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경찰도 교육훈련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준선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복잡 다양한 현대 사회 속에서 범인들은 나날이 흉포화 되어가고 있으나 경찰들은 격무로 인해 점점 체력이 저하되어 범인체포의 경찰업무수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무도는 효율적인 범인검거 등의 경찰 업무능력 향상과 사회질서 확립을 통하여 국민의 안정은 물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경찰무도 교육훈련제도의 개선방안을 강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적 연구로써 경찰무도 교육훈련제도와 관련된 여러 가지 자료와 관련이론, 국가공식통계 등을 수집한 후 충분한 분석을 기초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무도교육의 특성상 각 무도종목 공인 6단 이상의 원로무도인(元老武道人) 들과 신임경찰을 교육하고 있는 무도실무 지도교수진들과의 심층면담내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저자가 무도교육 훈련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정책제언을 이끌어 낼 수 있었던 것은 오랫동안 무도를 수련하면서 체득했던 무도 경험과 경찰학을 연구하면서 축적했던 이론적인 연구의 도움이 컸다. 저자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얻은 경찰무도 교육훈련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도교육시간의 증대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로 시간을 늘릴 수 없다면 양적인 교육이 아닌 질적인 교육을 실시해야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무도전문 기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무도 전문단체의 활용을 통한 경찰무도 기술의 효율성을 높여야한다. 범죄행위는 날로 흉포화 되어가는 데 이에 맞서는 경찰의 무도교육은 변화성 없는 형식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도전문 단체와 정부차원의 업무협약을 통해 전문적인 기술을 교육하여야 한다. 셋째, 경찰무도를 활용한 범인검거 시 범법행위의 경중에 따른 선진국과 같은 정부차원의 공권력 강화를 위한 탄력적인 법적용이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경찰무도를 활용한 적극적이고 의욕적인 체포가 이루어 질 것이다. 이는 곧 경찰무도 교육의 필요성 인식으로 이어져 경찰무도 교육의 참여도를 높이는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넷째. 과도한 업무로 인한 감정노동에 시달리는 경찰관들의 심신건강 치유를 위한 힐링(healing) 프로그램 교육단체의 활용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이를 통해 경찰관의 심신안정은 물론 업무의욕을 북돋아 적극적인 무도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끝으로, 효율적인 경찰무도 교육훈련을 위해서는 경찰관들의 무도실력 향상을 위한 제도적 개선과 무도교육 훈련을 위한 예산과 시간의 확대를 통해 이론에 편중된 교육보다는 무도실기교육 강화를 통한 균형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아울러 적극적인 정부의 현실적인 법적지원과 무도교육 전문성 제고 및 선진국과 같은 무도시간 할애를 통해 좀 더 효율적인 경찰무도 교육을 통한 범인 검거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 및 사회질서유지는 바로 경찰에게 달려 있기 때문이다.

      • 북한 대량살상기(WMD) 확산방지와 대량살상기 확산방지구상(PSI)의 분석

        이규철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WMD의 확산방지는 국제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군축의 핵심과제이며, 국제사회는 다양한 조약 등을 통해서 WMD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노력하여왔다. 하지만 WMD 확산방지를 위한 조약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국가들이 가입을 하지 않을 경우 현실적인 제재방안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조약들은 비가입국에 대해서도 교역의 제한 등의 조치를 통해 가입을 유도하고 있지만 그 실효성은 거의 없으며, 탈퇴의 자유를 보장 및 탈퇴 후 제재방안의 미흡 등의 약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조약들이 국가만을 행위자로 규정하여 테러 등의 새로운 차원의 안보환경을 간과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가장 신뢰성과 당위성이 높은 대안으로 UN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해 다양한 제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UN은 완전한 초국가적 기구는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기관에 가깝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그래서 조약에 대한 강제집행권은 가지지 못하지만 UN헌장에서 위임받은 권한에 따라 행동할 수 있다. 즉 UN 헌장 7장의 강제조치에 요건을 충족할 경우 비당사국에게 당해 조약의 강제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비록 비회원국과의 관계에 대해 명시하고 있는 UN헌장 제2조 6항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지만 지금까지 UN결의의 관행을 보면 이러한 논의가 무의미하게 된다. 모든 결의안의 수범 자를 “all state” 규정하고 있으며 현행 WMD 확산방지조약 비당사국을 포함한 거의 대부분의 국가가 가입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UN 안보리는 헌장 제39조에 의해 평화에 대한 위협, 평화의 파괴 또는 침략행위의 존재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WMD 확산을 평화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하고 UN헌장 제7장에 의거 국제법상의 한계를 넘어, 조약에 가입하지 않은 비당사국에게도 합법적인 제재를 가할 수 있는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조치들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2004년 안보리 결의안 제1540의 채택은 UN을 중심으로 WMD 확산방지를 위한 통제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을 가속화 시켰다. 또한 2016년 3월 3일 채택된 안보리 결의안 제2270호는 70년 UN 역사상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비군사적 조치로는 가장 강력하고 실효적인 제재 결의이며, 거의 모든 조항이 의무화되어 있는 역사적인 결의이다. 하지만 이후에도 북한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실험, 5차 핵실험 등 제재의 효과는 미비했으며 WMD 확산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이란의 사례에서처럼 Secondary boycott을 통해 북한에 우호적인 국가를 통제함으로써 WMD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PSI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PSI는 핵무기와 미사일 등 WMD 확산을 방지 위해 무기 자체와 제조용 물질을 실은 선박 등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자 현재 105개국 이상이 참가하여 가장 현실적인 제재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PSI의 국제법적 정당성이 문제이다. PSI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은 1992년 UN 안보리 의장 성명과 2004년 UN안보리 결의안 제1540을 근거로 PSI의 법적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안보리 의장 성명은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결의안 제1540은 PSI의 목적과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PSI의 차단원칙과 같은 조치를 허용한다고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으며, 만약 결의안 제1540이 PSI의 정당성 확보에 유리한 점이 있다고 전제하더라도 PSI의 차단원칙, 즉 구체적인 행동들을 수행하기에는 국제법과 충동할 것은 자명하다. 미국은 UN안보리 결의의 불필요성을 주장하지만 현재 PSI의 법적 근거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므로 안보리 결의에 의한 UN헌장 제39조 및 7장을 적용, WMD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정당성 확보와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의 조약법상의 한계를 UN안보리의 조치로 극복하고 현재 가장 현실적인 WMD 확산방지 방안인 PSI가 UN안보리 결의를 통해 정당성을 확보한다면 테러 및 대량살상무기의 국제적 확산을 차단하고 국제사회의 안보를 보장함으로써 제3의 피해를 방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불량국가 또는 단체에 의하여 자행되고 있는 WMD의 불법적 확산행위는 세계평화 유지에 큰 위협이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인 바, 그것은 2003년 11개 핵심국가에서 PSI참여국이 10여년이 지난 현재 105개국으로 확대되었다는 사실로도 입증할 수 있다. 특히 PSI는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실험 등을 통한 적극적인 WMD 확산활동에 대한 현실적인 압박수단으로서 매우 유효한 대응책임에 틀림이 없다. 오늘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는 더욱 강화된 결의안이 채택되어 고강도 압박을 가하고 있으나, 북한은 2016년 9월 9일 제5차 핵실험을 감행하였다. 