper examined the bells of Buddhist temples at the era of the Koryo Kingdom, that is, a kinds of Buddhism handicraft works. The bell of Buddhist temple is said to be a kind of Buddhist altar fittings and utensils used at worship that works as the salvation of even all creatures suffering the tortures of hell: Various kinds of historical records and researches evidenced that the ancient people made large-sized bells of Buddhist temple to pay tribute to achievements before death, high moral influence and the souls of the most powerful person at those days. They made small and mid-sized bells as well during the same period. The fine arts of the Koryo Kingdom was made based on Buddhism as that of previous dynasties, that is, the Three Kingdom and the Unified Silla Kingdom. Being different from the fine arts of previous dynasties, that of the Koryo Kingdom had another style and different expression to show peculiar features of the period. The bells of Buddhist temples inherited the traditions of the Silla Kingdom at the beginning, and greatly changed shapes and patterns in accordance with time elapse. Some of the papers and studies classified the bells into the bells before and after the Koryo Kingdom from point of view of art history. The bells of Buddhist temples have individual, regional and time features from point of view of art works to establish it in connection with mental and material style and contents: The bell is said to be the most universal testimony because it constructs the order which nothing can replace in the history. In other words, an art work has a form having timeless life and has a separate history being different from the remaining to produce not only artists' individual spirits but also their spirit having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 when they live their lives: In addition, artists create so called racial characteristics, which only residents at specific region can keep to produce regional nature by natural features of the place where they were born. The paper started with a question of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Buddhism thought, in which the sculpture of nymph engraved on bell body of the Silla Kingdom had influence upon the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of the Koryo Kingdom bells?" and examined the causes. In the era of Koryo Kingdom, Buddhism was more prosperous than the Silla Kingdom together with expanded aristocracy, so that the demand on fine arts radically increased. The Koryo Kingdom inherited the Silla Kingdom's Buddhism culture at Gaeseong: The Koryo Kingdom's Buddhism gradually moved its position toward not only the incantation for salvation by faith but also superstition for the profit of the land of the living. As a result, the people's strong spirit gradually became weak not to produce fine arts having high spirits, and Buddhism was developed because of supports of royal family and aristocratic class to produce grand spectacle of Korean Buddhism thought for the first time and reinforce mental and economic base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kinds of fine arts such as handicraft, architecture and sculpture, etc. The author visite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s at local areas, university museums and other museums at local, etc, which kept the bells of Buddhist temples, in particular, the bells having the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engraved on bell body instead of the Silla Kingdom bells' nymph, to collect research material by survey and taking picture, and also researched a variety of the publications, periodicals and theses, etc of scholars. The paper examined the causes, which had influence upon the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engraved on the Koryo Kingdom's bell body, by background of the times and Buddhism faith, and described its importance from point of view of art history.

