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前期 佛敎變相版畵 硏究

        김자현 東國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1919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woodcut prints of Buddhist scriptures of early Jose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analyzes characters of woodcut prints of Buddhist scriptures, considering the circumstantial background of their publication. It also examines not only the icons themselves, but also the origin of the icons, the purpose of their production, their use, publishers, and different features depending on different publishers. In early Joseon, the public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promoted by the royal family flourished in the 15th century, reaching the peak under King Sejo, and declined rapidly in the 16th century when Insu-daebi deceased. Specifically, sovereign power became weak after King Sejo as young kings ascended to the throne one after another. Moreover, Confucian scholars refused flatly for the royal family to believe in Buddhism publicly. This current of the times explains the rise and fall of the produc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contrast, the public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promoted by Buddhist temples increased by leaps and bounds in the 16th century compared to the 15th century.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more and more people decided to become Buddhist priests to avoid excessive military service while the Royal Court did not intervene in Buddhism. In addition to it, the fact that the public participated in Buddhist services longing for salvation and that the growing number of Buddhist priests brought demands for Buddhist scriptures for an educational purpose seem to be another factor. The Buddhist scriptures produced by the royal family in early Jose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Mahayana Sutras, Ritual Manuals, and Seon literature(禪書類). The Buddhist scriptures fostered by Buddhist temples include ones for teaching Buddhist priests as well as the three kinds mentioned above. As for woodcut prints of Buddhist scriptures, there are hundred seventy woodcut prints inapproximately seven hundred Buddhist scriptures of that period. Most of them are in Mahayana Sutras, and many of them, which represent Mudra required for rites and the essentials of Ritual Manuals, are portrayed in Ritual Manuals. This study looks into woodcut prints of Buddhist scriptures of early Joseon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based on their publisher: ones developed by the royal family and by Buddhist temples. The woodcut prints produced by the royal family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origin of their icons, into those which adopted and transformed icons from the printings of Goryeo and China, and those produced independently by the royal family. For the latter, those that exist today do not have any original prints which they were based on, an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royal family made the sketches for the prints by themselves. The assumption that the original icons were produced by the royal family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production of those woodcut prints involved professional engravers and painters working for the royal family in the mid-15th century, and that the Buddhist scriptures were most actively published inside the royal family during the time. In the meantime, the Buddhist scriptures were constantly published by Buddhist temples as well in early Joseon, separately from the ones by the royal family, and some of the woodcut prints were adopted by the royal family.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icons and origins of the woodcut prints from Buddhist temples in early Joseon based on two categories: the prints that adopted and transformed the Buddhist scriptures from the royal family; and the prints of the Buddhist scriptures from Buddhist temples. In addition to typical woodcut prints attached to the Buddhist scriptures, it also takes a look at single-frame woodcut prints, which were produced in a single panel and distributed to a large audience, by examining their background, purpose of production, usage, etc. The result indicates that those single-frame prints were mostly produced for the purpose of worship or prayer, and they were printed in a large volume and distributed to many people to serve as visual teaching materials for performing worship and saying a prayer. In other words, they played the same role as Buddhist paintings hanging inside the temples. What distinguishes the woodcut prints by the royal family the most from the ones by Buddhist temples is that they involved engravers who were Buddhist laymen working for the royal family. According to the list of producers record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those Buddhist laymen engravers participated in the engraving of Buddhist scriptures for the royal family starting in the mid-15th century. Besides, the existence of Lee Jang-son, who was a painter and an engraver for the roya family, shows that the painters working for the royal family participated in both sketches and engravings.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woodcut prints produced by Buddhist temples involved engravers who were Buddhist priest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prints by Buddhist temples is that they were produced by many different people in various regions, and thus, the engraving quality varies depending on the competency of engravers. The imprints or records in the prints also indicate that some of them were both sketched and engraved by engravers only, while others were sketched by painters and engraved by engravers. Lastly, this study looks into the styles of woodcut prints of Buddhist scriptures in early Joseon, with a focus on how the styles vary depending on the prints’ origin and producer, reprinting and imitation, and the engraver’s competency. It appears that the prints produced by the royal family before the mid-15th century do not have notable difference from the ones produced by Buddhist temples. But overall, they have good, more consistent engraving quality compared to the prints by Buddhist temple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After the mid-15th century when Buddhist laymen engravers started to participate in the work, the royal family began to produce woodcut prints based on their independently-developed icons, and production of the prints involved not only the engravers but also the painters. On the other hand, the prints produced by Buddhist temples lack consistency in style and qualit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origins and producers. Overall, they are more two-dimensional and have lower engraving quality compared to those from the royal family. Nevertheless,they have significance in that a variety of icons were described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public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they also show their own original styles, with prints that share unique techniques including bold omissions and rough sketches. To conclud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ends, iconography,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woodcut prints of Buddhist scriptures in early Joseon in connection with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trends of public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t examines not only Buddhist scriptures with the woodcut prints attached, but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criptures in general that were published in early Joseon and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woodcut prints produced in this period. Considering that reproduction is common for woodcut prints, the study also examines reproduced prints that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so far. It investigates the engravers and changes of the icons, and thereby takes a new approach to the value and importance of reproduced prints.

      • 朝鮮時代 經板本 變相圖 硏究

        유제석(허허)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919

        ‘變相圖’란 불교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을 말하며, 철저하게 불교의 교리에 입각하여 표현되는 종교화이다. 즉 진리의 내용을 행위로 변환하여 표현한 것이므로 變相이라 하며, 도상적 성격을 지니므로 變相圖라고 일컫는다. 대체로 변상도는 석가모니의 전생을 묘사한 本生圖와 現生의 전기를 담은 佛傳圖 그리고 淨土의 莊嚴圖가 중심이 된다. 따라서 변상도는 이들과 관련된 조각이나 회화 등의 造形物을 포괄하는 명칭이기도 하다. 변상도는 불경의 내용을 의지하여 표현되었다. 그러므로 그 불경의 중심이 되는 불보살을 중점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불경의 내용을 설명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변상의 그림은 회화성을 강조하기보다는 표현 위주의 도상적 성격에 치중되고 있는데, 그것은 경전의 내용이나 교 리적 성격을 제한된 공간 속에 최대로 표현하려고 하는 변상도 특유의 성격에서 기인된 것이다. 변상도는 다양한 제작기법으로 표현되어왔는데, 그 가운데서도 연구자는 특히 경판화 변상도에 주목하였다. 경판화 변상도가 조선시대에 성행한 이유를 조선의 불교문화의 특징에서 찾아보고 이해해 보려고 한다. 또 한 경판화 변상도가 불교회화 및 예술분야에 미친 영향력까지 고찰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조선조에 들어 유교가 지배이념으로 채택되고 불교가 억압받게 되면서 왕실 귀족들의 불교는 크게 타격을 받았지만, 반면에 일반 백성들의 불교신앙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였다. 조선시대 불교계는 억불숭유 정책으로 존립의 위기를 맞았으나 그 명맥을 유지하며 이전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불교문화를 창출하였다. 조선의 불교문화는 비록 고려에 비해 질적인 면에서 다소 뒤떨어진다는 평가는 있지만, 연구자는 오히려 조선시대가 안고 있는 시대상의 반영이라는 점에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으로 접근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조선 초에는 왕실과 일부 사대부의 적극적인 후원에 힘입어 간경도감 등을 통한 목판과 금속활자를 이용한 다양한 불경이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전 기간을 걸쳐 간행된 불경은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대승경전의 백미로 불리는 『묘법연화경』과 『화엄경』, 『지장경』, 『부모 은중경』, 『아미타경』등 방대한 양의 경전이 간행되었다. 이와 함께 많은 수의 경판 변상도도 제작되었을 것이라 추측된다. 조선시대 경전의 경변상은 양식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미진한 면이 있지만, 수와 종류의 다양성에 있어서는 많은 종류에 경변상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간의 연구 현황을 보면 불교 연구에 많은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연구자는 다른 불교미술에 비해 저평가 받고 있는 조선시대 경판화 변상도에 대해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의 경판화 변상도의 발전과 경판화 변상도가 가진 가치를 찾아주고, 문화재적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해인사 주본 『화엄경』변상도판화 연구