이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구애받지 않고 체재유지와 내부결속 강화, WMD지속 개발 등 한반도와 세계평화에 가장 위협적인 존재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WMD개발 기술 및 무기, 관련물자 등이 제3국으로 유입될 경우 제2의 북한과 같은 국가 또는 조직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와 대치하고 있는 북한은 앞으로도 지속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할 것이며 통치자금 확보를 위해 불법거래를 시도할 것이다.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아오며 다양한 방법으로 제재를 회피한 북한이 향후 어떠한 형태로 불법거래를 시도할 것인지, 물질적인 거래보다 기술력 이전 등의 거래형태가 변화될 것인지 우리는 이러한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또한 PSI는 더욱 국제사회의 지지와 정당성이 요구되어 지고 조속히 UN의 승인 하 합법적인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기구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Non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represents a core objective of disarmament for the attainment of international peace, whi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sought to achieve through various multilateral treaties. However, lack of ratification by states necessary to achieve this objective poses a problem for devising practical sanctions. Despite the fact that the treaties encourage participation by non-member states through such measures as trade sanctions, their effectiveness is severely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treaties allow voluntary withdrawals without providing for post-withdrawal sanctions. Moreover, the treaties overlook the new dimensions of today's security environment, such as terrorist actors, by merely focusing on states as primary actors. Given these considerations, imposing sanctions through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would seem to carry the most credibility and legitimacy. While the U.N. is not a truly supranational institution, it comes closest to being the most universally accepted. Even without the authority to enforce treaties by itself, the U.N. grants authority for state actions in accordance with its Charter. Thus, Chapter VII enables enforcement actions against non-member states, provided that certain conditions are met. While the exact nature of the relationship with non-member states, as stipulated in Article 2(6) of the U.N. Charter, is contested, this debate becomes moot considering the customary practice of U.N. resolutions. Not only do all resolutions cover all states, but almost all states, including non-members to 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NPT), are members of the U.N. The U.N. Security Council has the mandate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any threat to the peace, breach of the peace, or act of aggression pursuant to Article 39. Accordingly, the Security Council has designated WMD proliferation as such a threat, giving itself the authority to impose legally binding sanctions against non-member states. In particular, the adoption of Security Council Resolution No. 1540 in 2004 accelerated efforts to develop and enforce legal and regulatory measures against WMD proliferation centered around the U.N. Moreover, Security Council Resolution No. 2270, adopted on March 3, 2016, is unprecedented in U.N.'s history, as it imposes the most powerful and effective nonmilitary sanctions and creates obligations to implement almost all of its provisions. Nonetheless, the resolution failed to prevent North Korea's testing of long-range missiles and its fifth nuclear test. Drawing from the case of Iran, future efforts for WMD nonproliferation should focus on states that are friendly to North Korea, imposing secondary boycotts. One must also consider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PSI). PSI aims to stop trafficking of WMD, their delivery systems, and related materials to achieve WMD nonproliferation and has emerged as the most practical sanction measure, endorsed by 105 states. However, PSI faces the problem of legitimacy under international law. While the United States, which leads the PSI efforts, insists on its legitimacy under the 1992 Security Council Presidential Declaration and the 2004 Security Council Resolution No. 1540, the presidential declaration is not legally binding, nor does Resolution No. 1540 specifically provide for PSI's interdiction principle. Even if Security Resolution No. 1540 were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PSI, it is inevitable that efforts to implement the interdiction principle will conflict with international law. While the U.S. argues that another Security Council Resolution is unnecessary, it will be more efficient to secure PSI's legitimacy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ticle 39 and Chapter 7 of the U.N. Charter, given the criticisms around its legal basis. If, through Security Council actions, the limitations presented by treaties can be overcome, and the legitimacy of PSI, the most practical measure for WMD nonproliferation to date, can be secured,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international proliferation of terrorism and WMD and secure the peace of international community. Illegal proliferation of WMD by certain rogue states and non-state actors poses a serious threat to international peace, as evidenced by PSI's enlargement from 11 core states in 2003 to 105 states 10 years thereafter. Moreover, there is no doubt that PSI will be a very effective measure in pressuring against North Korea's active proliferation efforts, including nuclear and missile tests. Despite the high level of pressure against North Korea impos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stronger resolutions, North Korea conducted its fifth nuclear test on September 9, 2016. North Korea is emerging as the most dangerous threat to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as it flagrantly disregards international sanctions and instead strengthens its regime and internal unity. If North Korea's WMD technology, the weapons, and related