      • 朝鮮前期 티베트式 菩薩像硏究

        박인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1

        The Tibetan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the country from India around 7th century, and developed in their own way which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East Asian countries. Normally, East Asian countries accepted Mahayana Buddhism. However, the Tibet were effected end era of Indian Esoteric Buddhism. Esoteric Buddhism was spread to all over the China, Korea and Japan, but the buddhism was middle era Esoteric Buddhism which has some differences in the scriptures. Moreover, the Tibet also accepted style of buddhist sculpture from India and Nepal, with the style the Tibet accomplished their own style about 11th century. The Tibetan buddhistic sculpture style introduced into the China through the Yaun dynasty. The Mongol preferred the Tibetan style rather than the style of main land china. At that time, the Tibetan style imitated as it were, but some of them changed their form into the Chinese-Tibetan style. These changed Chinese-Tibetan style was came through the Ming and Ching dynasty and made a stream of typical buddhistic sculpture style. The Tibetan style buddhistic sculpture came into the Korea through the Yuan dynasty. The influence was keep working through the Joseon dynasty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Ming dynasty. However, at that time, the Joseon accepted only the style of buddhist sculpture rather than the Tibetan buddhism itself. Now, there are many small buddhistic sculpture which are made in the Tibetan style. This dissertation is going to focus on the sculptures patterns and age with development condition. To estimate the age of the sculptures, analysis the detail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ibetan style and the Chinese-Tibetan style. through the process, obtained resolution substituted into the Korean Tibetan buddhistic sculptures. With this procedure I analyzed almost of the remain Korean Tibetan buddhistic sculptures were mad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ith various different lineages. The first lineage of Korean Tibetan buddhistic sculpture style was mixed with Korean traditional way and the Tibetan and put through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main example of the style is Gilt 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of the Korean national museum, Gilt bronze Bodhisattva statue of the Gimet museum in France and Gilt bronze Bodhisattva statue of the Horim museum. It could be understand definitely that the sculptures were effected the Ming style of buddhistic sculpture style. For this reason, It could be mentioned that the sculptures were made in the Joseon period. The second lineage of Korean Tibetan buddhistic sculpture style was imitated the Yongle and the Xuande period style of the buddhistic sculpture. The example of this type is Gilt Bronze Aksobhya Buddha statue of the Daegu National Mueaum, Gilt 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of Korean Central History Mueaum in Pyeonyang an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ith six arm of Woljungsa. The third lineage of Korean Tibetan buddhistic sculpture style was only accepted the Tibetan style stand with traditional style. The example is Gilt Bronze Amitabha Triad with the year of 1429 which excavated from the Hyanglobog of Kumgang mountain . The various style of the buddhistic sculptures were developed and getting changed their type into traditional Joseon style through 1450s. It could be confirmed with Gilt 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from Kumgang-gun Eunjunggol, Gilt Bronze Amitabha Triad from the Tongdosa Mueaum and Gilt 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of Jeonju National Mueaum. The Tibetan style which mixed with the Korean style was getting degenerated from th e 1460s, The procedure could be checked through the statue from Maegokdong pagoda.

