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묵시문학으로서 다니엘서 7장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연구

        이근민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구약의 대표적인 묵시문학인 다니엘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묵시문학을 묵시문학으로서 우리가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묵시문학을 묵시문학의 특징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해석하게 될 때에 많은 오류와 잘못된 해석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묵시문학이 어느 상황에서 어느 시대에 어떤 배경을 가지고 태어났는지 아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구약의 묵시문학은 천사들이 그것을 해석해주고, 묵시의 비밀을 풀어 간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종말에 관심이 나타나, 이 세상과 다가올 새로운 세상, 역사와 종말이라는 두 시대를 서로 대립적으로 구분한다. 그래서 현실에 상황을 악하고 절망적으로 묘사하며, 현재의 세상이 멸망하고 난 뒤에 임할 새로운 세계를 꿈꾼다. 그래서 묵시문학은 각 개인이 철저하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길 원한다. 종말은 다가왔고, 새로운 하나님의 세계가 다가 올 것이기 때문이다. 묵시문학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곧 위기 문학이다. 유대 묵시문학은 유대 민족의 생존이 위협당하는 시절에 억압받는 유대인들에게 위로, 권고, 희망을 주기 위해서 생성된 문학이다. 묵시문학은 희망과 부활의 메시지를 제공하고, 하나님의 지혜를 드러냄으로써 하나님의 심판과 다른 차원의 세계에 대한 믿음을 제공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독자들이 당할 현실의 위기감을 축소시키고, 독자들에게 현실의 고난을 견딜 수 있는 힘을 제공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묵시문학 저자는 자기 독자들에게 그들이 지금 처해 있는 상황을 인내로 극복해 낼 것을 고무 시키고 있다. 하나님의 궁극적 최후 승리가 있기에, 종말에 이루어질 “새 하늘과 새 땅”의 주인도 하나님의 신실한 백성의 것이기에, 현실의 기존 사회적, 정치적 상황은 곧 극복 될 것이다. 1장부터 12장까지의 다니엘서는 힘들고 어려운 상황가운데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인내하면, 하나님의 영원한 나라가 올 것이며, 마침내 하나님은 승리 하실 것이라는 신학사상을 가지고 있다. 사자굴 앞에서 금 신상 앞에서 굴복하지 않는 믿음을 가질 때, 하나님께서 다니엘을 지켜 주신 것이다. 정치적 탄압과 종교적인 억압 가운데에서도 하나님을 믿고 붙잡으면 언젠가는 하나님의 나라가 찾아 올 것이기에 지금의 억압과 고통을 이겨내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 기원전 2세기의 상황도 이와 마찬가지였다.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4세가 팔레스타인의 유대인을 박해하였다. 사회적으로는 헬라의 문화가 들어와 유대인들을 사회적으로 묵살시켜 더 이상 유대인들이 하나로 모일 수 없게 만들었다. 새로 생기는 도시마다 희랍식의 도시였고, 고대의 도시들도 점점 희랍화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희랍어가 공통으로 생기기 시작했다. 종교적으로는 더 억압이 심하였다. 유대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안식일을 더 이상 지킬 수 없으며, 새로 태어난 남자 아이들에게 할례를 줄 수도 없었다. 예루살렘 성전은 올림피안 제우스라는 이름의 헬라 이름 밑에서 천신의 신전이 되었고, 사마리아 성전도 마찬가지로 제우스에게 봉헌되었다. 제단은 하나님이 싫어하시는 이교 되어 불 경건 해 져만 갔고, 돼지와 부정한 동물을 희생 제물로 잡아 제단에 바쳐 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이어 유대 제사장들의 부패와 대 제사장직의 자리다툼은 안티오쿠스 4세의 예루살렘 간섭과 핍박을 강화 시켰다. 유대인들은 환난의 때를 겪게 되었다. 그러나 힘과 잔학한 행위가 그들의 신앙을 꺾지 못하였고, 그들은 이교의 헬레니즘이 감행한 맹공격에 끝까지 저항하였다. 그래서 구별된 자로 알려진 하시딤이 형성이 되어 나왔다. 그들은 자신들의 종교를 위하여 기꺼이 핍박과 순교를 감내하였으며 선조들의 종교 신앙의 도리를 고수하는데 충실하였다. 이러한 기원전 2세기의 사회적 상황이 결국 다니엘서를 탄생시키면서 묵시문학이 태어나게 되었다. 2세기의 이러한 처절한 사회적 상황이 다니엘서를 탄생 시켰다는 것은, 이와 전혀 다르지 않은 우리 현시대의 상황에서도 적용이 되어 질 수 있다. 현재가 고통스럽고 어려운 상황가운데 있을 지라도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창조 하시고 다스리시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다니엘서는 기원전 6세기의 바벨론 시대와 기원전 2세기의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4세에만 적용되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 말씀은 오늘날 우리의 삶속에서도 여전히 살아 있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사회적 상황들과 다니엘서를 같은 상황이라고 인식 할 때, 함께 하시고 영원한 나라를 주시는 하나님께서 승리를 가져다주시고, 우리는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에서 살게 될 것이다. ABSTRACT Studying social situation of Daniel chapter 7 as the apocalyptic literature Lee, Keun Min Dept. of Theology Graduate School Hyupsung University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representative apocalyptic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 the book of Daniel, first of all, we should understand the apocalyptic literature in itself. If we didn’t understand the apocalyptic literature in itself, many errors and wrong interpretations could come out. Therefore,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to know when and how the apocalyptic literature appeared. The apocalyptic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 has