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譯官 洪禹載의 일본인식 : 『東槎錄』을 중심으로

        손민희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7

        洪禹載는 현종∼숙종대에 활약한 왜학역관이다. 그는 1682년 通信使行을 수행했던 堂上譯官으로 사행기간 동안의 일들을 기록한 『東槎錄』을 저술했다. 『東槎錄』은 漢學譯官 金指南의 『東槎日錄』과 함께 譯官에 의해 저술된 최초의 日本使行記錄이었다. 『東槎錄』이 저술되기 전까지는 正使, 副使, 從事官과 같은 사대부들에 의한 通信使行錄만이 존재하고 있었다. 홍우재는 『동사록』에서 일본의 경제와 문화, 일본인에 대한 평가 등을 자신이 직접 보고 들은 것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관점에서 기록하려 노력했다. 사대부들에 의해 저술된 사행록에는 당시 조선사회에 팽배해 있던 朝鮮 小中華主義를 바탕으로 일본의 문화를 비롯한 유교질서가 행해지지 않는 모든 것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유교적 자부심을 바탕으로 일본사회와 일본인들에 대해 優越意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東槎錄』은 기존의 사대부들에 의해 저술된 筆談·唱和와 같은 문학적 내용의 사행기록과 달리 儀禮나 의전절차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서술했다. 특히 당상역관으로서 외교적 실무를 담당한 洪禹載의 객관적인 일본인식은 주목할 만하다. 그는 사행기간 동안 倭人과 조선원역들 사이의 충돌, 일본 高官들과 三使臣의 외교儀禮나 의전절차에 대한 충돌 등을 조율할 경우 조선이나 일본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옳고 그름을 가리려고 노력했다. 물론 이러한 일본에 대한 객관적 인식이 후대의 역관에 의한 사행록에 등장한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홍우재의 『동사록』에 그러한 기록이 최초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동사록』이 가지는 의미이자 의의이며 필자는 이것에 집중하여 홍우재의 객관적인 일본인식과 현실적 입장의 견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홍우재는 朝鮮後期 譯官을 배출한 이름난 가문 중의 하나인 南陽 洪氏 가문출신이다. 숙종시기 역관 합격자 수 중 10명이 홍우재 집안의 출신이었다. 이러한 역관가문의 배경은 외국 문물이나 제도를 넓은 안목으로 이해하는 시각을 갖게 했고 특히 왜학역관으로 명성을 떨치던 조부 洪喜男과 백부 洪汝雨의 일본 사행 경험은 홍우재로 하여금 일본에 대한 친숙함을 갖게 했다. 또한 당시 17세기 후반은 중인계층이 독자적 세력을 형성하던 시기였다. 그들은 경제적인 부의 축적을 기반으로 사회적으로 양인과 구분되는 세력을 형성했고, 문화적으로도 그들만의 계층을 대변하고자 했다. 이러한 중인계층을 형성하는 신분 중 하나였던 역관은 나라와 나라 간의 외교적 업무를 담당하는 실질세력이었다. 그들은 외교적 교섭 외에도 그 나라의 사회적·정치적 정세를 파악해야하는 업무가 부여됐다. 그러므로 역관은 중요성은 커졌고, 신분적 지위가 상승함에 따라서 그들은 그들의 업무에 적합한 나름의 가치관과 기준을 형성하게 되었다. 직업 특성상 넓은 안목과 유연성 있는 타협자세가 그들에게 요구되었기에 홍우재의 객관적인 일본인식과 현실적 입장의 수용은 역관 가문이라는 가풍의 영향과 중인계층의 성장이라는 배경이 있었다. 홍우재는 당시 지배층이었던 삼사신에 비해 객관적이고 진보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이었다. Hong Woo-Jae was an official interpreter specializing in studies of Japan who was active from King Hyeonjong period and King Sukjong period. He was an interpreter who accompanied Tongshinsa Group in 1682 and wrote 『Dongsarok』, a record of happenings during his official duties. 『Dongsarok』was the first record of official tour to Japan written by an interpreter together with 『Dongsailrok』 written by Kim Ji-nam, an interpreter specializing in the study of the Chinese classics. Before 『Dongsarok』was written, there had been Tongshinsa records only written by high-ranking officials such as Jeongsa, Busa and Jongsagwan. Hong Woo-Jae tried to write objectively on the basis of what he had seen and heard in person regarding economy and culture of Japan, and evaluation for Japanese people. Tour journals written by high-ranking officials negatively evaluated everything that was not implemented according to Confucianism orders including Japanese culture based on Joseon small Sinocentrism which surged forth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is kind of Confucianism pride, they had a sense of superiority to Japanese society and Japanese people. However, differently from tour journals with literary contents such as conversation by writing and private conversation written by high-ranking officials, 『Dongsarok』described ceremonies or procedures in detail. In particular, objective recognition for Japan of Hong Woo-Jae who was in charge of diplomatic affairs is remarkable. He tried to discuss the rights and wrongs neutrally and objectively with unprejudiced viewpoint between Joseon and Japan when he had to arbitrate conflicts among officials of both nations and conflicts regarding diplomatic process and protocol procedure between Japanese high-ranking officials and three ministers of the Joseon Dynasty. Of course, this objective recognition for Japan appeared in tour journals by interpreters of the next generations. However, what is important here is Hong Woo-Jae's 『Dongsarok』firstly introduced this viewpoint, which makes it meaningful. Therefore, the current study takes notice of his objective recognition for Japan and realistic position as stated above. Hong Woo-Jae was from Namyang Hong family that was one of famous families producing interpreters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Among successful candidates of interpreter in King Sukjong period, 10 came from his family. His family background made him understand foreign things and systems with broader view. In particular, work experiences of his grandfather Hong Hee-nam and Uncle Hong Yeo-wu who famous interpreters specializing in studies of Japan were made him familiar with Japan. In additio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ose in the middle class were forming independent power. They not only formed power distinct from yangban (the nobility) socially based on their economic power, but also spoke for their own class culturally. Interpreters, one of the social standings of the middle class, were a substantial power group in charge of diplomatic affairs. Their work was analyzing the state of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of the country in addition to diplomatic negoti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nterpreters increased and they formed own sense of values and standard suitable for their duties as their social status went up. A broad appreciative eye and an attitude of flexible compromise were required for their job, Hong Woo-Jae's objective recognition for Japan and acceptance of realistic position were due to his family's atmosphere and prosperity of the middle class. Hong Woo-Jae had more progressive viewpoint thank three ministers, the governing classes at that time.