materials spread into a third country, it is not hard to imagine the emergence of another state or non-state actor like North Korea. North Korea will keep on its efforts to develop WMD and may try to engage in illegal arms trade in order to raise funds necessary for the regime. Given North Korea's history of avoiding international sanctions by various mean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North Korea will try to engage in illegal arms trade, and whether it will take the form of physical trade or technological transfer. PSI should play the role of a legitimate instrument of WMD nonproliferation under the auspices of the U.N. with greater support and conferring of legitimacy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도 경기 규정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최종삼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무도 경기규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변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하여 체육사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무도 경기의 발전형태 중에서 각종 무도 경기의 경기규정이 어떠한 양상으로 발전하였는지 그 일반적인 양상의 모습을 규명해 보고, 그 발전유형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다. 1. 무도의 경기화에 따른 문제 1) 무도가 경기화되면서 다양한 경기규정이 마련되고 있는데 경기규정은 무도경기를 하나의 공식적인 사회제도로서 인정하는 지표로서 체육사적 의미를 지닌다. 무도 경기규정은 경쟁의 조건을 공정히 하고, 참가자의 안전이 보장되며, 관중의 흥미를 고려해서 제정되어야 한다. 즉 공정한 조건, 안전, 흥미의 세가지가 경기규정의 기초인 동시에 바로 경기규정 제정의 기본적 정신이다. 2) 무도계에는 스포츠로서의 무도와 철학으로서의 무도를 주장하는 대립적 입장이 존재한다. 철학으로서의 무도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스포츠와 무도의 차별성을 주장하나 그 차별성이 크게 부각되지는 못하고 있다. 무도와 스포츠를 '다르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① 무도는 생명을 담보로 하는 싸움이기 때문에 스포츠처럼 일정한 구조와 틀에 의해 정형화된 규정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과, ② 무도는 수련과정에서 인생의 삶과 연결된 오묘한 정신적 수양의 특별한 '그 무엇'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스포츠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무도가 격투 스포츠와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하는 논리에 대하여 모두가 공감하지 못하고 있다. 무도의 경기화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무도 본질의 의미를 살리며 스포츠화할 것을 주장하면서 무도의 경기화를 반대하는 사람들과 갈등과 대립하고 있다. 무도의 경기화에 대한 표면적인 불만은 무도 경기규정의 변천이라는 형태적인 면으로 나타난다. 3) 무도가 경기화되면서 불가분 경기규정을 변화시키는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경기규정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무도 조직내의 계파간 갈등과 무도의 본질에 관한 서로다른 입장, 그리고 상업주의로 요약할 수 있다. 2. 무도 경기의 변천과정 1) 경기화이전의 무도 경기의 모습은 레슬링의 형태로 동양에서는 무술, 무예, 무도의 형태로 존재하여왔기 때문에 어떤 종목의 격투기술이 먼저이고 그 기술이 어떻게 변형되어 왔는지하는 등의 역사를 정확하게 살피는 것은 힘들다. 그러나 동양의 격투 기술은 서양보다는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왔다. 맨손격투기술로 수박, 각저, 유술 등이 있는데 이들은 오늘날 무도 경기의 원형으로서 각종 문헌에 나타나고 있지만 그것이 특정한 무도 경기의 조상이라고 말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판별이 불가능하다. 2) 경기규정 형성기 및 발전기의 무도 경기는 어떤 특정한 인물이나 조직 또는 국가의 노력에 의해서 강력하게 주도되었다. 이때 무도 경기규정은 무도의 경기화를 반대하는 조직의 경기기술보다 우위에 있는 경기의 형태와 방법에 의해 국내 또는 일부 지역내에서 주도되었다. 3) 경기규정 정착기의 무도 경기는 레슬링이나 복싱 경기와 같은 서구적인 스포츠 형태의 모습을 띠고 있다. 가장 먼저 세계화에 성공한 유도를 뒤이어 태권도, 우슈가 그 뒤를 잇고 있다. 검도의 경우는 일본이라는 자국의 입장에서 국수적인 차원의 경기화를 주창하여 세계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씨름의 경우는 프로 경기에 의해 경기의 형태가 주도되는 격동의 시기에 놓여 있다. 4) 무도 경기의 변천과정의 특징은 각 경기의 효율화와 각 종목의 특성에 따라 공명정대하고 공평하게 심판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기규정이 변천되어 왔다는 점이다. 3. 무도 경기규정의 변천과정 무도 경기규정은 여러번 개정되었다. 유도는 7번, 태권도는 8번, 검도는 6번, 우슈는 아직 경기규정의 성문화 초기단계이고, 씨름은 무려 16번이나 개정하였다. 그리고 무도경기규정의조항수는 각 종목마다 차이가 있는데 경기규정이 정착된 현재 유도는 31개, 태권도는 25개, 검도는 37개, 우슈는 6개, 씨름은 73개이다. 경기규정의 변천과정을 공간, 용구, 심판, 시간, 경기의 전개, 행위규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공통적으로 심판의 경기판정 방법과 경기전개를 위한 경기진행 요령이 제일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고, 가장 많은 조항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변천과정에서도 내용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무도 경기규정의 변천에 영향을 준 요인은 조직내의 계파간 갈등, 무도의 본질에 대한 논쟁, 상업주의 등이다. 조직내의 계파간 갈등은 초창기의 유도, 태권도계에 주로 나타났고, 무도의 본질에 대한 논쟁은 태권도, 검도, 씨름계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상업주의는 무도계 전체에 모두 나타났다. 경기규정의 변천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경기장은 판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구역을 구분하고, 용구의 경우 선수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용구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경기시간은 관중의 흥미와 집중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시간이 줄어 들었고, 체급은 세분화되고 있다. 세계화되어 있는 유도와 태권도 경기는 심판의 역할보다는 판정방법의 규정이 엄격하며, 세계화되어 있지 못한 검도와 씨름은 심판의 역할에 대한 규정이 판정방법의 규정보다 더욱 많아 승부의 판정에 있어서 주관적인 판정이 더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 rules should be changed in martial arts competition. In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rules in past an competi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optimized vision for the future competition rules. Martial Arts competitions were classified differently fro sport games. Specifically, Taekwondo and Ssirum belong Judo and Kumdo to Japan and Wushu to China. Each was developed from these related country. All traditional other items were kept in there own way to show its uniq however, changes have been occurred in many areas of by globalization phenomenon. For instance, white color is no longer white only that shows a typical change for management. The changes pushed to abandon a nationality which represented the related countries Takwondo or Korea, Judo for Japan, or Wushu for China. The intend of rule changes pursued the scientific and competition form that caused by systemized classificatio site of competition area, and related development for The phenomenon such as copying other competition advantages in sport games accelerate to develop m competition as a sport game. In conclusion, the whole changes in martial arts tow were incurred by social force such as audience, party relative. Therefore, the acceptance toward the intend areas of martial arts. The only advantages which origined arts should be prolonged and descended in the future training, self-development, self-patience or self-esteem emphasized beyond the changes in martial arts.