characteristics which the angels interpreted it and solved the secret of the implication. In particular, interested in the earth’s end, it compared oppositively two ages such as this world to the coming new world, and the history to the end. Real situations thus are described as evil and desperation, and after real world comes to the end, it dreams new world. Therefore, the apocalyptic literature wants each individual to follow the word of God throughly. The end almost came, and new world of God will come. To define the apocalyptic literature in one word, that is crisis literature. Jewish apocalyptic literature was created to give oppressed jewish people comfort, advise, and hope at the time of jewish people’s life threatened. The apocalyptic literature provided the message of hope and revival, and by revealing God’s wisdom, gave the belief of God’s judgement and different world. By doing so, the feeling of real crisis would be lowered and function to provide readers with the strength holding the real hardship. The writer of the apocalyptic literature encouraged his own readers to overcome their own situations with patience. God’s ultimate victory will come, and the owner of new sky and new land will be God’s sincere people, so the existing social and politic situations will be overcome. The Daniel 1-12 has theological ideas that if people don’t lose their hope in the midst of hardship with patience, the king of God will come and God will be victory eventually. Before the cave of lions, when Daniel had a faith not bowing down in front of the gold statue, God protected him. It has a lesson that among the situations of religion oppressions and political suppressions, believing in God and holding onto God, you overcome the existing oppressions and suppressions for God’s kingdom will come. The second century BCE was the same situation with this. Antiochus IV persecuted jewish people in Palestine. Socially the culture of Greece came to jewish society for jewish people not to gather together. Whenever new cities appeared, those ones were like Greece cities, and even ancient cities became to be like Greece cities. Moreover, Greece language appeared in common. In religion, the oppression became worse. Jewish couldn’t keep the day of the Sabbath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o jewish people or circumcise the new born babies. The Jerusalem temple became the temple of thousands of gods under Olympian Zeus, and Samaria temple was also offered to Zeus. The altar became things for paganism which God hates, and became more impiety and devoted foul animals like pigs for the altars. With that situations, the corruption of jewish priest and the competition for a priest position strengthened Antiochus IV’s persecutions and interferences in Jerusalem. Jewish people experienced the time of hardship, but his power and cruel behavior couldn't put a damper on their eagerness of faith, and jewish people resisted an attack of Hellenism at the end. Assidean known as distinguished ones was formed. They willingly endured the persecutions and martyrdom for their religion and be earnest in keeping their ancestor’s religious rights. These social situations in the second century BCE let the book of Daniel, the apocalyptic literature, be born. The fact that these desperate social situations of the second century BCE let the Daniel be born could be applied to our real modern situations. Even though we are among the painful and hard situations, we should not lose our faith of God because God created and rule over this world. The book of Daniel are applied to not only the Babylon age of the 6th century BCE and Antiochus IV of the second century BCE, but also today, in our life as words of living God. When we recognized the situations of the Daniel as the one of our social situations, we may live in eternal God’s kingdom and God will give us victory after all.