        이승엽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918

        The Avatamsaka Sutra was introduced before the Unified Silla in our country. In Goryeo Dynasty, Avatamsaka Sutra had been published actively. There are Printing Woodblocks of JinㆍZhouㆍ Jeongwon version Avatamsaka Sutra and Sutra painting in Haeinsa Temple, Hapcheon. But it isn’t sure when it has created. Zhou versionAvatamsaka Sutra is composed of seven place nine times thirty-nine entities. Preaching Buddha is convened in ground first, and then in heaven, finally in ground again. If we look the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in the late Joseon period, we can take it’s structure at a glance. The painting disposes The world of Buddha. The First Preaching Buddha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ainting, it spreads the prelude to Avatamsaka Sutra. Printing woodblocks of Avatamsaka Sutra painting enumerates a spectator who praise Buddha. Next, the Second Preaching Buddha teaches about the appearance of Buddha. Buddha is compared him to a light, doctor, sky drum, gold bird etc. Four times Preaching Buddha in heaven tell us about a duty of Bodhisattva. The duty is structural in Avatamsaka Sutra. They should be practised without any abiding in conceptions of offering charity. The important point in Avatamsaka Sutra are a appearance of Buddha and a duty of Bodhisattva. It is concluded the process that Sudhana finds enlightenment from fifty-three great Buddhist abbot. This process is described figuratively in Printing Woodblocks of Avatamsaka Sutra painting. It seems to look at a grand epic from drawings of Sutra painting in Haeinsa Temple collection. But each drawings have a large point of difference. Because, it was replaced a new one from old printing woodblocks. We need to draw a comparison between Printing Woodblocks of Avatamsaka Sutra and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for the sake of apprehending the it’s style. In the thirteenth century, Goryeo Dynasty has produced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t that time, a revolution has occurred in the political and religious field. In political, Goryeo millitary regime retain a dictatorial government. And Avatamsaka idealism belonging to the Kyun Yeo floated again. Buddhist priest belonging to the Kyun Yeo was closed connected with Haeinsa Temple. In addition to military regime of Choe took lead a lot of scripture publication. The bulk of the scripture is stored in Haeinsa Temple. Therefore Haeinsa Temple is supposed that they produced Printing Woodblocks of Avatamsaka Sutra extensively in spite of a national crisis. There are two object in Printing Woodblocks of Avatamsaka Sutra Painting in Haeinsa Temple. One is magnificence, the other is comprehension of scripture. But it have a artistic value beyond supply the scripture. A painter and a carver play an important role in Printing Woodblocks of Sutra Painting. Through this dual works, it is completed masterpiece. Printing Woodblocks of Avatamsaka Sutra Painting in Haeinsa Temple is a guide to make sense a difficult and enormous scripture, and an artistic materials to find a stream of times and the essence of the Goryeo Printing Woodblocks of Suta painting. 고려는 여러 차례에 걸쳐 대규모의 대장경을 판각한 고도로 발달된 인쇄 국가였다. 불교의 교리인 경전의 간행이 국초부터 성행하였고 그 간행지는 주로 사찰이었다. 고려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불교를 국교로 삼고 신봉하여 사찰판의 간행이 처음부터 활기를 띠었다. 즉, 고려의 인쇄문화는 사찰이 주도하였다고 할 수 있다. 대장경 등 불경의 간행은 고려시대 내우외환 등의 재난을 신앙적인 차원으로 극복하려는 대안으로 추진된 불사로서 초조대장경과 재조대장경의 조성이 대표적이다. 고려시대에는 이외에도 수많은 불경을 비롯한 불서들이 필사ㆍ판각되었다. 그것은 불교가 국교로서 정책적으로 장려되었고, 초기부터 교학이 강조되는 종파불교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대각국사 의천(1055∼1101)이 경전 외에도 고승들의 수많은 논소를 모으고 간행하려고 한 노력도 그러한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려는 불교전적의 간행과 수집이 줄기차게 이루어져 불교문화가 고도로 발전하게 된다. 경전 간행의 활성화는 변상도의 발달도 촉진하였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사경과 판경에는 많은 변상도가 포함되어 있고, 세계적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는 고려불화의 한 분야로서 불화연구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해인사에는 동서사간판전에 삼본화엄경과 함께 진본과 주본 『화엄경』 변상도판화가 전하고 있다. 진본은 60점 중 대부분이 산질되어 12점이 남아 있고, 주본은 매 권마다 개별적인 도상으로 제작된 80점의 경변상이 한 점도 빠짐없이 모두 전하고 있다. 이들 작품은 우리나라 전통 목판화와 불교 경변상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더없이 귀중한 자료이다. 시기적으로도 고려시대에 판각되었다고 알려져 고려시대의 판화자료가 희귀한 가운데 그 가치가 더욱 빛나는 작품이다. 해인사는 고려 초기부터 각종 전적이 수시로 간행되었는데 그 배경으로는 화엄 종찰로서 교학연구에 선구적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먼저 들 수 있다. 아울러 전문 인력의 확충과 인근사찰과의 긴밀한 유대관계가 뒷받침이 되어 해인사를 중심으로 활발한 경판조성이 이루어졌는데 이에 대하여 Ⅱ장 해인사 『화엄경』간행의 조성배경에서 살펴보았다. 주본 『화엄경』은 7처 9회 39품의 내용을 80권으로 구성한 경전이다. 따라서 각 권의 첫머리에 그려지는 권수변상도 80개가 된다. 변상이란 경전의 내용을 그린 그림을 의미하며, 경전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해서 가장 알기 쉽게 나타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시각적 방법을 빌어서 경전의 깊은 뜻을 이해할 수 있도록 형상화한 것이다. 각각의 변상은 해당 권수의 앞머리에 얹어져 경전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묘사하고 있다. 권수변상도의 형식이 아닌 불화의 형태로 조선 후기 그려진 화엄칠처구회도는 주본 『화엄경』의 내용을 한 폭의 화면에 그려낸 화엄경변상도이다. 따라서 주본 『화엄경』의 구조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제 Ⅲ장에는 화엄칠처구회도의 공간적 구성의 흐름을 따라 해인사 주본 『화엄경』 변상도판화의 도상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해인사에 소장된 삼본 『화엄경』경판과 변상도판화는 고려시대 화엄종의 성격과 『화엄경』의 경전간행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경판에 새겨진 간기와 관련 문헌자료가 없어 누구에 의해 언제 어떠한 목적으로 제작 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또한 변상도판화의 도상을 분석해보면 여러 양식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변상판화의 편년을 유추하는데 있어서 더욱 어려움을 주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이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양식을 분석하고, 관련 작품을 비교하는 것으로 접근을 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제 Ⅳ장에서는 양식파악의 근거로 삼을 수 있는 존상, 의습, 구름, 각선 등을 비교하여 각각의 양식 특징을 선별해보았다. 그리고 이 양식을 바탕으로 현재 전하는 고려시대 화엄경 관련 변상도와 비교를 해보고, 당시 해인사와 관련된 정치ㆍ사회적 흐름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해인사에 전하는 대장경 및 수많은 경판들은 국가적으로는 거란병 및 몽고병의 침입과 같은 위기의 순간에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극락왕생과 무병장수를 발원하며 조성된 것이다. 여기에 동원된 발원자를 포함한 각각의 사람들은 한마음으로 정성을 다하여 목판에 경문과 변상을 새겨내었을 것이다. 그동안 수십 차례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의 경판을 탐내어 사신을 보내 이를 요구하기도 했었고 침략전쟁에서 수많은 경판들을 약탈해가기도 했다. 그러나 고려인들의 혼이 담긴 작품들은 끝내 우리나라의 해인사에 봉안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것은 세계적으로도 자랑할 만한 문화유산이 되어 오늘날 이것을 보는 이의 마음에 커다란 불심을 새기고 있다.