      • 고 음악 연구 : 국립국악원 고와 동래고를 중심으로

        안하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에서는 동래고무의 모체인 함령지곡으로 반주하는 국립국악원 무고, 평조회상으로 반 주하는 동래고무, 그리고 동래악공연주 영산도드리음반에 기해 재구성한 동래고무의 반주음악 의 특징을 서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재구성된 동래고무 반주음악과 춤의 호흡자리에 비중을 두고 분석 하였다. 무고(舞鼓)는 고려시대의 향악정재(鄕樂呈才) 중 하나로, 오랜 시간 동안 궁중 정재로 전해 지고 있는 대표적인 북춤이다. 무고는 고려 초기 宮廷女樂을 관장했던 교방청 女妓들에 의해 추어졌으며, 향악정재(鄕樂呈才) 무고(舞鼓)의 반주음악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악지(高麗史樂 止)와 악학궤범(樂學軌範)에서 찾아 볼 수있다. 기악에 관한 언급은 없고, 정읍사(井邑詞)를 창사(唱詞)로 부른다고 만 되어있어 구체적인 음악 내용은 알 수 없다. 진연의궤(進宴儀軌) (1872)에는 경만년지곡(慶萬年之曲)을 연주한다고 기술되어있고, 영산회상(靈山會相)의 모곡 (母曲)인 상령산(上靈山:본령산이라고도 함)을 삼현육각(三絃六角) 피리2, 대금1, 해금1, 장구 1, 좌고1인의 연주형태를 빌어 변주한 곡을 행사 의미와 결부시켜 지은 아명(雅名)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주음 으로 사용된 음악은 여민락만, 오운개서조, 여민락, 천년만세, 향당교주, 경태평지곡, 수천명명지곡으로 현재까지 연주되고 있는 곡과 곡명만 전해지는 곡이 사용되었 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무고(舞鼓)의 반주음악이 한곡으로 정해져 있지 않고, 다양한 곡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행 국립국악원의 무고 반주음악은 함령지곡 형태인 관악영 산회상의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성은 다른 정재에도 빈 번히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세 악곡의 연결에서도 곡의 단락들이 자연스럽게 이어가고, 춤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대표적 특징이다. 동래고무는, 향악정재의 하나인 「舞鼓」가 東來監營의 교방으로 전해지면서 지역의 특성에 따라 “東來鼓舞”라는 명칭으로 불리어져 전래되었다. 동래고무는 1984년부터 부산의 춤꾼 김온경에 의해 발굴 작업이 시작되었고, 마침내 1993년 12월 31일에 부산광역시가 동래고무 의 예술성, 역사성, 향토성 등을 인정하여 부산시무형문화재 제 10호로 지정하였고, 현재 사 단법인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동래고무보존회에서 보존 및 전승을 담당하고 있다. 동래고무 가 문화재로 지정될 당시, 반주음악은 동래권번의 고무 전승자인 김해월(1914~1994)과 석국 향(1918~1988)의 증언대로 반주음악을 구성하여, 연주는 국립국악원 정악단이 연주한 반주 에 맞추어 동래고무를 재연하였다. 현행 동래고무 반주음악은 평조회상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발굴 재연 당시부터 현재까 지 그 선율과 장단의 골격은 변함없이 유지하면서 약간의 지방색을 띠며 연주되고 있다. 향 악정재가 동래 관아로 이입되고 다시 동래권번으로 예속 되면서 동래지역의 특성으로 중중모 리 장단과 지화자의 가창이 강조되어 연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것이 대표적인 동래의 지방 색이라 할 수 있고, 지화자를 제외한 선율에 있어서는 비교적 정악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비교적 정악의 원 바탕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듯 동래고무는 무용 자체로 부산 동래지역의 전통성을 잘 간직하고 있어 오늘날 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재구성된 동래고무 반주음악은 기존의 평조회상을 연주했던 동래고무의 반주음악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형태로 영산도드리에 기반 하여 구성되어 있다. 영산도드리는 그 제목으 로 보아 영산회상계통 도드리 중의 하나로 추정되며, 편성이 삼현육각 편성임으로 보아 삼현 영산회상 중 삼현도드리나, 염불도드리 중의 한곡 일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본고에서 다뤄지 고 있는 두개의 동래고무 반주음악들을 악곡적인 요소로 분석한다면, 매우 대조적인 측면으로 보여 진다. 잔영산의 선율은 영산도드리의 2마디 12박의 형태를 10박으로 가락과 선율을 덜어 구성했 고, 이 선율의 구성은 삼현영산회상의 상령산 선율이 무용반주음악으로 만들어지며 20박 선 율이 10박으로 변주되는 형태에서 이를 기반으로 선율 구성이 진행됨이 보인다. 염불도드리 는 영산도드리의 4분의 6박 선율을 그대로 사용했고, 곡의 길이가 짧아 현행 삼현영산회상의 반복구조를 활용해 전체 선율이 구성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화자는 유금선의 구음을 그 대로 채보해 선율을 구성했고, 자진타령은 영산도드리의 주제선율을 기반으로 자진타령의 장 단에 맞춰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타령은 영산도드리의 4분의 6박 두마디 12박 에 가락을 들고 첨가하여 구성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산도드리는 동래 악공들이 직접 서울에 올라가 녹음을 한 최초의 음반이고, 동래지방의악공만이 연주할 수 있는 귀중한 음악이라는 것에 큰 의의를 두고 있다. 이에 기반 하여 동 래고무 반주음악으로 재구성하였는데, 재구성된 음악 또한 앞의 두 반주 음악과 마찬가지로 삼현육각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앞의 두 음악만큼 춤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여러 가지 방 법을 모색 하고 있다. 이 음악이 비록 현행 동래고무 반주음악에 비해 많은 고증을 거치지 못한 것이 아쉬운 점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예술인들이 전통음악예술에 대한 객관적 인 현실감과 분석능력이 배양되길 기대한다.

      • 상대적 저기동성 인 전투기 편대의 공중 교전 우위 확보를 위한 기본 협동 전술 기동 연구

        서원익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무인 전투기는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전장에서 군이 사용할 수 있는 핵심 무기체계 중 하나이다. 특히 높은 자율성을 가진 무인 전투기는 지금까지 유인 전투기가 수행해오던 3D(Danger, Dull, Dirty) 임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세계적으로 dogfight를 위한 인공지능 조종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그 효용성이 검증되면서 무인 전투기의 역할이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Loyal Wingman’의 개념으로 개발되고 있는 무인 전투기는 기존 전투기보다 기동 성능은 낮지만 정찰 임무 수행과 유인 전투기의 무장 탑재를 보완하는 임무를 수행할 것이다. 또한, 조종사의 생존 가능성 문제가 고려되지 않고 낮은 비용 대비 높은 효과를 성취할 수 있는 이유로 적진 깊숙한 곳에서 운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무인 전투기는 적진에서 상대적으로 고기동성을 가진 적기와 조우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교전 상황에서 무인 전투기가 교전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아군 편대와 협업하여 교전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 전투기 편대와 일반적인 전투기의 기동 성능 차이를 고려한 편대 전술 교전 모델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코어 함수 기반의 교전 알고리즘 모델을 다 대 일 교전이 가능하도록 확장하였고 편대 비행 알고리즘을 편대 전술 기동 모델에 적용하였다. 기본 전투기 기동을 분석하여 선회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동 파라미터를 정의하였고, 주어진 교전 상황에서 선회 성능, 상대 거리, 교전 알고리즘 동작 시점과 같은 기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적기를 격추할 수 있는 편대 대형의 영역을 분석하였다. 교전 기하와 편대 전술 기동 파라미터에 대해 교전 데이터셋을 확보하여 인공 신경망 학습을 수행하였다. 