      • 새싹보리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품질특성

        이운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국 문 초 록 한국은 경제가 발전하면서 식습관이 빠른속도로 서구화의 길을 지나왔다.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칼로리 섭취가 늘어났으며, 그 중 지방와 설탕으로부터 얻는 칼로리의 비중이 높아졌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저 칼로리 식품이라는 건강식품의 소비가 늘고, 그 중에서 다양한 재료를 첨가한 기능성 묵들이 개발 되고 있다. 그러나 묵 제조시 재료의 전분을 정제하여 만들기에 함유된 유효한 성분이 제외 된다고 볼 수 있다. 묵으로 제조 시에 다양한 유효 성분과 기능성 식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질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새싹보리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고 청포묵을 제조해 0, 2%, 4%, 6%, 8%로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새싹보리 분말의 수분함량은 9.45%으로 측정 되었고. pH는 6.20으로 측정 되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57.43, a값은 –13.15, b값은 23.52의 값을 보였고, 항산화 측정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은 0.13 mg GAE/g로 체내의 활성산소를 낮출 수 있는 DPPH radical 소거능은 61.69%로 나타났다. 새싹보리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수분함량 분석결과 대조구 89.36%이고 첨가량에 따라 88.80~89.24%로 나타났고,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수분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pH 측정결과 대조구에서 4.46으로 측정되었고 첨가량에 따라 4.98~6.22로 나타났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새싹보리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저장기간에 따른 이수율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이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6일에서 10일차의 모든 시료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0일에서 2일차의 시료에서 가장 많은 이수율 7.17~11.22%의 값을 보였고, 4%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이수율을 보였다. 색도 측정 결과 L값과 b값은 새싹보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고 a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청포묵의 Texture 측정결과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씹힘성(chewiness), 검성(gumminess)은 대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든 시료에서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성(cohesivenes)만 2%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유의적으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새싹보리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total polyphenol과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의 비해 새싹보리 분말 첨가구에서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새싹보리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기호도 조사결과는 4%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Texture에서는 대조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너무 많은 첨가량의 새싹보리 분말은 오히려 기호도 상승효과에 저해요소가 될수 있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새싹보리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을 대중적으로 제조할 때 청포묵은 2~4% 첨가가 적당할 것으로 나타났다.

      • 묵(墨)과 오채(五彩)론에 기초한 수묵화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이주원 한양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전통적 사유를 인식하며 현재 존재하고 있는 현상들을 재해석하고, 조형적으로 표현하려는 방식에 관한 연구이다. 미술작품의 표현과정에서 나타난 사유의 전개를 시대적 맥락을 통해 다양하게 해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구적 시각에 기초한 현대의 문화 속에서 동양의 전통적 사유를 인식하며 소통하고자 한다. 아울러 전통적 동양사상과 현대의 서양철학이 연관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 사유에서 나타나는 분열양상과, 소통의 방식들을 논의한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가들의 사유와 전통 동양사상 중 하나인 도가(道家)사상의 연관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에 관해서는 들뢰즈(Gills Deleuze)가 제시한 연결접속에 의한 공존의 이론과 도가(道家)사상에서 언급한 '도(道)'의 공통성을 비교함으로써 시작한다. 이러한 연관성을 바탕으로 자아(自我)와 초월적 자아로서의 타자(他者)를 발견하고자 한다. 그리고 타자화를 통해 외부세계와의 소통을 추구하도록 한다. 동양회화의 조형의식에 관한 고찰로는 우선 묵(墨)과 오채(五彩)에 관한 분석을 통해 논의를 진행한다. 묵의 색은 모든 색의 상징인 오채를 담고 있다는 조형의식에 기반을 둔다. 그리고 다양한 색들의 종합체로써 묵이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와 묵이 서(書)와 회화(繪畵)에서 동시에 사용되었던 육조(六朝)시대에 대한 기록들을 화론에서 알아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묵이 전개된 시대적, 사상적 흐름을 살펴본다. 그리고 만물의 색을 의미하는 오채에 관해 고찰하기 위해, 먼저 상고시대부터 있어왔던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思想)에서 파생된 오방색(五方色)을 살펴보도록 한다. 아울러 오행사상에 대한 의미와 오채로의 시대적 발전과정을 검토하여 문헌에 나타난 오채를 조사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동양의 전통적인 수묵화(水墨畵)에 관한 사상과 조형성을 분석한다. 본격적인 수묵화의 출현과 시대적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그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수묵(水墨)의 조형성을 통한 표현의 확장에서는 동양의 전통적인 수묵화의 미학적 원리와 조형요소들에 영향을 받은 장르들을 분석한다. 먼저 수묵화와 관련한 현대적 변용의 예로, 서양의 회화사조인 서체예술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둘째는 동양의 사상과 화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전통 그림자극의 조형성을 소개하도록 한다. 그림자극은 동양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현대의 다양한 예술장르 속에서 그 형식들이 확장되어 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유와 시대적인 예술양식에 관련된 본인 작업의 조형개념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인의 작품분석은 그 요소로서 주제분석, 형식분석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주제분석에서는 앞서 다루었던 이론적인 배경들을 세 가지의 하위항목을 구성하였다. 첫째는 자아의 유목적인 탈영토화를 표현한 ‘길에서 조우하다’이다. 그리고 둘째는 자아 속 타자와의 연결접속을 의미하는 ‘차이의 합일’이다. 셋째는 초월적 욕망의 내면세계를 표현한 ‘외계’의 항목이다. 본인작품의 형식분석에서는 작품의 매체적 특성과 함께 현대적으로 변용을 시도한 표현기법들을 구체적으로 다루어 본다. 한지에 아크릴계 안료를 사용한 표현적인 요소들과 한지 마스킹(masking)지를 이용한 물과 안료의 다양한 수묵(水墨)표현을 서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LED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구현한 작업에 대해서는 오채의 관점에서 다루어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본고는 다변적인 자아를 발견하고, 시간성의 초월과 잠재적인 가능성의 현재지점을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의 삶을 살아가는 필자에게 있어 ‘시간’과 ‘공간’은 한계적인 영역이 아닌, 자유롭게 그것의 경계를 넘나드는 소통의 영역이다. 시각 이미지들이 주를 이루는 현대의 문화 속에서 필자가 연구하고자 했던 것은 수묵화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의미와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본인이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지점에서도 동양의 전통적인 사유와 조형성들은 시간을 초월하여 영향을 끼친다. 동시에 현대의 첨단적 사유와 문화 역시 본인의 사유와 조형작업에 영향을 준다. 사회적 범주 안에서 한 사람의 예술가로서, 본고는 차이(差異)의 관점으로 세계를 바라보고자 한다. 이러한 의도에서 비롯된 본 연구의 양식적 요소들은 현재의 삶을 반영하는 또 하나의 '생성된 지표'이다. 창작자의 사유 속에 잠재하는 것은 일상 속에서의 변화들이다. 이와 같은 창작자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차이와 변화의 표현영역들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 묵주기도 중 ‘빛의 신비’에 관한 고찰 : ‘빛의 신비’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활을 중심으로