      • 朝鮮時代 法華經 變相板畵 硏究

        김태형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918

        「Saddharmapundarika-sutra(Lotus Sutra)」 has been widely read and transcribed after introduc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ra of the Three States and it has been referred to as the best of particular sutra in T’ien-t’ai school and Mahayana Sutra. Eve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of a Confucianism rejecting Buddhism, 「Lotus Sutra」 had published much more than other sutras and transformation pictures in it have been introduced in the various genres. 「Lotus Sutra」 had published 150 times for 500 years form 1392, the opening Joseon to 1910,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d about 70 kinds of transformation pictures have been identified; these can be classified into the transformation picture of Sung Dal-sang origin, a royal family publication, a metal typeㆍreprinted edition and etc. As the copy of woodblocks in Goryeo Dynasty or printing into existing ones had been the mainstream right after opening of Joseon Dynasty, the same Buddhist woodcut prints of 「Lotus Sutra」 in Song Dynasty had been used or partial ones had changed with same elements. As transformation pictures of 「Lotus Sutra」had settled down as an independent block book of Joseon in 15th century and sutras of Ming Dynasty(China) had been introduced, the new model of transformation pictures had been produced. Sung Dal-sang origin and the origin print of royal family are the gathering printing type of Buddha preaching on Spirit Mountain and Ŭlhae metal movable type(乙亥字), reprinted edition has showed various types; for examples, Triad Buddha, pentad Buddha picture and the combined type of the introduction of Pagoda of Treasures, a Buddhist sermon and dharma-general(Wit’a. 韋陀天) and borrowing case of Diamond Sutra(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 金剛經), three Buddha. Transformation pictures of Sung Dal-sang(成達生, 1376~1444) origin are highly related to the same iconography type of 「Śatanidāna—saṅgraha—sūtra(撰集百緣經)」 transformation picture in Ming Dynasty and had adopted Goryeo Buddhist painting type. Also, the origin edition of royal family and prints had imported from imperial royal house-hold in Ming Dynasty and edited, circulated them. In case of a metal type, transformation prints had not founded in the first edition; however, it has appeared in reprinted edition. Kabin metal movable type adopted the origin edition of royal family, the transformation picture of Diamond Sutra in 16th centuries and three assemblies of Buddhas prints. In addition, the reprinted edition of Ŭlhae metal movable type had adopted various transformation pictures such as triad Buddhas picture, pentad Buddhas piture, a treasure tower, a Buddhist sermon and etc. The new transformation picture of 「Lotus Sutra」had reprinted the first edition until right after Hideyoshi invasions; however, precedent pictures transformed a lot from in the middle of 17 century and the xylography was deteriorated rapidly from the late of 17 century. The main cause of image figure lies in the movement and printing types of printmakers. For example, the first Kapinja(甲寅字) movable type of 「Lotus Sutra」 had adopted the same transformation picture of 「Diamond Sutra(金剛經)」, but there appeared the difference in types in the Edition of Anshimsatemple (安心寺, 1545)-the type of Sungdalsang origin, and it was confirmed in partially edited type. The transformation picture for the origin edition of royal family in the middle of 15th centuries influenced Buddhist painting; therefore, Goryeo Buddhist picture elements in Mass at Sacred Mt. Yeongsan that had existed until 16th century had disappeared gradually and Sakyamuni the object of worship using the key type of halo appeared. Also Bodhisattvas type of sermon askers occurred Mass at Sacred Mt. Yeongsan from 16th century. The transformation picture of Sundalsang origin 「Lotus Sutra」, which had followed Goryeo Buddhist painting, influenced Buddhist painting and it is related with Back Buddha Wall Painting in Great Hero Hall of Bongjeongsa Temple(鳳亭寺) in the middle of 15th century. Printmakers of 「Lotus Sutra」participated in a Buddhist image and painting or Buddhist instrument as well as engraving, so they were pioneera of Buddhist culture in Joseon Danasty. Among various Buddhist images, the type of triad Budda is related to Back Buddha painting at Hall of the Great Hero in Joseon. In fact, the printmaker of transformation picture had made Buddhist images and paintings. Mysterious Buddhist guardian-spirit of Bhaisajyaguru(藥師佛) Buddha preaching(1744) among three Buddha Painting in JikjisaTemple(直指寺) had adopted three Buddha type of 「Lotus Sutra」 of transformation picture and dharma-general(Wit’a) has included to the edition. 「Lotus Sutra」 of transformation picture had offered various motives to Mass at Sacred Mt. Yeongsan. Considering the origin and iconography view, the introduction of three Buddha's iconography which is accumulation of Buddha preaching on Spirit Mountain can be analogiz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picture of 「Lotus Sutra」. Especially, Buddhist ritual rites has been a foundation such as Rites for Land and Water Spirits(水陸齋) or Yeongsanjae(靈山齋) buddhist rite under three Buddha type. In addition, sermon askers in the type of Buddhist monk in Mass at Sacred Mt. Yeongsan were not from copy of 「Diamond Sutra」 transformation picture, but took a motive from 「Seokssiwollyu(Illustrated biography of Sakyamuni 釋氏源流)」 transformation picture and the new iconography had combined to Buddha painting. Furthermore, the transformation picture of 「Lotus Sutra」 in Joseon Dynasty should be intensively studied with the relation to Mass at Sacred Mt. Yeongsan in the same period.

      • 高麗時代 『妙法蓮華經』 寫經變相圖에 관한 硏究

        양삼분(선효)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18

        불교가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전래된지 약 1700여년 이란 시간이 흘러왔다. 그동안 한국불교는, 수많은 불교경전과 수행법들이 전해지고 재해석되어, 그 시대가 요구하는 수행방향으로 새롭게 제시되는가 하면, 변하지 않고 전통을 그대로 전승해 오기도 한다. 부처님의 경전을 사경하는 수행법은 후자의 경우에 속하는 불교수행법으로, 이러한 사경수행법이 가장 성행했던 시기는 바로 고려시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시대는 불교미술이 화려하게 꽃핀 시대였다. 통일신라의 불교미술이 안정감과 비례감이 뛰어난 조각과 건축물로 대표된다면, 고려시대는 특히 佛畵와 寫經變相圖 등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이는데, 통일신라 이래로 전해지던 사경의 전통이 계승되면서 더욱 발전하게 된다. 사경과 사경변상도는 고려후기에 최정점을 이루는데, 변상도는 경전의 첫머리에 위치하여 경전의 내용을 대표하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그림을 통한 시각적 효과를 수반하는 변상도의 고찰은 경전의 敎義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고려시대『妙法蓮華經』사경변상도의 도상표현이 경전의 내용에 근거해서 충실하게 표현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데 있다. 또한 경전과 도상의 차이점을 도출해서 서로 同異점을 찾아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神將像의 변화와「藥草喩品」의 三草二木, 그리고 說法臺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고려시대 사경변상도의 흐름과 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서를 살펴보면 1970년대 말부터 미술사영역에서 서예와 변상도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대두되는데, 변상도는 문명대와 장충식에 의한『法華經』사경변상도에 대한 연구를 출발점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사경연구는 권희경에 의해 진행되었는데 기존의 방식을 이어 주로 사경의 서지적, 역사적 측면에 중점을 둔 개괄적인 연구 방법을 견지하였다고 평 가 된다.