      • 漫浪 黃㦿의 「東槎錄」 硏究

        이재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4

        Hwang Ho(黃㦿) was a writer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and had a tough time as a bureaucrat because of his statements free from the political faction of the Westerners, backboned language, and upright character. However, in light of the fact that he was nominated for the position of Daejehak and he was dispatched to Japan and China once, it is considered that his literary talent was recognized by the Court. In particular, he wrote 「Dongsarok」(東槎錄) as a staff officer of Byeongja Tongsinsa in 1636. 「Dongsarok」 is an important document capable of understanding the Joseon-Japan relations in the seventeenth century.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writer consciousness of 「Dongsarok」. Hwang Ho made a consistent effort to achieve the dispatch purposes such as reopening of amicable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maintenance of diplomatic authority of So Yoshinari as a feudal lard of the island domain of Tsushima, return of kidnapped Joseon people, and reopening of sulfur trade. In addition, he recorded Japanese customs and understanding of Japanese as they were. Although he expressed 'simple' about Japanese food, he often criticized battle ships and decorated ships. In addition, he considered separately Toyotomi Hideyoshi and Tokugawa shogunate and specifically recorded the interested relationships between So Yoshinari(平義成, 宗義成), Yanagawa Shigeoki(柳川調興), and Tokugawa Iemitsu(德川家光). He founded the vestiges of Park Je-sang, Jeong Mong-ju, and Kim Seong-il in Japan and sympathized with their perspectives of Japan.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representation method and its function in 「Dongsarok」. Its daily record of dispatch is well structured by containing an objectively and realistically recorded journal, 'Mongyeonchongrok(聞見總錄)' as a record of his experience in Japan, and 'Taekdangdab Waeinmunmok(澤堂答倭人問目)' that Taekdang answered questions by Japanese. Moreover, he emphasized the literary beauty of the poetry of diplomatic envoy using representation methods with a mixture of realistically describing the scene in front of him and directly representing what he tried to describe. It showed communication by writing and recitation performed with a focus on responsory poetry. The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of 「Dongsarok」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said that 「Dongsarok」 is the first record extending the scope of experience in Japan during the late Joseon because the sightseeing of Mount Nikko had started since the Byeongja Tongsinsa. Second, it can be said that 「Dongsarok」 expanded the field of envoy travel literature called Pildam Changhwa (recitation and conversation in writing) through active cultural exchanges. Third, it can be considered that 「Dongsarok」 is valuable as envoy travel literature in that 「Dongsarok」 is the literary record capable of understanding Joseon-Japan relations in the seventeenth century as a record of Byeongja Tongsinsa dispatched betwee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 趙泰億의 使行文學 연구 : 對日觀을 중심으로