        송인찬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919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very cherished and one of the old traditional prayer, is the Rosary Prayer. It is a superb contemplative prayer that connects to Christ through Virgin Mary. The Rosary is a prayer that have 'Evangelical characters' as it includes the mysteries from Virgin Mary's conception to Christ's life. It also includes the 'Paschal Fruition' of Christ that was achieved through Mary. Thus, those Christian families who prays the Rosary can not only derive abundant graces through the intercession of Mary but also can approach to Jesus Christ who is a fundamental goal of our faith. But for many Christians, who pray the Rosary have a strong tendency of just repeating the words habitually without really trying to understand the profound, plentiful meaning and values of the prayer. This is especially seen in the new mystery, 'the Mysteries of Light' which Pope John Paul Ⅱ has introduced recently. Therefore, I want to emboss the authentic value and importance of the Rosary. I also want to offer fundamental assistance of how the Rosary can be prayed in its more valuable way. Furthermore, I want to explain 'the Mysteries of Light', the main mystery of Christ's public ministry. In the first chapter, the subject 'A religious meaning of light', I saw that the subject of the 'light' was applied to God and Jesus especially in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Here however, I'd like to give a brief introduction of what Father in church said about the 'Light', which is an important matter for Catholics an their liturgy itself. In the second chapter, 'The Rosary's finding mentioned in John Paul Ⅱ's bull, Virgin Mary's Rosary(Rosarium Virginis Mariae)', I explained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the Rosary. I also investigated the origin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Rosary and the pontifical instructions about the prayer. It also includes about the intention and the consequence of its own. Moreover, it talks about the essence of the Rosary when it is prayed with deep contemplation and profound meaning. So the essence of the Rosary for those who really and seriously pray it are: 'Learning Christ from Mary', 'Being conformed to Christ with Mary', 'Praying to Christ with Mary', 'Proclaiming Christ with Mary'. And finally, in the third chapter, I suggest what ' The Mysteries of Light' really mean and what one should meditate upon when we pray the bundles of the mysterer of light. This mystery is about Christ's 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God during His public ministry, as found in the Gospel. It has the following five mysteries: 1. His Baptism in Jordan-River. 2. His self-manifestation at the wedding of Cana. 3. His 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God (with his call to conversion). 4. His transfiguration, and finally 5. His institution of the 'Holy Eucharist', as the sacramental expression of the Paschal Mystery. I wanted to reveal that Christ is the 'truthful light' in the world and redeems all mankind who are wondering in the dark. By understanding all these things, one will be able to know that the Rosary is a great prayer, which has the capacity to lead one to know Christ deeply. Moreover, in the Rosary we are able to realize, how Mary, all through Her life concentrated on listening to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lso, we are able to confirm the truth that we are called to a more profound and lofty dimensional of Christian perfection by honoring Mary, who lived Her life for Christ. "Christ is the truthful light that brighten the dark world."