      • 광흥사간 『금강반야바라밀경』 변상의 연구

        장혜경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918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byeonsangdo, or mandalas, of The Diamond Sutra, in a work titled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 published at Gwangheungsa Temple in Andong City, North Gyeongsang-do. These byeongsangdos were published in the third year of King Seonjo’s reign, the fourteenth ruler (r. 1567-1608, 1552-1608)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n 1570. The work was a collaborationamong EoksuMun and his wife, who were major donors; Venerable Gyehui, a top-ranking hwaju, or leader; and Seokryun, an engraver. The work was completed at Gwangheungsa Temple in Andong City.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Diamond Sutra was done by Master Kumarajiva (鳩摩羅什, 343-413) of the Yao Qin state (姚秦, 384-417), part of the Qiang ethnic group of the Sixteen Kingdoms during the Jin Dynasty (265-420) in China. This was summarized so that the contents could be easily understood, and these concepts were portrayed in the form of byeongsangdos. The illustrations were published as a book, printed by woodblock pressings. For the most part, the contents of The Diamond Sutra were presented with one of the byeonsangdos at the top of the page, with the translated summary at the bottom. As the one and only copy of this work, which contains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Diamond Sutra and was illustrated and commentated upon in Korea, it is of great value. There are three printed Buddhist paintings produced by woodblock pressings like this: one wa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office of Namwonbu area, North Jeolla-do Province in 1363; the second one was published by Paeyeopsa Temple in South Hwanghae-do Province in 1564; and the third is the afore-mentioned work, which was published by Gwangheungsa Temple, North Gyeongsang-do Province in 1570. The printed Buddhist paintings are exact copies of each other, so it appears that the original woodblocks were first used to print the one in Namwonbu, considering the timeline. The Gwangheungsa copy consists of 77 byeonsangdos, printed from 24 woodblocks in total. The introduction begins with Seokgaseolbeopdo, which is a mandala that portrays Shakyamuni Buddha teaching The Diamond Sutra. This is followed by Onghodo, which depicts people paying homage to the sutra, protecting it, advocating for it, and making offerings; Palgeumgangdo (八禁剛圖); Sabosaldo (四菩薩圖); Balwonmun (a letter of aspiration) (發願文); and Unhabeom (云何梵). The publication is comprised of byeonsangdos describing the contents of The Diamond Sutra from Chapters 1 to 32. At the very end of the book, there is a mandala that illustrates SabudaejungSeongbuldo (四部大衆成佛圖), the four assemblies listening to Buddha-dharma and giving praise; BulmodaegongjangMyeongwanggyeong (佛母大孔雀明王經), a mandala that portrays the teaching The Scripture on the Goddess Great Peahen, Queen of Spells and the laudable deed of memorizing this work; HobeopSeonsindo (護法善神圖), a mandala that depicts the devas, or guardians, protecting Buddha-dharma; and Gangi (刊記), the records of the publication details. Through this research, the overall value of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at Gwangheungsa Temple is estimated as below: First of all, this publication from Gwangheungsa Temple, printed in 1570,was sketched after Namwon’s 1363version. This earlier work was altered by flipping the woodblocks upside down and tracing their lines. This was confirmed by their size, the Buddhist paintings themselves, the expressions, and the verses used in the work. Though the Gwangheungsa version was pu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it was prototyped after the Goryeo (918-1392) sample, with characteristics parallel to those of the earlier byeonsangdos. Secondly, the Gwangheungsa publication compiled the commentaries of all the Buddhist paintings in the byeonsangdos, along with the summaries of The Diamond Sutra, focusing on making its contents simpler.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he byeonsangdos at the top of each page were connected with the sutra verses at the bottom. Lastly, though some parts of the 1363 Namwon version were lost, the entire collection of the Gwangheungsa publication of The Diamond Sutra was handed down intact. Most significantly, one part of the Gwangheungsa publication accurately articulates the detailed procedure of the Songju Ceremony, a mantra-chanting ritual required for the recitation of The Diamond Sutra, which has almost disappeared in recent years. The traditional garment requirements of this Buddhist ceremonial process for paying homage can now be confirmed with authority. Because the teaching of the sutra has been encapsulated into byeonsangdos in the most concise manner, this topicis quit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Buddhist paintings and Buddhist art, in addition to being an extraordinarily valuable reference for researching its history. Nonetheless, no direct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Diamond Sutra. Henceforth, the byeonsangdos of The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published at Gwangheungsa Temple can be utilized as extremely valuable reference, not only for mandala research, but also for studying various Buddhist ritual procedures and garments. Going forward, the research value of this sutra can be estimated as absolute. Thus, this research project aims not only to understand the actual contents of the byeonsangdos and their summaries, but also to add to its worth in the field of academia.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광흥사간 『금강반야바라밀경』 변상은 선조 3년(1570)에 대시주자 문억수 양주, 화주 계희스님, 각수 석륜이 안동 광흥사에서 간행된 것으로, 요진의 구마라집(鳩摩羅什)이 한역한 금강경의 경문을 이해하기 쉽도록 내용을 집약해 변상도로 표현한 1책으로 된 목판본이다. 무엇보다 이 책은 금강경의 내용 전체를 변상도로 표현하고 있으며 상도하문식(上圖下文式)으로 전개되는데, 이는 도해금강경(圖解金剛經)으로 우리나라에는 현재 한 가지 도상만 전해지고 있어 그 가치가 높다 할 것이다. 이 형식에 해당되는 금강경은 남원부관아간 본(1363), 패엽사간 본(1564), 광흥사간 본(1570)이 있는데 이 3개의 판본은 도상이 일치하여 원판은 시기적으로 제일 앞선 남원부관아간 본으로 보인다. 광흥사간 본의 구성은 총24매판으로 77점의 변상도로 이루어져있다. 책 앞부분은 금강경을 설하시는 석가모니를 표현한 석가설법도(釋迦說法圖)를 시작으로, 경을 받들어 옹호하며 널리 공양 올리는 것을 표현한 옹호도(擁護圖), 팔금강도(八禁剛圖)과 사보살도(四菩薩圖), 발원문(發願文)과 운하범(云何梵) 변상도가 있고, 본문에는『금강경』 제1분부터 32분까지의 내용을 표현한 변상도가 수록되어 있으며, 책 뒷부분에는 금강경 설법을 듣고 찬탄하는 사부대중성불도(四部大衆成佛圖)와 불모대공작명왕경(佛母大孔雀明王經)과 호법선신도(護法善神圖), 간기(刊記)>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본 광흥사간 『금강반야바라밀경』 변상의 가치는 첫째, 1570년 간행된 광흥사간 본은 1363년 간행된 남원부관아간 본의 밑그림을 모본으로 하여 판본을 뒤집어 붙여놓고 그대로 새긴 복각본임을 두 경전의 변상도 규모와 도상, 표현, 경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광흥사본의 간행시기는 조선시대이긴 하지만, 모본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고려시대 변상도에서 주로 나타나는 병렬형식을 보이고 있다. 둘째, 광흥사간 본에 있는 모든 변상에 대한 도상 해석과 방제 해석을 정리하여 금강경의 내용을 보다 쉽게 파악하는데 주력하였으며, 상단의 변상도와 하단의 경문과의 관련성을 고찰한 것에 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셋째, 남원부관아간 본은 경전의 일부가 손실되었으나 광흥사간 본 금강경은 모두 전권이 완전하게 전해지고 있고, 무엇보다 광흥사간 본에 남아있는 부분이 송주의식의 단계를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거의 사라지고 없는 의궤부분에 있어서도 관련 의식의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변상도는 경전의 사상을 압축하여 가장 집약적으로 표현해 준다는 점에서 불교미술의 도상이해에 무엇보다 중요한 분야이며 불교회화사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이다. 그럼에도 도해금강경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광흥사간 『금강반야바라밀경』 변상은 불교경전의 변상도연구는 물론 의궤부분에 있어서도 매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 경전의 연구 가치는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변상도에 기록되어 있는 방제들의 원문파악은 물론 그 뜻을 기록한 연구가 학술적으로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高麗時代『妙法蓮華經』寫經變相圖 硏究