      • 朝鮮 前半期 티베트系 明樣式 佛敎美術의 影響硏究

        김경미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76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following questions. 1.What was the exact tibetan style in Ming found in the early Joseon Buddhist art? 2.How was the origin of this style represented in the early Joseon Buddhist art? 3.What was the relation between tibetan Buddhist art fused with chinese traditional Buddhist art and the early Joseon Buddhist art? 4.Where was the exchange place as the factor through which the distinctive tibetan Buddhist art could be introduced to Joseon in spite of Confucian atmosphe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mparing remains from the early Joseon with those from Yuan and Ming which have been collected in museums. The Joseon Dynasty had policies which venerated Confucianism and oppressed Buddhism. Although Buddhism seemed to decline as a result of that, the Buddhist art in the early Joseon in effect developed rather diversely. That was because the tibetan style which had developed in Ming was introduced under the support of Joseon royal family. The unique tibetan style of Buddhist art flourished in chinese inland as the Yuan Dynasty admired tibetan Buddhism. Since tibetan Buddhism prospered during the reign of the Yongle Emporor, having an enormous influence on Buddhist art, the tibetan Buddhist art became mainstream in Ming. The features of statues of tibetan style in Ming are a tall head, a round gem on the top of the head.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Ceremonial Cape is worn with the right shoulder shown, that mudra(hand posture) is with the right hand down to the ground, and that the pedestal is expressed by sett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f lotus leaves facing to each other. These features can be found in the sculpture style in the 15th century in Joseon. Avalokitesvara statues that have remained till today are considered to have been made, influenced by the tibetan style in Ming. Furthermore, golden Buddha statues are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at tibetan style, considering the dressing manner, crown decorations and beads necklaces. The Buddhist painti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represented Saddharma Pundarika Sutra. In the middle was Buddha surrounded by Bodhisattva, Arhan, and Iokapalas. This group composition in the painting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troduction of sutra describing paintings. Sakyamuni Buddha paintings with Bhumisparsa mudra became popular in this era. Moreover, line drawing Buddhist paintings were widely favored. The origin of this fashion was based on dmar-thang and nag-thang of Tibet Thanka. In Iokapalas paintings, there was a change of Vaisravana's holding object. Vaisravana in the right of Buddh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ist paintings held a Korean mandolin whereas he had held a pagoda till the Goryeo era. Dharma Instruments shown in shui la painting such as Vajra, Vajra-ghanta, Candle Holder, Incense burner, and vase were influenced by tibetan Buddhist art. The Buddhist art in Joseon improved by introducing and developing new styles and struggled to achieve popularization. In the process, the Buddhist ar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ccepted the latest tibetan Buddhist art which was popular in Ming and as a result showed a new style different from the former style in Goryeo. The fact that the northern race living in Liaotung in China were tibetan Buddhists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and rapid dissemination of distinctive features of Buddhist art.