      • 默照禪與看話禪比較硏究

        정진희 國立臺灣師範大學 2002 해외박사

        RANK : 1919

        中國禪宗의各派는 自派가 達磨系 正法繼承者라 주장함은 물론, 自派의 傳法相承系譜와 禪思想을 만들어 서로 對立한다. 中國禪宗은 唐代의 전성기를 거쳐, 宋代에 이르러서는 묵조선과 간화선 두禪法이 대립현상을 나타낸다. 묵조선은 本證自覺의 입장에서, 좌선이 곧 本來具足한 佛性을 顯現하는것이라 주장하고; 간화선은 自性淸淨佛性은 본래 구족되어 있다는 입장에서, 현재의 迷惑을 간화선수행으로 본래 구족한 불성을 證悟한다고 주장한다. 묵조선은 사람사람마다 本證自覺이기에 좌선이 바로 本具佛性을 顯現이기 때문에 다시 悟를 강조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간화선은 本來 如來淸淨心은 구족하고 있으나, 目前의 우리는 중생이기에, 반드시 간화선수행으로 화두를 타파해 見性成佛해야 하며, 반드시 以悟爲則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묵조선은 좌선이 곧 本來一段事를 완성하는것이라 주장한다. 즉 定과慧는 동시에 顯現하며, 定과慧는 相卽相入의 관계라는것을 주장한다. 간화선은 先慧而後定을 주장한다. 묵조선과 간화선이 걷는 方便은 비록 다르다고 할수있으나, 그러나 두선수행법 모두 본래 구족한 佛性과 如來藏을 깨닫는것을 지향하고 있다. 이는 서로 주장하는 수행방편이 다를뿐이지, 두 선수행방법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문제는 없다고 봐야 할것이다. 〈목록〉 제1장:서론 제1절: 연구개사 제2절: 연구의 문제점,범위와 방법 제2장:송대선종의 특색 제3장:묵조선探源 제1절:묵조의 의의 제2절:묵조선의 사상연원 제3절:진헐청료와 묵조선 제4장:굉지정각과 묵조선 제1절:굉지정각의 生平과 著作 제2절:묵조선의 要旨 제3절:묵조선의 수행방법 제4절:굉지정각의 제자 제5장:간화선釋義 제1절:간화선의 어원과 정의 제2절:간화선의 성립 제3절:간화선과공안 제6장:대혜종고와 간화선 제1절:대혜종고의 生平과 著作 제2절:대혜종고의 간화선 제3절:간화선사상의 要旨 제4절:간화선의 수행방법 제5절:대혜종고의 제자 제7장:묵조선과 간화선의 비교 제1절:선학사상의 비교 제2절:수행방법의 비교 제3절:사대부관계의 비교 제4절:묵조선과 간화선의 異同 제5절:묵조선과 간화선의 開展 제8장:결론