        문선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917

        사경은 손으로 옮겨 적은 경전이다. 석가의 입멸 후 석가가 생전에 설했던 설법들은 구전되다가 成文化하게 되면서 사경이 조성된다. 초기에 경전유포의 목적으로 조성되던 사경은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공덕신앙의 일면으로 유행한다. 사경이 유행하면서 그 제작방법에 있어서 재료와 형식이 다양해지고 더불어 공덕신앙으로 유행하게 되면서 사경조성은 의식화된다. 이는 고려이전의 유일한 사경인 755년에 연기법사에 의해 조성된 白紙墨書 『大方廣佛花嚴經』의 조성기의 기입순서가 의식절차에 따랐다는 점, 비현실적 존재인 청의동자의 등장시킨 점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경권을 감쌌던 종이의 내지에 그려진 불보살도는 총설적 의미의 변상도로서 고려시대의 사경변상도와 같이 경권의 부분으로서 그려지는 변상도가 아니라 경권을 감쌌던 종이에 그려졌다. 이는 고려시대 이전에는 경권과 변상도가 분리되어 조성되어졌을 가능성도 생각 할 수 있는 부분이다. 고려시대의 碑文과 文集 등에 실린 글을 살펴보면 공덕신앙의 유행과 법화신앙의 측면에서 다수의 사경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수 조성된 사경은 그 제작에 있어서 금은을 사용하며, 한 글자 한 글자 써나가는 정성과 그 공력으로 쉽게 조성될 수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경제력을 가진 계층에 의해 조성되며, 이러한 예는 현존사경 중 사성기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사경이 왕실을 포함한 국왕발원이거나 귀족층 발원으로 조성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국왕발원의 사경제작은 대장경 등과 같은 형태로 대단위규모로 조성되거나 밀교계 사경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던 두 가지 큰 특징을 지닌다. 귀족층 발원의 사경은 원간섭기라는 시대적 상황과 관련하여 정치적으로 혼란기였던 충숙왕대에 친원세력에 의한 사경이 집중적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기에 원 황실의 축수를 빌거나 고려국왕의 수복을 빌고 자신의 품계를 적었던 것과는 달리 자신의 원나라의 품계를 제일 먼저 기입하거나 사성기 자체를 권수로 옮겨 화려하게 장식하는 경향은 단순히 원황실의 축수를 위한 조성이 아닌 자신의 신분과 명분을 위시한 성향의 정점이라고 해석된다. 승려발원으로 조성된 사경조성의 가장 특징은 기존 국태민안이나 현세구복을 위한 목적에서 조성되었던 것과 달리 衆生을 제도하고 寶是를 구하는데 功德의 의미를 두고 있다. 법화경은 전체 28품으로서 7권으로 나누어 조성하는 방식과 한번에 조성하는 少字本 혹은 細字本으로 조성된다. 그러나 고려시대 현존하는 묘법연화경 사경변상도의 대부분은 7권본이다. 이는 한번 제작되면 수정이 어려운 판본과는 달리 손으로 직접 그리는 사경변상도에 있어서는 다양한 판본을 탄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더욱이 12세기의 남송과의 문화교류를 통해 받아들여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판본이 14세기를 거처 조선 전기까지도 조성되는 것으로 보아 남송의 영향력이 지속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고려시대 사경변상도는 14세기에 조성된 작품이 대부분이다. 초기의 작품에서의 자연스럽게 표현되던 경향은 시기가 내려갈수록 도안화되고 장식적으로 변화한다. 사경변상도의 표현요소들은 이러한 전체적인 변화와 궤를 같이 하여 양식적 변천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건축요소들은 모본의 영향으로 대부분 비슷하게 표현됨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의 사경변상도 중 화엄경과 더불어 가장 많이 조성된 법화경은 경전의 규모와 성격 때문에 대중적으로 신앙화되기 용이하였고 변상의 내용 역시 화엄경과 다르게 다양한 방식으로 조성되었다. 특히 다원적인 외교관계로 하여금 주변국과의 교류로 인한 미술의 내용과 성격이 달라짐을 조각, 공예 등의 다른 분야에의 연구를 통해 알려졌듯이 사경변상도 역시 그 궤를 같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사경변상도는 일반불화와는 다르게 조성되었지만 거의 현존하지 않는 고려시대의 법화나 화엄계 불화의 간극을 메워줄 수 있는 것이자 당시의 공덕신앙의 형태가 사경조성을 통해 드러난 것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Sutra copies is written by hands. After the death of Sakyamuni(釋迦牟尼), Sakyamuni's preaching have been organized into the Sutra. In short, Sutra copies is the result of buddhist faith. In the early, sutra copies have been made for the purpose of sutra spread. Bu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printing techniques, As loosing its original purpose, Sutra copies would have come into fashion with the faith of buddhist merit (accumulate pious acts) aspect. So the materials and making forms of sutra copies would been various and its making process wouid have come into a ritual. As being seen through the epitaphs and anthologys of Goryeo Dynasty, sutra copies would been made very much as the faith of buddhist merit in the Goryeo Dynasty. Because of using a gold and silver in writing a letter and its elaboration, making a sutra copies must have been needed much money and labors. So sutra copies would have been made by the propertied classes. It will be capable of being recognized through the making records of sutra copies most of all which have been made by king and royal family and the noblesse. The characteristics of sutra copies which have been made by king and royal family is two. One is to being made a large scale like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The other is most of existing sutra copies is concerning of the Eesoteric Buddhism. Most of all Sutra copies by the noblesse would been made in the time of King, ChungSuk(忠肅王, 1294-1339). And sutra copies by the noblesse would have been made to showing off their social state and portion. Sutra copies by Buddhist monk would have been made in the purpose of getting the supreme enlightenment and the salvation of living things. Lotus sutra(『妙法蓮華經』) is composed of 28 chapters. So the making method is two, one is to make 7 volumes that 28 chapters been divided, the other is one volume that 28 chapters in small letters (少字本). But the existing sutra copies of Goryeo dynasty is almost 7 volumes. The Frontispiece of Lotus sutra copies is located at the beginning part of the sutra copies, shaped a rectangular form, the right portion of the frontispiece is expressed Sakyamuni's preaching scene, the left is filled with the stories of Lotus sutra. Sakyamuni's preaching scene is called Yeongsanhwisang(靈山會上)by the first chapter of Lotus sutra, is expressed considering the main and its numbers of preaching at the frontispiece of each volume. Each scene of the left side is expressed as the momentary scene without a organic construction. Representatively there are 7 stories (七臂). is expressed in the frontispiece of lotus sutra, those are Samgeohwataek(三車火宅) of chapter 2(譬喩品) of volume 2, Jangjagunhja(長子窮子) of chapter 3 (信解品) of volume 3, Hwaseongbocheo (化城보處) of chapter 2 (化成喩品) of volume 4, Biningeju (貧人繫珠) of chapter 2 (五百弟子受記品A) of volume 4, Gejungmyeongju(契中明珠) of chapter 2(安樂行品) of volume 5, Yanguibeongja(良醫病子) of chapter 2(如來壽量品) of volume 6, The icons of Lotus sutra has originated from the wall paintings of Tun huang (敦煌). In short the large scaled wall painting of Tun huang would have been transferred into the small frontispiece of sutra each volume. The icons is divided two cases-acceptance and metamorphosis. In the first case, acceptance of the icons of Tun huang, was similarly expressed. In the second case, metamorphosis of the icon, is Samchoyimok (三草二木). In the tun-huang wall painting originally was expressed in the scene of a farmer plow a field with a cow in the rain(雨中耕作). But 'in the rain' icon had changed into the expression of the concoction of dragon. thunder god wind god. Later removing thunder god wind god for using the icon of Gwanseumbisalbomunpum(觀世音菩薩普門品), remains the dragon with clouds and rains at the upper of the frontispiece. 'a farmer plow a field with a cow' icon have changed into the landscape of trees, plants etc.. later again changed 'a farmer wearing a straw raincoat going home'. In the Goryeo Dynasty the cultural relation's contents is very various for the multifactorial diplomatic relations. In such a sense, the frontispiece of sutra copies of Goryeo Dynasty will be capable of understanding. The former of Goryeo Dynasty, the elements related the Kitan sutra (契丹大藏經) of the Liao(遼) Dynasty is partially seen with Lotus sutra of Kongobu-ji(金剛峯寺, 1081). The related elements are 금강저, buddha, landscape etc. On the other hand Lotus sutra frontispiece of the former of Goryeo Dynasty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Southern Song(l]5). Accepting the Lotus sutra of the Southern Song in the Goryeo, it would have been made as a block book. So sutra copies would have been copied that as the existing rare block book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Southern Song. It is particular that the frontispiece in the small letters of the Southern Song was expressed into the frontispiece of volume 1 or 6 in the Goryeo Dynasty. because of being flexibly accepted the various frontispieces of the Southern Song, differently the block book that the revsion is difficult after the making. Besides the frontispieces of the Southern Song which have been accepted through Goryeo's active cultural exchange with the Southern Song in the 12th century have been made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very influential with the frontispiece making of the Goryeo dynasty. The existing frontispieces of the Goryeo Dynasty almost is to being made in the 14th century. The natural styl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have changed decoratively and designable. Among the expression elements of the frontispiece, some have equally changed in such a trend but others have not.