학습된 모델을 편대 전술 기동 모델로 사용하였으며, 편대 비행 알고리즘과 결합한 편대 전술 교전 모델을 통한 교전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저 기동성의 무인 전투기 편대를 이용하여 고기동성을 가진 전투기와 다 대 일 교전을 위한 편대 전술 교전 모델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경호도 교육훈련시스템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이승형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범죄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과학과 교통ㆍ통신의 발달로 인해 범죄수법은 날로 지능화ㆍ전문화ㆍ광역화되어 가고 범죄양상 또한 흉악ㆍ잔인화 되어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경호원의 대응능력도 향상되어야 하는데 경호관련설비, 장비개선 등의 물질적인 개선도 필요하지만 경호관련업체의 효과적으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련 종사자의 직무 능력 및 자질 등을 향상시키는 교육훈련의 개선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경호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경호대상자를 위협하는 요소들은 다양하게 발생하고, 경호원이 그 공격에 대한 대적(對敵)과 제압(制壓)을 할 때에는 주위의 환경, 공격의 방향과 방법, 무기의 종류, 위해자의 공격기술과 능력 등을 순간적으로 파악하여 대처해야 한다. 이러한 대적과 제압을 하기 위해서는 경호원은 고도의 경호 기법 및 다각도적이고 종합적인 무도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와 기초는 교육훈련의 내실화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경호무도교육훈련 실태와 문제점을 근거로 보다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경호무도교육훈련이 될 수 있는 무도교육훈련 시스템을 정립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경호관련 학계의 교과과정 운영 시 무도 및 체력단련 과목 비율상승 및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민간경호직 종사자 기본교육 및 보수교육 시 무도교육 비율의 확대 및 의무화를 위한 지원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경호무도교육 시 일반무도가 아닌 경호원 고유 업무 수행을 위한 특수한 무도기법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수련하기 위한 행정적 지원체제와 관리자의 무도수련에 대한 긍정적 의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민간경비원 인력을 관장하는 전문 기관이 설립되어 경호원으로서의 소양과 자질에 대한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우수한 인력을 사회에 진출시킬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며 경호원의 인원선발 및 채용에 있어서 무도 실기시험의 의무화와, 채용 후 보다 실질적이고 강도 높은 경호무도교육 훈련이 요구된다. 민간경호 교육기관의 전담 무도교관의 의무적 배치로 인한 관련 업무와 연계된 연구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경호 관련학과의 무도능력향상과 현장 적응능력 고취를 위한 무도전공 전임교수의 채용 유도로 인한 지속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민간경호업계들을 경찰 교육기관(경찰종합학교, 중앙경찰학교, 경찰대학 등)에 직무위탁교육을 실시하여 상호 연계적 업무협조와 체계적 무도수련을 위한 행정적 지원체제가 요구되며, 경호원의 무도 수련의 환경과 여건조성을 위한 교육시설설비기준의 재정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경호무도 교육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육시간이 필요하며, 경호 무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무도교과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요구된다. 경호 현장의 단계적 인력보충으로 실무자들의 과다업무를 줄이고 무도수련을 통한 자기개발 시간을 부여해야 하며, 교육에 대한 기대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경호무도 경연대회 및 우수자 특진 등의 제도 도입이 필요하며, 경호업체의 무도수련장 시설구축 의무화에 대한 법적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무도지도자 업무의 분리화와 전문화를 통하여 지도자의 질적 향상과 함께 경호직의 안정과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민간경호직 종사자 경호무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론에 입각한 다양한 위해요소에 대한 처치능력을 개발하고 더욱 현장감 있는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Guard engager performs the special task and volunteers which is responsible of customer's safety, and demands the substantial educational training. Also as the guards are needed of systematical special educational process which is connected to the task to achieve the responsive technique which fits to the field situation as the crisis situation develops in much various form. Besides that, guards must develop their abilities to play the role in the forefront of the society as well as the property and life protection of the people, and must achieve new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hey must be replete with their original tasks. These changes and basis must start from the sincerity of educational training. So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developing method as follows, which can be more systematical and substantial security guard marti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guard engager's security guard martial arts education status and problem. Firs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f guard related academy, the heightening of military science and body strength training course proportion, and systematical and continuous management are needed, and the supporting system for the expansion and making it a duty of security guard martial arts education proportion during the basic education and complementary education of guard engager must be achieved. Second, during the education of security guard martial arts, not the general martial arts, but for the guard original task performance, and the special security guard martial arts technique development and supply must be achieved, and to train this efficiently, the administrative supporting system and positive consciousness conversion of security guard martial arts training of the administrator must be demanded. Third, as the expert institution which manages the manpower of civil guards must be established, so it must