      • 함초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품질특성

        손기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논문요약 함초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품질특성 녹두 전분으로 만든 gel상 식품인 청포묵은 우리나라 전통식품으로 독특한 질감과 향, 색 뿐만 아니라 영양적인 면에서도 저칼로리 식품으로 약리적인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특히 체중 조절식과 노약자식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부각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리작용과 기능성이 있는 함초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제조에 적합한 첨가 비율을 제시하고자 시료는 함초 생초를 구입하여 동결·열풍건조 분말을 제조하여 성분을 분석하였고, 녹두 전분에 동결 건조된 함초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한 청포묵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으로 수분, 색도, 염도, 식이섬유소,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총 균수, 대장균, 저장기간에 따른 이수율, 기계적 품질특성, 소비자 기호도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함초분말의 수분함량은 동결건조 분말 4.28%, 열풍건조 분말 6.31%, 색도는 L값, b값은 동결건조 분말이 높고, a값은 -값으로 녹색도를 나타내었으며 열풍건조 분말이 높으며, 염도는 생초 3.27%, 동결건조 분말 3.63%, 열풍건조 분말 4.03%를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분말의 총 식이섬유소는 34.30%, 불용성은 26.16%, 수용성은 5.36%로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소를, 항산화능은 70%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434.68 mg CE/100 g, DPPH radical 소거능은 70.54%를, 총균수는 1.33×102 CFU/g, 대장균은 식품공전의 기준 및 규격에 맞는 음성을 나타내었다. 동결 건조된 함초분말의 첨가 비율(0, 2, 4, 6, 8%)을 달리하여 제조한 함초 청포묵의 수분함량은 6%첨가구가 90.74%로 가장 높고, 8%첨가구는 88.43%로 무첨가구 89.16%보다 낮고, 색도는 L값과 a값은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고 b값은 높아지는 경향을, 염도는 첨가 비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무첨가구 4.74 mg CE/100 g, 8%첨가구 105.15 mg CE/100 g로 약 20배 증가하는 경향을, DPPH radical 소거능도 무첨가구 2.96%, 8%첨가구 58.00%로 무첨가구에 비해 약 20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균수는 2, 4, 6, 8%의 첨가구는 첨가 비율의 증가와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그러나 무첨가구에서는 미생물이 측정되지 않았고, 대장균은 음성을 나타내었다. 총 이수율은 4%, 2%, 6%, 8%, 무첨가구의 순으로 낮은 이수율을 나타내었으며 무첨가구는 4%첨가구 보다 약 2배의 높은 이수율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기계적 품질특성의 경도는 제조 직후 2%첨가구가 281.71 g/cm2로 가장 높고 8%첨가구는 269.46 g/cm2로 가장 낮으며, 증가하는 경향으로 무첨가구가 가장 큰 변화를 나타내었다. 응집성은 제조 직후 무첨가구가 0.44로 가장 높고 6%첨가구가 0.31로 가장 낮으며, 탄력성은 제조 직후 4%첨가구 0.92, 6%첨가구 0.90으로 무첨가구 0.86 보다 높으며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점착성는 제조 직후 8%첨가구가 0.08로 무첨가구 0.11 보다 낮고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 부착성은 제조 직후부터 저장기간 동안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 색은 무첨가구와 첨가구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6%첨가구가 6.92로 가장 높고, 향은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맛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 4%첨가구가 6.45로 높게 나타내었다. 짠맛은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4%첨가구가 6.35로 가장 높고, 텍스쳐는 약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6%첨가구 6.00으로 가장 높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무첨가구 4.77, 2%첨가구 4.77로 같은 기호도를, 4%첨가구 7.17, 6%첨가구 6.72, 8%첨가구 6.02로 높게 나타내었고, 특히 4%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함초는 동결건조 분말로 제조하여 식품조리 및 가공 등에 유용하게 활용되어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함초 청포묵을 제조할 경우 함초분말 4%의 첨가 비율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청포묵, 녹두, 함초, 염생식물, 기능성식품 ABSTRACT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 with Salicornia herbacea L. Son, Gi Ok Dept. of Culinary &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Chongpomuk, gel type cake made from mung-bean starch, is a traditional Korean food and has typical texture, flavor and color as well as a low-calory food with pharmacological efficacy, that everyone can take. Especially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t for diet food as well as food for the old and infirm has been emerged. In this study to provide optimum mixing ratio for making Chongpomuk with Hamcho powder containing medicinal action and functionality, the specimen has been prepared through frozen dried and hot air dried green Hamcho powder, and various Chongpomuk were made by different mixing ratio of Hamcho powder with Mung-bean starch, then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moisture content, Hunter's color values, salinity, dietary fiber, total phenol compounds, DHHP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viable cell counts, E. coli count, syneresis according to storage period,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preference test. The moisture content in Hamcho powder was 4.28% from frozen dried powder, and 6.31% from hot air dried powder, and in Hunter's color values L-value and b-value of the frozen dried powder were higher, while a-value of both specimens were negative and shown green colour, but hot air dried powder was higher. The salinity in green, frozen dried and hot air dried powder were 3.27%, 3.63%, 4.03% respectively. Total dietary fiber of frozen dried powder was 34.30%, among this, insoluble 26.16% and soluble 5.36%, mostly insoluble dietary fiber. In anti-oxidant capacity, total phenol compounds extracted by 70% ethanol was 434.68 mg CE/100 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70.54%. Total viable cell counts was 1.33×102 CFU/g, and E. coli count was shown negative, satisfied the regulation standard of Korea Food Standard Codex. For the moisture content in Hamcho Chongpomuk by different recipe with frozen dried powder(0, 2, 4, 6, 8%), 6% recipe was 90.74%, the highest while 8% recipe was 88.43%, even lower than 0% recipe 89.16%. In Hunter's color values L-value and a-value showed significant declining tendency, while b-value increasing tendency by increasing mixing ratio. The salinity showed the in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increasing mixing r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specimens. In total phenol compounds 0% specimen was 4.74 mg CE/100 g, but 8% specimen was 105.15 mg CE/100 g, 20 times higher than that of 0% and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0% specimen was 2.96%, but 8% specimen was 58.00%, 20 times higher than that of 0%. Total viable cell counts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ing by increasing mixing ratio and storage period, but not detected from 0% specimen. E. coli count was negative. In syneresis 0% specimen was the highest and in order of 8%, 6%, 2% and 4%, and 0% specimen showed twice higher than 4% specimen. In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s by the storage period, for the rigidity of fresh one, 2% specimen was 281.71 g/cm2, the highest while 8% specimen was 269.46 g/cm2, the lowest and showed significant increasing tendency by the storage period, and 0% specimen showed the largest change. For the cohesiveness of fresh one, 0% specimen was 0.44, the highest while 6% specimen was 0.31, the lowest. For the elasticity of fresh one, 4% specimen was 0.92 and 6% specimen was 0.90, higher than that of 0% specimen 0.86,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mens. For viscosity of fresh one, 8% specimen was 0.08, lower than that of 0% specimen 0.11,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mens during the storage period, but for adhesive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mens from fresh through whole storage period. In the customer preference test, the col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mens, and 6% specimen was 6.92, the highest. The flavor showe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pecimens, but tas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mens, and 4% specimen was 6.45, the highest. The salin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mens and 4% specimen was 6.35, the highest. Texture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pecimens, 6% specimen was 6.00, the highest. Total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mens, 0% and 2% specimens were same, 4.77 while 4% specimen 7.17, 6% specimen 6.72 and 8% specimen 6.02, particularly 4% specimen was the highest.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rozen dried Hamcho powder can be used for food processing and cooking, and useful to develop various functional foods. To make Chongpomuk with Hamcho powder 4% mixing ratio would be most preferable.