      • 五代ㆍ北宋代 妙法蓮華經 寫經變相圖 硏究

        하광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917

        (A) Study on the Frontispiece of Lotus Sutra Copies in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dynasty(907-1126) Ha, Kwangsoon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Bang, Byeong-sun Kim, Jung-hee Ju, Soo-wan In this research, presents details about Frontispieces and its icons, especially focusing on paintings of Lotus Sutra Copies in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dynasty. From there, discuss relationship between Frontispiece and Dunhuang wall painting(敦煌壁畵),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in icon compositions, properties of icon, and paradigm of the composition of icons. Furthermore,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era that revealed in details of Frontispiece. Also, infe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Lotus Sutra in miniature characters(細字法華經) of Tanzan Shrine(談山神社) and Lotus Sutra Volume 6 of Mutsu Kokubun-ji Temple(陸奧國分寺), which have controversy about their nationality, from the features of Frontispiece in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dynasty. Additionally, suggest connection between Lotus sutra woodcut(版畵) of Northern Song era and Frontispiece of Lotus Sutra of Kongobu-ji Temple(金剛峯寺, 1081) Lotus Sutra is the most widely spread and most popular scriptures in East Asia. The Sutra Copies and sutra translation are prevalent from the early age of Chinese Buddhism history. Originally, the Sutra Copies were for spreading and supererogation. However, printed book replaced the Sutra Copies for spreading purpose along with the advancement in printing technology. Making of Sutra Copies for supererogation purpose is found in record of Sutra Copies in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dynasty. Also, differentiation of materials for Sutra Copies, such as gold, gold and silver, and blood, can be considered for influence of supererogation-focusing trends in Sutra Copies production. The records of Lotus Sutra painting that depicts Frontispiece of Lotus Sutra Copies are appeared from early age. The existing examples are part of Dunhuang Manuscript and Frontispiece of Lotus Sutra Copies which found Ruiguang Temple in Suzhou.(蘇州 瑞光寺塔) This research presents Frontispiece of Lotus Sutra Copies form and icon by comparison with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era’s 4 of Sutra Copies and one of woodcut, and classify form of Frontispiece based on bindings of the Sutra Copies and the position of the painting and praying tex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nese Frontispiece are cover painting with Bodhisattva and Curtain design at upper sutra painting. The metaphorical icons on Frontispiece are interpreted based on Sutra. If there is any title(榜題), compare and interpret it with sutra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icons made in Southern Song dynasty. The features appearing at Frontispiece icon of Lotus Sutra Copies in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dynasty are different between each edition, and unique icons can be seen that do not appear in later era’s Frontispiec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dynasty Dunhuang Lotus Sutra painting’s new forms, such as changes in 55th and 76th cave’s composition metaphorical icons are coherent with the changes in Frontispiece. Therefore they can be considered as closely related. Eight Devas are appeared with snakes, birds or dragons, and such forms are inheritance of icon of Eight Devas in Dunhuang and Sichuan’s wall paintings or relieved sculpture, which are hard to find in Frontispiece after Northern Song era. Here, those characteristics are defined as iconic features of Northern Song era Frontispiece. Metaphorical icons are sometimes shown changes based on icons in Sutra painting of Dunhuang or show difference. In Frontispiece’s icons in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dynasty, similar motifs are used for representation of different icons in some cases. And it changes to match a single motif to single icon. In 11th century, overlapped motifs were eliminated: metaphorical icons in North Song Lotus Sutra woodcut(莘縣宋塔本) are matched with Southern Song’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as organized icons are inherited through Northern Song to Southern Song. It is safe to say that details of icons in Southern Song woodcut(栗棘岩本), which influenced East Asia widely, was already completed in Northern Song era. Also, suggest that sharing of single Buddhist sermon part in multiple metaphorical icons and a single icon can be interpreted in several ways are composing paradigm of icons in Frontispiece of Lotus Sutra Copies in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dynasty, which is seldom appear after Southern Song era. Lotus Sutra in miniature characters(細字法華經) of Tanzan Shrine(談山神社) and Lotus Sutra Volume 6 of Mutsu Kokubunji(陸奧國分寺) are concluded as Chinese Sutra Copies, based on characteristics in cover painting and strong evidence of connection with Five dynasties Sutra copies in Shanghi Library(上海圖書館 所藏 五代 寫經). Also, similarity i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icons Frontispiece of Lotus Sutra of Kongobu-ji Temple(金剛峯寺, 1081) and Northern Song Lotus Sutra woodcut(莘縣宋塔本) is presented. It can be considered to have strong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Northern Song Lotus Sutra woodcut(莘縣宋塔本) and Frontispiece of Lotus Sutra of Kongobu-ji Temple(金剛峯寺, 1081), based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Northern Song Lotus Sutra woodcut(莘縣宋塔本) 3rd, 4th and 7th volume correspond to Frontispiece of Lotus Sutra of Kongobu-ji Temple(金剛峯寺, 1081) 3rd, 4th, and 8th volume, though those two have different divisions, and icons of Devadatta(提婆達多品) are depicted in painting, which is not supposed to be included. Additionally, icons of Frontispiece of Lotus Sutra of Kongobu-ji Temple(金剛峯寺, 1081) in volume 4 Apparation of a Stupa(見寶塔品) is the middle stage between Northern Song Lotus Sutra woodcut(莘縣宋塔本) and Southern Song woodcut(栗棘岩本), which shows clos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m. 본 연구는 五代·北宋代 제작된 『妙法蓮華經』의 寫經變相圖에 주목하여, 寫經變相圖와 도상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당시 경변상도와 돈황벽화와의 관계, 도상구성의 과도기적 요소와 세부도상의 특징, 그리고 도상구성의 패러다임을 논하였다. 변상도의 세부표현에서 드러나는 시대성을 밝히고, 五代·北宋代 사경변상도의 특징을 바탕으로 국적에 논란이 있는 談山神社 소장 세자본 법화경 변상도와 陸奧國分寺 소장 妙法蓮華經 사경변상도 권6과의 공통점을 추려내어 영향관계를 추정하고, 北宋代의 妙法蓮華經 변상판화와 고려 전기 妙法蓮華經 사경변상도인 일본 金剛峯寺 소장 太康7年(1081) 사경변상도와의 관계성을 제시하였다. 『妙法蓮華經』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널리, 오래 대중적으로 신앙된 경전이다. 사경은 중국의 불교도입 초기부터 역경과 더불어 대규모로 성행하였으며, 유포와 공덕을 위한 사경이 제작되었으나 인쇄술의 발달로 인하여 유포를 위한 사경은 점차 판본에 대체되었다. 五代·北宋代 사경 발원 기록에서 공덕을 위한 사경의 조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금자사경, 금은자사경, 혈서사경 등 서사재료에 차등을 두는 것 역시 공덕의 강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법화경의 내용을 도해한 법화변상에 대한 기록은 일찍부터 등장하며, 그 중 隋代 展子虔의 법화경변상이 권자본 형태의 책에 그려졌다는 기록은 사경변상도에 법화경 변상이 그려진 가장 이른 예로 볼 수 있다. 현존하는 唐代에 제작된 법화경 사경변상도는 돈황문서 중의 일부분과 서광사탑 발견 사경의 예가 남아 있다. 五代·北宋代의 사경변상도 4종과 변상판화 1종을 통해 7권본 妙法蓮華經 권수변상도의 형식과 도상을 엿볼 수 있으며, 사경변상도에 나타나는 형식적 특징을 당시 사경의 장정, 변상도와 발원문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형식을 분류하였다. 사경변상도는 표지화에 모란 문양을 바탕으로 공양보살이 그려지는 것과, 변상도 상단에 등장하는 장막형 장식도안을 특징으로 보아, 동시기 다른 나라의 변상과 비교하여 중국 사경변상도의 특징으로 결론지었다. 도상은 7권본 권수변상의 각 권에 등장하는 비유도상을 妙法蓮華經 본문과 면밀히 비교하여 해석하였고, 방제가 있는 경우 방제와 경문을 비교하여 해석하고 정리하여, 남송 율극암본의 도상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五代·北宋代 사경변상도의 비유도상에 나타난 요소들은 본마다 각각 차이가 있고, 후대의 변상에는 등장하지 않는 도상도 다수 등장하는 점이 특징이다. 五代·北宋代 돈황 법화변상에 등장하는 새로운 형식, 즉 55굴과 76굴 법화변상의 구도와 비유도상에 나타나는 변화 역시 경변상도 도상의 변화와 일치하여,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특히 설법도에 등장하는 팔부중은 뱀이나 새, 용 등을 몸에 두른 갑주형 신장상으로 나타나는데, 돈황이나 사천의 벽화와 부조에서 나타나는 팔부중의 도상을 계승한 것으로 北宋代 이후의 변상도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 요소이다. 이를 北宋代 경변상도 설법도에 보이는 도상특징으로 규정하였다. 비유도상은 돈황의 법화경변에 등장하는 도상을 기본으로 변화하거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五代·北宋代 법화경 사경변상도에 등장하는 도상에는 유사한 모티프로 서로 다른 의미의 도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나타나며, 유사한 모티프는 선택적으로 탈락되고 하나의 표현요소가 하나의 도상만을 나타내게 되는 과정이 드러나 도상의 정리가 이루어지던 과도기적 시기였음을 알 수 있다. 11세기에 이르면 중복된 모티프가 정리되며, 신현 송탑에서 발견된 북송 법화경 권수변상 판화에 보이는 비유도상이 남송의 율극암본과 거의 일치하여, 이렇게 정리된 도상이 신현 송탑본을 거쳐 후대 남송 율극암본으로 이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동아시아에 두루 영향을 미친 남송 율극암본의 세부도상은 北宋代에 이미 완성되어 있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또한 五代·北宋代 妙法蓮華經 변상도 도상구성의 패러다임으로서, 하나의 설법도를 여러 비유도상에서 서로 공유하여 도상이 구성되며 하나의 도상을 여러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었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은 남송 이후 경변상도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더불어 설법도의 구성과 본존의 양식적 특징을 통해 北宋代의 존상표현에 보이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암산을 배경으로 정면관을 하고 표현되는 설법도에서 노대 위의 측면관 설법도로 변화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세부표현에서는 산과 바위의 표현과 바림으로 표현한 산의 능선, 그리고 구름의 표현, 나무의 표현을 각각 비교하였다. 이와 같이 정리된 五代·北宋代 사경변상도의 특징을 談山神社 소장 세자본 법화경 변상도와 陸奧國分寺 소장 법화경 사경변상도 권6과 상세히 비교하여 영향관계를 추론하고, 일본 金剛峯寺에 소장된 1081년 고려 법화경 사경변상도와 北宋代 경변상도의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談山神社 소장 세자본 법화경 변상도와 陸奧國分寺 소장 법화경 사경변상도 권6의 표지화에 나타나는 특징과 변상도 상단의 장막형 장식도안, 그리고 설법도와 본존의 표현, 도상구분을 위하여 산의 능선을 사용하고 바림을 넣은 점, 운문 등 上海圖書館 소장 五代 妙法蓮華經 변상도와의 강한 연관성이 드러나 이 두 사경은 중국의 사경으로 생각되며, 또한 일본 金剛峯寺 소장 高麗 太康7年(1081) 사경변상도는 北宋 신현송탑 발견 변상판화와 세부도상의 배치와 구성이 거의 같은 점에 주목하였다. 두 본은 분권은 다르지만, 신현 송탑 발견 권3, 4, 7은 金剛峯寺 소장 법화경 사경 권3, 4, 8에 대응되며, 金剛峯寺본 권4에는 수록되지 않는 제바달다품의 도상이 변상에는 그려져 있다는 점은 북송 신현 송탑본과의 강한 영향관계를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金剛峯寺 소장 법화경 권4의 견보탑품 도상은 신현 송탑본과 남송 율극암본 견보탑품 도상의 중간 단계로서, 밀접한 도상의 영향관계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당과 남송 사이 시기인 五代·北宋代 妙法蓮華經 변상을 통해 도상변화의 시기적 간극을 메꾸고, 현존하는 五代·北宋代 사경변상도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北宋代 사경변상도의 표현요소에서 보이는 특징들은 당시의 불교회화의 양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北宋代 불교회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국적이 불분명한 사경의 국적 추정과 당시 동아시아 회화교류를 입증하는 것으로서, 談山神社 소장 세자본 법화경 변상도와 陸奧國分寺 소장 妙法蓮華經 사경변상도 권6의 국적과 시대추정에 기여하고, 고려와 북송의 회화교류의 단면을 金剛峯寺 소장 1081년 妙法蓮華經 사경을 통해 엿볼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 터널 라이닝 변상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오영석 明知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1917