prepare the evaluation criteria about the grounding and qualification as the guard, and the institution which can prepare to proceed excellent personnel to the society, and in the recruit and personnel choice of guards, we must make security guard martial arts practice test a duty, and after the recruit, more substantial and strong security guard martial arts education training is needed. Forth, the study which is connected to the task due to the obligational arrangement of full-time military science trainer of the guar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systematical and continuous management must be achieved, and for the improvement of security guard martial arts ability of related dept. with guard, and the enhancement of field adaptation ability, continuous management due to the induction of recruit of full-time professor who majored in security guard martial arts must be achieved. Fifth, we must practice task commission education of the guard enterprises to the police education institution(Korea General School of Police, Central Police School, Korea Univ. of Police), so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is needed for systematical military science training and mutual connective task collaboration, and for the security guard martial arts training environment of guards and condition furtherance, the finance and support of the educational facility establishment standard must be achieved. Sixth, in the education of security guard martial arts, rather systematical and detailed educational time is needed, and the deep analysis of security guard martial arts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security guard martial arts education program. Seventh, by the step by step personnel supplementation of guard field, we must reduce the over-task of the executives, and we must endow self-developing time through security guard training, and to heighten the expectation effect of the education, we need to introduce the institution like security guard martial arts contest and excellent person's special promotion. Eighth, we must prepare the legal institution of making the facility construction of guard enterprise's security guard martial arts training center as a duty, and by the separation and specializing in the task of the leader at security guard martial arts, we must grope security and development of the guard job altogether with the leader's improvement in quality. In the e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curity guard martial arts of guard engager, we must develop the treating ability of various harmful factor which is based on the theory and we must practice more realistic education.

      • 군집 드론 네트워크를 위한 임 중요도 기반 메시지 전송 기법

        곽욱수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서는 다수의 무인 항공기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다중 무 인 항공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무인 항공기 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야 원활한 시스템 운용이 가능하다. 무인 항공기들을 직접 조종하여 충돌을 방지 하는 방식은 운용 무인 항공기의 수량이나 비행 궤도 복잡도가 증가한다면 충 돌 발생 확률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무인 항공기 제어자가 무인 항공기 상황 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 제약도 존재한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안 전한 다중 무인 항공기 운용을 위해 능동적인 충돌 방지 기능의 필요성이 존재 한다. 또한 충돌 방지를 위해 무인 항공기 간 메세지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각 무인 항공기의 임무를 고려한 메시지 전송 기법이 필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원거리 상황 다중 무인 항공기 운용 시 충돌 방지를 위 하여 공중 환경을 반영한 거리 기반 편대 비행 방식 군집 무인 항공기 시스템 을 제안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구현과 검증을 목표로 잡는다. 키워드 : 공중, 임무 기반, 편대 비행, 무인 항공기, 멀티 홉 통신, 다중 무인 항공기 서비스 In order to use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efficiently, a system that can operate multiple UAVs simultaneously is required, and in a system that uses multiple UAVs, it is necessary to prevent collisions between UAVs for smooth system operation. The method of preventing collisions by directly controlling UAVs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collisions as the number of operational UAVs or the complexity of flight trajectories increases. There is also the constraint that the drone controller must be able to visually check the drone situ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ctive collision avoidance for efficient and safe multi-UAV operation. In addition,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drones must be seamless for collision avoidance. This requires a message transmission technique that considers the mission of each drone. In this study, we propose a distance-based formation flight method swarming unmanned aircraft system that reflects the aerial environment for collision prevention when operating multiple unmanned aircraft in a long-distance situation, and aim to implement and verify it through simulation.