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은 抑佛崇儒라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사상적 한계를 지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圖像과 形式은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樣式의 전개로 나타난다. 현재 불교미술의 많은 意匠 要素가 전통 불교와 다른 부분을 보여주는 것은 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의 彫刻과 佛畵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形式과 現象에 대한 起源 및 影響을 明에서 유행하던 티베트系 明樣式 불교미술에 주목하여 살펴 보았다. 조선은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압하는 정책을 폈다. 그 결과 불교가 쇠퇴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은 불교를 숭상했던 고려시기보다 오히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王室의 지원 아래 명나라에서 발전한 티베트 불교미술이 들어온 까닭이다. 티베트불교는 인도 후기밀교의 영향으로 발전하였다. 12세기 서인도 팔라왕조의 불교가 힌두교세력에 밀려 네팔과 티베트로 전해지면서 독특한 특징을 형성하였다. 이후 원나라가 티베트불교를 신봉하면서 중국 내륙에서 유행하게 되었다. 티베트系 明樣式은 永樂 ․ 宣德年間에 조성되어 16세기 嘉靖 ․ 萬曆연간까지 완성된다. 티베트계 명양식 조각의 특징은 높은 육계와 정상에 동그란 정상계주, 편단우견의 착의법, 항마촉지인, 석가불의 유행, 앙․복련 연화 대좌 등이다. 얼굴표정이 다소 날카롭고 신체비례는 사람의 굴곡있는 신체와 유사하여 가슴에 유두가 표현되지만 긴 허리에 비례해 하체는 짧다. 보살상은 보관의 관대가 아주 과장되게 옆으로 날리는 형태로 표현되거나, 가슴을 뒤덮는 화려한 영락과 비단 띠로 어깨를 감아 맨살을 가리는 옷차림을 사용하여 점차 중국 전통불교와 티베트불교가 융합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조선 15세기 조각은 이러한 특징을 받아들여 발전한 것이다. 이러한 조각의 초기 형식은 雲南省 大理 崇聖寺탑출토 금동불좌상에서 보는 것처럼 티베트불교가 발전했던 지역에서 처음 나타난다. 또한, 수종사 오층석탑출토의 금동불좌상에서 보이는 머리 부분을 청색으로 표현한 기법도 처음으로 조각과 불화에서 시도되는 곳은 雲南, 티베트지역의 불교미술에서부터이다. 그 원인은 이 지역이 풍부한 청화안료의 산지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 전반기 이후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청색의 사용이 늘어나는 것은 티베트지역의 불교미술의 유입과 연관이 깊다. 千手觀音菩薩像은 다양한 형식이 전해지지만, 금동상으로 조성되는 것이 중국에서 보편화되는 시기는 명대 이후부터이다. 특히 머리 위에 化佛을 올리거나 11面(11개의 얼굴)을 층층이 쌓아올리는 11면다비관음상의 출현은 명대 이후부터 나타난다. 따라서 현재 전하는 千手觀音像은 티베트계 명양식의 영향을 받아 조선 전반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여말선초로 비정된 금동불상의 경우에도 착의법, 보관장식, 영락형식 등을 비교할 때 명양식의 영향을 받은 조선 전반기 작으로 볼 수 있다. 조선 전반기 불화는 『법화경』을 화면에 표현한 것이다. 형식은 불보살이나 제자), 팔부중, 사천왕 등이 둘러싸는 군도식 구도가 발전한다. 이러한 구도의 빠른 전파와 발전에는 당시 인쇄술의 발전에 따른 경변상도의 역할이 컸다. 특히 명 왕실에서 직접 사신을 통해 보내 온 『명칭가곡(1417년)』를 비롯한 경변상도의 보급은 조선 전반기 불화가 티베트계 양식을 반영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왜냐하면 경변상도에 표현된 불보살상의 형태와 표현방법의 기원이 티베트불교에 근거한 ‘서하대장경’과 ‘원대장경’을 기반으로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조선 전반기에 유행하는 불화 형식 중에서 항마촉지인 석가설법도의 초기형태는 티베트불교의 초기 구게왕국(古格王國)의 札達寺 百殿에 그려진 〈석가여래도(11세기)〉와 친연성이 있다. 본존을 중심으로 둘러싸는 군도식 원형구도와 화면 밖으로 고개를 돌리는 나한상의 배치 등이 처음 확인된다. 線描佛畵는 고려 사경변상도를 기반으로 발전하지만, 조선 전반기에 회화적 요소가 더해졌다. 선묘불화의 기법이 티베트 탕카의 말탕(dmar-thang), 낙탕(nag-thang)기법과 매우 유사하다. 사천왕을 그린 불화에서는 조선 전반기에 多聞天이 드는 지물에 변화가 생긴다. 고려시대까지 부처의 오른쪽에서 塔을 든 다문천왕은 조선 전반기에 들어와 琵琶를 드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元官藏大方廣佛華嚴經(1330~1336년)』에서 처음 확인되지만 실제로 불화에서 나타나는 것은 다문천이 드는 탑이 망구스로 변하는 지물의 변화는 티베트계 사찰인 哲蚌寺, 吳屯寺, 白居寺에서 나타난다. 조선에서도 원각사지 10층석탑 1층탑신 〈석가설법도〉에서 지물의 변화를 보이는 새로운 배치의 사천왕이 처음 등장한다. 그러나 조선 전반기 불화에서 탑과 비파를 든 사천왕의 위치는 좌우가 혼용되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조선 전반기에 사천왕상의 지물과 위치가 유동적이었을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를 반영하듯 조선 전반기 법화경변상도는 사천왕의 지물이 다른 두 가지 판본의 경변상도가 유통되는 것이 확인된다. 수륙회도의 예불의식에 표현된 法具인 금강저와 금강령, 음식을 공양하는 시식단의 표현 역시 티베트계 불교미술의 영향이다. 전통불교에서 본존 앞에 보통 香爐, 花, 燈만을 공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본존 앞에 여러 개의 기물을 놓거나 음식을 놓아서 공양하는 방법은 티베트계 서하불화나 원대 불화에서 처음 등장한다. 특히 초기 수륙재의 오법공양은 이들 서하불화에서 다섯가지 공양품을 처음 표현한 것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륙회도를 비롯한 공양기물이 표현된 불화의 발전과 티베트 불교의 영향과 관련이 깊다. 티베트계 명양식은 당시 최신유행 양식이었다. 이러한 이질적인 도상의 유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국경지대인 요동지역에 거주한 만주족, 여진족 등이 믿었던 종교가 티베트불교라는 부분이 많은 기여를 했을 것이다. 조선시대 불교는 새로운 양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정통성을 이어오며 다양한 불교미술의 장르와 독창적인 성과를 통해 대중성을 확립할 수 있었다. 주제어 티베트, 朝鮮 前半期 彫刻, 朝鮮 前半期 佛畵, 線描佛畵, 三身三世佛畵, 千手觀音菩薩像, 四天王 持物, 經變相圖, 水陸會圖, 五具足.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