        공용중인 터널의 안전성 평가는 라이닝 변상관찰과 측정에서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배면지반의 응력-변형 상태를 역추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터널 안전성 평가의 효율과 신뢰도가 높으려면 배면지반의 불연속면과 응력분포상태와 라이닝에 나타나는 변상패턴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실내의 축소모형시험과 실대형 모형시험을 실시하고, 불연속면과 측압조건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라이닝의 응력과 변형 측정을 통하여 라이닝의 변상과 배면지반의 불연속면과 응력분포 상태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축소 모형시험에서는 불연속면의 위치와 방향 및 응력조건을, 실대형 시험에서는 절리군의 방향과 응력조건을 변화시켰을 때 발생하는 라이닝의 응력과 변형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분석을 통하여 불연속면의 위치와 방향 그리고 지반응력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라이닝 변상의 패턴을 찾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로서, 터널 안전성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주변지반 조건변화에 따른 라이닝 변상의 패턴과 터널 관리지침으로서 중점관리를 받아야 하는 터널 취약부위를 제시하였다. The safety of the tunnels in service is evaluated through back-estimating the state of stress-strain in a tunnel structure using data and information which is retrieved from observation and measurement of the tunnel lining. Therefore, for a efficient and credible evaluation of the tunnel safet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tate of the ground involving discontinuity and deformation patterns of the tunnel lining is essentia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 conditions and the lining deformation through the laboratory model tests and the large-scale model tests. The variables of laboratory model tests include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discontinuity and stress condition. The conditions of large scale tests are the direction of joint sets and stress condition. In both of the tests the stress and strain of the lining were measured at each test condition. Results of the tes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deformation of lining can be related to the conditions of discontinuity and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technical guides and tips for safety evaluation of the tunnels in service can be drawn. And the weak points of tunnel which need a intensive observation during a tunnel maintenance are also suggested.