      • 한·중 의수(擬獸舞)의 생태미학 연구 학춤(鶴舞)과 공작춤(孔雀舞)을 중심으로

        조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생태미학에 근거하여 한국과 중국의 의수무(擬獸舞) 중 가장 대 표적인 무형문화재인 학춤과 공작춤의 특성을 고찰하고 비교하였다. 연구 목 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생태미학의 이론과 범 주, 의수무의 개념과 유형, 2) 한·중 의수무의 발생과 전승, 3) 한·중 의수 무의 구성과 특성, 4) 한·중 의수무에 내포된 생태미학적 특성.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교차학제연구, 영상 및 사진 분석, 비교분 석 및 논리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중 의수무에 담긴 생태심미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천인상화(天人相合)의 전체미(整體美)이다. 의수무는 창작에 있어서 자연을 존중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자연 만물의 법칙을 따르는 것을 기초로 한다. 무용가는 자연을 인식하고 모방하며 재현하는 동시에 주체적 능동성을 발휘하고 미적 경지를 추구한다. 그는 춤을 인간과 자연의 매개체로 삼아 춤 사위, 표정, 의상 등을 통해 동물을 모방한다. 춤과 음악 반주의 전체적인 조 화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구축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수무의 생태 미학적 함의는 이러한 맥락에서, 의수무의 생태미학적 함의는 만물일체, 천 인합일, 심신일치를 지향하는 통합된 미적 경지의 구현이다. 둘째, 음양협조(陰陽協調)의 중화미(中和美)이다. 한·중 의수무의 양식은 음양의 조화, 상호의존을 잘 보여준다. 학춤의 기본 특징은 내면의 해탈, 율 동, 정중동, 동중정화와 원 속에 집중되어 있다. 학춤의 동작과 구성에서 나 타나는 느슨함과 팽팽함, 전개와 수렴, 함과 부, 들어올림과 가라앉음, 순과 역, 흡과 토 등의 상호의존은 호흡과 리듬과 조형 전 과정을 관통한다. 즉, 학춤은 처음부터 끝까지 안에서 밖으로 상멸상생, 상극상성, 음양조화의 중 화미를 보여준다. 공작무의 특징은 S자형의 세 가지 굽은 체형, 운동의 굴곡 과 신장, 내면의 호와 흡, 신체동작의 좌우, 손동작의 밀기와 당김, 팔, 손목, 손가락과 종아리 동작의 부드러움과 강함으로 나타난다. 이렇듯 동작은 음과 양을 구성하고 세계의 본질과 조화로운 관계, 만물미의 근원을 구현한다. 셋째,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생존미(生存美)이다. 학춤과 공작춤은 자연에 상응하는 미적 과정에서 한(韓)민족과 다이족의 미적 감각과 생태적 관념이 동참하게 된다. 이러한 생태적 미적 참여는 조화롭고 유쾌한 통감이 이루어 지는 주체적인 시적 생존감을 체감하게 한다. 학춤과 공작춤은 외부 자연의 미적 가치의 발견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며 생명의 공감이다. 한민족과 다이족은 의수무의 형식을 빌려 생동감 있는 동물상으로 생명에 대한 사고를 전달한다. 다시 말해서,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 며 생태법칙에 부합하는 심미적 방식, 인간과 자연만물이 조화롭게 존재하는 상태, 진선미가 통일된 삶의 경지를 구현하면서, 시적인 인간 생존의 이상을 표현하고 있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의수무의 발생과 전승을 살펴보고 그 형식, 특징, 기 능과 함께 생태미적 의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중 전통무용과 생 태환경 사이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한·중 의수무 예술 형식의 생태미적 유 사성과 차이성을 비교하였다. 결국, 본 연구는 동양 민족 무용 연구에 다원 화된 시각을 제공하여 양국 문화의 다양성과 다원화를 풍부하게 함으로써 관련 연구를 진전시키고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주제어: 의수무, 학춤, 공작춤, 생태미학, 전통무용

      • 태평도 공간 분석을 통한 동양적 미의식 연구

        윤세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한국 전통무용에 내제된 미의식을 고찰하기 위하여 동북아 철학에 근간을 이루는 태극, 음양, 오행 사상을 무도공간에 응용시켜 분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분석 대상으로는 형식적, 내용적으로 작품의 가치가 우수하여 보존, 계승, 발전의 단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본래의 의미도 태극론에 기인한 국가무형문화제 제 97호 태평무를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눈으로는 확인되지 않는 철학사상을 무도공간을 통해 시각화 하는 새로운 작업이다. 춤과 음악은 국가가 성립되기 이전 농경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공동체 의식을 통해, 소박한 가무형태로 연행(演行)되었다. 원시 가무형태로 연행되던 춤과 음악은 훗날 무대화 과정을 통하여 더욱 형식미를 갖추게 되었다. 태평무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국가의 평안과 태평성대를 기리는 뜻으로 탄생 되었다. 즉 정형화 되지 않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사상이 음양의 동정과 오행으로 정형화, 형식화 되면서 미의식을 가미한 태평무로 발전한 것이다. 이러한 태평무의 무도공간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평무의 구성은 음양오행의 순환 원리인 목 ->화 ->토->금->수 의 순서로 진행된다. 도입부 목(木)의 공간에서 시작된 춤은 양의 기운이 충만한 화(火)에 이르러 무대의 동서남북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춤을 춘다. 양의 움직임이 극에 달하는 순간 이미 음의 고요함이 내재되어 조화와 내실을 꾀하는 무대 중앙인 토(土)의 공간에 이른다. 토는 오행의 특성을 중재하여 고요히 안정하며, 다음 동작을 준비하여 수렴의 공간인 금(金)에 이르게 된다. 이후 고요함의 진수인 수(水) 공간에 이르러 조용히 작품은 마무리된다. 이는 태평무가 오행 순환의 원리와 특성을 작품 속에 완벽하게 소화해 냈음을 알 수 있는 근거이다. 둘째, 태평무의 총 135.5 장단의 공간 활용 분석 결과, 음의 공간은 44회, 양의 공간은 45회, 중앙은 46,5회 사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태평무가 음과 양, 중앙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은 조화미를 담고 있는 작품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라의 태평성대와 안녕을 비는 태평무의 주제와도 합일 된다. 또한 양이 음보다 1회 공간 활용이 많은 것은 생생지리(生生之理)의 생명성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국가와 민족의 영원한 번영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로써 태평무는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높은 완성도를 보이는 우수한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태평무는 태극론, 관물(觀物), 천지인 합일의 심미성을 내제한 주객합일의 종합예술이다. 태평무는 태극의 특징인 동정, 강유, 굴신, 완급, 고저, 상하가 작품 전반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운은 춤추는 주체뿐 만 아니라 춤을 보는 관객에게 까지 전달, 흡수되는 관물의 경지에 이르게 되고 결국 주객이 합일되는 천지인 합일의 심미성을 갖게 된다. 이는 물아일체의 흥과 멋, 신명이 자연스럽게 태평무 작품 전반에 표현되어 예술성 높은 미의식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 연구 분석을 통해 태평무는 작품 속에 내제된 철학적 관념을 형식적으로 잘 풀어낸 작품임이 입증되었다. 