      • 지역별 연잎의 특성 및 연잎 분말 첨가 청포묵의 품질특성

        문정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919

        묵은 조선시대부터 제조되어 온 우리나라 고유의 가공식품으로 녹두나 메밀, 도토리 등을 갈아서 가라앉힌 앙금을 이용한 전분 겔 식품이며 묵의 주재료에 부재료를 넣어 다양하게 묵을 만들 수 있는데, 녹두 전분으로 만든 gel상 식품인 청포묵을 이용하여 기능성 묵을 연구함에 있어 연잎 분말 첨가한 청포묵을 제조하여 적합한 비율을 제시하고 각 지역의 연잎과 연잎 분말의 일반성분과 연잎 분말 첨가 청포묵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충청도와 경기도, 전라도 지역의 냉동 연잎을 구입하여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제조 하였고, 녹두 전분에 동결 건조된 지역의 연잎 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청포묵을 제조하여 연구하였다. 지역별 연잎과 동결 건조한 연잎 분말의 일반성분과 pH 및 산도, 색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항균성 측정과 품질특성으로는 수분, 색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 저장기간에 따른 이수율, 저장기간에 따른 기계적 품질특성,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지역의 연잎의 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 GGD 연잎의 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회분은 GGD, 조단백질은 JLD, 조지방은 CCD에서 높은 조지방 함량을 나타났고, 각 지역의 동결 건조한 연잎 분말의 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 JLDP 연잎 분말이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회분은 GGDP, 조단백질은 JLDP, 조지방은 JLDP로 나타났다. 지역별 연잎의 pH 및 산도는 JLD pH가 높게 나타났고, 적정산도의 경우는 CCD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 동결 건조한 연잎 분말의 pH 및 산도는 JLDP pH가 높게 나타났고 적정산도의 경우는 CCDP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났다. 지역별 연잎의 색도와 동결 건조한 연잎 분말을 측정한 결과 L값, a값, b값 모두 연잎보다 연잎 분말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L값은 JLD 연잎과 JLDP 연잎 분말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역별 연잎과 동결 건조한 연잎 분말의 항산화능 측정은 70%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연잎의 경우 JLD 273.92 mg CE/100g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동결 건조한 연잎 분말의 경우 GGDP 253.09 mg CE/100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지역별 연잎의 경우 GGD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동결 건조한 연잎 분말의 경우 CCDP에서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지역별 연잎과 동결 건조한 연잎 분말의 항균성 실험에서는 결과가 음성으로 항균성이 높은 것을 나타났다. 지역별 동결 건조한 연잎 분말의 첨가 비율(1,3,5%)을 달리하여 제조한 연잎 청 포묵의 수분함량은 각 지역의 1%에서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 a값,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시료간의 밝기와 녹색도, 황색도에서도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L값, a값은 높게 나타내었다. 저장기기간에 따른 이수율은 Control 첨가구와 GGD 1%에서 가장 높은 이수율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에 따른 Texture의 경우 경도(hardness)는 제조한 직후에 Control 첨가구는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CCD 3% 첨가구와 GGD 1%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응집성(Cohesiveness)은 제조한 직후에 JLD 1% 첨가구가 가장 높고, Control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났고, 연잎 분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탄력성(Spinginess)은 제조한 직후에 JLD 3%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시료도 Control 첨가구보다 높게 나타내었다. 점착성(Gumminess)은 제조한 직후에 CCD 3%, JLD 1%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내었으며 Control 첨가구는 가장 낮은 점착성을 나타내었다. 부서짐성(Fracture force)은 제조한 직후에 Control 첨가구, CCD 3% 첨가구와 GGD 1%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JLD 5%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씹힘성(Chewiness)은 제조한 직후 Control 첨가구와 CCD 5% 첨가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CCD 3% 첨가구, JLD 1%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Control 첨가구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6.65 mg CE/100g을 나타내었으며, GGD 5%의 첨가구는 26.95 mg CE/100g을 나타내어 Control의 첨가구에 비해 약 4배의 증가량을 나타내었으며 연잎 분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시료간의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호도 조사에서 색(color)은 조리 전문 강사 그룹에서 기호도가 낮게 나타내었고 조리학과 학부생 그룹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향(flavor)은 조리 전문 강사 그룹에서 낮은 향의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조리학과 학부생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맛(taste)은 조리 전문 강사 그룹과 조리학과 학부생 그룹 모두 맛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내었다. 탄력성(Springiness)은 조리 전문 강사 그룹에서 낮은 탄력성을 나타내었으며, 조리학과 학부생 그룹에서 높은 탄력성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조리 전문 강사 그룹과 조리학과 학부생 그룹에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동결 건조된 지역별 연잎 분말 첨가 청포묵의 두 그룹간의 색과 향, 맛, 탄력성,전체적인 기호도를 분석한 결과 조리 전문 강사 그룹과 조리학