      • 海印寺 寺刊板 60華嚴經 變相版畵 硏究

        김자현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16

        The production of Buddhist engravings arose in a same sense that the printing culture appeared to be means of mass production due to the increased demand. The Buddhist engravings were parts of Buddhist scriptures printing for broad propagation of Buddhist doctrines and aimed to educate the general public with visualized method. As the power of the military elite came to an end, Hwa-eom(華嚴, Avatamsaka) order of Uicheon lineage which kept aristocratic characteristics of Buddhism declined with ruined civil men. Instead, Gyunyeo lineage, which was pressed out of the capital to countryside by Uicheon lineage, was on the rise. On the other hand, Jinul's study of Hwa-eom, being arose apart from Hwa-eom order, was also important. Jinul clarified that Hwa-eom and Seon(禪) are not dual at the root, thus made completed philosophical system of unity of teachings(敎) and meditation(禪) which is beyond the compromise of teachings(敎) and meditation(禪). Even though the leading figures of carving the second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were Buddhist monks of Hwa-eom order including Sugi, it seems that carving the second edition was in progress and understood as the mission of the whole Goryeo Buddhism apart from distinction of teachings(敎) and meditation(禪), considering contemporary circumstances that both sects of teachings(敎) and meditation(禪) value the Buddhist scriptures. In addition, carving the temple-published Tripitaka seems to have been in progress in the same sense. Approximately 24 Goryeo prints extant in Korea are known from 11th to 14th centuries, however, most of them are from 13th to 14th centurie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Goryeo prints is Haein-sa temple-published print and it shows three types of composition. The first type is the most plentiful one that the preaching scene of the main figure in profile is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picture and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scripture are depicted on the left side. Within this type of prints, the basic composition is identical, but the proportion of the preaching scene varies. The second type shows the main figure in the center of the picture with surrounded attendants, which seems to be the same composition of extant Buddhist paintings hanging behind the Buddha statues. In the third type, the main figure is not depicted in the fixed spot, but shown according to the Buddhist scripture. This type is shown well in the chapter called 'the Youth Sudhana Meets his First Teacher(入法界品)' of 80 volumes Avatamsaka Sutra. Also, the pictures of this type are shown both in 60 and 80 volumes of Avatamsaka Sutra depictions, especially for depicting the composition where the emphasis lays on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 and the figure expressions. It is known that Avatamsaka Sutra depiction was done in the Chinese proper and Dunhuang according to Lidai minghuaji (歷代名畵記) of Tang Dynasty and the record found in Dunhuang also from Tang Dynasty. However, extant pictures are depictions based on the 80 volumes of Avatamsaka Sutra. The pictures of 60 volumes of sutra are not extant, therefore no evidences are left to figure out the composition of those. In my thesis, I have traced the origin of the Avatamsaka Sutra depictions referring to the Lotus Sutra depictions which show the most analogous composition. I believe that the Lotus Sutra depictions in Kongobu-ji collection, the oldest and the most genuine sutra depictions in Goryeo period, show the elements of Northern Song basis, the Kitan Tripitaka of Liao, and the idiosyncratic formative sense of Goryeo styles. In case of engravings of Haein-sa temple-published Avatamsaka Sutra depiction, the form of platform shows its origin of Northen Song, however, the direct influence of Southern Song can be seen from complicated cloud and omission of lower part of platform. Although the composition of preaching scene of the main figure with a full face surrounded by attendants seems to be similar to the Lotus Sutra depictions of Liao, particularly the facial expression and the whole composition, there also exists the same composition in Northern Song examples thus the origin cannot be stated for sure. There is certain case without the representative preaching scene, but with various iconographies according to the sutra. As one example of this case, four prints of the 60 volumes of sutra depiction seems to be established due to the composition of Avatamsaka Sutra and the spatial limit of the paper and this characteristic is distinctive in the 60 volumes of Avatamsaka Sutra depiction. However, the clarification of the origin cannot be affirmed because there are no extant the 60 volumes of Avatamsaka Sutra depiction which can be comparable. In the case of depicting the scene from Sudhana's journey of the 80 volumes of Avatamsaka Sutra, there is extant print with same composition from chaper of Samantabhadra action(普賢行願品) of Avatamsaka Sutra from Xixia(西夏). Nevertheless, I cannot affirm the cross-influence between Goryeo and Xixa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records of direct contact between two. Since there exists same iconography found in Bulgukseonsa munsujinamdochan(佛國禪師文殊指南圖贊) of Southern Song, in spite of the form of illustration, it is possible that this type of depiction of Sudhana's journey, composed of illustrations, was extant in Song Dynasty. The form of the frame can be traced back from Five Dynasties, however, the frame of vajra seems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Liao's. Comparing the pictures of 60 and 80 volumes of Avatamsaka Sutra depictions, the pictures of 60 volumes seems to be producted earlier than those of 80 volumes in terms of atypical arrangement of preaching scenes and types of frame, organic relations among the iconographies, and more pictorial linear expressions. Based on the above and the fact that some pictures show several characteristic of the pictures of 80 volumes which seems to be made later, the engraving time of the pictures of 60 volumes of Avatamsaka Sutra depictions is supposed to be later than the engraving time of the sutra depiction of Seong-am collection. Referring to the fact that there should have been enormous amount of capital for the production of Buddhist engraving in quantity and the ties between the ruling family of Choi and Haein-sa temple, this temple-published prints of 60 volumes of Avatamsaka Sutra depiction is supposed to be between the 12th century and 1258 at the downfall of Choi family after the Mongol invasion. 현재 慶尙南道 陜川 海印寺에는 寺刊藏經 중 고려시대 제작으로 추정되는 60華嚴(晉本)과 80華嚴(周本)의 변상판화가 남아있다. 그 중 60권본의 변상은 이미 산질되어 12점만이 전하며, 80권본은 80점 완질이 남아있다. 지금까지 완질로 남아있는 80권본 판화에 대해서는 장충식 교수의 저서를 통해 그 실상이 알려졌지만, 60권본의 판화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자료소개조차 존재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이번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60권본의 변상판화를 중심으로 고려화엄판화를 보다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의 첫 장에서는『華嚴經』의 간행배경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華嚴經』이란『大方廣佛華嚴經』의 줄인 말로, 현재까지 우리들이 접할 수 있는『華嚴經』은 60화엄, 80화엄, 40화엄의 세 종류가 있다. 그런데 이 중 60화엄과 80화엄은 처음부터 大經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華嚴經』을 구성하고 있는 각 品이 각각의 支分經으로 먼저 성립되어 있던 것을 모아서 대략 4세기경에 于전國을 중심으로 한 중앙아시아 지방에서 조직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해인사 사간판 화엄판화가 조판되던 시기의 고려 불교계의 흐름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무신집권기에 이르러 귀족불교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던 義天系 화엄종은 문신귀족의 몰락과 함께 쇠퇴하고, 대신 의천계에 의해 지방으로 밀려났던 均如系가 다시 대두하게 된다. 균여의 불교는 관행보다는 이론적이고 실천적 면이 보다 강조된 특징을 보인다. 한편 화엄종과는 별도로 이시기 등장한 修禪社의 知訥은 華嚴과 禪이 근본에 있어서는 둘이 아님을 밝혀, 지눌의 선에 와서 비로소 교선의 절충단계를 뛰어 넘어 교선일치의 완성된 철학체계를 마련하였다. 결국 이같은 추세 속에서 이루어진 再雕大藏經의 조판은 守其와 같은 화엄종 승려들이 그 주축이 되어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敎宗과 禪宗이 모두 경전을 중시하는 당시의 상황으로 미루어보아 禪敎의 구분을 떠난 고려 불교계 전체의 일로서 추진되고 이해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아울러 사간판의 조판 또한 그 흐름과 맥을 같이하여 추진되었으리라 여겨진다. 두 번째 장에서는 高麗時代의 變相版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국내에 현존하는 고려시대의 판화는 약 24건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시기적으로는 11세기에서 14세기까지의 작품이 모두 현존하지만 13~14세기 판화가 대부분이다. 이 같은 작품들을 판화가 배치되는 형식에 따라 정리해보면, 고려시대의 판화는 크게 卷首版畵形式, 揷畵版畵形式, 上圖下文版畵形式으로 정리할 수 있다. 세 번째 장에서는 海印寺 寺刊版『華嚴經』變相版畵의 구성을 60권본의 도상해석과 80권본과의 비교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 장에서는 해인사 사간판 변상판화의 형식과 양식, 그리고 제작시기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해인사 사간판 변상판화는 크게 세 가지 구성형태를 보인다. 첫째는 가장 많이 보이는 구도로 화면의 오른쪽에 본존이 측면관을 취하는 설법도를 배치하고, 그 왼쪽으로 경문의 내용을 변상으로 나타내는 방식이다. 이같은 형태는 설법도가 화면을 차지하는 비중에 차등이 있을 뿐 기본적인 구성형식은 동일하다. 두 번째는 화면의 한가운데에 본존이 위치하고 그 주위를 경의 내용에 따라 권속들이 배치하는 방식으로, 현존하는 후불화와 같은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일정한 장소에 본존이 배치되지 않고 경전의 내용에 따라 변상들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80권본에서는 주로「入法界品」의 선재동자구법과정에서 이 같은 구성이 돋보이며, 그 밖에도 60권본과 80권본 모두에서 경전의 내용이나 등장인물의 표현에 보다 중점을 둔 구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재 남아있는 기록을 통해 중국에서는『華嚴經』변상이 적어도 唐(618~907)이후에는 제작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나 현존하는 판화나 사경의 경우에는 남아있는 예가 극히 적어 본 논문에서는『華嚴經』변상과 가장 비슷한 구성을 보이는『法華經』변상들을 참고하여『華嚴經』변상의 원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려시대 본격적인 경변상 중 最古의 작품인 金剛峯寺소장의『法華經』은 北宋本을 底本으로 하고 遼의 거란대장경의 영향을 받은 요소에 고려의 독자적인 조형의식이 가미된 작품으로 판단된다. 한편 해인사 사간판『華嚴經』변상판화는 露臺 표현의 경우 그 원류는 北宋으로 볼 수 있겠지만, 복잡해진 구름의 형태나 노대 하단부의 생략 등에서 南宋本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다음으로 정면관의 본존과 그 주위를 시립하는 설법도의 구조는 본존의 모습이나 변상의 전체적인 구성형태에서 遼나라의 법화경 변상이 가장 유사해보이지만, 북송에서도 화면 중앙에 정면관의 본존과 협시로 구성되는 설법도의 도상이 존재하므로 그 원류를 확언할 수는 없다. 마지막으로 변상에 대표적인 설법도가 등장하지 않고 경전의 내용에 따라 여러 도상이 나열된 형식의 경우, 60권본에 보이는 네 장의 판화는『華嚴經』의 구성과 지면의 한계에 따라 생겨난 60권『華嚴經』만의 독특한 구성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이는 현재 비교할 수 있는 60권『華嚴經』의 현존작례가 남아있지 않아 그 원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80권본의 선재동자 구법장면의 경우는 西夏에 동일한 구성의『華嚴經』「普賢行願品」의 판화가 존재하기는 하나 고려와 서하의 직접적인 교류관계를 밝힐 수 있는 사료가 없어 그 영향관계를 단정지을 수 없다. 그러나 비록 삽도형태이지만 南宋의『佛國禪師文殊指南圖贊』에서 동일한 형태를 보이는 도상이 존재하므로 이같은 삽도들이 결합된 형식의 선재동자 구법변상이 宋代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해인사 사간판『華嚴經』60권본과 80권본의 변상판화를 비교해본 결과, 60권본의 판화가 80권본에 비해 설법도의 배치나 結界의 종류에서 정형화되지 않았고, 도상간의 관계에서도 80권본에 비해 유기적인 구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刻線의 문제에서도 80권본은 각선이 비교적 경직되어 보이며, 각선으로 화면을 가득 메우는 구성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에 반해 60권본에서는 이같은 구성과 이보다 앞서는 시기의 형태로 판단되는 회화적인 각선의 표현과 여백을 남기는 구성이 공존하여 보이므로 60권본이 80권본에 비해 이른 시기에 판각된 것이라 생각된다. 위와 같은 근거로 인해 해인사의 60권본 화엄판화는 그 판각시기가 80권보다 앞서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그 구체적인 시기를 추정할 때는 兩本 간의 차이를 두고 생각해야한다. 즉 60권 화엄판화는 선각의 유연함과 도상의 유기적인 관계에 있어 선각과 회화적인 면에서 해인사의 80권본 판화보다는 오히려 12세기 제작으로 추정되는 誠庵博物館 소장의『華嚴經』권제36 변상판화와 그 맥을 같이 하므로 개판시기가 80권본보다는 앞서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일부의 판본에서 80권본에 대체적으로 보이는 판화적 구성, 즉 거친 선각으로 도상이 경직되어 보이고 도상 간의 유기성이 결여된 표현이 포착되므로 성암소장본의 시기보다 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80권 화엄판화의 개판시기에 대해 이들의 제작시기를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를 넘지 않는 시기로 추정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80권 화엄판화는 수법적으로 성암소장본에 뒤지며, 몽고칩입기에는 이같은 대규모의 불사가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점, 또한 이즈음 개판된 재조장경이 해인사의 三本『華嚴經』과 동일하게 17字의 동일한 체제를 따른다는 점을 들었다. 그리고 이같은 판화의 체제와 양식을 감안한다면 해인사 사간판은 오히려 國刊 이후로 보는 것이 무난하리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재조장경의『華嚴經』이 재조장경 편집의 총 책임자인 守其法師의 所藏印이 찍힌 12세기경 간행의 사간판 刊本과 그 글자체, 항자 수, 판제의 표시형식이 동일함이 밝혀져 이 사찰판 간본계통이 그 바탕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해인사 三本『華嚴經』이 재조장경의 구성에 영향을 받았으리라는 추측은 성립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13세기로 접어들어 최충원의 무신정권은 護身과 壽祿無疆을 위해 끊임없이 경전을 간행해내었는데, 이 시기 최씨정권 관계자들이 발원한 경전 중 대다수가 몽고침입기에 간행되었으므로 이 시기에도 끊임없이 경전이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몽고침입기에는 再雕藏經을 제외한 불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일반적인 통념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사간판 장경들의 불사를 제외하고도 꾸준히 불사가 진행되고 있었음을 재조장경의 조판을 마치고 李奎報가 쓴 ‘大藏刻板君臣祈告文’ 과 그 당시 제작된 <五百羅漢圖>의 화기와 金鼓의 발원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주목되는 것이 南海分司大藏都監을 私財로 운영한 최우의 처남 鄭晏의 經典刊行이다. 또한 최씨정권 관계자들이 발간한 수많은 개인발원 경전 중 상당수가 현재 해인사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 해인사는 이들과 밀접한 관계를 추론해볼 수 있다. 그러므로 대량의 변상판화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본이 필요하다는 점과 이 시기 최씨정권과 해인사와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이 판화는 최씨정권의 관계자들, 특히 정안의 세력과 관계가 깊지 않았나 생각된다. 그러므로 60권본 판화의 개판시기는 대략적으로 12세기 이후부터 최씨정권이 권력을 잡고 있던 시기, 즉 몽고와의 전쟁이 끝나고 최씨정권(1196~1258)이 무너지는 시기인 1258년 사이의 제작으로 추정되며, 80권본은 시기적으로 많이 동떨어지지는 않았지만 60권보다는 뒤지는 시기에 조판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