        조영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3

        본 논문에서는 1711년 신묘사행의 정사 趙泰億(1675∼1728)의 사행문학을 통해 그의 대일관을 연구하였다. 1711년 신묘사행은 임란 이후 시작된 조선후기 통신사행에 있어서 시기적으로 중간에 놓인 사행이며, 회차로는 여덟 번째 사행이다. 조태억은 정사로 일본을 사행하며 그 체험을 개인문집인 『謙齋集』6, 7, 8권에「東?錄」으로 남겼다. 그러나 『겸재집』이 미간행 문집인데다가 「동사록」이 『海行摠載』에 실리지 못해 접근성이 떨어져 사행문학 연구에 있어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또한 이 시기의 사행문학이 여항 문인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정사로서 일본을 사행한 조태억 연구는 사행문학 연구의 주류를 차지하지 못했다. 현재까지 조태억 개인을 조망한 연구는 없었으며, 대체로 막부의 집정관으로 통신사 접대를 담당한 新井白石와 관련된 연구에서 조태억이 거론되었다. 신묘사행은 이전 회차인 1682년 임술사행부터 조일 양국 간에 늘어나기 시작한 문화적 교류의 분위기를 타고 많은 교류의 흔적을 남긴 사행이다. 조태억도 이러한 문화 교류의 흐름에 합류하고 있었다. 제술관 1인, 서기 3인이라는 사문사 체제가 정립된 이 시기, 조태억은 정사였기 때문에 일본인과의 시문 교류에 의무가 없었지만 그의 「동사록」에는 일본인들과 교류한 시들이 다수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이 시들 중 일부는 일본에서 간행된 필담창화집 23종에 수록되어 있다. 이 밖에서 일본인에게 보낸 서문과 贊, 銘이 『겸재집』내에 수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료들에는 일본인과의 교류뿐 아니라 일본에 대한 조태억의 선험적 인식과 일본 각 지역에서의 견문 및 술회가 드러나 있어 조태억의 대일관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활용되었다.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과 주변인들의 ?章을 통해 사행에 임하는 태도를 세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 사행을 새로운 유람으로 생각하고 기대했으며 주변인들도 일본의 자연 경관을 즐기고 돌아올 것을 당부했다. 두 번째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100년이 지난 시기였지만 일본이 임진왜란의 주범국이라는 것에 적개심을 지니고 사행에 임했다. 일본이 전쟁의 원흉이라는 사실은 주변인들도 잊지 못하는 터였지만, 일본에 대해 복수의 의지를 다지는 인물이 있는가 하면, 과거보다 현재의 교린 상태를 중요시하여 和로써 대할 것을 당부하는 인물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태억은 존화주의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하며 사행에 임했다. 조태억의 주변인들도 마찬가지로 일본에 대해 이적으로 파악하는 관점을 지녔다. 기본적으로 조선을 오랑캐인 일본보다 우위에 두는 입장에서, 회유와 유화책으로 일본인을 대할 것을 당부하거나 인간의 본성과 감정은 같은 것이라는 이해 아래 대등하게 대해야 함을 강조했다. 실제 일본을 체험하며 선험적 인식과 태도는 유지되거나 변형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체험을 통한 조태억의 대일관이 형성되었다. 본고에서는 조태억의 대일관을 일본의 자연, 일본의 문물, 일본인에 대한 것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의 자연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기행시와 창화시를 막론하고 일본의 승경을 찬미하였으며, 자연을 우열논쟁의 대상으로 파악하지 않고 일본의 것이더라도 좋으면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다. 두 번째로 일본 문물의 장점을 포착하는데 주력했다. 임진왜란의 주범으로 여겨지던 豊臣 가문을 무너트린 德川 가문의 위업을 높이는 것으로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해소한 후 일본의 번화와 좋은 점을 시의 소재로 삼았다. 일본의 우수한 풍속을 기록했으며 중국의 제도와 비교해 우월성을 인정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일본인에게서 교화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新井白石을 만나 소통하면서 武國으로 인식했던 일본이 文을 향해 변화해가는 분위기를 느꼈고 중화로의 교화를 유도했다. 시문에 익숙하지 않은 일본인에게도 시문을 보내어 文을 통해 소통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은 당대인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던 것이면서도 조태억이 속한 소론계의 일본 인식과 맥을 나란히 하는 것으로, 적개심과 이적관을 유지하면서도 일본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조태억이 실제 체험한 일본은 훌륭한 자연 경관을 지녔고 앞선 제도 등 좋은 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었으며 文에도 관심을 보이는 나라였다. 이에 기본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지녔던 조태억은 일본에 대한 이해와 인정의 범위를 넓히고 그들에게 한 발짝 나아가 포용하려는 대일관을 보였다. 비록 중화주의나 화이관에서 탈피하거나 실학적 태도로 일본을 배우는 것에까지 미치지는 못했지만 일본에 대한 열린 자세는 선구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의 연구들은 대체로 위항 문사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지만 정사였던 조태억도 문화교류의 일면을 차지했으며 대일관에 있어서도 상당히 포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조태억 개인에게 있어서는 사대부로서 경직되지 않은 대일관을 지닌 인물이었다는 점에 그의 사행문학 연구에 의의가 있다. 한편으로 사행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홍세태·신유한 및 여항의 문인들과 함께 사행문학이 심화를 이루는데 초석을 다졌다는 것에 조태억 사행문학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