이 연구처럼 전통무용에 대한 고찰은 단순히 과거의 춤을 복원하기 위한 작업이 아니라, 현실을 분석하고 그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 제시한 방법론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오늘의 연구가 전통무용 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며, 태평무뿐만 아니라 유수의 우수한 무용 작품분석에도 이러한 철학적 분석방법이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핵심어: 태평무, 무도공간, 무대공간, 태극, 음양, 오행, 미의식, 미학 This research aimed at analyzing Taegeuk, Yinyang, and Ohaeng ideology, which are the basis of northeast philosophy, by applying them to Mudo space, in order to consider the aesthetic cognition inside Korean traditional dance. As the target for analysis, this research selected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no.97, Taepyeongmu, which has excellent value both in form and content and well succeeded with excellent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stage, with the original meaning based on Taegeuk theory. This was a new visualization work of invisible philosophical ideology through Mudo space. Dance and music are closely related to agricultural life before establishment of a nation, which were performed(演行) in a simple dance form through community spirit. Dance and music, performed in primitive dance form, had a better beauty of form through staged process later, Taepyeongmu also was born in the meaning of wish for national peace and prosperity in this process. That is, non-standardized Cheonjiyin(天地人) Samjae(三才) idea was developed to Taepyeongmu added with aesthetic cognition as it is standardized and formatted with Dongjeong and Ohaeng. The results through Mudo space analysis of Taepyeongmu are as follows. First, composition of Taepyeongmu is progressed in order of Mok ->Hwa ->Su ->Geum ->To, circulation principle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Dance that starts from the space of Mok(木) in the beginning part performs by freely utilizing four directions of the stage as it reaches Hwa(火), full of energy(Yang). At the moment when movement of energy(Yang) reaches the climax, already silence of Yin reaches the space of To(土), the center of stage where harmony and internal stability are promoted. To prepares the next motion while promoting silent stability by mediating the characteristic of Ohaeng, reaching Geum(金), a space of convergence. Later, dance reaches Su(水) space, essence of tranquility, then the work is finalized silently. This is the basis that Taepyeongmu is the work that perfectly expresses the principle and characteristic of Ohaeng circulation perfectly. Second, as the analysis result of space utilization of total 135.5 jangdan of Taepyeongmu, space of Yin was used 44 times, space of Yang was used 45 times, and the center was used 46,5 times. This shows Taepyeongmu has beauty of harmony, without leaning to any side, Yin, Yang, and the center, which coincides with the theme of Taepyeongmu, wishing for national peace and prosperity. Also, the point that Yang utilized 1 more time in space utilization than Yin coincides with the context of life of Saengsaengjiri(生生之理), meaning eternal prosperity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is way, Taepyeongmu itself as an excellent work both in form and content. Third, Taepyeongmu is a synthetic art of Jugaekhabil including the aesthetic impression of Taegeukron, Gwanmul(觀物), Cheonjiyin habil. Taepyeongmu is composed of Dongjeong, Gangyu, Gulsin, Wan-geub, Gojeo, and Sangha, the characteristics of it, as the core power that leads the work. This spirit reaches and is absorbed into the audience of the dance as well as the dancing subject, the stage of Gwanmul, finally it gives aesthetic impression of Cheonjiyin habil where the host and the guest unite. This is the creation of highly artistic and aesthetic consciousness by being naturally expressed with joy and style in the whole Taepyeongmu.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aepyeongmu is a work that well expresses its philosophical idea formally. Consideration of traditional dance is not a mere work to restore a dance of the past, but it needs a research methodology to suggest a logical basis to analysis the reality and prove its value. The researcher expects today’s research provides an opportunity to open a new prospect of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dance, and such philosophical analysis method to be utilized in the excellent dance work analysis besides Taepyeongmu. keyword: Taepyeongmu, Mudo, Space, Taegeuk, Yinyang, Ohaeng, Aesthetic Cognition, Oriental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