      • 묵시문학(apocalyticism)기원으로서의 예언전승 연구

        박병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19

        I. 서 론 1. 연구의 목적 구약 신학에서 묵시문학 기원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형태의 흐름이었다. 예언자적 묵시문학 연구와 지혜 문학적 묵시문학연구이다. 그러나 다니엘서에 대한 연구로 인하여 지혜묵시문학 연구가 부각되고 예언자적 묵시 문학이 쇠퇴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원 묵시문학의 근원이 예언자적 묵시문학에 있고 그로 인한 종말론의 발전이 현시대의 종말론적 관점에 적합한 이론임을 본 논문에서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1969년 케제만(E.Käsemann)은 “기독교 신학의 태동” 이라는 논문 을 통해 “묵시문학이야 말로 기독교 신학의 어머니였다”(Apocalptic was the mother of all Christian theology)라는 유명한 선언을 했다. 당시의 많은 신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였으며, 지금의 우리에게도 가슴 뛰게 하는 명제이기도하다. 구약 이스라엘 신앙에 있어서 하나님은 창조주와 역사의 주로 이해되었다. 하나님의 계시는 역사를 통해 나타나며, 하나님은 역사의 현장에서 활동하시는 분이시다. 이러한 역사 이해는 구약 신앙의 주류를 이룬다. 주전 587년 유다가 멸망한 이후로 바벨론과 페르시아 시대를 지나면서도 이스라엘의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희랍 세력 밑에서 수난의 역사가 계속될 때에, 이제 하나님의 모습은 점점 멀어지는 것처럼 보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서는 새로운 역사 이해가 생겼고, 이를 바탕으로 묵시문서가 생겨나게 되었다. 새로운 역사 이해의 종말론적 사고가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을 지키는 힘이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대의 우리에게 구약 묵시문학의 예언과 역사에 대한 무지가 그릇된 종말론이 등장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묵시록의 단순소재가 정형화되어 극단 종말론을 주장한다던지, 종말에 대한 교의 신학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누구든지 묵시문학을 읽는다고 하면 곧장 이 땅에 이루어질 그리스도의 천년왕국의 통치가 언제 개시 될지를 계산하려 덤비는 어리석은 함정에 빠지기 쉬웠던 것이다. 이러한 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은 새로운 역사이해에 예언자들의 활동과, 8세기, 포로기, 신구약 중간기 및 공간복음과 계시록을 이어져 오는 예언자전승의 올바른 해석을 원한다. 또한 구약 묵시문학의 기원을 지혜전승에서만 찾으려는 것에 대하여 예언자 전승의 역사적 재구성의 필요성을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알리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